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 단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영리 단체는 공익 또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조직으로, 정부가 제공하지 못하는 공공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비영리 단체는 법적 분류를 위해 경영 규정, 책임 및 감사 규정, 정관 개정 규정, 단체 해산 규정, 기부자 및 설립자의 세금 지위 등 다양한 요소를 갖추어야 하며, 대부분의 국가는 비영리 단체의 설립 및 운영을 규제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비영리 단체는 공익 추구 단체와 공익 추구 단체로 나뉘며, 한국에서는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에 따라 정의되고 지원받는다. 비영리 단체는 창업자 증후군, 자원 관리 부실, 인재 확보 경쟁 등의 문제점에 직면하며, 온라인 활동을 통해 소통을 시도한다. 미국, 일본, 중국, 영국, 프랑스 등 여러 국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비영리 단체가 존재하며, 각기 다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적 경제 - 사회 자본
사회 자본은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 관계망을 통해 얻는 유·무형 자원으로, 사회적 관계 변화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사회적 경제 - 공정 무역
공정 무역은 투명성, 존중, 대화를 기반으로 국제 무역의 공정성을 높이고 경제적으로 불리한 생산자와 노동자의 권익 보호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원하는 협력적 거래 관계이다. - 비영리 단체 - 랜드 연구소
랜드 연구소는 1948년 미 육군 항공대와 더글러스 항공사의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미국의 비영리 싱크탱크로,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며 국방, 안보, 보건, 교육 등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비영리 단체 - 국민총력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은 1940년 일제가 중일 전쟁 수행을 위해 조선인을 통제하고 동원할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조선인과 조선 거주 일본인을 가입시켜 황민화 사상을 주입하고 징병, 징용, 공출 등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는 활동을 펼쳤으나, 1945년 해체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서 비판받는다.
비영리 단체 | |
---|---|
비영리 단체 | |
정의 및 분류 | |
설명 | 공익을 위해 운영되는 조직 |
성격 | 비정부 조직(NGO) 자선 조직(Charitable organization) |
목적 | 공익 증진 사회적 이익 실현 |
특징 | 이윤 추구 금지 재정적 이익을 회원이나 소유자에게 분배하지 않음 운영 이익을 조직의 목적 달성에 재투자 정부 기관이 아님 |
명칭 | 비영리 조직 비영리 단체 비영리 법인 |
법적 구조 |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다름 |
주요 활동 | 교육 의료 환경 보호 사회 복지 문화 예술 |
재원 조달 방법 | 기부금 정부 보조금 회원 회비 자체 수익 사업 |
조직 구조 | 이사회 위원회 직원 및 자원 봉사자 |
법적 고려 사항 | |
세금 면제 | 대부분의 국가에서 세금 감면 또는 면제 혜택을 받음 |
규제 | 국가별 법률 및 규정 준수 필요 |
투명성 | 재정 및 운영의 투명성 요구 |
유형 | |
다양한 형태 | 자선 재단 협회 클럽 시민 단체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비영리 조직 (NPO) 비영리 단체 시민 사회 조직 (CSO) 자선 단체 |
기타 | |
참고 | 비영리 단체와 비영리 조직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나, 법적 정의와 세금 적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2. 비영리단체의 유형
비영리단체는 크게 공익(公益,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와 공익(共益,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로 나눌 수 있다.
비영리단체는 영리단체와 달리, 사업을 통해 얻은 이익을 주주 등 출자자에게 배분하지 않는다. 비영리단체도 수익 사업을 할 수 있으며,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금지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발생한 수익을 구성원에게 배분하지 않고 단체의 설립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다. 비영리단체는 법인격 유무와 관계없이 설립할 수 있다.
비정부 기구(NGO)는 대부분 비영리단체이지만, 법인 회사 등의 영리단체도 NGO가 될 수 있다.[42]
2. 1. 공익 추구 단체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이다. 사회적 지원 활동, 교육, 의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조직 예시: 사회적 지원 활동 단체, 학교, 병원, 요양 시설, 직업 훈련 시설, 묘지 등의 운영 단체 등이 있다.
