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기기는 철도 선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장치로, 포인트부, 크로싱부, 리드부, 가드부로 구성된다. 분기기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며, 정위와 반위, 대향과 배향으로 구분된다. 분기기는 일반철도, 고속철도, 노면전차, 모노레일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철도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설계된다. 분기기는 선로 전환을 위한 전철기를 사용하며, 안전을 위해 다양한 안전 장치가 적용된다. 분기기 관련 사고는 탈선, 충돌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와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분기기 |
---|
2. 구성
분기기는 크게 포인트부, 리드부, 크로싱부, 가드부로 구성된다.[26]
- 포인트부: 텅 레일(열차를 분기시키는 뾰족한 레일) 및 텅 레일이 밀착하는 기본 레일 부분을 가리킨다. 포인트 후단을 지점으로 뾰족한 레일을 움직이는 선단 포인트와, 포인트 전단을 지점으로 앞이 뾰족하지 않은 일반 레일을 움직이는 둔단 포인트가 있다. 텅 레일의 선형은 직선 진로용은 직선, 분기 진로용은 원곡선이 보통이다.
- 리드부: 텅 레일과 크로싱부를 잇는 부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분기선 측은 리드부가 곡선이 된다. 이 곡선 반지름을 '''리드 반지름'''이라고 부르며, 리드 반지름의 크고 작음이 분기기의 열차 통과 제한 속도를 결정하는 큰 요인이 된다.
- 크로싱부: 레일이 교차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고정 크로싱과 가동 크로싱이 있으며, 전자는 노즈 부분을 일반 레일을 깎아 조합하여 차륜의 플랜지가 통과하는 틈을 만든 것이고[26], 후자는 노즈 부분을 차륜의 진행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가드부: 크로싱부 반대편 레일 부분에 열차가 다른 선로로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가드 레일 부분을 가리킨다.

3. 일반철도 분기기 종류
일반철도의 분기기는 보통 분기기, 다이아몬드 크로싱, 특수 분기기로 구분된다. 분기기의 분기 정도와 길이는 굄철(두 레일이 교차하는 지점)의 각도와 분기기 블레이드의 각도 또는 곡률에 의해 결정된다. 북미에서는 일반적으로 이것을 분기기의 "번호"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12번" 분기기에서 레일은 굄철 중앙에서 12단위 떨어진 거리에서 1단위 떨어져 있다.[12]
런던, 미들랜드 앤 스코티시 철도(London, Midland and Scottish Railway)에서 분기기 곡률은 A(가장 급함)에서 F(가장 완만함)까지 지정되었으며, 해당 반경은 다음과 같다.
기호 | 반경 |
---|---|
B | 약 186.84m |
C | 약 298.70m |
D | 약 420.32m |
- B는 1:8 크로스오버 각도의 단순 굄철, C는 1:10 굄철 각도의 가위 또는 단순 크로스오버, D는 1:12 굄철 각도의 복선 분기점 분기기에 해당한다.
분기기는 일반적으로 1개의 선로를 2개(또는 그 이상)로 분기시키는 것으로, 포인트부, 리드부, 크로싱부, 가드부의 4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 '''포인트부''': 텅 레일(열차를 분기시키는 뾰족한 레일) 및 텅 레일이 밀착하는 기본 레일 부분을 가리킨다.
- '''리드부''': 텅 레일과 크로싱부를 잇는 부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분기선 측은 리드부가 곡선이 되며, 이 곡선 반지름을 '''리드 반지름'''이라고 한다.
- '''크로싱부''': 분기기에서 레일이 교차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 '''가드부''': 크로싱부의 상대측 레일 부분에 열차가 다른 선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가드 레일 부분을 가리킨다.
분기기는 통상, 정해진 방향(본선)으로 열차를 진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정위'''라고 한다. 통상과 다른 방향(부본선)으로 열차가 진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반위'''라고 한다. 열차가 분기기의 분기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대향''', 합류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배향'''이라고 한다.
분기기는 일반적으로 위 그림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검은 선은 '''스톡 레일'''(기본 레일), 갈색 선은 '''텅 레일'''(선단 궤조), 빨간 선은 '''리드 레일''', 보라색 선은 '''윙 레일''', 파란 선은 '''가드 레일'''(호륜 궤조), 주황색 선은 '''주 레일''', 녹색 선은 전체 '''크로싱'''이라고 부르며[27], 크로싱을 구성하는 가장 선단의 머리 부분이 뾰족한 레일을 '''노즈 레일'''(비단 레일)이라고 부른다[27] .
3. 1. 보통 분기기
편개 분기기는 직선 궤도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분기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양개 분기기는 직선 궤도에서 좌우 양측으로 동일한 각도로 분기된다. Y자 분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진분 분기기는 직선 궤도에서 좌우 양측으로 다른 각도로 분기된다.
내방 분기기는 곡선 구간에서 원의 중심 쪽으로 분기된다. 오른쪽 커브의 경우 "오른쪽 내방 분기", 왼쪽 커브의 경우 "왼쪽 내방 분기"라고 부른다.
외방 분기기는 곡선 구간에서 원의 중심 반대쪽으로 분기된다. 기본선이 왼쪽 커브인 경우 "오른쪽 외방 분기", 오른쪽 커브인 경우 "왼쪽 외방 분기"라고 부른다. 기본선 쪽에 캔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분기 측에서는 역캔트가 되므로 분기 측의 속도 제한이 엄격해진다.
3. 2. 다이아몬드 크로싱
다른 선로가 평면으로 교차하는 부분을 다이아몬드 크로싱(Diamond Crossing)이라 부르는데, 엄밀히 따지면 분기기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분기기와 함께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분기기의 종류로 취급되기도 한다.[26]
엄밀히 말하면 분기기는 아니지만, ''분기기 다이아몬드''는 두 선로 사이의 교차 각도가 얕아 각 레일의 가이드가 없는 부분이 겹치는 경우에 사용되는 활성 궤도 작업 조립체이다. 이는 두 개의 표준 포인트가 매우 가깝게 조립된 것과 비슷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얕은 각도 분기기에서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완전한 휠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종종 스윙노즈 크로싱을 바깥쪽 끝단에 사용한다. 북미에서는 이를 ''이동식 포인트 다이아몬드''라고 한다. 영국에서는 분기 각도가 1:8(중심선 측정)보다 얕은 경우 수동 또는 고정 다이아몬드 대신 분기 다이아몬드가 발견된다.
