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대 자동 화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대 자동 화기는 분대 단위의 화력 지원을 위해 개발된 무기 체계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브라우닝 자동 소총(BAR)을 시작으로 다양한 발전 과정을 거쳤다. 현대에는 소총 기반, 탄창식, 탄띠급탄식 등으로 구분되며, 미군의 M249, 영국의 L86A1 LSW, 대한민국의 K3 기관총 등이 대표적이다. 각국은 자국의 군사적 요구에 맞춰 다양한 분대 자동 화기를 개발 및 채택해왔으며, 지속적인 성능 향상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경기관총 - RPK
    RPK는 AKM을 기반으로 긴 총열과 강화된 부품을 갖춘 소련의 경기관총으로, 다양한 탄창을 사용해 긴 사거리와 지속적인 사격 능력을 제공하며 여러 파생 모델과 각국 생산 모델이 존재한다.
분대 자동 화기

2. 역사

브라우닝 M1918A2 자동소총


소련 RPK 분대 지원 화기


분대 자동 화기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덴마크의 마드센 기관총이 시초라고 할 수 있다. 볼트 액션 소총이 주를 이루던 시대에 자동 사격이 가능하고, 분리형 박스 탄창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화력 투사가 가능했다는 점에서 경기관총의 시초로 평가 받는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미국의 브라우닝 자동 소총(BAR)이 등장하여 경기관총 역할을 수행했다. BAR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까지 미군 분대 자동 화기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 국가에서는 보병 분대의 화기를 자동 소총과 다목적 기관총으로 통합하고, 경기관총은 폐지하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반면, 동구권에서는 다목적 기관총을 중대급 장비로 취급하고, 분대급을 위한 경기관총도 유지했다. 보병용 소총과 함께 분대용 경기관총도 중간 탄약으로 전환되었으며, 1953년에 RPD 경기관총을 도입한 후, 1961년부터는 AKM 소총을 기반으로 개발된 RPK 경기관총으로 전환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군은 M60 기관총을 사용했으나, 열대 우림이나 산악 지역에서 M60 기관총 본체와 탄약이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미군은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다. 1970년대 미군은 M16 소총M60 기관총 사이의 화기를 만들기 위해 '분대 자동 화기'(SAW)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800m 이상 거리에서 예광탄을 발사할 수 있고, 정확하고 많은 양의 지속 사격이 가능하며, M60보다 가볍고 신뢰성이 높은 무기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새로운 중간 탄약을 중심으로 경쟁했지만, 미국이 지지하는 새로운 NATO 표준 탄약 승인 문제로 포기되었다. 이후 FN 미니미(XM249)와 헤클러&코흐 HK 23(XM262) 중 FN 미니미가 M249 경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 FN 미니미는 HK23과 달리 현장에서 부품 교체 없이 탄창과 탄띠 급탄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영국군은 L7 다목적 기관총(GPMG) 외에도 대전 시대의 브렌 경기관총도 개조하여 계속 사용하고 있었지만, 1985년에는 L85 소총의 파생형인 L86A1 LSW가 제식화되었다. 다만 L86은 지속 사격 능력 부족이 문제시되어, 2001년 아프가니스탄 파병 부대를 위해 미니미 경기관총을 긴급 조달했고, 2004년에 정식 채용했다. 2018년에는 분대 단위로 L7 다목적 기관총을 장비하면서, LSW와 미니미는 폐지되었다. 미국 해병대2010년부터 M249 경기관총의 일부를 M27 IAR (보병 자동 소총)로 대체했다. M27 IAR은 H&K HK416의 파생형으로, M249보다 가볍고 사격 정밀도가 높으며, M16 소총과의 호환성도 높다는 점이 평가되었지만, 지속 사격 능력 부족이라는 문제가 있어, 완전한 대체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K3 기관총을 개발하여 분대 화력을 강화했다. K3는 FN 미니미와 비슷한 설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 미 육군은 차세대 분대 무기 프로그램을 통해 M249 SAW를 대체할 신형 기관총을 선정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승자로 시그 사우어 MG-6.8가 XM250으로 선정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M1918A2 브라우닝 자동 소총


