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도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도징은 쿠차에서 태어나 중국으로 건너와 불교를 전파한 승려이다. 310년에 중국으로 건너와 낙양에서 사찰 건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이후 Jie족 군벌 석륵을 개종시키고 그의 고문이 되었다. 후조에서 석륵과 석호를 만나 불교를 전파하고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으며, 아나파나사티 명상법을 가르쳐 불교를 대중화했다. 그의 제자들은 중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불도징은 348년에 사망했다. 그는 중국 불교, 특히 선종과 정토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호십육국 시대에 불교를 널리 전파하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48년 사망 - 성 스피리돈
    성 스피리돈은 3-4세기 키프로스 출신의 기독교 성인으로, 양치기에서 주교가 되어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옹호하고 아리우스주의를 반박했으며, 도자기 조각 비유로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기적을 행하고, 코르푸 섬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으며 도예가와 흑사병 퇴치, 코르푸 포위전 승리를 이끈 인물이다.
  • 348년 사망 - 모용황
    모용황은 333년부터 348년까지 전연을 통치한 인물로, 형제들과의 내분을 극복하고 전연을 건국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고구려를 공격하고 한화 정책을 통해 국가 체제를 정비하다가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후조의 불교도 - 석륵
    석륵은 갈족 출신으로 노예 생활과 산적 생활을 거쳐 유연의 한에 귀순한 뒤 세력을 키워 후조를 건국하고 화북 지역을 장악한 오호십육국 시대의 군주이다.
  • 후조의 불교도 - 석호 (후조)
    석호는 후조의 군주로, 뛰어난 군사적 재능으로 공을 세웠으나 잔혹한 성격과 사치스러운 통치로 국력을 쇠퇴시켜 후조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불도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불도징 그림
중국 그림에 묘사된 불도징
본명Buddhacinga (산스크리트어)
한국어 이름불도징(佛圖澄)
출생232년
출생지쿠차
사망348년
직업불교 수도승
학자
선교사
정치 분석가
번역가

2. 생애

일반적으로 서역에서 온 승려는 축법호나 구마라집처럼 불경을 한자로 번역하는 번역경을 하는 번역승이 많았지만, 불도징은 번역경을 전혀 하지 않은 대표적인 인물이다.

310년 (광흥 원년) 낙양에 왔으나 혼란으로 인해 사찰 건립에 실패했다. 불도징이 왔을 당시 중국은 오호십육국 시대로, 서진이 멸망하고 남쪽에는 동진이, 북쪽에는 오호라 불리는 이민족이 각지에 나라를 세워 분열되어 있었다.

불도징은 후조의 장군 곽흑략을 통해 석륵을 만나 수많은 예언을 하여 크게 중용되었다. 흉폭한 성격으로 알려진 석호에게도 신뢰를 얻었으며, 고매한 교리가 아니라 일상적인 점 등에서 그들을 가르치고 인도했다고 『고승전』과 『진서』는 전한다. 그는 자신의 계율 준수는 물론, 석륵이나 석호와 같은 군주에게도 오계를 지킬 것을 요구했다. 석륵은 불도징에게 "'''대화상'''"이라는 칭호를 내렸고, 그의 영향으로 893개의 불사가 건립되었으며, 문도와 신도는 1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불도징은 석호에게 한인 일반 주민의 출가를 허락받았다. 당시 중원에서 불교는 외래 종교였기 때문에 이민족에 대한 포교는 묵인되었지만, 한인에 대한 포교는 허용되지 않았다.

불도징의 문하에서는 태산의 축승랑, 사천에 불교를 퍼뜨린 축법화, 동진에서 활약한 축법태 등 많은 고승이 배출되었다. 특히 석도안은 불도징의 제자로서 중국 불교의 기초를 닦았다. 선종이나 정토교로 대표되는, 후대의 실천적인 중국 불교의 원형을 불도징과 그의 제자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348년(건무 14년, 서기로는 349년) 의 궁사에서 117세로 사망했다.[10]

2. 1. 초기 생애와 중국으로의 이동

310년 쿠차에서 태어난 불도징은 불교에 입문하여 같은 해 중국으로 건너왔다.[2] 그는 낙양에 가서 사찰을 세우려 했지만, 영가의 난 등 혼란스러운 시대적 상황 때문에 실패했다.[3]

당시 중국은 서진이 멸망하고 남쪽에는 동진이, 북쪽에는 오호라 불리는 이민족들이 여러 나라를 세워 분열된 오호십육국 시대였다. 불도징은 후조의 장군 곽흑략을 통해 석륵을 만났고, 이후 석륵의 최측근 고문이 되었다.