이러한 분기기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교차 속도를 높이는 것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열린 블레이드는 각 차축의 양쪽 바퀴가 거의 동시에 교차 간극에 부딪히면서 교차 충격으로 레일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어 속도 제한을 가한다. 사진과 같이 분기된 블레이드는 양쪽에서 간극을 가로질러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레일 조각을 제공하여 간극을 가로질러 훨씬 더 빠른 속도를 허용한다.
삿포로 시영 전차에서 사용되었던 다이아몬드 크로싱은 다음과 같다.
3. 3. 특수 분기기
특수 분기기는 서로 다른 분기기를 조합하거나 분기기와 다이아몬드 크로싱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복분기기(double turnout): 2개의 틀로 이루어진 분기기를 약간 물리어 종합시킨 구조이다. 한 궤도에서 다른 두 궤도로 분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기기를 약간 어긋나게 한 형태이다.
- 삼지 분기기(three throw turnout): 한 궤도에서 다른 두 궤도로 분기시키기 위하여 2개의 틀의 분기기를 중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복분기기와 삼지 분기기는 둘 다 2선의 분기기를 합체하여 3선으로의 분기를 가능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 승월 분기기(runover type turnout): 분기선이 본선에 비하여 중요하지 않거나 분기선 사용 횟수가 드문 경우, 분기선 레일에 진입하려는 차바퀴가 텅레일 상에 있는 특수한 레일에 의하여 본선 레일을 타고 넘어가는 구조로 된 분기기이다.
- 싱글 슬립 스위치(single slip switch): 다이아몬드 크로싱 내에서 좌측 혹은 우측의 한 쪽에 건넘선을 붙여 다른 궤도로 이행할 수 있는 구조의 특수 분기기이다.
- 더블 슬립 스위치(double slip switch): 좌우측 양방향에 건넘선을 붙여 다른 궤도로의 진입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특수 분기기이다.
- 건넘선(crossover): 인접된 2개의 궤도를 연결하기 위한 분기기로서 2조의 분기기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접속하는 일반궤도로 구성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 시저스 크로스오버(scissors crossover): 2조의 건넘선을 교차시켜 중합시킨 분기기인데 4조의 분기기와 1조의 크로스오버, 그리고 이것을 연결하는 일반 궤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4조의 분기기가 동일한 번수로서 인접 궤도가 평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표준 시저스 크로싱이라 하며, 그 외의 것을 특수 시저스 크로싱이라 한다.
- 3선식 분기기: 궤간이 다른 두 궤도가 병용되고 있는 궤도에 이용된다.
4. 고속철도 분기기
고속철도에서는 주로 노즈가동 분기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분기기는 저속 통과를 전제로 설계되지만, 간단한 형태의 분기기는 고속 통과가 가능하도록 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교차 분기기와 같이 복잡한 분기기 시스템은 저속 운행으로 제한된다. 유럽의 고속선에서는 분기기에서 분기측 선로에서 200km/h 이상의 속도를 허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2007년 4월 프랑스의 세계 속도 기록 주행 중에는 분기기(직선)를 560km/h의 속도로 통과했다.[9]
미국 연방 철도청(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은 No. 26.5 분기기(속도 제한 60mph) 및 No. 32.7 분기기(속도 제한 80mph)와 같이 더 빠른 속도의 분기기에 대한 속도 제한을 발표했다.[10]
텅 레일과 리드 레일을 일체화하여 텅 레일 후단부 이음매를 없앤 분기기를 탄성 분기기라고 한다. 텅 레일 후단부 레일 밑면에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텅 레일 전체를 휨으로써 전환한다. 탄성 분기기는 분기기 통과 시의 진동이나 소음을 억제하고 통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직선측은 포인트에 기인하는 속도 제한이 사실상 없다[43]). 신칸센이나 고속 열차가 많은 노선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분기기보다 고가이다. 재래선에서는 JR 시코쿠 요산선의 모토야마역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160km/h로 통과한 실적이 있다.
4. 1. 노즈 가동 분기기
ノーズ可動일본어 분기기는 노즈 레일을 좌우로 움직여 윙 레일(날개 레일)에 밀착시켜, 차량 바퀴가 지나가는 부분의 틈새(결선부)를 없애 차량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분기기이다.
일반적인 분기기는 안전을 위해 저속으로 통과하도록 설계되지만, 노즈 가동 분기기는 고속 주행에 유리하다. 유럽의 고속선에서는 분기 측 선로에서도 200km/h 이상의 속도를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 2007년 4월 프랑스에서 있었던 세계 속도 기록 주행에서는 분기기를 560km/h의 속도로 통과하기도 했다.[9]

오른쪽 그림은 가동식 노즈(노즈 가동 크로싱)의 개략도이다. 파란색 레일이 녹색 레일을 축으로 움직여 바퀴가 지나가는 틈새를 막는다(그림은 직진하는 경우).[30] 이렇게 하면 다른 선로로 잘못 진입할 위험이 줄어들어 크로싱 부분의 가드 레일을 생략하기도 한다.
이러한 노즈 가동 분기기는 신칸센과 같은 고속철도에서 많이 사용된다.[29] 일본에서는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이나 게이세이 전철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 등 고속 통과가 많은 분기기를 중심으로 설치되었다. 최근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고속 통과를 하지 않는 일반적인 분기기에도 노즈 가동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31]
신칸센 등 고속 철도에서는 텅 레일과 리드 레일을 일체화하여 휘어지게 만드는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기본 레일과 텅 레일 사이가 잘 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접착 조사기[32]를 설치하고, 분기기의 개통 방향을 표시하는 개통 방향 표시기를 설치한다. 개통 측에는 검은 바탕에 녹색 세로선 2개가, 비개통 측에는 흰색 바탕에 빨간색 ×표가 나타난다.
5. 노면전차 분기기
노면전차의 분기기는 선로와 함께 도로 내부에 매장되어 있다.
