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신자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신자살은 불에 타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의미하며,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대승불교와 힌두교에서 종교적, 정치적 저항의 수단으로 행해져 왔으며, 특히 인도에서는 사티와 같은 관습이 존재했다. 역사적으로 칼라노스, 법우, 틱광득 등 여러 사례가 있으며, 동유럽, 티베트, 아랍의 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다양한 정치적 상황에서 항의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전태일의 분신이 노동 운동의 상징이 되었고, 일본의 역사 왜곡에 항의하는 분신 사건도 있었다. 분신은 극심한 고통을 동반하며, 화상으로 인한 탈수 증상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2. 어원

영어 'immolation'은 원래 "희생 제물을 죽임; 희생"을 의미했고, 비유적으로 "파괴, 특히 불에 의한 파괴"를 의미하게 되었다. 라틴어 immolarela "제물로 쓰이는 밀가루 (mola salsa); 희생하다"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로마 종교에서 유래하였다.[2][3]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다른 명칭인 '본조'(bonzo)는 일본어의 "범승"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현대에는 일반적이지 않다. '본조'는 불교 승려 틱꽝득베트남 공화국에 대한 항의로 1963년에 분신자살을 한 데서 유래했다. 불꽃에 휩싸인 베트남인의 자살이 서구의 매스미디어에 "분신자살"이라는 단어와 함께 말콤 브라운이 촬영한 사진으로 보도되었기 때문에, 본조는 영어권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고, 불꽃과의 강한 연상이 생겨나게 되었다.

3. 역사

자기 분신은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종교적, 관습적 이유로 행해졌다. 대승불교힌두교 일부에서는 자기 분신을 용인했으며, 인도에서는 자우하르, 정치적 저항, 헌신, 금욕 등 다양한 이유로 행해졌다. 힌두교 신화에서는 여신 파르바티의 화신인 사티 (Daksayani 참조)가 아버지에게 모욕을 당한 후 스스로 불에 타 죽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차란(Charan)과 라즈푸트(Rajput) 같은 특정 전사 문화권에서도 자기 분신이 행해졌다.

고대 인도의 김노소피스트[8][9][10][11]이자 탁실라(Taxila)[12] 출신 철학자 칼라누스(Calanus)[7]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앞에서 장작더미에 스스로 불을 지펴 자결했다.[13] 자르마노케가스(Zarmanochegas)라는 스라마나(Sramana) 전통의 승려는 기원전 22년경 아테네에서 스스로 불에 타 죽었다.[14][15]

중국에서는 법우(法羽)(396년 사망)가 가장 초기의 기록된 자기 분신 사례를 남겼다.[16] 이후 많은 불교 승려와 비구니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자기 분신을 사용했다. 북주 무제의 불교 탄압에 대한 응답으로 중난산에서 다섯 명의 승려가 자기 분신하기도 했다.[18] 러시아 정교회 대분열 동안, 구교도(Old Believers) 전체 마을이 "불세례"(''samosozhigateli'')로 알려진 자기 분신으로 불에 타 죽는 사건이 발생했다.[20]

불교힌두교 사회에서는 자기분신이 수세기 동안 행해져 왔다. 특히 인도에서는 남편을 잃은 미망인이 자기분신을 하는 사티라는 관습이 있었다.

자기 분신 시도에서 주요 사망 원인은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이 아니라, 전신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실과 급격한 수분(림프액, 간질액) 유실로 인한 탈수 증상에 따른 쇠약사로 여겨진다. 실행자는 자신의 몸에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인화성이 높은 기름을 뿌린 후 불을 붙인다.

3. 1. 종교적 배경

인도에서는 힌두교의 사티 관습, 자이나교의 살레카나 의식 등 종교적 헌신을 위한 분신이 존재했다.[50] 불교에서도 깨달음을 얻거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자기희생의 형태로 분신이 나타나기도 한다. 법화경 약왕보살본사품에는 약왕보살이 스스로 몸을 불태워 부처에게 공양한 이야기가 나온다.[51]

1568년 치토르가르 포위전 당시 라즈푸트 여성들의 jauhar


역사적으로, 기원전 4세기 김노소피스트[8][9][10][11]이자 탁실라(Taxila)[12] 출신 철학자 칼라누스(Calanus)[7]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앞에서 분신했다.[13] 자르마노케가스(Zarmanochegas)라는 스라마나(Sramana) 전통의 승려는 기원전 1세기 아테네에서 분신했다.[14][15]