2. 2. 후조에서의 활동과 영향력

후조석륵은 곽흑략을 통해 불도징을 만나게 되었다. 불도징은 전쟁에서 수많은 예언을 하여 석륵의 신임을 얻었다. 석륵전조의 유요를 상대로 승리할 것을 예언하였고, Jie어로 된 구절을 남겼는데, 이는 중국 연대기에 기록되어 전해진다.[3] 이 구절은 여러 출판물에서 분석되었다.[4][5][6][7][8]

불도징은 흉폭한 성격으로 알려진 석호에게도 신뢰를 얻었으며, 그들에게 고매한 교리가 아닌 일상적인 점 등을 가르치고 인도했다고 『고승전』과 『진서』는 전한다. 그는 자신의 계율을 지키는 것은 물론, 석륵이나 석호와 같은 군주에게도 오계를 지킬 것을 요구했다. 석륵은 불도징에게 '''대화상'''이라는 칭호를 내렸고, 그의 영향으로 893개의 불사가 건립되었으며, 문도와 신도는 1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불도징은 석호에게 한인 일반 주민의 출가를 허락받았다. 당시 중원에서 불교는 외래 종교였기 때문에 이민족에 대한 포교는 묵인되었지만, 한인에 대한 포교는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불도징의 노력으로 한족도 출가하여 불교를 믿을 수 있게 되었다.

2. 3. 가르침과 제자들

불도징은 명상법, 특히 아나파나스므리티(호흡에 대한 마음챙김)를 가르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9] 그는 호흡을 조절하고 마음을 평화로운 명상적 집중 상태(사마디)로 이끄는 방법으로 아나파나스므리티를 널리 가르쳤다.[9] 난화이진에 따르면, 불교는 공(空)과 유(有)에 대한 이론적 설명 외에도 진정한 영적 능력과 명상적 집중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기 때문에 불도징과 함께 중국에서 매우 활발하게 발전하기 시작했다.[9]

불도징은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신비한 힘뿐만 아니라, 계율을 굳게 지키는 생활 태도를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오계 준수는 물론, 잔혹함으로 알려진 오호의 군주 석륵석호에게도 오계 준수를 요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불도징의 제자들은 중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주요 제자로는 석도안, 축법아, 축법태, 법하, 법창 등이 있다. 특히 석도안은 중국 불교 초창기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옹호자, 번역가, 조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중국 불교의 기초를 닦는 데 크게 기여했다.[10] 그의 제자 중 여러 명이 구마라집을 도와 번역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했다.

불도징의 문하에서는 태산의 축승랑, 사천에 불교를 퍼뜨린 축법화, 동진에서 활약한 축법태 등 많은 고승이 배출되었다.

2. 4. 죽음과 유산

348년(건무 14년, 서기로는 349년), 의 궁사에서 11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불도징이 중국 불교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석호에게 한족 일반 주민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설득했다. 당시 중원 지역에서 불교는 외래 종교였기 때문에, 이민족에 대한 포교는 묵인되었지만, 한족에 대한 포교는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호족 출신이었던 석륵은 한족의 율법에 얽매이지 않고 포교를 허락했다. 둘째, 불도징의 수많은 제자 중에서 중국 불교의 기초를 닦은 '''석도안'''이 나왔다는 점이다. 축법호와 같은 번역승이 아닌, 불도징과 같은 신이승(神異僧)의 문하에서 정통적인 중국 불교의 제창자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선종이나 정토교로 대표되는, 후대 실천적인 중국 불교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그의 문하에서는 태산의 축승랑, 쓰촨에 불교를 전파한 축법화, 동진에서 활약한 축법태 등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다.[10]

3. 일화


  • 방울 소리로 길흉을 예언했다.[12]
  • 석륵의 아들을 되살렸다고 전해진다.
  • 바가지에 물을 채우고 주문을 외워 연꽃을 피워 보였다고 한다.
  • 뱃속에서 오장육부를 꺼내어 물에 씻은 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았다고 전해진다.

4. 평가

불도징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비판적 측면이 공존한다.

