하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원은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설립된 통일부 산하 기관이다. 급증하는 탈북민의 한국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사회 적응 교육, 직업 훈련, 생활 지도, 법적 지위 확보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3개월 동안 제공한다. 하나원은 안성시에 제1하나원이, 화천군에 제2하나원이 있으며, 탈북민의 심리적·신체적 건강 관리와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도 제공한다. 보안상의 이유로 시설 출입에 제한이 있으며, 2011년 전향 간첩의 정보 유출 사건으로 보안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시 소재의 관공서 - 안성소방서
안성소방서는 경기도 안성시의 소방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재난대응과, 소방안전특별점검단, 현장지휘단, 5개의 119안전센터, 1개의 구조대로 구성되어 안성시 전역의 화재, 재난, 구조, 구급 활동을 수행한다. - 안성시 소재의 관공서 - 안성시립도서관
안성시립도서관은 1963년 안성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199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안성시립중앙도서관 등 여러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 화천군 소재의 관공서 -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 "이기자부대"는 1953년 창설되어 강원도 화천군 일대 수색 및 경계를 주 임무로 수행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101경비대대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2022년 국방개혁 2.0으로 해체되었다. - 화천군 소재의 관공서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 통일부 - 대한민국의 통일부 차관
대한민국의 통일부 차관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통일부 장관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장관 유고 시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 대한민국 통일부 - 대한민국 국토통일원
1969년 3월 1일에 신설되어 1990년 12월 27일에 폐지된 대한민국 국토통일원은 조국통일 정책 수립, 남북 문제 조사 및 연구, 통일 관련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으로, 통일원으로 개편되었다.
하나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
로마자 표기 | Bukhanitaljumin Jeongchakjiwon Samuso |
약칭 | 하나원 |
설립일 | 1999년 5월 24일 |
설립 근거 |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지원 |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본원) |
기관장 성명 | 이주태 |
기관장 직책 | 소장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통일부 |
2. 설립 배경
1994년 김일성 사망과 북한의 경제난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한국 전쟁 이후 매년 10명 내외였던 탈북민 수는 1990년대 중반부터 크게 늘어나, 이들이 한국 사회에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9]
탈북민들은 탈북 과정에서 겪은 신체적, 심리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분 확인을 위한 힘든 조사 과정을 거친다. 또한 취업, 진로, 거주지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더불어, 한국 사회와 다른 체제에서 오랫동안 생활했기 때문에 겪는 문화적, 사회적 차이로 인해 심리적으로 혼란스럽고 불안정한 시기를 보내게 된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탈북민들이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통일부 산하 기관인 하나원을 설립하였다.[2]
3. 연혁
4. 기능 및 역할
북한이탈주민은 국가정보원의 조사를 받은 후 하나원으로 이동하여 대한민국 사회 적응 교육을 받는다.
하나원의 교육 과정은 12주 동안 총 40시간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사회경제적·심리적 불안 완화, 문화적 이질성 극복, 한국에서의 생계 유지를 위한 실천적 훈련을 주요 목표로 한다.[10][11] 이론 교육 외에도 구청, 경찰서, 회사 방문, 백화점 쇼핑, 이발, 푸드 코트에서 식사하기 등 실생활에 필요한 현장 교육도 진행된다.[10][11]
보안상의 이유로 하나원 내에서는 탈북자의 이동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철조망, 경비원, 감시 카메라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익명을 요구한 한 탈북자는 코리아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하나원이 자유롭게 밖에 나갈 수 없어 감옥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또한, 탈북자의 신원 보호를 위해 자원봉사자는 휴대전화 반입이 금지되며, 시설 내 사진 촬영도 제한된다.