1657년 남편의 시체와 함께 스스로 불타 죽는 힌두 미망인(''sati'')


중국에서는 4세기 법우(法羽) (396년 사망)가 최초로 기록된 자기 분신 사례를 남겼다.[16] 이후 많은 불교 승려와 비구니들이 분신을 수행했다.[17] 북주 무제의 불교 탄압에 항거하여 5명의 승려가 분신하기도 했다.[18]

"자신을 불태우는 자들(Samosozhigateli)" - 그리고리 미아소예도프(Grigoriy Myasoyedov)의 그림, 구교도(Old Believers) 묘사


러시아에서는 러시아 정교회 대분열 시기 구교도(Old Believers)들이 집단 분신(''samosozhigateli'')하기도 했다.[20]

3. 2. 정치적 저항

근현대에 들어 억압적인 정치 체제나 사회 부조리에 항의하는 수단으로 분신자살이 발생했다. 분신자살은 공개적인 정치적 성명으로, 언론에 보도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집단적 목표를 위한 이타적 자살의 일종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타인에게 신체적 피해나 물질적 손해를 주려는 의도는 아니다.[24]

분신자살은 불교힌두교 사회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인도에서는 남편을 잃은 여성이 분신하는 사티라는 관습이 있었다. 정치적 항의, 이혼, 절연 등 다양한 이유로 분신이 행해졌으며, 무용을 중시하는 라지푸트와 같은 문화권에서도 나타났다.

화재나 화산 폭발(화쇄류)로 인한 화재로 인한 사망과는 달리, 분신자살의 주요 사망 원인은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이 아니라, 전신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실과 급격한 수분 (림프액, 간질액) 유실로 인한 탈수 증상에 따른 쇠약사로 여겨진다. 실행자들은 주로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인화성 기름을 몸에 뿌리고 불을 붙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슬람교에서는 분신이 금기로 여겨진다.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최후의 심판 날까지 육체가 매장 등을 통해 보존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라에게만 허락된 불로 인간의 육체를 손상시키는 행위는 자살이든 사형이든 알라에 대한 모독으로 해석될 수 있다.

러시아 정교회의 대분열 동안, 구교도(Old Believers) 전체 마을이 "불세례"(''samosozhigateli'')로 알려진 자기 분신으로 불에 타 죽는 사건이 발생했다.[20] 2020년 10월, 러시아 지역 온라인 매체 ‘코자’의 편집장 이리나 슬라비나(Ирина Славина)는 반체제 단체 관련 사건으로 가택 수색을 당한 후, 페이스북에 “제 죽음으로 러시아를 처벌해주세요”라고 적고 러시아 내무부 청사 앞에서 분신자살했다.[62][6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된 징병 등에 항의하는 수단으로 분신자살을 시도하는 사례가 러시아에서 급증했다.[64]

중국에서도 200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에 따른 토지 강제 수용 등에 항의하는 분신자살 시도가 빈번하게 보도되고 있다.[65] 대기원이나 신탕인텔레비전 등 중국 공산당의 독재를 비판하는 해외 언론에 따르면, 지방 농촌에서 직소하는 사람들이 도시 민원실을 방문하여 항의 분신자살을 하는 사례도 많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1967년 유비 추노신이 일본 내각총리대신 사토 에이사쿠의 미국 방문에 항의하며 분신자살을 시도했고, 1969년 에토 고자부로가 국회의사당 앞에서 분신자살했다. 1975년에는 후나모토 스에하루가 주일 미군 가데나 기지 앞에서 분신자살했다.[55] 최근에는 2014년 제2차 아베 내각의 집단적 자위권 인정에 항의한 남성의 분신자살 시도,[56] 2015년 동해도 신칸센 화재 사건, 2022년 쿠라스시 주차장에서 발생한 분신자살,[57] 고 아베 신조 국장례에 반대하는 70대 남성의 분신자살 시도[58][59] 등의 사건이 있었다.

3. 2. 1. 베트남 전쟁

베트남 불교 위기는 가톨릭 대통령 응오딘지엠 정권 하에서 베트남의 주요 종교인 불교가 박해받은 사건을 말한다. 가장 유명한 사례인 틱꽝득을 비롯한 여러 불교 승려들이 항의의 표시로 분신자살하였다.