- 법인 예시: 재단법인, 사단법인, 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직업훈련법인, 종교법인 등이 있다.[42]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공동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동창회나 사업자 단체 등이 공익성을 주장하며 재단법인 또는 사단법인으로 설립된 경우도 많다.
2. 2. 공익 추구 단체
비영리 단체는 공익(公益, 사회 전체의 이익)성을 갖는 것과 공익(共益, 공동의 이익)성을 갖는 두 종류가 있다. 공익 추구 단체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공동의 이익(共益)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다.3. 한국의 비영리단체
한국에서는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에 따라 비영리민간단체를 정의하고 지원한다.[44] 종래 민법에 의해 설립된 공익법인은 특수재단법인으로서, 2013년까지 일반사단법인, 일반재단법인, 공익재단법인, 공익사단법인으로 전환해야 했다.
3. 1. 한국의 비영리단체 관련 문제점
대한민국 민법은 비영리단체 설립에 대해 허가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주무관청의 재량에 따라 설립 허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인가 제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설립의 어려움: 주무관청의 재량에 따라 허가가 거부될 수 있어, 비영리단체 설립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 관 주도 단체 난립: 정부 부처가 산하 비영리단체를 경쟁적으로 설립하면서 유사한 성격의 단체가 난립할 수 있다. 이는 예산 낭비와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 정치적 악용 가능성: 정부가 비영리단체 설립 허가를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부에 비판적인 단체의 설립을 막거나, 친정부 단체 설립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악용될 수 있다.
4. 다른 나라의 비영리단체
다른 나라의 비영리단체 제도와 현황은 다음과 같다.
- '''미국'''의 경우, 2017년 기준 약 4100억달러의 사설 자선 기부금이 조성되었으며, 종교, 교육, 인간 서비스 단체 순으로 기부금을 많이 받았다. 미국인의 약 25.3%가 비영리 단체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한다.[4][5] 미국에서는 Non-profit organization|비영리 단체영어와 Not-for-profit organization|비영리 단체영어(NFPO)를 구분한다. NFPO는 소유주에게 이익을 주지 않지만 공익을 위해 운영해야 할 의무는 없다. 반면 비영리 단체는 지역 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일본'''의 경우, 사업 종류에 따라 법령에 의해 조직 형태가 규정되며, 행정의 허가·인가 및 관치적 감독을 받는다.[1] 의료법인, 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등 다양한 법인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법인은 “인가법인”으로 통칭되기도 한다.[1] 일본의 인가 제도는 분절되어 있어 비영리 단체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방해하기도 한다.
- '''중국'''에서는 '사회단체등기관리조례'에 따른 사회단체, '민법 비기업단위등기관리잠행조례'에 따른 '민법 비기업 단위', '기금회관리조례'에 따른 기금회 등이 있다. 이들 단체는 정부 부처에 등기 허가를 받아야 하며, 운영에 있어서도 간섭을 받는다. 하지만, 민법 비기업 단위 등은 자체 자금이나 재무 기반을 가지고 자주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보조금이나 법적 지원 제도에 의존하며 행정으로부터 실질적인 지배를 받는 일본의 인가 법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 '''영국'''에서는 2004년 회사법에 의해 공익회사(:en:Community interest company) 제도가 설립되어, 설립 및 운영에 대해 소관 부처의 지도를 받는다. 칙허장(:en:Royal charter)을 받아 설립된 "칙허장 준거 법인"이라는 특수한 법인 종류도 있다.
- '''프랑스'''에서는 아소시아시옹(비영리 단체)이 국가로부터 사업 공익성에 대한 인가를 받음으로써 “공익 인정 비영리 사단”(association reconnue d’utillité publique)이라는 법인 종류가 된다.
