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기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시와 음악, 웅변의 신으로, '시'를 뜻하는 단어 'bragr'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산문 에다》에 따르면, 브라기는 지혜와 언변으로 명성이 높으며, 아내는 젊음을 상징하는 여신 이둔이다. 로키와의 갈등을 겪기도 하며, 일부 학자들은 9세기의 스칼드 시인 브라기 보다손을 신격화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 문헌에서는 오딘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게임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예술의 남신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아스 - 토르
토르는 게르만 신화에서 천둥, 번개, 폭풍, 힘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이름은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목요일의 어원이 되었고, 바이킹 시대에는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문헌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등장한다. - 아스 - 발드르
발드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아들로, 가장 아름답고 현명하며 자비로운 신이지만 로키의 계략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하여 새로운 세상을 다스릴 것으로 예언된다. -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남신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브라기 |
---|
2. 어원
신명 브라기는 남성 명사 ''bragr''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시'(cf. 아이슬란드어 ''bragur'' '시, 멜로디, 지혜') 또는 '최고, 가장 고귀한'(cf. 시적 고대 노르드어 ''bragnar'' '지도자, 남자', ''bragningr'' '왕')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 신명이 의미론적으로 첫 번째 의미에서 유래했는지 두 번째 의미에서 유래했는지는 불분명하다.[1]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 따르면, 브라기는 지혜와 웅변, 언어 구사력으로 명성이 높다. 스칼드 시(skaldship)에 능통하며, 그의 이름은 '시'를 뜻하는 'bragr'의 어원이 되었다. 브라기의 아내는 영원한 젊음을 상징하는 사과를 관리하는 여신 이둔이다.[6] 《시어법》에서 브라기는 해신 에기르에게 시의 기법을 설명하는 대화 형식으로 등장한다.[7]
고대 노르드어 ''bragarfull''(맹세를 할 때 엄숙한 자리에서 마시는 잔)과의 연관성도 제시되었다.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bragr''의 두 번째 의미('최고의, 가장 고귀한')에서 의미론적으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영어 용어 ''brego''('주, 왕자')와의 관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2]
''브라기''는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스웨덴어 자료에서 인명으로 자주 나타나는데, 언어학자 얀 데 브리스에 따르면 이는 신의 이름이 이차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3]
3. 신화 속 브라기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오딘, 토르, 발드르 다음으로 브라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시어법》에서는 브라기를 "이둔의 남편", "최초의 시인", "수염이 긴 신"(그의 이름에서, 수염이 많은 남자를 수염-브라기라고 부름), "오딘의 아들"이라고 완곡하게 표현한다. 브라기가 오딘의 아들이라는 사실은 여기와 오딘의 아들들 목록의 일부 버전에서만 명확하게 언급되어 있다.
《고 에다》의 〈시그르드리파의 말〉에는 브라기의 혀를 포함한 여러 존재에 룬 문자가 새겨져 있다는 내용이 있다.[9]
스칼드 시의 《에이리크의 말》에서는 브라기가 발할라에서 에이리크 1세를, 《호콘의 말》에서는 호콘 1세를 맞이한다고 묘사되어 있다.[11]
3. 1. 로키와의 갈등
《고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에서 브라기는 로키가 신들의 연회에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 하지만, 오딘의 결정에 따라 무산된다.[1] 로키는 홀에 있는 모든 신과 여신에게 인사를 건네지만 브라기에게는 인사를 건네지 않았다. 브라기는 관대하게 칼, 말, 팔찌를 평화의 선물로 제안했지만, 로키는 브라기가 겁이 많고 홀 안에 있는 그 어떤 에시르와 엘프보다 싸움을 가장 두려워한다고 비난했다.[1] 브라기는 만약 그들이 홀 밖에 있었다면 로키의 머리를 쳤을 것이라고 응수했지만 로키는 비난을 반복할 뿐이었다.[1]
브라기의 아내 이둔이 브라기를 진정시키려 하자 로키는 그녀가 자신의 형제를 죽인 자를 껴안고 있다고 비난했는데, 이것은 전해지지 않는 사건을 언급하는 것일 수도 있다.[1]
《로키의 말다툼》에서 에기르의 종자를 죽이고 쫓겨났던 로키가 다시 나타났을 때, 브라기는 "신들이 로키에게 줄 자리는 없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로키는 오딘에게 "『나와 너는 피를 섞고, 맥주를 맛볼 때는 둘이 함께다』라고 맹세하지 않았는가"라고 따지자, 오딘은 비다르에게 늑대 (펜리르)의 아버지인 로키의 자리를 마련하게 한다.[10]
