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개는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개로, 일식과 월식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존재이다. 어둠의 왕국 감암나라의 왕이 해와 달을 가져오기 위해 불개를 보냈지만, 실패하고,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날 때 불개가 해와 달을 물어뜯는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대한민국 대구·경북 지방에는 신화 속 불개와 비슷한 외모를 가진 붉은빛의 적갈색 털을 가진 희귀 견종이 존재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다가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불개 | |
---|---|
개요 | |
![]() | |
종류 | 신화 속 개 |
기원 | 한국 신화 |
어원 | 불 (火) + 개 (犬) |
특징 | |
털 색깔 | 붉은색 |
문화적 의미 | |
상징 | 어둠을 쫓는 신성한 존재 |
2. 신화 속 불개
한국 신화에서 일식/월식 전설과 같은 우주론적 이야기는 불개를 통해 일식 현상을 설명한다.[3][4]
2. 1. 감암나라와 불개
한국 신화에서 일식과 월식 현상은 불개와 관련된 이야기로 설명된다.[3][4]한국의 설화에 따르면,[1] 하늘에는 많은 세계가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어둠의 왕국인 감암나라였다. 감암나라의 왕은 어둠에 시름하며 자신의 왕국에 해와 달의 빛을 갈망했다. 왕은 어둠의 세계 신하 중 하나가 소유한 거대한 불의 사냥개인 불개를 보내 해를 쫓아 왕국으로 가져오게 했다. 그러나 불개가 해를 물려고 하자 너무 뜨거워 붙잡을 수 없었고, 결국 포기하고 왕에게 돌아갔다. 왕은 해를 가질 수 없어 화가 났다. 어둠을 없애기 위한 또 다른 시도로, 왕은 달을 훔치기 위해 더 무자비한 다른 개를 보냈다. 불개가 달을 물려고 했을 때, 달은 너무 차가워서 개의 입이 얼어붙었고, 불개는 달을 떨어뜨렸다. 불개는 여러 번,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을 입에 넣으려고 했지만 결국 포기하고 왕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왕은 이 임무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다른 개들보다 더 사나운 불개들을 계속 보냈지만, 아무도 해와 달을 가져올 수 없었다. 한국에서는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나는 동안 어두운 부분은 개들이 물어뜯는 부분이라고 믿었다. 일식이 끝나면 개들은 포기하고 감암나라로 도망간다.[5]
3. 현실의 견종, 불개
대한민국 대구·경북 지방에는 신화 속 불개와 비슷한 외모를 가진 희귀 견종 '불개'가 있다. 이 견종은 개고기 식용으로 인해 1990년대에 멸종 위기에 놓였으나,[7] 2012년 동양대학교의 노력으로 완전한 멸종에서 구출되었다.[7]
3. 1. 불개의 특징
불개는 붉은빛을 띤 적갈색 털, 발톱, 호박색 코와 눈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진도견 스피츠 계열 견종과 매우 흡사하지만, 짙은 적갈색 털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외모는 고풍스러우며 진도와 시바견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불개의 평균 어깨 높이는 50cm~55cm이며 평균 체중은 15kg~25kg이다.[6]3. 2. 멸종 위기와 복원 노력
1990년대에는 개고기 식용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였다.[7] 2012년 동양대학교에서 마지막 20마리의 개체를 연구하고 복원하려는 노력을 하면서 완전한 멸종 위기에서 벗어났다.[7]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 Han'guk minsok munhak sajŏn
https://www.worldcat[...]
2014
[2]
간행물
Dinner date
Sky & Telescope
2008
[3]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mythology
https://www.worldcat[...]
Global Oriental
2008
[4]
웹사이트
Animals in Korean Mythology: The Legend of Bul-Gae (불 개)
https://www.korea.ne[...]
2022-02-10
[5]
서적
Korean myths and folk legends
https://www.worldcat[...]
Jain Pub. Co
2006
[6]
웹사이트
우리나라 토종개는 진돗개만 있나? 풍산개, 댕견, 제주개, 불개도 있다
http://blutom.com/en[...]
2007-11-11
[7]
웹사이트
한국의 견종들 2
https://ppss.kr/arch[...]
2017-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