'''가드 레일'''은 분기기의 반대편 주 레일 옆에 놓인 짧은 레일 조각으로, 바퀴가 개구부(frog)를 통해 적절한 플랜지웨이를 따르도록 하고 열차가 탈선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체크 레일'''은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도 매우 급한 곡선에서 자주 사용된다.[17]
5. 1. 일반 노면전차 분기기

텅 앤드 플레인 메이트 스위치로 알려진 싱글 포인트 스위치는 항만과 같이 포장된 지역에서 저속으로 운행하는 화물 철도에서도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연방 철도청 트랙 안전 기준의 조항 213.135(i)에 의해 규제된다.
노면 전차 시스템은 홈레일을 사용하며, 차량의 양쪽 바퀴가 단단한 강체 차축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한쪽 또는 다른 쪽 궤도로 차량을 안내하기 위해 하나의 스위치 포인트만 필요하다. 스위치 포인트는 스위치의 곡선 경로 안쪽 레일에 있다. 노면 전차가 스위치의 곡선 경로에 진입하면, 곡선 안쪽의 바퀴(우회전 시 차량의 오른쪽)가 회전으로 당겨지고, 차축을 통해 바깥쪽 바퀴도 곡선을 따라가도록 안내한다.[21] 바깥쪽 바퀴는 홈 안에서 플랜지가 움직이면서 짧은 거리를 지지받는다.
일부 저상 노면 전차 설계는 분할 차축(차량 각 측면의 바퀴에 대해 별도의 반 차축)을 사용한다. 이러한 노면 전차는 싱글 포인트 스위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데, 스위치에서 안쪽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로 힘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이다.[21]
싱글 포인트 스위치는 특히 트램 궤도에서 두 번째 스위치 포인트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설 비용이 저렴하다.[21]
5. 2. 트랜슬로(고무차륜) 노면전차 분기기

안내 차륜을 유도하는 레일을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분기기가 필요하다. 프랑스의 트랜슬로(Translohr)에서는 분기기 중앙부 후단에 지점을 갖는 2개 1조의 안내 궤조가 엇갈려 진로를 구성하는 방식이나, 굄대식 모노레일처럼 포인트 선단부에 지점을 갖는 1개의 레일을 바꿔 끼우는 방식이 사용된다. 또한, 크로싱부에서는 턴테이블 형태의 선로를 사용하여 진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의 TVR 방식에서도 이와 유사한 분기기가 사용되지만, 진로가 아닌 궤도가 일부 커버에 가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지 방식의 구조상 크로싱에 턴테이블은 사용되지 않는다.
6. 모노레일 분기기
모노레일은 철도로 분류되며 분기기도 존재한다. 모노레일과 HSST도 철도에 분류되며, 그 선로에는 분기가 있다.
상전도 리니어 중 하나인 HSST는 궤도 설치 방식에 더블 빔형과 싱글 빔형이 있지만, 현재 실용화된 싱글 빔형에서는 구조상 모듈(대차에 해당)이 궤도를 감싸는 방식이므로, 보조식 모노레일과 마찬가지로 관절식 또는 관절 가요식 분기기가 채용되고 있다.
6. 1. 과좌식 모노레일 분기기
모노레일은 철도에 분류되며, 그 선로에는 분기가 있다. 보조식 모노레일은 차량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폭이 넓고 무게가 큰 궤도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주요 방식으로는 '''관절식'''과 '''관절 가요(可撓)식'''이 있다.[77] 관절식은 하나의 분기기를 사용하여 궤도를 구부리는 방식이며, 승차감이 나빠 차량 기지 내나 측선 분기점에서 사용된다.[77][78] 관절 가요식은 짧은 거더를 조합하여 궤도를 전철하는 방식으로, 차체 진동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77]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 제2터미널역처럼 더블 크로싱을 설치하는 예도 있다.6. 2. 현수식 모노레일 분기기
현수식 모노레일의 경우에는 철궤도의 텅 레일과 리드 레일에 해당하는 T자형 단면의 가동 레일[79]이 전철시키는 지점을 중심으로 가동하여 궤도를 전철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7. 대향과 배향
열차가 분기기의 분기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대향이라 하며, 합류 방향으로 향하여 진행하는 것을 배향이라고 한다.
8. 정위와 반위
철도에서 선로전환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차가 진행하는 기본 방향이 정위이고, 선로전환기가 작동한 후에 향하는 방향이 반위이다.[7]
분기기는 통상, 정해진 방향(본선)으로 열차를 진입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정위'''라고 한다. 반대로 통상과 다른 방향(부본선)으로 열차가 진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반위'''라고 한다.
- A: 스톡 레일(기본 레일)
- B: 가드 레일
- C: 윙 레일
- D: 간격재
- E: 크로싱 교점
- F: 비단장 레일
- G: 비단단 레일
- H: 크로싱 전단
- I: 크로싱 후단
- J: 리드 레일
- K: 플랜지웨이
- L: 채움재
9. 분기기의 종류 (일본어 문서 내용 추가)
이중 분기기(double slip)는 두 개의 선로가 좁은 각도로 대각선으로 교차하며, 차량이 한 직선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변경하거나 곧바로 건너갈 수 있도록 네 쌍의 포인트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 장치에 접근하는 열차는 교차로 반대편의 두 트랙 중 하나로 빠져나갈 수 있다. 주로 역 입구처럼 공간이 제한된 곳에서 여러 주요 선로가 여러 플랫폼 트랙에 도달해야 할 때 사용된다.
북미에서는 이중 스위치(double switch) 또는 퍼즐 스위치(puzzle switch)라고도 한다. 영국 Great Western Railway에서는 이중 복합 포인트(double compound points),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에서는 이중 복합(double compound)이라고 불린다. 이탈리아어로는 deviatoio ingleseit(영어 스위치), 네덜란드어로는 Engels(e) Wisselnl, 독일어로는 Engländerde(Englishman)라고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분기기는 아니지만, 분기기의 일종으로 취급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교차(다이아몬드 크로싱, DC): 선로끼리 평면 교차할 때 사용되며, 분기는 없다. 분기기와 교차를 합쳐 분기기류라고 한다.
- 단복선·압착선(간틀렛 트랙): 좁은 부지에 두 선로를 겹쳐 부설한 것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과거 나고야 철도 세토선 호리카와 - 도이시타 구간에서 볼 수 있었다.
