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는 브라질의 시인이자 작사가, 외교관이었다. 그는 1913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하고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시집을 출판했다. 1960년대에는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과 함께 보사노바를 창시하여 "이파네마의 소녀"와 같은 세계적인 히트곡을 만들었다. 1964년 군사 쿠데타 이후 외교관에서 해고되었지만, 바덴 파월, 토키뉴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음악 작품을 발표했다. 1980년 사망 후, 2006년 외교관으로 복권되었으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마스코트 비니시우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시인 - 마리우 지 안드라지
마리우 지 안드라지는 브라질 모더니즘 운동의 핵심 인물로, 시, 소설, 수필, 음악학, 미술 비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브라질 문화와 민족 정체성을 탐구했고, 특히 《마쿠나이마》와 《환각의 도시》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민속 음악 연구와 상파울루 문화부 소장으로서 문화 활동 지원에도 기여했다. - 브라질의 시인 -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는 브라질의 시인으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큐비즘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시를 쓰다가 브라질 북동부 지역의 사회 현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했다. - 브라질의 외교관 - 카를로스 고리토
카를로스 고리토는 브라질 출신의 방송인으로, 국제관계학 및 경제학 학사,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강용석의 고소한 19》, 《비정상회담》, 《썰전》 등에 출연했다. - 브라질의 외교관 - 호베르토 아제베두
브라질 외교관 출신 호베르투 아제베두는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발리 패키지 합의를 이끌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 시기 소극적 대응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브라질의 음악가 - 아이르투 모레이라
브라질 출신의 재즈 타악기 연주자이자 드러머인 아이르투 모레이라는 삼바란소 트리오 활동 후 미국에서 재즈 퓨전의 선구자들과 협업하며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솔로 및 아내 플로라 푸림과의 협업, 영화 음악, 교육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브라질의 음악가 - 사보타지 (래퍼)
브라질 래퍼 사보타지는 2001년 데뷔 앨범 발매 후 빈민가의 현실을 담은 음악과 사회 비판 가사로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 출연 등으로 활동하다 2003년 사망 후 2016년 유작 앨범이 발매되었다.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다 크루스 이 멜루 모라이스 |
출생 | 1913년 10월 19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사망 | 1980년 7월 9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직업 | 시인 작사가 수필가 극작가 외교관 |
모교 | 리우데자네이루 연방대학교 |
사조 | 모더니즘 |
기타 이름 | 오 포에치냐 (O Poetinha, 작은 시인) 오 지플로마타 (O Diplomata, 외교관) |
존칭 | 각하, 대사님 (Vossa Excelência, o Embaixador) |
음악 경력 | |
장르 | 보사노바 |
로마자 표기 | |
포르투갈어 | Marcus Vinicius da Cruz e Mello Moraes |
포르투갈어 | Vinicius de Moraes |
포르투갈어 | O Poetinha |
IPA (포르투갈어-브라질) | viˈnisjuʒ dʒi moˈɾajʃ |
2. 생애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공무원인 아버지와 주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접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청년 시절에는 리우데자네이루 주립 대학교에서 법학, 사회과학을 전공하면서 시를 지었고 1933년에는 첫 문학 작품을 발표했다.
1936년에는 브라질 교육보건부에서 영화 검열 업무를 맡았으며 1938년에는 영국 문화원을 통해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했다. 1941년 브라질로 귀국하면서 브라질 정부 산하 금융 기관의 직원으로 일하는 한편 문예 활동이나 언론인으로서의 활동을 계속했다.
1943년 브라질 외무부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면서 미국 로스앤젤레스 주재 브라질 영사관에서 근무했고 프랑스, 우루과이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했다. 시 창작, 비평 활동을 계속하면서 브라질 문학계에 널리 알려졌고 브라질 정부의 문화 진흥 활동에 나섰다. 1950년대 후반에는 유네스코 주재 브라질 대사로 근무했다.
1960년대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을 만나면서 시인, 작곡가로 활동했다. 리우데자네이루의 청년 음악가들과 만나면서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인 보사노바를 창조했다. 1962년에는 《이파네마에서 온 소녀》라는 노래를 발표했다.