분대 자동 화기 역할의 초기 무기로는 덴마크의 마드센 기관총이 있다. 마드센은 당시 볼트 액션 소총이 주류를 이루던 시대에 자동 사격이 가능하고, 분리형 박스 탄창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화력 투사가 가능했다.[4]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미국의 브라우닝 자동 소총(BAR)이 등장하여 경기관총 역할을 수행했다. BAR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까지 미군 분대 자동 화기로 사용되었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은 브라우닝 M1918A2 자동소총을 분대 자동 화기로 사용했다. 볼트액션식 소총이 주류였던 당시에, 미군은 반자동 소총M1 개런드를 주력 소총으로 사용했지만, 20발 들이 탄창을 사용하는 BAR의 연사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분대당 1정씩 배치했다.[6]

현대적인 분대 자동 화기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구 소련RPD였다. RPD는 AK-47과 같은 탄약을 사용하는 탄띠급탄식 경기관총이었다. RPD는 이후 RPK로 대체되었는데, RPK는 AK-47 돌격소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더 길고 굵은 총열, 더 튼튼한 몸통, 다른 조준 장치를 갖추고 있었다. 보통 기존 탄창보다 용량이 큰 드럼 탄창이나 40발 들이 탄창을 사용했다.[6]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군은 M60 기관총을 사용했으나, 열대 우림이나 산악 지역에서 M60 기관총 본체와 탄약이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미군은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다.[6]

냉전 기간 동안 영국군FN MAG에서 파생된 L7을 표준 분대 자동 화기로 사용했다.[6]

2. 3. 현대

베트남 전쟁을 통해 미국군은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다.[2][3] 1970년대 미군은 M16 소총M60 기관총 사이의 화기를 만들기 위해 '분대 자동 화기'(SAW)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800m 이상 거리에서 예광탄을 발사할 수 있고, 정확하고 많은 양의 지속 사격이 가능하며, M60보다 가볍고 신뢰성이 높은 무기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새로운 중간 탄약을 중심으로 경쟁했지만, 미국이 지지하는 새로운 NATO 표준 탄약 승인 문제로 포기되었다. 이후 FN 미니미(XM249)와 헤클러&코흐 HK 23(XM262) 중 FN 미니미가 M249 경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 FN 미니미는 HK23과 달리 현장에서 부품 교체 없이 탄창과 탄띠 급탄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2][3]

영국군은 L86A1 LSW를 분대 지원 화기로 채택했으나, 지속 사격 능력이 부족하여 FN 미니미를 도입했다.[6]

대한민국K3 기관총을 개발하여 분대 화력을 강화했다. K3는 FN 미니미와 비슷한 설계를 가지고 있다.

미국 해병대M249 경기관총의 일부를 M27 IAR(보병 자동 소총)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했다. M27 IAR은 H&K HK416의 파생형으로, M249보다 가볍고 정밀도가 높지만 지속 사격 능력은 제한적이다.

최근 미 육군은 차세대 분대 무기 프로그램을 통해 M249 SAW를 대체할 신형 기관총을 선정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승자로 시그 사우어 MG-6.8가 XM250으로 선정되었다.

3. 종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 국가에서는 보병 분대의 화기를 자동 소총과 다목적 기관총으로 통합하고, 경기관총은 폐지하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반면, 동구권에서는 다목적 기관총을 중대급 장비로 취급하고, 이와 별도로 분대급을 위한 경기관총도 유지했다.[1] 보병용 소총과 함께 분대용 경기관총도 중간 탄약으로 전환되었다.[2]

베트남 전쟁에서 동구권 무기 체계를 채택한 베트남 인민군은 분대용 경기관총을 장비했지만, 미국군은 다목적 기관총인 M60 기관총만을 장비했다. 그러나 열대 우림이나 산악 지역에서의 전투에서 M60은 무겁고 부피가 커 수송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는 미군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3] 이러한 경험으로 미국군에서도 경기관총의 중요성이 재인식되었다.[1]

분대 자동 화기는 크게 소총 기반, 탄창식, 탄띠 급탄식으로 나눌 수 있다.


  • 소총 기반 분대 자동 화기는 기존의 돌격소총을 기반으로 개량한 것이다.
  • 탄창식 분대 자동 화기는 주로 100발들이 탄창을 사용하며, 처음부터 분대 자동 화기를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 탄띠 급탄식 분대 자동 화기는 탄띠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사격이 가능하다.