- 이동기: 삼선 궤조에서 안쪽 궤도만 반향 곡선으로 만들어, 바깥쪽 궤도와 공유하는 선로를 전환하는 것이다.

분기기에서 기준선에서 분기선이 갈라지는 각도를 규정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이다.
1. 각도를 직접 규정하는 방식
2. 두 선의 벌어짐과 길이에 기초하여 규정하는 방식 (세계적으로 널리 채용)
일본에서는 후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를 "번수"라고 한다. 분기기의 번수 정의, 호칭, 표기 방법은 국가마다 다르다.
- '''중심선법'''(Centre line method영어[33]): 크로싱(플로그) 부분에서 교차하는 궤간선의 접선 각도(교차각) 또는 궤도 중심선의 교점에서의 접선 각도(분기각)를 각 중심선의 길이와 양 접선의 벌어진 비율로 나타내며, "No.15"(=15번)와 같이 번호(번수)로 호칭한다.
- 영국[33], 북미, 일본 등에서 채택
- '''직각법''' 또는 '''콜법'''(Right angle method / Cole's method영어[33]): 크로싱(플로그)부에서 교차하는 궤간선의 접선의 각도(교차각) 또는 궤도 중심선의 교점에서의 접선의 각도(분기각)를, 한쪽 접선을 밑변으로 하고 나머지 한쪽 접선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의 비율(정접)로 나타낸다.
- 유럽·러시아·CIS 국가·인도[33] 등에서 채택
- 유럽에서는 분기선 곡선 반경과 함께 "190-1:9"(=반경 190m, 9번)와 같이 단위 분수 비율로, 러시아 및 CIS 국가에서는 "1/11"(=11번)과 같이 단위 분수로, 인도에서는 "1 in 9"(9번)와 같이 표기한다.
- '''이등변삼각형법'''(Isosceles triangle method영어[33]): 교차각 또는 분기각이 이루는 이등변삼각형의 등변과 밑변의 길이의 비로 번호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노면전차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34]
분기기의 번수는 기준선에서 분기선이 갈라지는 각도를 나타내며, 분기기 형태와 관계없이 '''분기기에 사용되는 크로싱(플로그)의 번수'''를 분기기 전체 번수로 호칭한다.[35][36]
9. 1. 형상에 따른 분류
분기기는 형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싱글 슬립 스위치: 더블 슬립과 원리는 같지만, 한 방향으로만 선로 전환이 가능하다. 즉, 두 교차 선로 중 한쪽에서 오는 열차는 직진하거나 다른 선로로 전환할 수 있지만, 다른 선로의 열차는 직진만 가능하다. 주로 측선 접근을 허용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26]

분기기는 1개의 선로를 2개 이상으로 분기하며, 다음 4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 포인트부: 텅 레일(열차를 분기시키는 뾰족한 레일)과 기본 레일이 있는 부분이다. 선단 포인트와 둔단 포인트가 있다.
- 리드부: 텅 레일과 크로싱부를 잇는 부분으로, 분기선 쪽은 보통 곡선이다. 이 곡선의 반지름(리드 반지름)은 열차 통과 제한 속도에 영향을 준다.
- 크로싱부: 레일이 교차하는 부분으로, 고정 크로싱과 가동 크로싱이 있다.
- 가드부: 크로싱부 반대편 레일에 설치되어, 열차가 다른 선로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가드 레일 부분이다.
약칭 | 설명 |
---|---|
A | 스톡 레일(기본 레일) |
B | 가드 레일 |
C | 윙 레일 |
D | 간격재 |
E | 크로싱 교점 |
F | 비단장 레일 |
G | 비단단 레일 |
H | 크로싱 전단 |
I | 크로싱 후단 |
J | 리드 레일 |
K | 플랜지웨이 |
L | 채움재 |
분기기는 위 그림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검은 선은 스톡 레일(기본 레일), 갈색 선은 텅 레일(선단 궤조), 빨간 선은 리드 레일, 보라색 선은 윙 레일, 파란 선은 가드 레일(호륜궤조), 주황색 선은 주 레일, 녹색 선은 전체 크로싱(frog영어)이라고 부르며[27], 크로싱을 구성하는 가장 선단의 머리 부분이 뾰족한 레일을 노즈 레일(비단 레일)이라고 부른다[27] . 진로 변경을 할 때는 텅 레일을 분기 측과 반대쪽의 스톡 레일로 이동한다. 탄성 분기기에서는 텅 레일, 리드 레일, 윙 레일이 일체화되어 있다.
분기기는 통상 정해진 방향(본선)으로 열차가 진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정위라고 한다. 통상과 다른 방향(부본선)으로 열차가 진입하는 것은 반위라고 한다. 열차가 분기기의 분기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대향, 합류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배향이라고 한다.
노즈 부근의 틈은 차륜의 플랜지가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마련된 플랜지웨이이다. 마모 방지[28] 및 오진입 방지를 위해 고속 통과 차량은 감속해야 한다. 따라서 고속 운전 선구에는 노즈 가동식 분기기가 많이 사용된다.
- 탄성 분기기: 텅 레일과 리드 레일을 일체화하여 텅 레일 후단부 이음매를 없앤 분기기다. 텅 레일 후단부 레일 밑면에 절결부가 있으며, 텅 레일 전체를 휘게 하여 전환한다. 분기기 통과 시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통과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신칸센이나 고속 열차 노선에 주로 사용된다.
- 승월 분기기: 안전 측선에 설치되는 분기기로, 신호 모험 시 차량을 본선에서 탈선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 횡취 장치: 보수용 차량이 보수 기지선으로 출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 분기기다.
9. 2. 번수
분기기에서 기준선으로부터 분기선이 갈라지는 각도를 규정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각도를 직접 규정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두 선의 벌어짐과 거기에 필요한 길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규정하는 방식이다. 세계적으로는 후자의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이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를 "번수"라고 부른다. 분기기의 번수 정의, 호칭, 표기 방법은 국가마다 다르다.- '''중심선법'''(Centre line method영어[33]): 크로싱(플로그) 부분에서 교차하는 궤간선의 접선 각도(교차각) 또는 궤도 중심선의 교점에서의 접선 각도(분기각)를 각 중심선의 길이와 양 접선의 벌어진 비율로 나타내며, "No.15"(=15번)와 같이 번호(번수)로 호칭한다.