4. 1. 미국
미국 국립 자선 통계 센터(NCCS)에 따르면, 미국에는 공익 자선 단체, 사설 재단 등을 포함하여 150만 개가 넘는 비영리 단체가 등록되어 있다.[4] 2017년에는 사설 자선 기부금이 약 4100억달러로 증가했으며, 이 중 종교 단체가 30.9%, 교육 단체가 14.3%, 인간 서비스 단체가 12.1%를 받았다.[4] 2010년 9월부터 2014년 9월까지 16세 이상 미국인의 약 25.3%가 비영리 단체에서 자원봉사를 했다.[5]미국에서는 비영리 단체와 Not-for-profit organization|비영리 단체영어(NFPO) 모두 조세 면제를 받는다. 501(c)(3) 단체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비영리 면제가 있다. 501(c)(3) 단체는 종교적, 자선적, 교육적 기반의 단체로서 주 및 연방 입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501(c)(7) 단체는 오락, 레크리에이션 등을 위한 단체이다.[6]
미국에서는 Non-profit organization|비영리 단체영어와 Not-for-profit organization|비영리 단체영어(NFPO)는 구분된다. NFPO는 소유주에게 이익을 주지 않고 단체 운영에 돈을 쓰지만, 공익을 위해 운영해야 할 의무는 없다. 예를 들어, 회원들의 즐거움을 목적으로 하는 클럽이 있다.[3] 신용조합, 스포츠 클럽 등이 NFPO의 예시이다. 비영리 단체는 지역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원조 및 개발 프로그램, 의학 연구, 교육 및 보건 서비스 등이 있다.
4. 2. 일본
일본의 경우, 사업 종류에 따라 법령에 의해 조직 형태가 규정되며, 행정의 허가·인가를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수시로 행정의 관치적 감독을 받는다.[1]인가 등을 필요로 하는 주요 법인은 다음과 같다.[1]
법인 종류 | 관련 법률 | 행정 절차 |
---|---|---|
의료법인 | 의료법 제44조 | 인가 |
학교법인 | 사립학교법 제30조 | 인가 |
사회복지법인 | 사회복지법 제31조 | 인가 |
직업훈련법인 | 직업능력개발촉진법 제35조 | 인가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제57조 | 인가 |
종교법인 | 종교법인법 제12조 | 인증 |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 특정 비영리 활동 촉진법 제10조 | 인증 |
공익 사단법인·공익 재단법인 | 공익사단법인 및 공익재단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 | 인정 |
이러한 법인은 “인가법인” 등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법인 종류가 다양하고 분절된 일본의 인가 제도는 종종 비영리 단체의 あり方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방해하고 있다.[1]
4. 3. 중국
중국에서는 '사회단체등기관리조례'에 따른 사회단체, '민법 비기업단위등기관리잠행조례'에 따른 '민법 비기업 단위', '기금회관리조례'에 따른 기금회 등이 있다. 이들 단체는 사업 설립 및 운영 시 정부 부처에 등기 허가를 받아야 하며, 운영에 있어서도 소관 부처로부터 유형·무형의 간섭을 받는다.하지만 특히 20세기 말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한 민법 비기업 단위 등은 자체 자금이나 재무 기반을 가지고 자주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보조금이나 법적 지원 제도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보조금 지급 권한 등에 따라 행정으로부터 실질적인 지배를 받는 일본의 인가 법인과는 다른 양상이다.
4. 4. 영국
영국에서는 2004년 회사법에 의해 공익회사(:en:Community interest company) 제도가 설립되어, 설립 시 등기 허가 외에 운영에 대해서도 소관 부처의 지도를 받는다.영국 제국 영토 내 대학이나 학술 협회 등 단체는 국왕으로부터 칙허장(:en:Royal charter)을 받아 설립된 "칙허장 준거 법인"(body incorporated by Royal Charter)이라는 특수한 법인 종류도 있다.
4. 5.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아소시아시옹(비영리 단체)이 국가로부터 사업 공익성에 대한 인가를 받음으로써 “공익 인정 비영리 사단”(association reconnue d’utillité publique)이라는 법인 종류가 된다.5. 비영리단체의 운영
비영리단체의 반의어는 '''영리단체'''이다. 이 분류는 단체를 영리 목적인지, 비영리 목적인지로 분류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영리·비영리는 단체가 사업을 통해 얻은 이익을 출자자인 주주 등에게 배분하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비영리단체가 수익을 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은 옳지 않다. 해당 단체가 법인격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와는 관계없다.