1965년 11월 2일, 반전 운동가인 노먼 모리슨은 국방부 장관 로버트 맥나마라의 펜타곤 사무실 아래에서 석유를 뿌리고 자기 분신하여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항의했다.[26]

고딘지엠 정권하의 남베트남과 같이, 많은 승려가 불교에 대한 탄압에 항의하기 위해 불을 몸에 두르고 자살했다. 틱꽝득의 분신자살은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역사적으로 법화경의 약왕보살본사품에는 약왕보살의 생애가 그려져 있으며, 그 부분이 분신자살을 통해 베트남 전쟁에 항의한 승려들에게 영감을 주었다.[51]

1963년부터 1971년 사이 아시아와 미국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와 함께 자기분신 사건이 발생했다. 연구자들은 ''뉴욕 타임스''와 ''타임스''에 보도된 자기분신 사건이 거의 1,000건에 달한다고 집계했다.[25]

3. 2. 2. 동유럽

1968년, 폴란드 회계사이자 국군 출신인 리샤르트 시비에츠가 분신자살을 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며 체코의 대학생인 얀 팔라흐와 얀 자이치크가 분신하였고, 공구 제작자 에우젠 플로체크도 자결하였다. 1969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대학생 얀 팔라흐(Jan Palach)는 소련의 침공에 항의하여 분신자살했다.

로마스 칼란타의 분신 자살 현장인 카우나스의 기념비. 비문에는 "로마스 칼란타 1972"라고 적혀 있다.


1972년, 19세 리투아니아 학생인 로마스 칼란타가 리투아니아의 소비에트 정권에 항의하며 분신 자살하여 1972년 리투아니아 소요사태를 촉발시켰다. 같은 해에 13명이 더 분신 자살하였다.[27]

1978년, 우크라이나 반체제 인사이자 전 정치범인 올렉사 히르니크가 소련 통치하에 우크라이나의 러시아화에 항의하며 우크라이나 시인 타라스 셰브첸코의 묘 근처에서 분신 자살했다.

3. 2. 3. 인도와 스리랑카

인도에서는 2000년과 2001년에 각각 1,451건과 1,584건의 분신자살이 보고되었다.[28] 1990년 카스트 제도 기반의 예약 제도에 반대하는 1990년 만달 위원회 시위 기간 동안 분신자살이 크게 증가했다.[24] 현재까지 인도에서 분신자살자가 가장 많은 곳은 타밀나두주이지만, 모든 사건이 정치적 동기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다.[29] 인도와 스리랑카의 타밀인들은 힌디어 강요, 인디라 간디 암살, 스리랑카 정부의 탄압에 항의하며 분신자살을 해왔다.[30][31][32]

3. 2. 4. 중국과 티베트

중국에서는 강제 철거, 인권 탄압 등에 항의하는 분신이 발생하고 있다.[65] 중국 공산당의 독재를 비판하는 해외 언론인 대기원이나 신탕인텔레비전 등에 따르면, 지방 농촌에서 직소하는 사람들이 도시의 민원실을 방문하여 항의의 분신자살을 하는 사례도 많다고 한다.[65]

티베트인들 사이에서는 중국 공산당의 탄압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항의의 분신 자살이 잇따르고 있다. 2008년 티베트 폭동 이후 특히 분신 자살하는 티베트인이 증가하고 있다. 라디오 프리 아시아(Radio Free Asia)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4년 6월까지 5년 동안 총 136명의 티베트인이 분신 자살을 시도했다. 승려, 비구니뿐 아니라 일반 젊은이들도 많다.[66] 2022년 6월 기준으로 티베트에서 발생한 분신 자살 시위는 161건이 확인되었으며, 티베트 외부에서 연대를 표하며 분신한 사례는 10건이었다.[33][34][35] 달라이 라마는 중국의 "문화적 대량학살"을 그 원인으로 지목했다.[36] 중국 정부는 달라이 라마와 그의 지지자들이 이러한 행위를 선동했다고 비난했다.[37] 일부 티베트 학자들은 달라이 라마가 분신 자살에 대해 더 강력하게 비판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 2013년 달라이 라마는 분신 자살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그 원인은 베이징에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양측에 입장 완화를 촉구했다.[38]

3. 2. 5. 아랍의 봄

2010년 12월, 튀니지 중부 시디부지드에서 과일을 팔던 청년 모하메드 부아지지가 주변의 괴롭힘과 자국의 경제 상황에 항의하여 분신자살했다.[39] 그의 죽음은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어 아랍 각국의 민중 운동인 "아랍의 봄"의 계기가 되었다.