1964년 브라질에서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인해 군사 정권이 출범하면서 좌파 성향이라는 이유로 외교 관련 요직에서 배척받았고 1969년에는 알코올 의존증이라는 표면상의 이유로 브라질 외무부에서 해고당하고 만다. 만년까지 음악 분야에서 활동을 계속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 마스코트인 비니시우스는 여기서 유래된 이름이다.
1916년 그의 가족은 보타포구로 이사했고, 코파카바나 요새 반란을 피해 고베르나도르 섬으로 이사했다. 그는 학교를 마치기 위해 보타포구에 있는 할아버지 집에 머물렀고, 주말과 공휴일에 부모님을 방문하면서 작곡가 아리 바호수와 친분을 쌓았다.
시적 재능이 뛰어나고, 여러 외국어를 구사하는 등 매우 다재다능한 능력을 발휘하는 한편, 그 생애에 9번의 결혼과 이혼을 반복했으며, 애주가[21]였다. 까다로운 성격으로 여러 기행을 남겼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공무원 아버지와 주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모 모두 음악에 능통하여,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접하는 환경에서 성장했다. 청년 시절에는 리우데자네이루 주립 대학교에서 법학, 사회과학을 전공하면서 시를 썼고, 1933년에는 첫 문학 작품을 발표했다.[3]1936년에는 브라질 교육보건부에서 영화 검열 업무를 맡았으며, 1938년에는 영국 문화원의 지원으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했다.[9] 매들린 칼리지에서 영어와 문학을 공부하며, 자유시와 무운시를 버리고 소네트를 연마했다. 그는 1930년대와 1940년대 브라질 작가 그룹인 "45년 세대"의 가장 저명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초기 모더니즘을 거부하고 전통적인 형식과 어휘를 선호했다.[10] 옥스퍼드 유학 중에는 파시즘을 지지하는 우파에서 좌파로 전향했다.[13]
1924년부터 모라이스는 예수회 고등학교인 성 이그나티우스에 다녔고, 1929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리우데자네이루 연방대학교(UFRJ) 법학부에 입학했다.[3] 1933년 법학 및 사회 과학 학위를 받았으며, 그 직후 두 권의 시집 ''Caminho para a distancia'' ("거리에 이르는 길")과 ''Forma e exegese'' ("형태와 해석")을 출판했다. 이 시집들은 가톨릭 신비주의와 성적 유혹으로부터의 구원을 찾는 것을 다룬 상징주의 시였다.[5]
2. 2. 외교관 경력 및 문학 활동
1943년 브라질 외무부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미국 로스앤젤레스 주재 브라질 영사관에서 근무했고, 프랑스와 우루과이에서도 외교관으로 근무했다.[15] 외교관 근무 중에도 시 창작 및 비평 활동을 계속하여 브라질 문학계에 널리 알려졌으며, 브라질 정부의 문화 진흥 활동에도 참여했다. 1950년대 후반에는 유네스코 주재 브라질 대사를 역임했다.[15]2. 3. 보사노바와 음악 활동
1960년대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을 만나 시인, 작곡가로 활동했다. 리우데자네이루의 청년 음악가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인 보사노바를 창조했다. 1962년 《이파네마에서 온 소녀》를 발표했다.[1]1957년 모라이스가 작사하고 조빙이 작곡한 주앙 지우베르투의 "상념에 젖어" (1959년 녹음)는 보사노바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다.
1956년 전위적인 희곡 『오르페우 다 콘세이상』(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이야기를 리우데자네이루로 옮긴 작품)을 집필했다. 이 희곡은 1959년 프랑스-브라질 합작 영화 『흑인 오르페(Orfeu Negro)』(마르셀 카뮈 감독), 1999년 브라질 영화 『오르페』(카를루스 지에기스(카카 지에기스) 감독)의 원작이다.
조빙과 함께 보사노바 초기 주요 곡들의 작사를 담당했으며, 1962년 "이파네마에서 온 소녀"까지 협업했다.
