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니슬라브 누시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는 1864년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난 세르비아의 극작가, 소설가, 언론인, 외교관이다. 그는 세르비아 사회의 풍자와 비판을 담은 희극으로 유명하며, 1885년 세르보-불가리아 전쟁 참전, 국왕 모독죄로 투옥, 외교관 및 공무원 경력을 거쳤다. 누시치는 1933년 세르비아 왕립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1938년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영화와 연극으로 제작되었고, 연례 코미디 페스티벌인 누시치야다가 그의 이름을 따서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계 세르비아인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왕세자로, 영국에서 태어나 군 복무와 국제 비즈니스 경력을 쌓았으며, 유고슬라비아 방문 후 귀국하여 왕가의 시민권 회복 및 재산 반환 후 세르비아에 입헌군주제 복원을 지지하며 왕실 의무를 수행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작가 - 부크 카라지치
부크 카라지치는 세르비아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로서, 세르비아어 문어 개혁, 민족 문화 발전, 구어 기반 문법 확립, 키릴 문자 표준화, 민요 및 민화 집대성에 기여하여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 확립과 유럽 학계에 세르비아 문화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세르비아의 작가 -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세르비아의 작가이자 철학자, 교육자로, 교육부 장관으로서 교육 시스템 개선에 기여하고 세르비아어 개혁을 통해 문학 발전을 이끌었으며 감자 보급으로 기근 해결에 힘썼다. - 20세기 세르비아 사람 - 안젤코 알렉시치
안젤코 알렉시치는 오스만 제국 출신의 세르비아 체트니크 지휘관으로, IMRO에 가입하여 일린덴 봉기에 참여한 후 체트니크 조직에 합류하여 오스만 제국 영토 내 작전 중 슈플리 카멘 전투에서 전사했다. - 20세기 세르비아 사람 - 니콜라 테슬라
니콜라 테슬라는 교류 전기 시스템과 유도 전동기를 개발하고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세르비아계 미국인 발명가이다.
브라니슬라브 누시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Alkibijad Nuša |
출생일 | 1864년 10월 20일 |
출생지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공국 |
사망일 | 1938년 1월 19일 |
사망지 |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왕국 |
직업 | 극작가, 풍자 작가, 수필가, 소설가 |
언어 | 세르비아어 |
국적 |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
![]() | |
작품 활동 | |
장르 | 모더니즘, 풍자, 사실주의 |
영향을 준 인물 | 니콜라이 고골, 알렉산드르 오스트롭스키 |
경력 | |
활동 기간 | 1886년-1938년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Branislav Nušić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는 1864년 10월 20일(구력 10월 8일) 베오그라드에서 '''알키비야드 누샤'''(Alchiviadi al NusharupΑλκιβιάδης Νούσας|알키비아데스 누사스el)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세르비아화된 아로마니아인 상인 조지 누시아스였고, 그의 어머니 류비차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지배 하에 있던 보스니아 출신의 세르비아인 주부였다.어린 알키비야드는 도나우강변의 항구 도시 스메데레보에서 초등 교육을 마친 후 베오그라드로 돌아와 중등 교육을 마쳤다. 1882년, 18세의 나이에 그는 법적으로 자신의 이름을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로 변경했다. 이후 베오그라드 고등 학교(훗날 베오그라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885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21세의 나이로 세르비아 왕립군에 징집되었다. 누시치의 군 복무 기간은 1885년 11월에 있었던 2주간의 세르보-불가리아 전쟁과 겹쳤는데, 그는 서부 불가리아 공국에서 세르비아 병장으로 참전하여 전쟁을 직접 겪었다.