아랍의 봄 시위와 관련하여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소 14건의 분신자살 사건이 발생했다. 무함마드 부아지지의 분신자살은 2010~2011년 튀니지 혁명을 촉발했으며,[39] 이후 2011년 알제리 시위와 2011년 이집트 혁명 기간 동안에도 유사한 사건들이 발생했다.[40][41]

3. 2. 6.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의 이스라엘 지원에 항의하며 미국 내에서 분신자살 사건이 발생했다.

2023년 12월 1일, 애틀랜타 이스라엘 영사관 앞에서 한 시위자가 팔레스타인 국기를 두르고 분신했다.[42]

아론 부시넬의 분신자살을 추모하는 자리가 워싱턴 D.C. 이스라엘 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2024년 2월 25일, 현역 미국 공군 장교인 아론 부시넬[43]은 이스라엘 대사관(워싱턴 D.C.) 앞에서 미국의 지속적인 이스라엘 지원에 항의하며 분신했다. 그는 "팔레스타인 해방"을 외치며 스스로 불을 질렀다.[44][45] 이 장면은 트위치를 통해 촬영 및 생중계되었다.[46] 부시넬은 2월 26일 부상으로 사망했다.[47]

2024년 9월 11일, 매트 넬슨이라는 남성이 보스턴의 이스라엘 영사관과 포시즌스 호텔 앞에서 미국의 지속적인 이스라엘 지원에 항의하며 분신했다. 그는 미국 정부에 이스라엘로의 무기 지원 중단을 촉구하는 영상을 녹화했다.[48]

2024년 10월 5일, 사무엘 메나 주니어라는 사진기자는 워싱턴 D.C.백악관 앞에서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 중 분신을 시도했다. 그는 팔에 화상을 입었지만 생존했고 병원으로 이송되었다.[49]

3. 3. 한국의 사례

1967년 11월 11일, 일본 사토 에이사쿠 총리의 미국 방문에 항의하며 유비 추노신이 총리 관저 앞에서 분신자살을 시도했다.[55] 1970년 11월에는 평화시장 노동자들의 열악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전태일이 분신자살했다.[60] 이는 한국 노동 운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기록된다.

2019년 7월에는 일본역사 왜곡과 경제 보복에 항의하는 70대 남성이 서울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차 안에서 분신자살했다.[61]

4. 영향

분신은 극심한 고통을 동반한다. 화상은 점점 심해지고, 신경이 타면서 화상 부위의 감각이 마비된다. 일부 분신자살자들은 유독성 연소 생성물, 고온의 공기, 화염을 흡입하여 현장에서 사망하기도 한다.[5]

인체는 화상을 입은 피부에 염증 반응을 보이는데, 성인의 경우 25% 이상 화상을 입은 후에 발생한다. 이러한 반응은 혈액과 체액 손실로 이어지며, 4시간 이내에 화상 전문 치료센터로 이송되지 않으면 쇼크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신체의 80% 미만이 화상을 입었고, 분신자살자가 40세 미만인 경우 생존율은 50%이다. 80% 이상 화상을 입은 경우 생존율은 20%로 떨어진다.[6]

화재나 화산 폭발(화쇄류)로 인한 화재로 인한 사망과 달리, 분신자살의 주요 사망 원인은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이 아니라, 전신 대부분의 피부화상을 입어 손실됨으로써 인체에서 급격하게 수분(림프액과 간질액)이 유실되어 발생하는 탈수 증상에 의한 쇠약사로 여겨진다.