로키는 "아스 신족과 모든 신들에게 행운이 있기를, 단 한 명 저기 있는 브라기를 제외하고는"이라고 말한다. 브라기는 말과 검과 팔찌를 보여주며 "신들을 화나게 하거나 거스르지 말아야 한다"라고 타이르지만, 로키는 "신들과 요정 중에서 브라기는 가장 겁이 많은 남자다"라고 비웃었다.[10] 브라기는 "여기가 홀 밖이라면 로키에게 벌을 주고 그 목을 손에 들고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로키가 "그렇다면 밖으로 나가 싸우자"라고 도발한다. 그러자 브라기의 아내 이둔이 브라기에게 "오딘의 양자와 다투지 않도록, 로키는 입을 다물도록"이라고 타이르는 내용이 나온다.[10]
4. 스칼드 시인 브라기 보다손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산문 에다》에서 9세기 전반에 여러 스웨덴 왕과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외스테인 벨리, 비에른 아우 하우게를 섬긴 노르웨이 궁정 시인인 브라기 보다손(고대 노르드어: Bragi Boddason inn gamli)의 시를 여러 편 인용한다. 브라기 보다손은 최초의 스칼드 시인으로 여겨지며, 그의 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스칼드 시로 알려져 있다.[12]
스노리는 특히 브라기의 《라그나르스드라파》 구절들을 인용했는데, 이 시는 바이킹 영웅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기리기 위해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며, 라그나르가 브라기에게 준 방패에 그려진 그림들을 묘사한다. 그림에는 요르문간드를 낚는 토르, 게피온이 스웨덴 땅에서 셸란을 갈아 만드는 모습, 함디르와 소를리가 요르문레크 왕을 공격하는 모습, 그리고 헤딘과 호그니 사이의 영원한 전투가 포함되어 있었다.[12]
일부 연구자들은 9세기 노르웨이에서 활약한 스칼드 시인 브라기 보다손이 신격화된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야마무로 시즈카는 브라기 보다손이 신으로 여겨지기에는 시대가 너무 가깝다는 점을 들어, 이 시인이 신 브라기의 이름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2]
4. 1. 다른 스칼드 시인
'''늙은 할프단의 아들 브라기'''는 《스클라드스카파르말》에서만 언급된다. 이 브라기는 늙은 할프단 왕이 현명한 알비그, 즉 홀름가르드(노브고로드)의 에이문드 왕의 딸에게서 얻은 두 번째 아홉 아들 중 여섯 번째 아들이다. 이 두 번째 그룹의 아들들은 모두 북부의 전설적인 가문의 시조이다. 스노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브라기는 브라그닝에서 유래한다(즉, 관대한 할프단의 종족).[10]
브라그닝 종족과 관대한 할프단에 관해서는 다른 알려진 것이 없다. 그러나 ‘브라그닝’은 이 왕조 이름 중 일부와 마찬가지로, 시에서 ‘왕’ 또는 ‘통치자’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어로 자주 사용된다.[10]
5. 브라기 신격화 논쟁
일부 학자들은 9세기에 노르웨이에서 활동한 스칼드(시인) 브라기 보다손을 신격화한 존재가 브라기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야마무로 시즈카는 브라기 보다손이 신으로 여겨지기에는 시대가 너무 가깝다는 점을 들어, 이 시인이 신 브라기의 이름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12]
6. 오딘과의 관계
일부 문헌에서 브라기는 오딘(Odin)의 아들로 언급되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12] '브라기'라는 이름 자체가 오딘의 다른 이름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i Sturluson)의 ''길피의 속임수(Gylfaginning)''에는 브라기가 오딘의 아들로 묘사되어 있다. ''시어법(Skáldskaparmál)''에서도 브라기를 "오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표현이 나온다.[1]
그러나 ''로키의 말다툼(Lokasenna)''에서 브라기는 오딘의 "소원 아들"로 언급되는데, 이는 "오딘의 친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브라기의 어머니는 프리그(Frigg)일 가능성이 있다.[1]
''고대 에다(Poetic Edda)'' 시 ''시그르드리파의 말(Sigrdrífumál)''에는 브라기의 혀를 포함한 여러 사물에 룬 문자가 새겨져 있다는 묘사가 나오지만, 그 의미는 불분명하다.
''에이리크의 말(Eiríksmál)''과 ''호콘의 말(Hákonarmál)''에서는 브라기가 발할라(Valhalla)에서 죽은 왕들을 맞이하는 역할로 등장한다.[2]
7. 대중문화 속 브라기
앙상블 스튜디오의 게임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에서 브라기는 노르드 플레이어가 숭배할 수 있는 아홉 명의 부신 중 한 명이다.[3][4][5]
참조
[1]
서적
Narrative worlds, human environments, and poets: The case of Bragi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2
[2]
서적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Penguin Books
1964
[3]
웹사이트
The Minor Gods: Norse – Age of Mythology Wiki Guide – IGN
https://www.ign.com/[...]
2012-03-27
[4]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https://archive.org/[...]
[5]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Reference Manual
https://archive.org/[...]
[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7]
서적
『「詩語法」訳注』
[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1]
서적
『北欧の神話』
[12]
서적
『北欧の神話』
[13]
서적
『北欧の神話』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