누시치는 불가리아의 승리로 끝난 이 전쟁 동안 세르비아 최고 사령부의 행태를 비판했다. 그는 1886년에 출판된 저서 ''세르보-불가리아 전쟁의 병장 이야기''(Pripovetke jednog kaplara iz srpsko–bugarskog rata 1885sr)에서 자신의 비판적인 견해를 정리했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그라츠 대학교에서 1년간 유학했다. 1887년, 누시치는 "두 하인"(Dva rabasr)이라는 시를 발표했는데, 이 시는 세르비아 국왕 밀란 1세가 비인기 장군의 어머니 장례식에는 참석했지만, 자신의 연대기를 구하다 부상으로 사망한 미하일로 카타니치(Mihailo Katanićsr) 장교의 장례식에는 불참한 것을 조롱하는 내용이었다. 이 일로 누시치는 체포되어 ''국왕 모독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2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포자레바츠의 감옥에서 형기를 살았지만, 모범적인 수감 생활 덕분에 1년 만에 석방되었다.
2. 2. 초기 경력과 투옥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는 1864년 10월 20일 베오그라드에서 *Alchiviadi al Nusha* (Αλκιβιάδης Νούσας|알키비아데스 누사스ell)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세르비아화된 아로마니아인 상인이었고, 어머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 보스니아 출신의 세르비아인 주부였다. 어린 시절 스메데레보에서 초등 교육을 마친 후 베오그라드로 돌아와 중등 교육을 마쳤다. 1882년, 18세의 나이에 법적으로 이름을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로 변경했다. 이후 베오그라드 고등 학교에 입학하여 1885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같은 해, 21세의 나이로 세르비아 왕립군에 징집되었다. 그의 군 복무 기간은 1885년 11월에 발발한 2주간의 세르보-불가리아 전쟁과 겹쳤으며, 그는 이 전쟁에 병장으로 참전하여 직접 목격했다. 누시치는 불가리아의 승리로 끝난 이 전쟁 동안 세르비아 최고 사령부의 행태를 비판했다. 그는 1886년에 출판된 저서 ''Pripovetke jednog kaplara iz srpsko–bugarskog rata 1885srp''("1885년 세르보-불가리아 전쟁의 병장 이야기")에서 자신의 비판적 견해를 밝혔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그라츠 대학교에서 1년간 유학했다.
1887년, 누시치는 "Dva rabasrp" ("두 하인")라는 시를 발표했다. 이 시는 세르비아 국왕 밀란 1세가 인기가 없는 장군의 어머니 장례식에는 참석했지만, 자신의 연대기를 구하다 부상을 입고 사망한 장교 미하일로 카타니치(Mihailo Katanić)의 장례식에는 불참한 것을 풍자하는 내용이었다. 이 시로 인해 누시치는 체포되어 국왕 모독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2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포자레바츠의 감옥에서 복역했으나, 모범적인 수형 생활 덕분에 1년 만에 석방되었다. 1889년 감옥에서 석방된 직후, 누시치는 세르비아 외무부의 공무원으로 임용되어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2. 3. 외교관 및 공직 생활

1889년 감옥에서 석방된 직후, 누시치는 세르비아 외무부의 공무원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몇 년 후인 1893년에는 비톨라 주재 세르비아 영사의 조카인 다린카 조르제비치와 결혼했다. 1889년부터 1900년까지 약 10년간 오스만 제국 내 비톨라, 세레스, 테살로니키, 스코페, 프리슈티나에 위치한 세르비아 영사관에서 서기로 근무했다. 이 시기 그는 과거의 반전적인 입장과는 달리,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적극 지지하게 되었다.
1900년에는 교육부로 자리를 옮겨 고위 관직을 맡았고, 곧이어 베오그라드 국립 극장의 수석 극작가 겸 지배인이 되었다[19]. 1904년에는 노비사드의 세르비아 국립 극장 책임자로 임명되었으나, 1905년 저널리스트 활동을 위해 사임하고 베오그라드로 이주하여 여러 잡지의 편집자로 일했다. 그는 또한 필명 벤 아키바(Ben Akiba)로 ''폴리티카''의 feuilletonist로 활동했다.