3. 1. 소총 기반 분대 자동 화기

기존 사용 중인 돌격소총을 기반으로 총열을 일반 소총보다 길고 굵은 것으로 교체하고, 기존 탄창보다 용량이 큰 탄창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RPK의 경우 더 튼튼한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개머리판과 조준 장치도 AK-47과 다르다. 이러한 방식은 가장 간단하고 저렴하게 개발 가능하며, 별도의 훈련, 보급, 유지보수 체계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사 능력과 내구성 면에서는 탄띠 급탄식보다 떨어진다. 구 소련은 탄띠 급탄식 RPD 기관총을 소총 기반 RPK로 교체하였다.[1]

구 소련 RPK-74 분대 자동 화기


RPK-74


L86A2

  • RPK/RPK-74 : 러시아
  • * RPK
  • * RPKS: 옆으로 접히는 나무 개머리판이 있는 버전 (S는 ''-skladnoi'').
  • * RPK-74: 새로운 5.45×39mm 탄약을 사용하는 버전.
  • * RPK-74M: RPK-74의 개량형(M은 ''modernizirovanniy'')으로, 폴리머 재질을 사용.
  • * RPK-201: 5.56×45mm NATO 탄약을 사용하는 RPK-74M의 수출 모델.
  • * RPK-203: 7.62×39mm 탄약을 사용하는 RPK-74M의 수출 모델.
  • * RPK-16: RPK-16 분대 자동 화기는 러시아군에서 이전 모델인 RPK-74의 역할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경량 지원 화기이다.
  • DP-28: 47발 드럼 탄창을 위에 장착하여 발사하는 방식의 소련의 분대 지원 화기이다. 많이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대표적인 분대 지원 화기다.
  • 콜트 자동 소총(Colt Automatic Rifle) : 미국 콜트 사와 캐나다의 디마코사에서 개발하였다. M16 LMG, M16A2 LMG라고도 불린다. 덴마크 군에서 사용 중이다.
  • AUG-HBAR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 사)
  • L86 (영국) : A1형과 A2형이 있으나 큰 차이는 없다. A2형은 헤클러&코흐사가 영국군의 의뢰를 받아 A1을 개량한 것이다.
  • XM8 Automatic Rifle : HK사 XM-8의 변형
  • LMG36 : 독일 HK사


네덜란드 해병대는 LOAWNLD(콜트 캐나다 경기관총의 개량형)을 분대 자동 화기로 사용하는 네덜란드 군의 유일한 부대이다. 다른 모든 부대는 FN 미니미를 사용한다.

SA80 프로그램은 영국군의 기관단총, 소총 및 분대 자동 화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일련의 경량 돌격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초기 문제, 낮은 품질의 부품, 열악한 인체 공학적 설계, 왼손잡이가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SA80 제품군은 인기가 없었다. 탄창식 L86은 벨트식 시스템만큼 지속적인 사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져 L110A1 FN 미니미로 대체되었다. 이후 L86의 역할은 지정 사수 소총으로 변경되었다.

베트남 전쟁의 경험을 통해 미국군에서도 경기관총의 중요성이 재인식되었다. 1972년에는 신형 기관총의 요구 사항이 제시되었고, 계획명은 '''분대 지원 화기'''(SAW)로 정해졌다. 경쟁 시제품을 거쳐 1979년부터 비교 시험이 진행되었고, M16 자동 소총의 경기관총 버전(XM106)이나 H&K HK21의 개량형(XM262)을 제치고, 미니미 경기관총이 M249 경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

영국군1985년에 L85 소총의 파생형인 L86A1 LSW를 제식화하였으나 지속 사격 능력 부족이 문제시되어 2004년FN 미니미를 정식 채용했다. 그러나 2018년에는 분대 단위로 L7 다목적 기관총을 장비하면서, LSW와 미니미는 폐지되었다. 한편, 미국 해병대2010년부터 M249 경기관총의 일부를 M27 IAR (보병 자동 소총)로 대체하기로 했다. M249보다 가볍고 사격 정밀도가 높으며, M16 소총과의 호환성도 높다는 점이 평가되었지만, 지속 사격 능력 부족이라는 문제가 있어 완전한 대체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 2. 탄창식 분대 자동 화기

주로 100발들이 탄창을 사용하며, 기존의 소총을 바탕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분대 자동 화기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싱가포르의 울티맥스100이 대표적이다.