1960년대 이후 바덴 파웰과 토키뉴 등 여러 뮤지션들과 공동 작업을 통해 삼바(삼비냐)나 아프로 삼바 등 토착적인 음악 작품을 발표했다. "비린바우" 등이 대표적이다. 1960년대 프랑스 파리에서 프랑시스 레이나 피에르 바루 등에게 보사노바를 가르쳐 "프렌치 보사"를 탄생시켰다고도 한다. 1962년 이후 가수로도 활동하며 독특한 창법을 선보였다.[21]
2. 4. 군사 정권 시기 및 이후 활동
1964년 브라질에서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 군사 정권이 들어서면서, 모라이스는 좌파 성향이라는 이유로 외교 관련 요직에서 밀려났다. 1969년에는 알코올 의존증을 표면적인 이유로 브라질 외무부에서 해고되었다.[15] 이후 그는 음악 분야에서 활동을 계속했다.1960년대와 1970년대에 모라에스는 바덴 파웰과 협력하여 ''아프로 삼바스''로 알려진 일련의 곡들을 제작했다. 그는 에두 로보와 함께 엘리스 레지나의 히트곡 "Arrastão"을 만들기도 했다.
1970년대에 모라에스는 토키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인 안토니오 페치 필료와 음악 및 문학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 그는 세 번 더 결혼했는데, 크리스티나 구르지앙과 결혼하여 딸 마리아를 낳았고, 배우 게세 게시와 결혼했으며, 아르헨티나인 마르타 로드리게스 산타마리아와 결혼했다.[1] 그는 치코 부아르케 및 나라 레앙과 함께 유럽을 순회 공연했고, 도리발 카이미와 오스카 카스트로-네베스와 함께 아르헨티나를 순회 공연했다. 그의 가장 안정적인 음악적 파트너십은 토키뉴와 함께였으며, 그들은 함께 인기 있는 앨범들을 발매했다. 브라질과 유럽에서 그들의 라이브 공연은 종종 대중과 친밀한 만남으로 진행되었다. 모라에스는 체크무늬 식탁보가 덮인 테이블과 위스키 한 병을 무대 위에 놓고,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및 포르투갈어로 관객에게 이야기를 하며 웃음을 자아냈다.
모라이스는 9번의 결혼과 이혼을 반복할 정도로 "사랑이 많은 남자"였으며, 애주가[21]이자 애연가였다. 까다로운 성격으로 여러 기행을 남기기도 했다.
2. 5. 사망 및 유산
Vinícius de Moraespt는 애연가이자 알코올 중독자였으며, "위스키는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다. 병에 든 개다"라고 말했다.[16][17] 재활 클리닉을 여러 번 방문하는 등 오랫동안 건강이 좋지 않았던 그는 1980년 7월 9일, 아홉 번째 아내 질다 지 케이로스 마토소, 그리고 그의 오랜 음악적 동반자 토키뉴와 함께 리우데자네이루 자택에서 6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의 상 조앙 바티스타 묘지에 안장되었다.2006년, 모라이스는 사후에 브라질 외교관으로 복권되었다. 2010년 2월, 브라질 하원은 그의 사후 대사 승진을 승인했다.[18]
2014년 12월, 3주간의 대중 투표를 거쳐 2016년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가 그를 기려 '비니시우스'로 명명되었다.[19][20]
3. 주요 작품
모라이스의 희곡 ''오르페우 다 콘세이상''은 리우 카니발을 배경으로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이야기를 각색한 작품이다. 1959년 아카데미상 외국어 영화 부문에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흑인 오르페우스''로 각색되었으며,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1960년 영국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모라이스는 이 영화를 싫어하여 상영 중간에 자리를 뜨면서 자신의 연극이 "훼손되었다"고 외쳤다. 이 영화는 개봉 이후 브라질인에 대한 이국주의적 묘사와 고정관념으로 인해 브라질에서 비판을 받았다. 이 영화는 프랑스, 이탈리아, 브라질의 합작 영화였으며, 조빔과 모라이스가 작곡한 "A felicidade"("행복")이 수록되어 국제적인 히트곡이 되었다. 그의 노래 "Samba da bênção" ("축복의 삼바")는 또 다른 칸 영화제 수상작인 ''남과 여(Un homme et une femme, 1966)''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모라에스는 바덴 파웰과 협력하여 ''아프로 삼바스''로 알려진 일련의 곡들을 제작했다. 그는 에두 로보와 협력하여 엘리스 레지나의 히트곡 "Arrastão"을 만들었다. 1970년대에는 토키뉴라는 별명을 가진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인 안토니오 페치 필료와 음악 및 문학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
다음은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주요 작품(음반) 목록이다.