1908년 10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자 누시치는 베오그라드에서 반(反)합스부르크 시위를 주도하며 국립 극장 발코니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르비아 영토 "약탈"을 비난하고 즉각적인 군사 행동을 촉구하는 등 적극적인 정치 활동을 벌였다.
1912년, 누시치는 다시 공무원으로 복귀하여 비톨라에서 근무했다.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세르비아가 마케도니아를 점령하고 합병하자, 1913년 2월 비톨라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검은 손을 비롯한 세르비아 군 내 초국수주의 세력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부응하지 못하면서 얼마 지나지 않아 사임해야 했다. 그럼에도 그는 스코페에 머물며 1913년 도시 최초의 극장 설립을 지원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세르비아가 점령당하자 누시치는 알바니아를 통한 세르비아군의 후퇴에 참여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탈리아, 스위스, 프랑스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종전 후 세르비아로 돌아온 누시치는 보리사브 스탄코비치, 스타니슬라브 비나버 등과 함께 교육부 예술 부서의 초대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또한 스코페 극장의 종전 후 첫 감독을 맡아 1923년까지 재직했으며, 이후 사라예보 국립 극장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사라예보에서 누시치는 필명 할릴 델리바시치로 ''Ramazanske noći'' (''라마단 밤'')를 썼다.
1933년에는 세르비아 왕립 아카데미 (후에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20].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불가리아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으며, 세르비아에서는 성 사바 훈장, 백색 독수리 훈장, 다닐로 1세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1912년, 누시치는 공무원으로 비톨라로 돌아왔다.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마케도니아 지역이 세르비아에 합병되자, 1913년 2월 누시치는 비톨라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는 검은 손과 같은 세르비아 내 초국수주의 세력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부응하지 못하면서 곧 사임해야 했다. 그럼에도 그는 스코페에 머물면서 1913년 이 도시에 최초의 극장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누시치에게 개인적인 비극을 안겨주었다. 그의 아들 스트라히냐(Strahinja)는 세르비아 군에 복무하던 중 전사했다. 누시치는 1915년 11월까지 스코페에 머물렀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불가리아 연합군이 세르비아를 침공하고 점령하자 도시를 떠나야 했다. 그는 1915년 11월부터 1916년 2월 사이에 혹독했던 알바니아를 통한 세르비아군의 후퇴에 참여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탈리아, 스위스, 프랑스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전쟁이 끝나고 유일한 아들을 잃은 슬픔 속에 세르비아로 돌아온 누시치는 교육부 예술 부서의 초대 책임자로 임명되어 작가 보리사브 스탄코비치, 스타니슬라브 비나버 등과 함께 일했다. 그는 또한 스코페 극장의 종전 후 첫 감독을 맡아 1923년까지 이끌었다. 이후 사라예보 국립 극장의 책임자로 임명되었으며, 사라예보 시절에는 할릴 델리바시치(Halil Delibašić)라는 필명으로 ''Ramazanske noći'' (''라마단 밤'')를 집필하기도 했다.
1927년, 그는 빈으로 돌아갔고, 1930년에는 영화 ''Paramount Review''에 출연하기도 했다. 1933년에는 세르비아 왕립 아카데미(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20]. 그의 희곡 ''The Bereaved Family''가 1935년 소피아에서 초연된 후, 그는 불가리아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이 외에도 그는 성 사바 훈장, 백색 독수리 훈장, 다닐로 1세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누시치는 1938년 1월 19일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다. 그의 사회 풍자 희극은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세르비아 국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극장에서 꾸준히 상연되고 있다.