비영리단체에는 공익성을 가진 것과 공익성을 가지지 않은 것 두 종류가 있다.
2006년 이전의 민법에 의해 설립된 공익법인은 특례민법법인으로서 2013년 11월 30일까지 일반사단법인, 일반재단법인, 공익사단법인 또는 공익재단법인으로 이행하는 인정 신청을 해야 했다.
비정부기구(비정부단체, NGO[42])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것은 단체가 정부 또는 그 하부 조직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주로 국제 정치에서 사용되는 말이다. NGO의 대부분은 비영리단체이지만, 법인격으로 회사 등의 영리단체인 경우에도 NGO가 될 수 있다.
6. 비영리단체의 문제점
비영리단체는 사업을 통해 얻은 이익을 출자자에게 배분하지 않는 단체를 의미한다. 비영리단체라고 해서 수익을 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오해이다. 비영리단체는 법인격 유무와 관계없이 존재할 수 있다.
비영리단체는 공익성을 가진 것과 가지지 않은 것 두 종류로 나뉜다. 공익성을 가진 비영리단체는 사회적 지원 활동 단체, 학교, 병원 등이 있으며, 재단법인, 사단법인, 학교법인 등이 그 예시이다. 공익성을 가지지 않은 비영리단체에는 중간 단체(동창회, 애호회 등)와 중간 법인, 의료법인 등이 있다.
2006년 이전 민법에 의해 설립된 공익법인은 특례민법법인으로서, 2013년 11월 30일까지 일반사단법인, 일반재단법인, 공익사단법인 또는 공익재단법인으로 전환하는 신청을 해야 했다.
비정부기구(NGO[42])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비정부기구는 단체가 정부 또는 그 하부 조직인지 구분하는 용어로, 주로 국제 정치에서 사용된다. NGO는 대부분 비영리단체이지만, 회사와 같은 영리단체도 NGO가 될 수 있다.
비영리단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창업자 증후군: 조직이 커지면서 창업자가 조직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려 하면서 생기는 문제이다.
- 자원 관리 부실: 직원들이 조직에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 책임을 지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이다.
- 인재 확보 경쟁: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과의 인재 확보 경쟁으로, 특히 관리직에서 두드러진다. 비영리 단체는 급여 외에 복리후생, 인센티브, 근무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
6. 1. 창업자 증후군
창업자 증후군(Founder's syndrome)은 조직이 확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이다. 프로젝트 운영에 대한 강력한 비전을 가진 역동적인 창업자들은 새로운 직원이나 자원봉사자들이 프로젝트의 범위를 확장하거나 정책을 변경하려고 할 때에도 조직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려고 한다.[28] 이는 조직의 성장과 변화를 저해할 수 있다.6. 2. 자원 관리 부실
자원 관리 부실은 비영리단체에서 특히 문제가 되기 쉽다. 직원들이 조직에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에게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직원이 해당 프로그램의 모든 부채를 공개하지 않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있다. 직원은 비영리단체의 평판을 개선하고, 다른 직원들을 행복하게 하며, 새로운 기부자를 유치함으로써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조직의 완전한 신용으로 약속되었지만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은 부채는 회계 부정을 구성한다. 그러나 간접적인 부채조차도 비영리단체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엄격한 통제가 시행되지 않으면 비영리단체는 재정적 문제를 겪게 될 것이다.[29]6. 3. 인재 확보 경쟁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과의 인재 확보 경쟁은 비영리 단체가 피할 수 없이 마주하는 문제로, 특히 관리직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최근 졸업생들 사이에서 비영리 부문 인재 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보고되고 있으며,[31] 일부에서는 비영리 단체들이 오랫동안 채용 문제를 뒷전으로 미뤄왔다고 지적한다.[32] 재정적으로 안정된 비영리 단체들은 공공 부문 경쟁 기관들과 비슷한 수준의 조건을 제공하지만,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많은 단체들은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창의적인 인센티브를 활용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급여 패키지에 관심을 갖지만, 비영리 단체를 떠난 후 설문 조사에서는 스트레스가 많은 근무 환경과 과도한 업무량을 퇴사 이유로 꼽았다.[33]역사적으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고용은 대부분의 비영리 기관보다 직원들에게 더 나은 조건을 제공해 왔다. 