하나원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탈북자는 정부 보조금으로 자신의 집을 마련하게 된다. 초기에는 1인당 3,600만 원의 정착 지원금과 매월 54만 원을 지급했으나, 현재는 정착 지원금 29420000KRW과 주택 지원금 7540000KRW[13]이 지급되며, 이는 조건 및 세대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14]
4. 1. 정착 지원
하나원은 북한이탈주민(탈북민)들이 대한민국 사회에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설이다. 하나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탈북민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한다.사회 적응 교육: 탈북민들은 하나원에서 12주 동안 총 40시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10][11] 민주주의, 인권, 시장경제와 같은 한국 사회의 기본 가치와 제도에 대한 교육을 받으며,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한반도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교육도 진행된다.[2]
직업 훈련: 탈북민들의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직업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하나원 수료 후에는 공공 및 사설 직업 훈련 기관에 위탁하여 직업 훈련을 진행한다.[13]
생활 관리 및 지도: 탈북민들이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생활 지도 및 상담을 제공한다. 탈북민들은 ATM 사용법, 청구서 납부, 자동차 운전, 로마자 읽기, 남한 방언 배우기 등 실생활에 필요한 기술들을 배운다.[2] 또한, 현장 학습을 통해 옷 구매, 이발, 푸드 코트에서 식사하기 등 다양한 경험을 쌓는다.[2]
법적 지위 확보 지원: 탈북민들은 하나원 교육이 끝나갈 무렵 주민등록증을 발급받는다.[13]
지원 기관 연계: 하나원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많은 탈북민들은 북한자유연합, 북한인권정보센터, 새터민지원센터와 같은 시민 사회 단체를 통해 추가적인 지원을 받는다.[7]
4. 2. 건강 관리
많은 탈북민은 영양 부족으로 인해 치아가 좋지 않다. 또한 하나원에 도착했을 때 우울증 및 기타 심리적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다.[3] 특히 여성 탈북자 중 30%가 우울증 징후를 보이는데, 분석가들은 이를 북한에서의 성적 학대 경험 또는 중국에서의 난민 생활 등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4] 하나원에는 탈북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병원과 아이들을 위한 학교도 있다.[10]4. 3. 교육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은 입국 후 국정원이 운영하는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에서 조사를 받은 후, 하나원에서 3개월(12주)간 사회 적응 교육을 받는다.[2] 교육 기간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 왔다.변경일 | 기간 |
---|---|
1999년 7월 8일 | 3개월 |
2001년 6월 30일 | 2개월 |
2004년 10월 1일 | 3개월 |
2006년 12월 | 12주 |
2007년 5월 16일 | 8주 |
2009년 3월 10일 | 12주 |
하나원에서는 탈북자의 사회경제적·심리적 불안 완화, 문화적 이질성 극복, 한국에서 생계를 꾸리기 위한 실천적 훈련을 주요 목표로 교육을 진행한다.[10][11]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을 위한 반이 있으며, 탈북자의 연령에 따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한반도 역사(예: 북한이 한국 전쟁을 일으켰다는 사실) 다시 배우기[2]
- 인권 및 민주주의 체제 등 한국의 정치·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쳐 북한과의 차이점 비교
- 영어 교육 및 북한 억양을 한국에서 사용되는 말투로 교정
- ATM 사용법, 컴퓨터 사용법, 전철 타는 법, 청구서 지불 방법, 자동차 운전 등 실무 교육[2]
- 현장 학습을 통해 옷 구매, 이발, 푸드 코트에서 식사 경험[2]
- 직업 훈련[13]
교육 외에도 심리적·신체적 건강 지원도 이루어진다. 많은 탈북자가 영양실조로 인해 치아 건강이 좋지 않다. 또한, 하나원에 도착할 시점에 우울증 및 기타 심리적 문제를 겪는 경우도 많다. 특히 여성 탈북자의 30%가 우울증 징후를 보이며, 그 원인으로 북한 및 중국에서의 난민 생활 중 성적 학대를 받은 점 등이 꼽힌다고 분석된다.[12]
5. 조직
하나원은 소장이 운영을 총괄한다.[9] 탈북민 보호를 위해 철조망, 경비원, 감시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시설 보안을 유지한다.[5] 탈북민의 이동은 엄격하게 제한되며, 일부 탈북자는 자유롭게 나갈 수 없어 감옥 같다고 말했다.[5]
5. 1. 구성
언론인 바바라 데믹은 저서 『부러울 것 없는 세상: 북한 주민들의 평범한 삶』에서 하나원을 직업학교와 중간 시설의 혼합이라고 묘사하며, 북한 주민들이 대한민국에서 자립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2]명칭 | 위치 | 개소일 | 수용 인원 |
---|---|---|---|
제1하나원 | 경기도 안성시 | 1999년 7월 8일 | 750명 |
성남분원 | 경기도 성남시 | ||
시흥분원 | 경기도 시흥시 | ||
양주분원 | 경기도 양주시 | 2009년 7월 3일[22] | |
제2하나원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 2012년 12월 5일 | 500명 |
5. 2. 운영
하나원은 소장이 운영을 총괄한다.[9] 탈북민 보호를 위해 철조망, 경비원, 감시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시설 보안을 유지한다.[5] 탈북민의 이동은 엄격하게 제한되며, 일부 탈북자는 자유롭게 나갈 수 없어 감옥 같다고 말했다.[5]6. 논란 및 사건·사고
2011년에는 전향 간첩이 탈북자 정보를 유출한 사건이 있었다.[23]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단 참고.