2. 5. 사망
누시치는 1938년 1월 19일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다.3. 작품 세계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는 소설가보다는 극작가로서 더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희극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유머와 함께 당대 세르비아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와 비판을 담고 있어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3. 1. 사회 비판과 풍자

누시치는 소설가보다는 극작가로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소설이나 언론에 발표한 ''풍자 소설''은 때로는 도덕적이거나 세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삶의 모습을 생생하고 재미있게 그려낸다. 그는 주로 역사극과 희극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누시치는 유머와 함께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아내어, 그의 희곡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시의적절하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가장 인기 있는 희극 작품으로는 ''수상 부인''(Госпођа министарка|srp), ''수상한 인물''(Сумњиво лице|srp), ''국회의원''(Народни посланик|srp), ''유족''(Ожалошћена породица|srp), ''고인''(Покојник|srp), 그리고 ''의사''(Др|srp) 등이 있다.
누시치는 희곡을 통해 세르비아 사회, 특히 소도시와 지역 사회 중산층의 사고방식을 드러냈다. 그는 무역상, 지방 관리, 어설프게 교육받은 장교, 현직 및 전직 장관의 부인들뿐만 아니라, 한때는 명망 있었으나 야심만만한 가장, 타락한 아들, 학업에 실패한 학생, 결혼 적령기의 딸, 탐욕스러운 벼락부자 등 다양한 인물 군상을 무대에 올렸다.[3]
결론적으로, 누시치는 여러 정치 및 사회 개혁, 새로운 교육 시스템과 문화 기관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있는 세르비아 중산층의 모습과 그들의 도덕성을 포착했다. 그는 이러한 계층이 형성된 사회적 배경에도 주목했는데, 이는 실현 불가능한 욕망과 끝없는 탐욕, 왜곡된 가족 및 결혼 관계, 부모와 자식 간의 오해와 불관용, 부부간의 불성실, 관리들의 무지와 부패, 비현실적인 정치적 야망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누시치는 단순한 극작가를 넘어 동시대의 관찰자이자 해석가였으며, 특정 역사적 시기 세르비아 사회와 그 정신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3]
3. 2. 주요 작품
- 정치적 적수 (Политички противникsrp)
- 추도사 (Посмртно словоsrp)
- 계급 (Класаsrp)
- 병장의 이야기 (Приповетке једног каплараsrp) (1886)
- 셈베리아의 이보 공작 (Кнез Иво од Семберијеsrp)
- 하지-로야 (Хаџи-Лојаsrp)
- 사생아 (Находsrp)
3. 2. 1. 희극
- ''국민 의원'' (Народни посланикsrp) (1885)
- ''수상한 자'' (Сумњиво лицеsrp) (1887)
- ''특혜'' (Протекцијаsrp) (1889)
- ''평범한 남자'' (Обичан човекsrp) (1899)
- ''세상'' (Светsrp) (1906)
- ''세계 일주'' (Пут око светаsrp) (1910)
- ''여장관'' (Госпођа министаркаsrp) (1929)
- ''미스터 달러'' (Мистер Доларsrp) (1932)
- ''우예시'' (Ујежsrp) (1933)
- ''유족'' (Ожалошћена породицаsrp) (1934)
- ''박사'' (Дрsrp) (1936)
- ''고인'' (Покојникsrp) (1937)
- ''권력'' (Властsrp) (미완)
- ''조레 케르미트'' (Ђоле кермитsrp) (미완)
3. 2. 2. 소설
wikitext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비고 |
---|---|---|---|
구(郡)의 아이 | Општинско детеsrp | 1902 | 사라예보에서 Опћинско дијетеsrp(구의 아이)로 출판 |
하이두크 | Хајдуциsrp | 1933 | |
915번째 | Деветстопетнаестаsrp | ||
자서전 | Аутобиографијаsrp | 1924 |
3. 2. 3. 기타
- 《라마단의 밤》(Рамазанске вечериsrp)(1898)
- 《수사학》(Реторикаsrp)(수사학) (1934)
4. 유산 및 영향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를 기리기 위해 1968년부터 그의 이름을 딴 연례 코미디 페스티벌 누시치야다가 열리고 있다. 그의 희극 작품들은 여러 차례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어 후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영화 및 연극