더 높은 임금, 더 포괄적인 복리후생, 덜 지루한 업무 등을 통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은 직원 유치에서 비영리 단체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해왔다. 전통적으로 비영리 단체는 자신이 선택한 목표를 지원하고자 하는 사명감 있는 개인들을 끌어들였다. 그러나 일부 비영리 단체는 대부분의 기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되지 않거나 계절에 따라 운영되어, 젊고 유능한 직원들이 더 안정적인 고용을 찾아 비영리 단체를 떠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오늘날 비영리 단체들은 경쟁 기관의 방법을 채택하고, 직원을 유지하며 최고의 신규 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34]
대부분의 비영리 단체는 민간 부문의 임금 수준을 따라갈 수 없으므로,[35] 복리후생, 인센티브, 즐거운 작업 환경 조성에 집중해야 한다. 좋은 근무 환경은 급여와 업무 압박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32] 비영리 단체는 가능한 한 많은 급여를 지급하고, 직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스트레스 적은 근무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시행할 만한 다른 인센티브로는 충분한 휴가 또는 유연한 근무 시간이 있다.[36]
7. 온라인 활동
비영리단체(NPO)는 도메인 이름을 선택할 때 상업적 단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com과 구분하기 위해 .org, 해당 국가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또는 .edu 최상위 도메인(TLD)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7]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영어 RFC 1591에 명시된 기존 도메인에서 .org는 명명 시스템에서 "다른 곳에 맞지 않는 조직"을 위한 것이다. 이는 정부 기관, 교육 기관 또는 특정 TLD를 가진 다른 유형의 조직이 아닌 경우 비영리 단체에 적합한 범주임을 의미한다. 자선 단체 또는 특정 조직 또는 세법상의 지위를 위해 특별히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다른 범주로 분류할 수 없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현재 .com 또는 .org 등록에 대한 제한은 없으므로, 이러한 도메인에서 모든 종류의 조직을 찾을 수 있으며, 박물관을 위한 .museum이나 협동조합을 위한 .coop과 같이 특정 유형의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롭고 더 구체적인 최상위 도메인을 포함한 다른 최상위 도메인도 찾을 수 있다. 조직은 해당 국가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도 등록할 수 있다.
2020년, 비영리 단체들은 Z세대에 다가가고, 지역 사회 이해 관계자들과 교류하고, 전반적인 지역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TikTok에서 마이크로 블로그(짧은 텍스트 형식의 짧은 비디오)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7] TikTok은 비영리 단체와 젊은 세대 간의 혁신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했다.[38] COVID-19 기간 동안 TikTok은 빠르게 변화하는 맞춤형 For You 페이지가 Facebook이나 Twitter와 같은 다른 소셜 미디어 앱과 차별화되기 때문에 정보 제공이나 모금보다는 연결에 특히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Fundraising Basics: A Complete Guide
Jones & Bartlett Learning
2009
[2]
웹사이트
System of National Account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3-10-16
[3]
웹사이트
Nonprofit, Not-for Profit & For-Profit Organizations Explained
https://www.uschambe[...]
US Chambers of Commerce
2023-02-06
[4]
웹사이트
The Nonprofit Sector in Brief 2018: Public Charities, Giving, and Volunteering
https://web.archive.[...]
Urban Institute National Center for Charitable Statistics
2018-11
[5]
웹사이트
Quick Facts About Nonprofits
https://web.archive.[...]
Urban Institute
[6]
웹사이트
Social Clubs Internal Revenue Service
https://www.irs.gov/[...]
[7]
논문
Resource dependence in non-profit organizations: is it harder to fundraise if you diversify your revenue structure?
2016
[8]
웹사이트
2020 Global Trends in Giving Report
https://www.funraise[...]