- 영국[33], 북미, 일본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 '''직각법''' 또는 '''콜법'''(Right angle method / Cole's method영어[33]): 크로싱(플로그)부에서 교차하는 궤간선의 접선의 각도(교차각) 또는 궤도 중심선의 교점에서의 접선의 각도(분기각)를, 한쪽 접선을 밑변으로 하고 나머지 한쪽 접선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의 비율(정접)로 나타낸다.
- 유럽·러시아·CIS 국가·인도[33] 등에서 채택.
- 유럽에서는 분기선의 곡선 반경을 함께 "190-1:9"(=반경 190m, 9번)와 같이 단위 분수의 비율 형태로 표기한다. 러시아 및 CIS 국가에서는 "1/11"(=11번)과 같이 단위 분수로 표기한다. 인도에서는 "1 in 9"(9번)와 같이 표기한다.
- '''이등변삼각형법'''(Isosceles triangle method영어[33]): 교차각 또는 분기각이 이루는 이등변삼각형의 등변과 밑변의 길이의 비로 번호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노면전차 등의 궤도 분기기에서 많이 사용된다.[34]
분기기의 번수는 기준선에서 분기선이 갈라지는 각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열림, 양열림 등 분기기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분기기에 사용되는 크로싱'''(플로그)'''의 번수'''를 분기기 전체의 번수로 호칭한다.[35][36]
9. 2. 1. 일본
일본에서는 중심선법을 사용하며, '''분기기에 사용되는 크로싱'''(플로그)'''의 번수'''를 분기기 전체의 번수로 호칭한다.[35][36]분기기류 명칭 앞에는 분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크로싱의 번수를 붙여서 "8번 외열림 분기기", "10번 시저스 크로싱"과 같이 호칭한다.[35] 크로싱 번수에 따라, 크로싱 후방의 양쪽 궤간선[39]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인 "크로싱 각"이 정해진다. 곡선 분기기의 경우에는 양쪽 궤간선의 교각[35](크로싱 교점에서 그은 2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36])를 크로싱 각으로 한다.
곡선 다이아몬드 크로싱에서는 양쪽 궤도 중심선이 교차하는 각도를 크로싱 각으로 바꿔 읽고, 그에 상응하는 크로싱 번수를 호칭한다.[35] 시저스 크로싱에서는 사용하는 분기기에 사용되는 크로싱의 번수를 호칭한다.[35]
9. 2. 2. 독일
독일에서는 분기기 번호를 단위 분수의 비율로 나타내며(예: 8번 = 1:8), 유럽 표준 직각법을 사용한다.[10] 도이치반(DB) 및 현재 도이치반(DBAG)에서는 분기기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분류한다.예: '''EW 60-500-1:12 L Fz H'''
약호 | 의미 | 약호 예시 |
---|---|---|
EW | 분기기 형식 | 단순 분기 (EW), 외방 분기 (ABW), 내방 분기 (IBW), 복분기 (DW), 편복분기 (EinsDW) |
60 | 레일 종류 | UIC60 레일 (60), S49 레일b(49 - 독일 국유 철도, 도이치반, 독일 국영 철도), S54 레일 (54 - 도이치반), R65 레일 (65 - 독일 국영 철도) |
500 | 곡선 반경 | 분기선의 곡선 반경. 단위 m. |
1:12 | 번호 | 단위 분수로 표기. 예시에서는 12번. |
L | 분기 방향 | 좌 (L), 우 (R) |
Fz | 포인트부 구조 | 탄성 텅 레일 (Fz), 탄성 포인트 블레이드 (Fsch), 피벗식 텅 레일 (Gz) |
H | 침목 재질 | 목재 (H), 목재 중 활엽수재 (Hh), 강철 (St), 콘크리트 (B) |
현재 도이치반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기기의 예는 다음과 같다(분기기 호칭의 xx는 레일 종류에 해당하는 임의의 숫자).
단순 분기기 | 노즈 | 허용 통과 속도 |
---|---|---|
EW xx-190-1:7,5/6,6(분기 반경 190m, 7.5번/6.5번) | 가동 | 40 km/h |
EW xx-190-1:7,5(분기 반경 190m, 7.5번) | 가동 | 40 km/h |
EW xx-190-1:9(분기 반경 190m, 9번) | 고정 | 40 km/h |
EW xx-300-1:9(분기 반경 300m, 9번) | 가동 | 50 km/h |
EW xx-500-1:12(분기 반경 500m, 12번) | 가동 | 60 km/h |
EW xx-500-1:14(분기 반경 500m, 14번) | 고정 | 60 km/h |
EW xx-760-1:14(분기 반경 760m, 14번) | 가동 | 80 km/h |
EW xx-1200-1:18,5(분기 반경 1200m, 18.5번) | 가동 | 100 km/h |
EW xx-2500-1:26,5(분기 반경 2500m, 26.5번) | 가동 | 130 km/h |
곡선 분기기(예시) | ||
ABW xx-215-1:4,8(분기 반경 215m, 4.8번) | 가동 | 40 km/h |
ICE가 운행하는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선 및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선용으로 개발된 고속 분기기(Schnellfahrweichen)의 분기기 호칭 끝의 "-fb"는 탄성 가동 노즈를 나타낸다. 복심 곡선 사용의 분기기는 분기선 측을 서로 다른 반경의 곡선을 조합한 것으로, EW 60-7000/6000-1:42의 경우, 텅 레일부는 반경 7000m, 분기기 중앙부 이후는 반경 6000m이다.
분기기 호칭 | 허용 통과 속도 기준선 측 / 분기선 측 |
---|---|
EW 60-1200-1:18,5-fb(분기 반경 1200m, 18.5번) | 280 km/h / 100 km/h |
EW 60-2500-1:26,5-fb(분기 반경 2500m, 26.5번) | 280 km/h / 130 km/h |
복심 곡선 사용 분기기 | |
EW 60-6000/3700-1:32,5-fb(분기 반경 6000m+3700m, 32.5번) | 280 km/h / 160 km/h |
EW 60-7000/6000-1:42-fb(분기 반경 7000m+6000m, 42번) | 280 km/h / 200 km/h |
도이치반이 개발하여 1998년에 사용을 시작한 클로소이드 분기기(Klothoidenweichen)는 분기선 측의 곡선을 완화 곡선의 일종인 클로소이드 곡선으로 하여 충격 및 레일 손모를 저감한 것이다. EW 60-10000/4000-1:39의 경우, 텅 레일 끝단을 반경 10000m로 하고, 분기기 중앙부에 걸쳐 반경 4000m까지 곡률이 증대된 후, 분기기 후방에 걸쳐 다시 반경 10000m까지 곡률이 감소한다. 이 특징 때문에, 크로싱부의 번호만으로는 기존 분기기와 규모를 단순하게 비교할 수 없다.