- 영화 국회의원은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1885년 희극을 바탕으로 스톨레 얀코비치가 감독했으며, 1964년 보스나 필름에서 제작했다.[4]
- 국회의원 (리메이크),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희극을 바탕으로 슬라벤코 살레토비치가 감독한 텔레비전 영화는 1990년 방송사 RTB에서 제작했다.[5][6]
- 영화 수상한 사람은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1887년 희극을 바탕으로 소야 요바노비치가 감독했으며, 1954년 아발라 필름에서 제작했다.[7]
- 수상한 사람 (리메이크),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희극을 바탕으로 아르사 밀로셰비치가 감독한 텔레비전 영화는 1989년 방송사 RTB에서 제작했다.[8][9]
- 영화 내각 장관 부인은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1929년 희극을 바탕으로 조르즈 스크리그인이 감독했으며, 1958년 UFUS에서 제작했다.[10][11]
- 내각 장관 부인 (리메이크),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희극을 바탕으로 즈드라브코 쇼트라가 감독한 텔레비전 영화는 1989년 방송사 RTB에서 제작했다.[12]
- 유족은 1935년 희극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영화로, 1960년 방송사 RTB에서 제작했다.[13]
- 유족 (리메이크),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희극을 바탕으로 밀란 카라지치가 감독한 텔레비전 영화는 1990년 방송사 RTB에서 제작했다.[14][15]
- 영화 세계 일주는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1910년 희극을 바탕으로 소야 요바노비치가 감독했으며, 1964년 아발라 필름에서 제작했다.[16]
- 2011년 텔레비전 영화 알바트로스에서 배우 밀란 브라네셰비치가 브라니슬라브 누시치를 연기했다.[17][18]
- 1968년에 시작된 연례 코미디 페스티벌 누시치야다는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Sarajevo National Theatre
http://nps.ba/
[2]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3]
서적
Sabrane komedije / Branislav Nušić
Jedan tom
[4]
IMDB
A Member of the Parliament
https://www.imdb.com[...]
[5]
IMDB
A Member of the Parliament
https://www.imdb.com[...]
[6]
Youtube
A Member of the Parliament TV Film
https://www.youtube.[...]
[7]
IMDB
A Suspicious Person
https://www.imdb.com[...]
[8]
IMDB
A Suspicious Person
https://www.imdb.com[...]
[9]
Youtube
A Suspicious Person TV Film
https://www.youtube.[...]
[10]
IMDB
The Cabinet Minister's Wife
https://www.imdb.com[...]
[11]
Youtube
The Cabinet Minister's Wife Film
https://www.youtube.[...]
[12]
IMDB
The Cabinet Minister's Wife
https://www.imdb.com[...]
[13]
IMDB
Bereaved Family
https://www.imdb.com[...]
[14]
IMDB
Bereaved Family
https://www.imdb.com[...]
[15]
Youtube
Bereaved Family TV Film
https://www.youtube.[...]
[16]
IMDB
Travel Around the World
https://www.imdb.com[...]
[17]
IMDB
Albatross
https://www.imdb.com[...]
[18]
Youtube
Albatross TV Film
https://www.youtube.[...]
[19]
웹사이트
Бранислав НУШИЋ
http://www.sanu.ac.r[...]
2016-07-31
[20]
웹사이트
Легат Бранислава Нушића
http://www.mgb.org.r[...]
2016-07-31
[21]
저널
Slavic Review, 1975
https://hrcak.srce.h[...]
2019-09-25
[22]
서적
Modern Slavic Literatures: Bulgarian, Czechoslovak, Polish, Ukrainian, and Yugoslav literatures
https://books.google[...]
2019-09-25
[23]
서적
The World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Theatre: Europe
https://books.google[...]
2019-09-25
[24]
저널
Branislav Nušić
https://hrcak.srce.h[...]
2019-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