3. 3. 탄띠 급탄식 분대 자동 화기


  • 네게브 (이스라엘): 어댑터를 사용하여 탄창도 사용 가능하다.
  • 세트메 아멜리 (스페인)
  • FN 미니미 (벨기에): M249 SAW라는 명칭으로 미군이 정식 채용하면서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M16 탄창도 사용 가능하다.
  • K3 기관총 (대한민국 S&T 대우): FN 미니미와 거의 동일한 설계를 가지고 있다.
  • MG4 (독일 HK사): 헤클러&코흐가 FN 미니미 스타일로 개발한 경기관총이다.
  • RPD (러시아): 중국에서 56식 경기관총으로 생산, 많은 수가 베트남 전쟁 중 북베트남 군에서 사용되었다.

FN 미니미


구 소련 RPD 분대 자동 화기

4. 국가별 개발 현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 국가에서는 보병 분대의 화기를 자동 소총과 다목적 기관총으로 통합하고 경기관총은 폐지하는 경향을 보였다.[4] 반면, 동구권에서는 다목적 기관총을 중대급 장비로 취급하고, 분대급을 위한 경기관총도 유지했다.[4]

베트남 전쟁에서 베트남 인민군은 분대용 경기관총을 장비한 반면, 미국군은 M60 기관총만을 사용했다.[5] M60은 무거워 수송이 어려웠고, 이 경험으로 미국은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5]

1960년대 말, 미국 육군은 보병 부대 화력 조합 연구 결과 소총 분대 각 사격반에 기관총 사수 1명씩(총 2명)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1972년 신형 기관총 요구 사항이 제시되었고, 1979년 비교 시험 후 미니미 경기관총이 M249 경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

영국군은 L7 다목적 기관총 외에도 브렌 경기관총을 개조하여 사용했지만, 1985년 L86A1 LSW를 후계기로 제식화했다. 그러나 L86은 지속 사격 능력 부족이 문제시되어, 2001년 아프가니스탄 파병 부대를 위해 미니미 경기관총을 긴급 조달했고, 2004년 정식 채용했다.[6]

4. 1. 미국

M249 Para


미국에서는 M249 경기관총을 분대 자동 화기(SAW)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2][3]

1970년대, 미국은 M16 소총M60 기관총 사이의 화기를 필요로 했다. ''분대 자동 화기'' 프로그램은 800m 이상 사격이 가능하고, 정확하며, 지속 사격 능력이 뛰어나고, M60보다 가벼운 무기를 목표로 했다. FN 미니미(XM249)와 헤클러&코흐 HK 23(XM262)가 경쟁하여, 탄창과 탄띠 겸용이 가능한 FN 미니미가 M249로 채택되었다.

2005년 미국 해병대는 보병 자동 소총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M249 SAW를 대체하기 위해 FN SCAR HAMR과 HK416이 경쟁했고, HK416이 M27 IAR로 선정되었다. M249 SAW는 미국 육군에서 여전히 사용 중이다.

2019년, 미 육군은 M249 SAW와 5.56×45mm NATO탄을 대체하고자 차세대 분대 무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후보는 다음과 같다.

  • 시그 사우어 MG-6.8(XM250): 6.8 Sig 하이브리드 탄 사용, 프로그램 승자로 선정됨.
  • 제너럴 다이내믹스 RM277-AR: 트루 벨로시티 .277 TVCM 폴리머 케이스 탄 사용.
  • AAI/텍스트론 AR: 올린 윈체스터 6.8mm CT 케이스 텔레스코프 탄 사용.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은 M60 기관총만 사용했으나, 베트남 인민군은 분대용 경기관총을 사용했다. M60은 무거워 수송이 어려웠고, 이 경험으로 미국은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