이 중, 분기선 측에서도 220 km/h에서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 40.15번 클로소이드 분기기 EW 60-16000/6100-1:40,15-fb는 베를린-할레선 비터펠트역 구내에서 할레 방면과 라이프치히 방면의 분기용으로 2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번호는 42번 고속 분기기 EW 60-7000/6000-1:42-fb보다 작지만, 분기기 1기의 길이는 169.2m에 달해, 독일 국내 최대의 분기기이다.
분기기 호칭 | 허용 통과 속도 기준선 측 / 분기선 측 |
---|---|
EW 60-3000/1500-1:18,5(분기 반경 3000m-1500m-3000m, 18.5번) | 330 km/h / 100 km/h |
EW 60-4800/2450-1:24,26(분기 반경 4800m-2450m-4800m, 24.26번) | 330 km/h / 130 km/h |
EW 60-10000/4000-1:39(분기 반경 10000m-4000m-10000m, 39번) | 330 km/h / 160 km/h |
EW 60-16000/6100-1:40,15(분기 반경 16000m-6100m-16000m, 40.15번) | 330 km/h / 220 km/h |
9. 2. 3. 체코, 슬로바키아
1918년에 오스트리아 제국 철도(kkStB)와 헝가리 국가 철도(MÁV)를 승계한 체코슬로바키아 시대의 체코슬로바키아 국철(ČSD)에서는, 1970년대까지 분기각을 직접 정하는 "단계식 분기기"(체코어:Soustava stupňových výhybek, 슬로바키아어:Sústava stupňových výhybiek)를 채택했다.[41]- 단순 분기기(편개 분기기)는 표준 분기각을 6° 또는 7°로 하고, 분기선 반경은 150m에서 200m이며, 허용 통과 속도는 30km/h에서 40km/h였다.
- 복분기기는 6° (4°+2°) 또는 7° (5°+2°)로 하였다.
- 양개 분기기는 10° (5°+5°)를 표준으로 하고, 분기선 곡선 반경은 230m였다.
- 고속 분기기는 분기각 6° 미만, 분기선 통과 허용 속도를 40km/h 이상으로 한 것으로, 5°(곡선 반경 500m, 통과 허용 속도 60km/h), 4°(곡선 반경 800m, 통과 허용 속도 80km/h), 3°6'(곡선 반경 1200m, 통과 허용 속도 100km/h)의 3종이 설정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국철은 1970년대에 교차각 또는 분기각의 번호를 사용한 "비율식 분기기"(체코어:Soustava poměrových výhybek, 슬로바키아어:Sústava pomerových výhybiek)를 도입했다. 현재도 체코(체코 철도시설 관리 공단), 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철) 양국에서는, 비율식 분기기와 그 이전의 단계식 분기기가 혼재되어 있다.
비율식 분기기에서의 번호는 유럽 표준의 직각법을 사용하고 있다. 단순 분기기의 경우, 분기 반경 300m(허용 통과 속도 50km/h) 또는 분기 반경 190m(동 40km/h)의 1:9(9번) 분기기를 표준으로, 1:12(12번) 분기기, 1:14(14번) 분기기를 설정했다. 또한 고속 분기기로서 허용 통과 속도 100km/h의 1:18,5(18.5번) 분기기를 설치했다. 또한 역 구내용으로 1:7,5(7.5번) 분기기, 측선용으로 1:6(6번) 및 1:6,5(6.5번) 분기기를 설정했다.
현행 비율식 분기기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분기선 곡선 반경과 허용 통과 속도에 대해서는, 통과시의 횡방향 가속도가 0.65 m/s²을 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
번호 | 곡선 반경 | 허용 통과 속도 |
---|---|---|
1:6 (6번) | 150m | 30 km/h |
1:7,5 (7.5번) | 150m | 30 km/h |
1:7,5 (7.5번) | 190m | 40 km/h |
1:9 (9번) | 190m | 40 km/h |
1:9 (9번) | 300m | 50 km/h |
1:11 (11번) | 300m | 50 km/h |
1:12 (12번) | 500m | 60 km/h |
1:14 (14번) | 760m | 80 km/h |
1:18,5 (18.5번) | 1200m | 100 km/h |
1:26,5 (26.5번) | 2500m | 120 km/h |
10. 전철기
철도 차량의 바퀴는 바퀴 안쪽에 있는 플랜지에 의존하지 않고 바퀴의 원추형에 의해 주로 선로를 따라 안내된다.[7] 바퀴가 분기기에 도달하면 두 개의 포인트 중 어느 것이 분기기를 향하는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바퀴가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두 개의 포인트는 기계적으로 함께 고정되어 있다.
포인트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역사적으로는 작업자가 레버를 움직여야 했으며 일부 분기기는 여전히 이런 방식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대부분은 이제 포인트 머신이라는 원격 제어 액추에이터로 작동한다. 여기에는 전동기, 공압, 유압 기계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후방 분기 운동에서 바퀴의 플랜지는 포인트를 적절한 위치로 강제한다. 일부 분기기는 손상 없이 적절한 위치로 강제되도록 설계되었다. 여기에는 가변 분기기, 스프링 분기기, 가중 분기기가 포함된다. 포인트가 분기기 제어 메커니즘에 단단히 연결된 경우 제어 메커니즘의 연결부가 구부러져 분기기를 다시 사용할 수 있기 전에 수리가 필요할 수 있다.[8]
'''분기기 모터''' 또는 '''전철기'''(포인트 모터 또는 포인트 머신)는 분기기를 가능한 경로 중 하나와 정렬하는 전기, 유압, 공압 메커니즘이다. 모터는 일반적으로 열차 운용사가 원격으로 제어한다. 분기기 모터에는 분기기가 완전히 설정되고 잠겼는지 감지하는 전기 접점도 포함되어 있다. 정전 등의 비상시나 유지 보수 목적으로 분기기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수동 핸들이 일반적으로 있다.