연도 | 앨범 | 협업 | 레이블 |
---|---|---|---|
1956 | Orfeu da Conceição | 톰 조빔 | 오데온 |
1963 |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와 오데트 라라 | 오데트 라라, 바덴 파월 | 엘렌코 |
1965 | 치루 몬테이루를 위한 비니시우스와 바덴 특별 헌정 | 바덴 파월 | 엘렌코 |
1965 | 줌 줌의 비니시우스와 카이 미 | 도리발 카이 미 | 엘렌코 |
1966 | Os Afro-sambas | 바덴 파월 | 엘렌코 |
1966 | 비니시우스: 시와 노래 | 포르마 | |
1967 | 가로타 지 이파네마 (영화 사운드트랙) | 필립스 | |
1967 | 비니시우스 | 엘렌코 | |
1969 | 포르투갈의 비니시우스 | 페스타 | |
1970 | En La Fusa con Maria Creuza y Toquinho | 마리아 크루자, 토키뉴 | 디오라마 |
1970 | 아말리아/비니시우스 | 아말리아 로드리게스 | |
1971 | 시인처럼... | 토키뉴, 마릴리아 메달라 | RGE |
1971 | 토키뉴와 비니시우스 | 토키뉴 | RGE |
1971 | 라 푸사에서 | 마리아 베타니아, 토키뉴 | 트로바 |
1972 | 마릴리아/비니시우스 | 마릴리아 메달라 | RGE |
1972 | 우리의 딸 가브리엘라 | 토키뉴 | 폴리도르 |
1972 | 이 삶의 위험은 너무 많다 | 토키뉴 | RGE |
1973 | 오 벤 아마다 | 솜 리브레 | |
1974 | 비니시우스 & 토키뉴 | 토키뉴 | 필립스 |
1974 | 사라바 비니시우스! | 콰르테투 엠 시, 토키뉴 | 머큐리 |
1975 | 비니시우스/토키뉴 | 토키뉴 | 필립스 |
1975 | 시인과 기타 | 토키뉴 | RGE |
1976 | 'La voglia, la pazzia, lincoscienza, lllegria | 오르넬라 바노니, 토키뉴 | 바닐라 |
1976 | 신께서 당신께 갚으시길 | 에두 로보 | EMI |
1977 | 시선집 | 필립스 | |
1977 | 톰, 비니시우스, 토키뉴와 미우차 | 톰 조빔, 토키뉴, 미우차 | 솜 리브레 |
1979 | 토키뉴와 비니시우스의 10년 | 토키뉴 | 필립스 |
1980 | 약간의 환상 | 토키뉴 | 아리오라 |
1980 | Testamento... | RGE | |
1980 | 노아의 방주 | 토키뉴 | 유니버설 |
1981 | 노아의 방주 2 | 토키뉴 | 폴리그램 |
1991 | 시인, 소녀와 기타 | 클라라 누네스, 토키뉴 | 컬렉터스 에디토라 LTDA |
2006 | 비니시우스 & 아미고스 | Seleções/Reader's Digest | |
2015 | 오 봉 구르메에서의 만남 | 조앙 질베르토,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 | 독시 |
3. 1. 문학
1933년에 첫 작품을 발표했다.[21] 시 창작 및 평론 활동을 지속하며, 전위파 시인의 대표적인 존재로 브라질 문학계에 알려졌다. 정부 내에서도 발탁되어 문화 진흥 활동에 매달렸으며, 1950년대 후반에는 브라질 유엔 대사도 역임했다.[21]다음은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주요 문학 작품 목록이다.