오호십육국 시대의 혼란 속에서도 불교를 널리 알리고 사찰을 건립하며, 한족이 출가하는 것을 허락하는 등 불교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10] 계율을 엄격히 지키도록 하여 사회 기강을 바로잡는 데 기여했다는 점도 높이 평가된다. 또한 석도안을 비롯한 훌륭한 제자들을 많이 길러내어 중국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불도징은 영적 능력을 과시하고, 오호 군주인 석륵석호 등의 비위를 맞춘 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12]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권력에 영합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의 몇몇 일화들은 미신적인 요소를 담고 있어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4. 1. 긍정적 평가

불도징은 오호십육국 시대의 혼란 속에서도 불교를 널리 알리고, 사찰을 세우고 한족이 출가하는 것을 허락하는 등 불교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10] 특히 계율을 엄격히 지키도록 강조하여 사회 기강을 바로잡는 데에도 기여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된다.

불도징은 석도안을 비롯한 훌륭한 제자들을 많이 길러내어 중국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제자들은 중국 불교의 뛰어난 학자들로, 산둥에서 쓰촨, 광둥에 이르기까지 중국 각지에 흩어져 불교를 전파했다.[10] 도안은 중국 불교 초창기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옹호자, 번역가, 조직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며, 그의 제자들은 구마라집을 도와 훌륭한 번역 작업을 수행했다.[10]

불도징은 310년에 낙양에 와서 사찰 건립을 시도했으나, 당시 혼란스러운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가 활동하던 시기는 영가의 난 등으로 서진이 멸망하고,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어 중국이 분열되어 있던 때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불도징은 후조의 장군 곽흑략을 통해 석륵을 만나게 되었고, 뛰어난 예언 능력으로 석륵과 석호의 신임을 얻었다. 그는 높은 가르침뿐만 아니라 일상에서의 가르침을 통해 그들을 이끌었으며, 특히 오계를 지키도록 강조했다. 석륵은 그에게 "'''대화상'''"이라는 칭호를 내렸으며, 불도징의 영향으로 893개의 불사가 건립되었고, 1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그의 가르침을 따랐다고 한다.

불도징은 한족의 출가를 허용하도록 이끌었다는 점에서 중국 불교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당시 중원에서 불교는 외래 종교로 여겨져 한족에 대한 포교는 허용되지 않았으나, 불도징은 출신이었던 석륵에게 한족의 율법에 얽매이지 않고 포교를 허락하도록 설득했다. 또한, 그의 제자 중에는 중국 불교의 기초를 닦은 석도안이 있었다. 선종이나 정토교와 같이 실천적인 중국 불교의 원형은 축법호와 같은 번역승이 아닌, 불도징과 같은 신이승의 문하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의 문하에서는 태산의 축승랑, 사천에 불교를 전파한 축법화, 동진에서 활약한 축법태 등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다.

4. 2. 비판적 평가

불도징은 영적 능력을 과시하고, 오호 군주인 석륵석호 등의 비위를 맞춘 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12]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권력에 영합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다.

몇몇 일화들은 미신적인 요소를 담고 있어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아래는 그 예시이다.

  • 방울 소리로 길흉을 예언했다.[12]
  • 석륵의 아들 석빈을 되살렸다.
  • 바가지에 물을 채우고 연꽃을 피워 보였다.
  • 뱃속에서 오장육부를 꺼내 물에 씻은 후 다시 집어넣었다.


이러한 일화들은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렵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경계해야 할 미신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2] 서적 Basic Buddhism: Exploring Buddhism and Zen
[3] 서적 Commercial Press
[4] 논문 "Zur Frage nach der Stellung des Tschuwassischen" (On the question of the position of the Chuvash)
[5] 학술지 Un texte proto-turc du IVe siècle: le distique hiong-nou du "Tsin-chou"
[6] 학술지 Louis Bazin: Un texte proto-turc du IVe siècle: le distique hiong-nou du "Tsin-chou" (Besprechung)
[7] 학술지 The consonantal system of Old Chinese. Part II http://www.ihp.sinic[...] 2011-02-06
[8] 문서 '"Verb forms in the language of the Turkic runiform inscriptions"' Tbilisi
[9] 서적 Basic Buddhism: Exploring Buddhism and Zen
[10] 서적 China: A History
[11] 문서 『晋書』によると天竺出身である。
[12] 서적 中華の崩壊と拡大 魏晋南北朝 講談社 20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