''분기기 조작기''(포인트 레버 또는 지면 투척기)는 수동으로 분기기의 포인트를 정렬하기 위한 레버와 부속 연결 장치이다.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해 분기기의 포인트 부분을 조작하는 장치를 '''전철기'''[61]라고 부른다. 전철기 중에서도 전환을 수행하는 기계를 '''전철기'''[63]라고 한다. 전철기는 구조·용도 및 사용 동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전기 분기기: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동력 분기기이다. 레일을 전환하는 전환부와, 열차 통과 동안 분기기가 전환되지 않도록 쇄정하는 전환 쇄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수동 전환을 위한 수동 핸들 구멍이 있으며,[67] 수동 완료 표시 창에 화살표 표시가 나타난다.
- 전공 전철기: 압축 공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동력 전철기이다. 압축 공기 발생 및 배급 설비가 필요하며, 다수의 전철기가 있는 대규모 구내 등에 적합하다.[68]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현: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 선) 건설 시에 채용되었다.[70]
- 전철 전환기: 1쌍의 포인트를 전철 리버에 의해 현장에서 조작하는 전환기이다.[74] 신호 취급소에서 원격 조작이 원칙이나, 입환 용도 등 선로 옆 지렛대가 유리한 경우에 채용된다.

11. 안전
분기기는 철도 운행에 필수적이지만, 여러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어 사고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13] 예를 들어, 움직이는 열차 아래에서 분기기가 전환되면 탈선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기기는 열차의 강한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데, 에셰데 열차 참사는 분리된 이중 블록 바퀴가 분기기에 끼어 설정이 변경되면서 발생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 분기기의 'frog'(레일 교차 부분)에 열차가 너무 가까이 서 있으면 측면 충돌 발생
- 복잡한 기계 장치 유지 관리 소홀
- 수동 조작 또는 연동 장치 조작 오류로 인한 충돌
- 사보타주에 의한 고의적 분기기 조작
- 유지보수 불량[14]
분기기 관련 사고의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80년 아일랜드 코크 주 버트번트에서 발생한 버트번트 열차 참사: 더블린-코크 급행 열차가 접속기를 통해 측선으로 잘못 전환되어 탈선, 18명 사망.
- 1998년 독일 에셰데 열차 참사: ICE 열차 바퀴 림 파손으로 객차 탈선, 분기기 작동으로 객차가 도로 고가교 기둥과 충돌, 101명 사망.
- 2002년 포터스 바 열차 사고: 영국 허트퍼드셔 포터스 바에서 객차 통과 중 분기기 위치 변경으로 탈선, 유지보수 불량이 원인.
- 2007년 그레이리그 탈선 사고: 부적절하게 관리된 분기기가 원인.[15]
대한민국에서는 분기기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유지보수와 안전 점검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고속철도 구간에서는 첨단 기술을 적용한 분기기 시스템을 운영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Railroad Classification Yard Technology Manual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1981
[2]
논문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witch and crossing on the West Coast main line in the UK
2022-06-01
[3]
서적
The Railway: British Track Since 1804
Pen & Sword Transport
2014-10-30
[4]
서적
The Coal Viewer and Engine Builder's Practical Companion
John Northall
1797
[5]
서적
The Evolution of Railways
The Railway Gazette
1937
[6]
특허
Arrangement of Rails, for Causing a Train to Pass from One Line to Another
[7]
AV media
Feynman: How the Train Stays on the Track
https://www.youtube.[...]
BBC TV
1983
[8]
문서
Rules 8.9, 8.15, and 8.18, General Code of Operating Rules, Fifth Edition
General Code of Operating Rules Committee
2005
[9]
웹사이트
Points and Crossings
https://extranet.art[...]
2022-09-25
[10]
웹사이트
63 FR 39343 – Automatic Train Control and Advanced Civil Speed Enforcement System; Northeast Corridor Railroads
http://www.gpo.gov/f[...]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2012-10-21
[11]
웹사이트
Information on Winter Operation by Dutch Infrastructure Manager Prorail
http://www.prorail.n[...]
2024-06-30
[12]
웹사이트
Drawings of Standard Railway Equipment Permanent Way
http://www.lmssociet[...]
London Midland & Scottish Railway
2022-03-06
[13]
웹사이트
Train Derailment at Grayrigg, Cumbria 23 February 2007 – RAIB Interim Report
https://assets.publi[...]
Rail Accident Investigation Branch
2022-07-03
[14]
웹사이트
Boca Man among 7 Killed in Amtrak Wreck
https://www.sun-sent[...]
2019-02-13
[15]
간행물
NTSB: Misaligned Switch Directed 'Silver Star' into Parked CSX Autorack Train
https://trn.trains.c[...]
2019-02-13
[16]
서적
Dynamic Behavior of Materials
John Wiley
1994
[17]
뉴스
Scene of the Accident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1-07-20
[18]
웹사이트
Requirements in regard to the Opening of Railways
http://www.railwaysa[...]
British Board of Trade
1892
[19]
간행물
Light Railway Research Society of Australia
2013-04
[20]
특허
Switching or Crossover Device for Traction Rack Rail Systems
[21]
웹사이트
TTC Unveils New Streetcar Design and Mockup
https://stevemunro.c[...]
2016-10-02
[22]
웹사이트
Specifications
https://www.sgr.go.u[...]