6. 1. 전향 간첩 탈북자 정보 유출 사건 (2011년)
대법원은 2011년 4월 28일, 북한 공작기관에 다시 포섭되어 탈북자 정보를 빼낸 혐의로 기소된 전향 무장간첩 한 모 씨(64세)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23] 한 씨는 1996년부터 북한 정찰국 및 보위사령부의 지시를 받고 탈북자 정착 지원기관인 하나원과 북한군 출신 탈북자단체 관련 정보 등을 탐문한 혐의를 받았다. 그는 1969년 무장간첩단의 일원으로 전라북도 고창군 해안에 침투했다가 검거된 뒤 전향했지만, 북한에 두고 온 가족과 만나려다 북한 정찰국에 다시 포섭된 것으로 드러났다.[24]7. 비판적 관점
하나원은 탈북민의 한국 사회 정착을 돕는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여러 측면에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인권 침해: 하나원은 보안을 이유로 철조망, 경비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탈북민의 이동을 엄격하게 제한한다.[5] 익명을 요구한 한 탈북자는 ''코리아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하나원이 자유롭게 외출할 수 없어 감옥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5] 이는 탈북민의 기본권인 이동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획일적 교육: 하나원의 교육 내용은 한국 사회의 주류 가치관을 일방적으로 주입한다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원에서는 한반도의 역사에 대해 북한이 한국 전쟁을 일으켰다는 사실을 교육하고, 민주주의의 작동 방식, 성교육 등을 가르친다.[2] 이러한 교육은 탈북민들이 다양한 가치관을 접하고 스스로 판단할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실효성 문제: 일부 탈북민들은 하나원 교육이 실제 한국 사회 적응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하나원에서는 ATM 사용법, 청구서 납부, 운전, 로마자 읽기, 남한 방언 등을 가르치지만,[2] 이러한 교육이 실제 생활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n defections to South down 17.7% in first half of 2018: MOU | NK News
https://www.nknews.o[...]
2018-07-13
[2]
서적
Nothing to envy: ordinary lives in North Korea
https://archive.org/[...]
Spiegel & Grau
[3]
뉴스
Germans Give Pep Talks on Korean Unification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12-01-06
[4]
뉴스
Study: female N. Korean defectors suffer depression, sexual abuse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12-10-29
[5]
뉴스
Hanawon: Helping NK defectors settle better in capitalist South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9-07-07
[6]
간행물
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http://www.uni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2018-04-27
[7]
웹사이트
Delivering Social Justice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The Role of Civil Society and Opportunities for U.S.-South Korean Cooperation
http://blogs.cfr.org[...]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5-03-09
[8]
웹사이트
North Korean defections to South down 17.7% in first half of 2018: MOU | NK News
https://www.nknews.o[...]
2023-08-12
[9]
웹사이트
Hanawon - North Korean Resettlement Facility in South Korea {{!}} Crossing Borders
https://www.crossing[...]
2023-08-14
[10]
웹사이트
北韓脱出者の支援施設 ハナウォン
http://world.kbs.co.[...]
2023-08-12
[11]
서적
Nothing to envy: ordinary lives in North Korea
https://archive.org/[...]
Spiegel & Grau
[12]
뉴스
Study: female N. Korean defectors suffer depression, sexual abuse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23-08-12
[13]
웹사이트
北朝鮮脱出者の「韓国定着プログラム」
https://s.japanese.j[...]
2023-08-14
[14]
간행물
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http://www.uni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2023-08-12
[15]
웹사이트
Delivering Social Justice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The Role of Civil Society and Opportunities for U.S.-South Korean Cooperation
http://blogs.cfr.org[...]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3-08-12
[16]
뉴스인용
한전산업, 북한이탈주민 취업지원 나선다
https://n.news.naver[...]
2022-01-23
[17]
문서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9조제1항
[18]
뉴스인용
하나원 개원 10주년 행사(상보)
http://www.asiae.co.[...]
2018-03-18
[19]
문서
대통령령 제16335호
[20]
문서
대통령령 제24120호
[21]
문서
서기관 또는 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22]
뉴스인용
하나원 ‘양주분원’ 오픈..새터민 정착지원 시동
https://n.news.naver[...]
2022-01-23
[23]
뉴스인용
하나원 정보 빼낸 전향간첩 징역 3년6월 "확정"
http://www.nocutnews[...]
2012-06-07
[24]
뉴스인용
탈북자 정보 캔 전향간첩 징역 3년6월 확정
http://www.ytn.co.kr[...]
2011-12-26
[25]
뉴스인용
윤미량 하나원장, 고위공무원 '가급' 승진
http://www.tongilnew[...]
2012-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