틱꽝득의 분신자살은 그를 평한 마담 누의 폭언과 더불어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5. 논란

분신자살은 극단적인 항의 방식으로서, 그 효과와 윤리성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분신자살을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생명 경시 풍조를 조장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종교적, 정치적 신념에 따른 분신은 숭고한 희생으로 미화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14대 달라이 라마는 2013년과 2015년에 정치적 항의의 한 형태로서 분신자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I think the practice of non-violence is this: these people, you see, could have used bomb to cause more casualties. But they didn't do that. Only sacrifice their own life. So this also is part of practice of non-violence.|저는 분신자살 자체가 비폭력의 실천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시다시피 이 사람들은 폭탄을 사용하여 더 많은 희생자를 낼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오직 자신의 목숨만을 희생했습니다. 그러므로 이것 또한 비폭력 실천의 일부입니다.영어 [22][23]

분신자살은 종종 공개적인 정치적 성명이며, 뉴스 매체에 의해 보도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집단적 목표를 위한 일종의 이타적 자살로 여겨질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신체적 피해를 입히거나 물질적 손해를 입히려 하지 않는다.[24]

참조

[1] 웹사이트 Self-immolation can be a form of protest. Or a cry for help. Are we listening? https://www.washingt[...] 2019-05-30
[2]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 웹사이트 immolate https://web.archive.[...]
[4] 뉴스 Burn Care, Self-Immolation: Pain And Progress https://m.huffpost.c[...] 2012-04-09
[5] 웹사이트 What does death by burning mean? https://amp.theguard[...] 2003-04-26
[6] 웹사이트 What happens after people set themselves on fire? https://latimesblogs[...] 2012-02-15
[7] 문서 Plutarch, Life of Alexander, §8 https://www.perseus.[...]
[8] 서적 The History of India: India from the earliest ages: Hindu, Buddhist, and Brahmanical revival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1973
[9] 서적 The Indian empire : its people, history, and products (1886)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0] 서적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https://books.google[...] Trübner & Company 1887
[11] 서적 Classica Et Mediaevalia https://books.google[...] Librairie Gyldendal 1975
[12] 논문 The Self-immolation of Kalanos and other Luminous Encounters Among Greeks and Indian Buddhists in the Hellenistic World http://jocbs.org/ind[...] 2015
[13] 문서 Diodorus Siculus, Library, 17.107.1 https://www.perseus.[...]
[14] 문서 Strabo, xv, 1, on the immolation of the Sramana in Athens (Paragraph 73) https://www.perseus.[...]
[15] 논문 liv, 9; The Self-immolation of Kalanos and other Luminous Encounters among Greeks and Indian Buddhists in the Hellenistic world https://www.academia[...] 2015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Sanctity and Self-Inflicted Violence in Chinese Religions, 1500–1700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Copycat Effect: How the Media and Popular Culture Trigger the Mayhem in Tomorrow's Headlines Paraview Pocket Books
[21] 서적 Offenders, Deviants or Patients?: Explorations in Clinical Criminology Taylor & Francis
[22] 웹사이트 Dalai Lama shares wisdom on dissent, death and politicians http://www.abc.net.a[...] ABC News (Australia) 2013-06-13
[23] 서적 The Agendas of Tibetan Refugees: Survival Strategies of a Government-in-Exile in a World of Trans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4] 서적 Making Sense of Suicide Miss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Comprehensive textbook of suicidology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6] 뉴스 The Pacifists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65-11-12
[27] 웹사이트 KGB reakcija į 1972 m. įvykius http://www.genocid.l[...]
[28] 서적 The Copycat Effect: How the Media and Popular Culture Trigger the Mayhem in Tomorrow's Headlines https://archive.org/[...] Paraview Pocket-Simon and Schuster