SGR Uganda
2023-08-25
[23]
문서
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
[24]
문서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5]
서적
『信号システムの進歩と発展 = 近年20年の展開と将来展望 =』
日本鉄道電気技術協会
2009
[26]
문서
この部分は、ウイングレール(翼レール)、鼻端長レール、鼻端短レールを組合せており、間隔材と填材が取付けられているほか、ストックレールにはガードレールが取付けられている。
[27]
기타
2002
[28]
문서
この部分は、車輪のフランジが通過するため、磨耗し易く、そのため、普通クロッシングの約10倍の耐久性を持つ、一体式で[[鋳造]]により製造された高マンガン鋼クロッシングが採用されている所があり、高速走行に対応している場合がある。
[29]
문서
日本での採用例:北越急行ほくほく線の全線、[[京浜急行電鉄]]([[生麦駅]])、[[近畿日本鉄道]]([[上鳥羽口駅]]非常渡り線)、[[東京急行電鉄]]([[東急田園都市線|田園都市線]][[あざみ野駅]]および[[東急東横線|東横線]]・[[東急目黒線|目黒線]][[武蔵小杉駅]]非常渡り線、[[東急大井町線|大井町線]][[上野毛駅]]、同線[[溝の口駅]]渡り線)、[[京王電鉄]]([[京王線]][[飛田給駅]])、[[小田急電鉄]]([[小田急小田原線|小田原線]][[秦野駅]])、京成電鉄(成田スカイアクセス[[成田湯川駅]])。かつては特急列車が多数運転されていた[[東北本線]]の一部の駅にも採用されていたが、[[東北新幹線]]開通に伴う東北本線特急列車の削減によって全て通常の分岐器に交換された。
[30]
문서
そのため転轍器をポイント部とクロッシング部に2つ設置する。
[31]
문서
通常式分岐器はフランジウェイの隙間を車輪が通過すると大きな騒音が発生するが、可動式ノーズ分岐器はフランジウェイによる隙間が存在しないので大幅な騒音低減が可能。例えば東京急行電鉄あざみ野駅は優等列車も停車する駅であり上下線ともに減速が強いられるが、それにもかかわらず分岐器周辺が住宅密集地のためノーズ可動クロッシングが騒音低減目的で用いられている。
[32]
문서
機械式とME(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式の2つがあり、接着状態情報(接着・非接着)で分岐器の定位と反位を検知して連動装置に出力するとともに、基本レールとトングレールとの間の隙間が許容値を超えている場合は、分岐器を転換不能として検知するようになっている。
[33]
기타
RAILWAY ENGINEERING
https://arpwe.com/wp[...]
Oxford University Press India
2007
[34]
기타
Transportation Engineering - II, Lecture - 20, Crossing and Design of Turnout
http://textofvide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35]
기타
1966
[36]
서적
「分岐器の番数」
日本国有鉄道
1958-03
[37]
문서
轍叉番号
大阪鉄道局
1935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간행물
Soustava stupňových výhybek, Značení a soustavy a výhybek a výhybkových konstrukcí
http://lences.cz/dom[...]
[42]
뉴스
京滬高速鉄道、全線貫通 来年10月に開通へ
http://j.people.com.[...]
[43]
문서
[44]
웹사이트
横取り装置とは? 横浜市営地下鉄「脱線事故」の原因と概要(2019年)
https://sagamier.com[...]
2019-06-09
[45]
간행물
分岐器の役割をする横取装置の一部を格納しないまま列車を運行し、本線を走行する列車が保守基地線に進入して脱線した事例
https://www.mlit.go.[...]
[46]
웹사이트
鉄道 分岐器用融雪器 [鉄道 分岐器用 電気融雪器]
http://www.g-mark.or[...]
2023-01-26
[47]
웹사이트
電力
https://www.jrtt.go.[...]
鉄道・運輸機構
2023-01-26
[48]
문서
[49]
문서
[50]
웹사이트
「火事ではありません」鉄道の“縁の下の力持ち”装置が話題…正体を江ノ島電鉄に聞いた
https://www.fnn.jp/a[...]
2022-02-18
[51]
웹사이트
雪に立ち向かう―安全・安定輸送を確保するために―
https://www.jreast.c[...]
JR東日本秋田支社
2017-04-12
[52]
웹사이트
Anti-Icing Formulas Prevent Train Delays | NASA Spinoff
https://spinoff.nasa[...]
2023-02-24
[53]
웹사이트
鉄道ポイント融雪装置
https://patents.goog[...]
2023-01-26
[54]
웹사이트
雪に立ち向かう
https://www.jreast.c[...]
JR東日本
[55]
트윗
2017年1月3日のツイート
2023-01-26
[56]
트윗
2017年1月3日のツイート
2023-01-26
[57]
웹사이트
線路が燃えてる? いえ「融雪カンテラ」です 阪急電鉄の投稿に反響
https://withnews.jp/[...]
2023-01-26
[58]
웹사이트
2016年協会誌「R&m」12月号
http://www.rma.or.jp[...]
一般社団法人 日本鉄道車両機械技術協会
2023-01-26
[59]
웹사이트
散水装置 | 鉄道で国づくり
http://wr19.osaka-sa[...]
大阪産業大学地域・交通計画研究室
2023-01-26
[60]
웹사이트
雪対策について
https://jr-central.c[...]
JR東海
[61]
서적
JIS E 3013:2022 鉄道信号保安用語
日本産業規格
2022-08-25
[62]
웹사이트
常用漢字表
https://www.bunka.go[...]
文化庁
2024-04-07
[63]
서적
鉄道信号技術
一般社団法人 日本鉄道電気技術協会
2020-11-24
[64]
서적
信号
交友社
1984-11-15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서적
信号(改訂)
吉村寛、吉越三郎
1984-11-15
[69]
서적
鉄道信号発達史
社団法人信号保安協会
1980-04-23
[70]
서적
東京地下鉄道丸ノ内線建設史(下巻)
帝都高速度交通営団
1960-03-31
[71]
서적
JIS E 3013:2022 鉄道信号保安用語
日本産業規格
2022-08-25
[72]
문서
[73]
서적
転てつ装置
一般社団法人日本鉄道電気技術協会
2014-09-30
[74]
서적
鉄道信号技術
一般社団法人日本鉄道電気技術協会
2020-11-24
[75]
문서
[76]
웹사이트
札幌市営地下鉄の車両はどのように進路変更するの?転てつ器の謎に迫る(動画あり)
https://pucchi.net/h[...]
北海道ファンマガジン
2017-06-31
[77]
웹사이트
分岐器の紹介
http://www.osaka-mon[...]
大阪モノレール
[78]
웹사이트
The Switch Myth
http://www.monorails[...]
The Monorail Society
[79]
문서
[80]
간행물
実用化技術はすでに確立 超電導リニア 乗車体験でシミュレーション
鉄道ジャーナル社
2018-04-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