1960년대 말, 미국 육군은 보병 부대 화력 조합 연구 결과, 소총 분대 각 사격반에 기관총 사수 1명씩(총 2명)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1972년 신형 기관총 요구 사항이 제시되었고, 1979년 비교 시험 후 미니미 경기관총이 M249 경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

4. 2. 러시아



소련과 러시아는 분대 지원 화기로 7.62x39mm 탄약을 사용하는 클립식 소총 (SKS), 탄창식 돌격 소총 (AK-47), 벨트식 경기관총 (RPD)을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했다. 그러나 SKS와 RPD는 기대만큼 효과적이지 않아 사용이 중단되었다. 반면 RPK는 기본 AK-47과 탄창 및 부품을 공유하여 더 효과적이었고, 대량 생산 기술이 발전하면서 RPD를 대체했다.

  • RPK
  • RPKS: 옆으로 접히는 나무 개머리판을 가진 버전 (S는 ''-skladnoi''의 약자).
  • RPK-74: 새로운 5.45×39mm 탄약을 사용하는 버전.
  • RPK-74M: RPK-74의 개량형(M은 ''modernizirovanniy''의 약자)으로, 폴리머 재질을 사용.
  • * RPK-201: 5.56×45mm NATO탄을 사용하는 RPK-74M의 수출 모델.
  • * RPK-203: 7.62×39mm 탄약을 사용하는 RPK-74M의 수출 모델.
  • RPK-16: 러시아군에서 이전 모델인 RPK-74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경량 지원 화기.[1]
  • RPL-20: RPK와 PK 기관총 사이의 화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설계된 벨트 급탄식 경기관총.

4. 3. 영국

SA80 프로그램은 영국군의 기관단총, 소총, 분대 자동 화기를 대체하기 위해 설계된 경량 돌격 무기 시리즈이다. L86 LSW (''분대 지원 화기'')는 FN MAG 다목적 기관총을 보조하고 분대 수준에서 L4 BREN 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한 자동 소총 버전이었다. 그러나 초기 문제, 낮은 품질의 부품, 열악한 인체 공학적 설계, 왼손잡이 사용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SA80 제품군은 인기가 없었다.

탄창식 L86은 벨트식 시스템만큼 지속적인 사격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L110A1 FN 미니미로 보완된 후 대체되었다.[6] 이후 L86의 역할은 지정 사수 소총으로 변경되었다.

영국군은 L7 다목적 기관총(GPMG) 외에도 브렌 경기관총을 개조하여 사용했지만, 1985년에는 L85 소총의 파생형인 L86A1 LSW를 후계기로 제식화했다. 그러나 L86은 지속 사격 능력 부족이 문제시되어, 2001년 아프가니스탄 파병 부대를 위해 미니미 경기관총을 긴급 조달했고, 2004년 정식 채용했다.

4. 4. 독일

MG36은 G36 소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G36과의 차이점과 이점이 미미하다고 판단되어 독일군에 채택되지 못하고 주문이 취소되었다.[1] 5.56mm NATO MG4는 2005년에 채택된 독일군의 표준 분대 지원 화기이다.[1] MG5는 MG4와 유사한 7.62mm NATO 기관총이며, 2015년에 독일군의 새로운 다목적 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1]

4. 5. 중국

QJB-95


중국 인민해방군은 초기에 구식 제2차 세계 대전 경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56식 경기관총을 주력 경기관총으로 사용했다. 중월 전쟁 이후, 인민해방군은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드럼 탄창을 사용하는 81식 경기관총을 채택했고, 이는 QJB-95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2021년부터 다시 벨트 급탄 방식의 QJB-201 경기관총으로 변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ASS: Military & Defense - Kalashnikov signs contract to supply Defense Ministry with newest RPK-16 machine guns https://web.archive.[...] 2022-04-18
[2] 뉴스 Mission Continues https://web.archive.[...] 1st Infantry Division (Task Force Eagle) Public Affairs Office 1997-08-01
[3] 서적 The Gun Digest Book of Assault Weapons https://books.google[...] Gun Digest Books 2007-09-12
[4] Kotobank 銃 2021-05-18
[5] 웹사이트 Machine gun https://www.britanni[...] ブリタニカ百科事典 2021-05-18
[6] 뉴스 British Army to scrap old infantry weapon systems https://ukdefencejou[...] 2018-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