[29] 웹사이트 Self-immolation cases in Tamil Nadu much above national average https://www.daijiwor[...]
[30] 웹사이트 DMK MP video controversy: How 1965 anti-Hindi protests changed Tamil Nadu's political landscape https://www.hindusta[...] 2023-12-27
[31] 뉴스 Man self-immolates protesting 'move to impose Hindi on Tamil Nadu' https://timesofindia[...] 2022-11-26
[32] 뉴스 Self-immolation entwined in Dravidian movement https://timesofindia[...] 2009-01-30
[33] 인터뷰 Se sacrifier par le feu pour que le Tibet reste tibétain https://www.lexpress[...] L'Express 2012-03-29
[34] 뉴스 Tibetan Monk Dies After Self-Immolating in Eastern Tibet https://freetibet.or[...]
[35] 뉴스 Tibetan dies after self-immolation, reports say https://www.foxnews.[...] 2013-07-21
[36] 뉴스 Teenage Tibetan monk self-immolates, dies: rights group https://www.reuters.[...] 2012-02-19
[37] 뉴스 Teenage monk sets himself on fire on 53rd anniversary of failed Tibetan uprising https://www.telegrap[...] 2012-03-13
[38] 뉴스 Dalai Lama doubts effect of Tibetan self-immolations https://www.telegrap[...] 2013-06-13
[39] 웹사이트 Remembering Mohamed Bouazizi: The man who sparked the Arab Spring https://www.aljazeer[...] Al Jazeera
[40] 웹사이트 Self-immolation spreads across Mideast inspiring protest https://www.jpost.co[...] 2011-01-25
[41] 웹사이트 Second Algerian dies from self-immolation: official https://www.google.c[...]
[42] 뉴스 Pro-Palestine Protester Sets Herself Ablaze Outside Atlanta Consulate https://www.thedaily[...] 2023-12-01
[43] 웹사이트 US airman dies after setting himself on fire outside Israeli Embassy in Washington https://www.cnn.com/[...] 2024-02-26
[44] 웹사이트 Man Dies After Setting Himself on Fire Outside Israeli Embassy in Washington, Police Say https://www.nytimes.[...] 2024-02-25
[45] 웹사이트 Man sets himself on fire outside Israeli Embassy in DC https://thehill.com/[...] 2024-02-25
[46] 뉴스 Air Force Service Member Sets Himself On Fire Outside Israeli Embassy https://www.mediaite[...] 2024-02-25
[47] 웹사이트 Aaron Bushnell: US airman dies after setting himself on fire outside Israeli embassy in Washington https://www.bbc.co.u[...] 2024-02-26
[48] 웹사이트 'We Are All Culpable': Matt Nelson Self-Immolates To Protest Israel's Gaza Onslaught https://countercurre[...] 2024-09-14
[49] 웹사이트 Arizona man sets himself on fire during pro-Palestinian protest https://www.12news.c[...] 2024-10-05
[50] 서적 The Copycat Effect: How the Media and Popular Culture Trigger the Mayhem in Tomorrow's Headlines Paraview Pocket-Simon and Schuster
[51] 서적 Opening the heart of the cosmos: Insights on the Lotus Sutra Parallax Press
[52] 뉴스 抗議の焼身自殺 女性サッカーファンがスタジアムへの出禁を食らい… https://www.excite.c[...] 2019-09-15
[53] 웹사이트 self-immolation - Definitions from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54]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55] 뉴스 ほん『黙って野たれ死ぬな』船本洲治・著 https://mainichi.jp/[...] 2018-08-12
[56] 뉴스 新宿焼身自殺騒動、国内メディアは小さい扱い 海外メディアは「集団的自衛権」との関連を強調 http://www.j-cast.co[...] 2014-06-30
[57] 웹사이트 店長自殺、パワハラ、有給拒絶…「くら寿司」の闇 https://bunshun.jp/d[...] 2022-06-13
[58] 웹사이트 首相官邸近く 男性が焼身自殺図ったか 「国葬反対」文書 https://www.asahi.co[...] 2022-09-21
[59] 뉴스 官邸近くで「国葬反対」男性、焼身自殺図る 意識回復とも=報道 https://jp.reuters.c[...] 2022-09-20
[60] 문서 韓国労働運動から学ぶこと https://www.chiba-go[...]
[61] 뉴스 韓国男性、在韓日本大使館前で焼身自殺 背景に日本への不満 http://japanese.cri.[...]
[62] 웹사이트 露女性ジャーナリストが焼身自殺 政権側捜索に抗議か https://www.sankei.c[...]
[63] 웹사이트 ロシアのニュース編集者、地方庁舎前で焼身自殺 https://www.bbc.com/[...] 2020-10-03
[64] 뉴스 ロシアで徴兵への反発広がる、焼身自殺未遂や事務所で発砲 https://jp.reuters.c[...] 2022-09-26
[65] 웹사이트 中国:横行する強制立ち退き。拡大し続ける不満 http://www.amnesty.o[...] 2012-10-12
[66] 뉴스 「焼身自殺」で中国へ抗議 仏教国ベトナム、チベットでいま何が起きているのか? https://nikkan-spa.j[...] 2014-06-13
[67] 뉴스 10. 소신공양 http://www.beopbo.co[...] 법보신문 2021-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