작품명 | 발표 연도 |
---|---|
Caminho para a distancia | 1933 |
Forma e exegese | 1933 |
Novos poemas | 1938 |
Cinco elegias | 1943 |
Poemas, sonetos e baladas | 1946 |
Livro de sonetos | 1950 |
Novos poemas II | 1950 |
3. 2. 희곡
1956년 전위적인 희곡 《오르페우 다 콘세이상》(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이야기를 리우데자네이루로 옮긴 작품)을 집필했다.[21] 이 희곡은 1959년 프랑스-브라질 합작 영화 《흑인 오르페(Orfeu Negro)》(마르셀 카뮈 감독)와 1999년 브라질 영화 《오르페》(카를루스 지에기스 감독)의 원작이 되었다.3. 3. 작사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과 협업하여 시인과 작곡가로 활동했다. 1957년 주앙 지우베르투가 "상념에 젖어"를 녹음했는데, 이 곡은 모라이스가 작사하고 조빙이 작곡한 곡으로 보사노바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기록된다.[21] 조빙과 함께 보사노바 초기의 주요 곡들을 작사했으며, 1962년 "이파네마의 소녀"까지 협업이 이어졌다.-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과의 공동 작품
- * 체가 지 사우다지 (Chega de Saudade / ''더 이상 슬픔은 없어'')
- * 아 펠리시다지 (A felicidade / ''안녕, 슬픔'')
- * 인센사테스 (Insensatez/ ''얼마나 무심한가'')
- * 아구아 지 베베르 (Água de Beber / ''마실 물'')
- * 이파네마의 소녀 (A Garota de Ipanema / ''이파네마의 아가씨'')
1960년대 이후에는 바덴 파웰, 토키뉴 등과 협업하며 삼바, 아프로 삼바 등 토착적인 감각을 중시한 음악을 발표했다. "비린바우" 등이 이 시기의 대표곡이다.[21]
- 바덴 파웰과의 공동 작품
- * 베린바우 (Berimbau)
- * 칸투 지 오사냐 (Canto de Ossanha)
1970년대에는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인 토키뉴(안토니오 페치 필료)와 음악 및 문학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1] 토키뉴는 그의 가장 안정적인 음악적 파트너였으며, 함께 인기 앨범을 발매했다.
- 토키뉴와의 공동 작품
- * 톰에게 보내는 편지 74년 (Carta ao Tom 74 / ''톰에게 보내는 편지 74'')
치코 부아르키, 나라 레앙과 함께 유럽 투어를, 도리발 카이미, 오스카 카스트로-네베스와 함께 아르헨티나 투어를 했다.
- 토키뉴 및 시코 부아르키와의 공동 작품
- * 삼바 지 오를리 (Samba de Orly)
4. 음반 목록
연도 | 앨범 | 협업 | 레이블 |
---|---|---|---|
1956 | Orfeu da Conceição | 톰 조빔 | 오데온 |
1963 |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와 오데트 라라 | 오데트 라라, 바덴 파월 | 엘렌코 |
1965 | 치루 몬테이루를 위한 비니시우스와 바덴 특별 헌정 | 바덴 파월 | 엘렌코 |
1965 | 줌 줌의 비니시우스와 카이 미 | 도리발 카이 미 | 엘렌코 |
1966 | Os Afro-sambas | 바덴 파월 | 엘렌코 |
1966 | 비니시우스: 시와 노래 | 포르마 | |
1967 | 가로타 지 이파네마 (영화 사운드트랙) | 필립스 | |
1967 | 비니시우스 | 엘렌코 | |
1969 | 포르투갈의 비니시우스 | 페스타 | |
1970 | En La Fusa con Maria Creuza y Toquinho (스페인어 제목: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마리아 크루자와 토키뉴와 녹음) | 마리아 크루자, 토키뉴 | 디오라마 |
1970 | 아말리아/비니시우스 | 아말리아 로드리게스 | |
1971 | 시인처럼... | 토키뉴, 마릴리아 메달라 | RGE |
1971 | 토키뉴와 비니시우스 | 토키뉴 | RGE |
1971 | 라 푸사에서 | 마리아 베타니아, 토키뉴 | 트로바 |
1972 | 마릴리아/비니시우스 | 마릴리아 메달라 | RGE |
1972 | 우리의 딸 가브리엘라 | 토키뉴 | 폴리도르 |
1972 | 이 삶의 위험은 너무 많다 | 토키뉴 | RGE |
1973 | 오 벤 아마다 | 솜 리브레 | |
1974 | 비니시우스 & 토키뉴 | 토키뉴 | 필립스 |
1974 | 사라바 비니시우스! | 콰르테투 엠 시, 토키뉴 | 머큐리 |
1975 | 비니시우스/토키뉴 | 토키뉴 | 필립스 |
1975 | 시인과 기타 | 토키뉴 | RGE |
1976 | 'La voglia, la pazzia, lincoscienza, lllegria | 오르넬라 바노니, 토키뉴 | 바닐라 |
1976 | 신께서 당신께 갚으시길 | 에두 로보 | EMI |
