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한학은 북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북한학 연구를 수행하는 학술 기관으로는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동국대학교, 중앙 랭커셔 대학교, KIMEP 대학교, 북한 국제 문서 프로젝트, 북한 인권 위원회, 북한인권정보센터, 통일연구원, 성공적인 코리안 통일을 위한 사람들이 있다. 또한 38 North, NK News, 데일리NK, North Korea Review, North Korean Review, North Korea Tech 등 다양한 학술 자료, 웹사이트, 블로그를 통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한학 -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는 1989년 경남대학교 북한학과를 시작으로 2004년 설립되어 2005년 개교한 대학원대학교이며,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6개의 전공을 운영한다.
  • 북한학 - 38노스
    38노스는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북한의 핵 개발, 미사일 개발, 경제 활동 등을 평가하는 웹사이트로, 존스 홉킨스 대학교 미한연구소 프로그램에서 시작하여 스팀슨 센터 산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 동양학 - 아시아적 가치
    아시아적 가치는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가족, 국가에 대한 충성, 사회 안정, 학문 및 기술 중시, 직업 윤리, 검소함 등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경제 성장을 설명하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했지만, 자유민주주의 억압 수단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동양학 - 한문학
    한문학은 한자를 사용하여 쓰여진 한국 문학으로, 고려 시대 이후 한국적 문학 양식과 정서를 담아 사회상을 반영하며 한국 사회와 문화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은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당성, 노동계급성, 인민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특징으로 하고, 김일성, 김정일 찬양, 사회주의적 가치, 통일 염원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 - 조선어 철자법
    조선어 철자법은 북한에서 사용되는 한글 맞춤법으로, 형태주의 원칙에 따라 단어의 형태를 통일적으로 표기하며, 띄어쓰기는 단어 단위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북한학
북한학
남한 기준 명칭북한학
한글북한학
한자北韓學
로마자 표기Bukhanhak
매큔-라이샤워 표기Pukhanhak
설명남한 기준
개요
정의북한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참고 자료
관련 웹사이트북한대학원대학교
NK 뉴스 - 북한학 연구 분야의 논쟁점
코리아헤럴드 기사
NK 뉴스 - 북한학 연구 자료의 변화
네이버 - 북한학과 (깨진 링크)

2. 학술 기관

북한학 연구는 여러 학술 기관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주요 연구 기관으로는 대학교와 연구 기관이 있다.

구분기관명비고
대학교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5]
대학교동국대학교
대학교중앙 랭커셔 대학교[https://www.uclan.ac.uk/courses/ma_north_korean_studies.php 북한학 석사]
대학교KIMEP 대학교[https://www.kimep.kz/dprkstrategy/en/ 북한 전략 연구 센터]
연구 기관북한인권위원회(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2]
연구 기관북한인권정보센터(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연구 기관통일연구원(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연구 기관성공적인 코리안 통일을 위한 사람들(People for Successful Corean Reunification)


2. 1. 대학교

2. 2. 연구 기관


  • 북한인권위원회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2]
  • 북한인권정보센터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 통일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 성공적인 코리안 통일을 위한 사람들 (People for Successful Corean Reunification)

3. 학술 자료

북한학 연구에는 다양한 학술 자료가 활용된다. 주요 학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종류자료명설명
웹사이트북한 국제 문서 프로젝트(North Korea International Documentation Project, NKIDP)
학술지 및 웹사이트38 North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있었던 분석 웹사이트[6], 현재는 스팀슨 센터에 있다.[7]
학술지Hyundae Pukhan Yongu – Contemporary North Korean Studies (현대 북한 연구)[8]
웹사이트NK News뉴스 웹사이트[9]
웹사이트데일리NK뉴스 및 의견 웹사이트
학술지Sino-NK독립 간행물
학술지North Korea Review이전에는 제임스타운 재단에서 발행[10]
학술지North Korean Review연세대학교에서 발행하는 북한학 관련 영문 학술지[11]
웹사이트North Korea Tech기술 분석 블로그, 38 North와 제휴[12]
학술지북한인권시민연합분기별 저널 (1996–2012)
학술지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기타[https://www.routledge.com/Routledge-Research-on-Korea/book-series/RRK Routledge Research on Korea Series]


3. 1. 학술지


  • 38 North –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있었던 분석 웹사이트이며[6], 현재는 스팀슨 센터에 있다.[7]
  • ''Hyundae Pukhan Yongu – Contemporary North Korean Studies'' (현대 북한 연구)[8]
  • NK News – 뉴스 웹사이트[9]
  • 데일리NK – 뉴스 및 의견 웹사이트
  • ''Sino-NK'' – 독립 간행물
  • ''North Korea Review'' – 이전에는 제임스타운 재단에서 발행[10]
  • North Korean Review – 연세대학교에서 발행하는 북한학 관련 영문 학술지[11]
  • North Korea Tech – 기술 분석 블로그, ''38 North''와 제휴[12]
  • 북한인권시민연합 – 분기별 저널 (1996–2012)
  •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 [https://www.routledge.com/Routledge-Research-on-Korea/book-series/RRK Routledge Research on Korea Series]

3. 2. 웹사이트 및 블로그


  • 북한 국제 문서 프로젝트(North Korea International Documentation Project, NKIDP)
  • 38 North –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운영했던 분석 웹사이트[6], 현재는 스팀슨 센터에서 운영.[7]
  • ''Hyundae Pukhan Yongu – Contemporary North Korean Studies'' (현대 북한 연구)[8]
  • NK News – 뉴스 웹사이트[9]
  • 데일리NK – 뉴스 및 의견 웹사이트
  • ''Sino-NK'' – 독립 간행물
  • North Korea Review – 이전에는 제임스타운 재단에서 발행[10]
  • North Korean Review – 연세대학교에서 발행하는 북한학 관련 영문 학술지[11]
  • North Korea Tech – 기술 분석 블로그, ''38 North''와 제휴[12]
  • 북한인권시민연합 – 분기별 저널 (1996–2012)
  •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 [https://www.routledge.com/Routledge-Research-on-Korea/book-series/RRK Routledge Research on Korea Series]

참조

[1] 웹사이트 The contentious field of North Korean studies: Schools of thought and divisions https://www.nknews.o[...] 2021-09-24
[2] 웹사이트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http://www.nk.ac.kr/[...] 2013-07-04
[3] 웹사이트 Students of N.K. studies hope for role in unity http://www.koreahera[...] 2012-03-07
[4] 웹사이트 How sourcing for North Korean studies has changed over time https://www.nknews.o[...] 2018-09-04
[5]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 Graduate Department of North Korean Studies http://graduate2.kor[...]
[6] 뉴스 The first casualty of North Korean nuclear tests? The country's environment https://www.latimes.[...] 2017-10-06
[7] 웹사이트 About https://www.38north.[...]
[8] 문서 현대 북한 연구 – Volume 11, Issue 3 – Page 320 2008
[9] 웹사이트 On Reading North Korean Media: The Curse of the Web http://sinonk.com/20[...] 2016-10-31
[10] 웹사이트 North Korea Review Archive https://jamestown.or[...] The Jamestown Foundation 2004-02-29
[11] 웹사이트 North Korean Review – McFarland- a leading independent publisher of academic and nonfiction books https://www.mcfarlan[...]
[12] 웹사이트 Affiliates https://www.38north.[...]
[13] 웹사이트 깨진 링크 http://majorsearch.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