Funraise
[9]
웹사이트
How to Run a Non-Profit Organization
https://www.donatefo[...]
2017
[10]
서적
Nonprofit Organization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5
[11]
논문
An Investigation of Innovation in Nonprofit Organizations: The Role of Organizational Mission
2007
[12]
서적
Managing the Non-profit Organiz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https://archive.org/[...]
HarperBusiness
2006
[13]
서적
The Voluntary Nonprofit Sector: An Economic Analysis
Lexington Books
1977
[14]
논문
A History of the Tax-Exempt Sector: An SOI Perspective
https://www.irs.gov/[...]
2008
[15]
웹사이트
FairVote – Board of Directors
http://www.fairvote.[...]
[16]
웹사이트
FairVote – FAQs
http://www.fairvote.[...]
[17]
웹사이트
NORML Board of Directors – NORML
http://norml.org/ind[...]
[18]
서적
How to Convert Taxes into Profits: Professional Guide for Non Profit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2009-03-20
[19]
웹사이트
Bylaws
https://wikimediafou[...]
Wikimedia Foundation
2010-07-14
[20]
간행물
ABA Code Revision Raises Concerns for Democracy and Parliamentary Law in Nonprofits
National Parliamentarian, Volume 69, No. 1
2008
[21]
서적
Charity on Trial: What You Need to Know Before You Give
2007
[22]
웹사이트
SSRN-Voluntary Disclosure in Nonprofit Organizations: an Exploratory Study by Bruce Behn, Delwyn DeVries, Jing Lin
https://ssrn.com/abs[...]
[23]
웹사이트
Applying for Exemption – Difference Between Nonprofit and Tax-Exempt Status
https://web.archive.[...]
Internal Revenue Service
[24]
서적
The Nonprofit Handbook: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Start and Run Your Nonprofit Organization
White Hat Communications
2008
[25]
웹사이트
not-for-profit – definition of not-for-profit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oxforddiction[...]
[26]
웹사이트
Charities and tax
https://www.gov.uk/c[...]
2020-10-12
[27]
웹사이트
Charity Accountants
https://www.accounta[...]
2024-07-04
[28]
논문
Toward and Understanding of Founder's Syndrome
2002
[29]
서적
Audit Guide for Small Nonprofit Organizations
https://web.archive.[...]
[30]
간행물
NGO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 Introduction and Overview (Chapter 11)
Earthscan Publications Ltd.
2002
[31]
웹사이트
Nonprofits Need to Compete for Top Talent
https://hbr.org/2013[...]
2013-03
[32]
웹사이트
Winning the Talent Game
https://web.archive.[...]
2014-07-09
[33]
논문
Working in the for-profit versus not-for-profit sector: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An inquiry on preferences of voluntary and involuntary movers
https://academic.oup[...]
2014-08-01
[34]
웹사이트
Nonprofit Salaries: Achieving Parity with the Private Sector
https://web.archive.[...]
2010-06-21
[35]
웹사이트
Nonprofits Can Compete with Employee Benefits
http://www.bizjourna[...]
2002-12-23
[36]
뉴스
How to Compete with the Private Sector for Young Workers
https://www.washingt[...]
2014-03-18
[37]
논문
Engaging stakeholders on TikTok: A multi-level social media analysis of nonprofit Microvlogging
https://doi.org/10.1[...]
2021
[38]
논문
Forging connections: Nonprofits, TikTok, and authentic engagement – a mixed methods study
https://doi.org/10.2[...]
2024
[39]
서적
Global Civil Society 2006/7
http://www.lse.ac.uk[...]
Sage
[40]
간행물
Words Matter
http://www.alliancem[...]
2007-06
[41]
간행물
Nonprofit or Not-for-profit – Which Are You?
2000-11
[42]
용어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43]
서적
The Nonprofit Handbook: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Start and Run Your Nonprofit Organization (Paperback)
https://archive.org/[...]
White Hat Communications
2008
[44]
법률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http://www.law.go.kr[...]
[45]
웹사이트
Top 100 Nonprofits on the Web
https://topnonprof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