1977 | 시선집 | 필립스 | |
1977 | 톰, 비니시우스, 토키뉴와 미우차 | 톰 조빔, 토키뉴, 미우차 | 솜 리브레 |
1979 | 토키뉴와 비니시우스의 10년 | 토키뉴 | 필립스 |
1980 | 약간의 환상 | 토키뉴 | 아리오라 |
1980 | Testamento... | RGE | |
1980 | 노아의 방주 | 토키뉴 | 유니버설 |
1981 | 노아의 방주 2 | 토키뉴 | 폴리그램 |
1991 | 시인, 소녀와 기타 | 클라라 누네스, 토키뉴 | 컬렉터스 에디토라 LTDA |
2006 | 비니시우스 & 아미고스 | Seleções/Reader's Digest | |
2015 | 오 봉 구르메에서의 만남 | 조앙 질베르토,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 | 독시 |
5. 평가 및 영향
모라에스는 브라질 대중음악, 특히 보사노바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시적인 가사와 아름다운 멜로디는 전 세계 음악 애호가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으며, 그의 작품은 브라질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이파네마의 소녀"를 비롯한 그의 노래들은 보사노바의 정수로 꼽힌다.[19][20]
1964년 브라질 쿠데타 이후 좌익적인 성향으로 인해 외교관 직에서 해고되었지만,[21] 음악 활동을 통해 브라질 문화의 정체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의 대회 마스코트인 '비니시우스'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22]
그는 파시즘 지지에서 좌파로 전향한 인물로, 그의 정치적 성향은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Vinícius de Moraes - Biografia
http://www.releitura[...]
[2]
웹사이트
Vinicius de Moraes: Biography and Poems {{!}} Brazilian Poetry
https://www.brazilia[...]
2021-05-28
[3]
웹사이트
Vinicius de Moraes
http://www.viniciusd[...]
[4]
웹사이트
Abril.com -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Vinicius de Moraes - parteI
http://educaterra.te[...]
[6]
웹사이트
Academia Brasileira de Letras
http://www.academia.[...]
[7]
서적
Vinicius de Moraes - O Poeta da Paixao
Cia. das Letras
1994
[8]
웹사이트
Both available at
https://web.archive.[...]
2017-09-17
[9]
웹사이트
Culture: A poem by Vinicius de Moraes
https://web.archive.[...]
2001-12-31
[10]
서적
Historia Concisa da Literatura Brasileira
https://books.google[...]
Cultrix
1997
[11]
서적
Historia Concisa
[12]
서적
Historia Concisa
[13]
웹사이트
Vinicius de Moraes
http://www.tirodelet[...]
2018-09-02
[14]
웹사이트
Life section
[15]
뉴스
Vinícius: vida boêmia vigiada de perto
O Globo
2009-06-28
[16]
서적
Vinicius sem ponto final
Saraiva
1994
[17]
웹사이트
Brazil - BRAZZIL - Vinicius de Moraes Poet Emmeritus - Brazilian Culture - Cover May 1999
http://www.brazzil.c[...]
[18]
뉴스
Câmara aprova promoção de Vinicius de Moraes, morto em 1980, a ministro de primeira classe
http://oglobo.globo.[...]
2010-02-10
[19]
웹사이트
Rio 2016 Olympic and Paralympic mascots named Vinicius and Tom by public vote
https://web.archive.[...]
2014-12-14
[20]
웹사이트
What Does Vinicius Mean? The Rio Olympics Mascot Pays Tribute To A Famous Brazilian
http://www.bustle.co[...]
2016-07-30
[21]
문서
빈시우스 드 모라이스의 일화
[22]
뉴스
五輪=2016年リオ大会、マスコット名は「ビニシウス」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4-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