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범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범상어는 몸이 가늘고 길며 앞쪽이 납작한 원통형의 어류이다. 검은 고양이 상어 또는 블랙 스포닷 캣샤크라고도 불리며, 밝은 베이지색 또는 짙은 회색 바탕에 검은 반점이 몸 전체에 흩어져 있다. 수심 80~100m의 대륙붕과 산호초 지역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 서북 태평양과 서호주에 분포한다. 멸치, 청어, 갑각류 등을 먹는 육식성 어류이며, 3월에서 7월 사이에 산란한다. 현재 어업 대상은 아니지만 저층 트롤 어업 중 혼획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툽상어과 - 복상어
    복상어는 1904년 조던과 파울러에 의해 학술적으로 기술되었고, 북서 태평양 대륙붕 암초 지대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팽이상어목의 어종으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근접종으로 분류된다.
  • 1838년 기재된 물고기 - 흑점얼룩상어
    흑점얼룩상어는 인도양 및 태평양 서부의 열대,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갑각류나 경골어류를 잡아먹고 성장하면서 회갈색을 띠는 수염상어목의 어류이다.
  • 1838년 기재된 물고기 - 아구상어
    아구상어는 방추형 몸체와 넓적한 머리를 가진 육식성 상어로, 태평양과 인도양의 연안이나 산호초에 서식하며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지만 공격 빈도는 낮은 편이다.
  • 흉상어목 - 별상어
    별상어는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있는 상어로,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수은 축적 위험과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흉상어목 - 표범상어
    표범상어는 몸에 표범과 유사한 반점 무늬가 있는 까치상어과의 어류로, 서북부 태평양 대륙붕 해저와 연안에 서식하며 멸치, 청어, 새우, 게, 오징어 등을 먹는 육식성 어류이고, 6월에서 8월 사이 산란기에 난태생으로 이듬해 봄에 새끼를 낳는다.
불범상어
기본 정보
불범상어
학명Halaelurus buergeri
명명자J. P. 뮐러 & 헨레, 1838
멸종 상태EN
IUCN 적색 목록위기 (EN)
분류
Halaelurus
buergeri

2. 특징

불범상어는 몸이 가늘고 길며 앞쪽이 납작한 원통형이다. 검은 고양이 상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영어권에서는 블랙 스포닷 캣샤크(Blackspotted catshark)라고 불린다.[2]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가 좀 더 크고 배지느러미 뒷쪽에 위치한다. 몸의 빛깔은 밝은 베이지색이나 짙은 회색 바탕에 검은 반점이 몸 전체와 지느러미에 흩어져있다. 옆구리의 안장은 몸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색깔이 더 어둡지만 눈에 띄지는 않는다.[3]

머리는 둥글고 약간 함몰되어 있으며,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이 종은 수염이 없다.[3] 위턱과 아래턱에는 세 갈래의 작은 이빨이 나 있으며, 눈 뒤쪽에 분수공이 있다. 아가미구멍은 5쌍이며, 가장 뒤쪽 아가미구멍이 특히 작고 가슴지느러미 바로 위에 있다. 피부는 두텁다.[2] 먹이로는 멸치, 청어, 꽁치, 정어리, 갈치와 같은 어류들과 새우, 게, 갯가재와 같은 갑각류,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모두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3. 서식지 및 분포

불범상어는 주로 수심 80~100m의 대륙붕산호초 지역에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1][4]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을 포함하는 서북 태평양이 주요 서식지이며, 서호주까지 분포한다.[1] 호주 북부와 퀸즐랜드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논란이 있다.[3] 산란기는 3월~7월이며, 12월~4월에 암컷이 7개의 알을 낳는다.

4. 생태

5. 인간과의 관계

불범상어는 현재 어업 대상은 아니지만, 저층 트롤 어업 중 혼획될 수 있다고 IUCN 적색 목록에 언급되어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혼획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한 정책을 지지한다.

참조

[1] 간행물 "Halaelurus buergeri" 2020
[2] 웹사이트 Blackspotted catshark http://www.shark.ch/[...]
[3] 웹사이트 Blackspotted catshark (Aulohalaelurus labiosus) http://species-ident[...]
[4] 웹사이트 Halaelurus Buergeri - Blackspotted catshark http://www.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