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편익 분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용 편익 분석(CBA)은 쥘 뒤퓌이에 의해 처음 제시되고 앨프레드 마셜에 의해 발전된 개념으로, 사업의 사회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미국에서는 1936년부터 연방 수로 기반 시설에 대한 CBA 사용이 의무화되었고, 한국에서는 1949년 토지 개량법 시행령에 관련 내용이 법제화되면서 도입되었다. 일반적인 CBA는 목표 정의, 대안 나열, 이해 관계자 파악, 측정 항목 선택, 비용 및 편익 예측, 할인율 적용, 순현재가치 계산 등의 단계를 거친다. CBA는 경제적 효율성, 재무적 효율성, 분배 문제, 불확실성, 미래 세대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와 쟁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분배 문제와 미래 가치 할인이 비판의 대상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 분석 - 비용 효과 분석
비용 효과 분석은 군사, 약물 경제학, 에너지 효율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분석 방법으로, 성능과 비용을 비교하거나, 치료법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거나, 절약된 에너지의 가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 결정 분석 - 감정평가
감정평가는 토지, 건물 등 재산의 경제적 가치를 가액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원가방식, 비교방식, 수익방식의 평가 방식과 예상, 변동, 수요와 공급, 경쟁, 대체, 기회비용, 균형, 기여, 잉여생산성, 적합, 외부성 등의 경제 원리가 적용된다. - 비용 -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주체의 모든 선택에 내재된 비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비용 - 거래 비용
거래 비용은 계획, 협상, 계약 이행, 분쟁 해결 등 경제 활동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하며, 거래 빈도, 자산 특수성, 불확실성 등이 주요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블록체인 기술 등으로 감소될 잠재력이 있지만 사회적 불평등 심화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후생경제학 - 혼합 경제
혼합경제는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의 요소를 결합하여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으며 정부 개입 정도, 민간 및 공공 부문 비중, 시장 및 계획경제 결합 방식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난다. - 후생경제학 - 경쟁법
경쟁법은 시장 경제의 발전에 따라 등장하여 담합 금지,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금지, 기업 결합 제한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각국의 경제 상황과 디지털 경제 발전에 맞춰 발전해 온 경제 법이다.
비용 편익 분석 | |
---|---|
개요 | |
유형 | 분석 방법 |
분야 | 경제학, 경영학, 정책 결정 |
목적 | 대안의 장단점 평가 |
설명 | 비용과 편익을 화폐 가치로 환산하여 비교 의사 결정 지원 도구 자원 배분 효율성 증대 |
특징 | |
주요 요소 | 비용 (Cost): 프로젝트 또는 정책 실행에 소요되는 모든 자원 (금전, 시간, 노력 등) 편익 (Benefit): 프로젝트 또는 정책 실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긍정적인 결과 (수익, 효용, 사회적 가치 등) |
분석 방법 | 모든 비용과 편익을 식별하고 측정 측정된 비용과 편익을 현재 가치로 할인 순현재가치 (NPV), 비용-편익 비율 (BCR), 내부 수익률 (IRR) 등 지표 계산 민감도 분석 및 불확실성 분석 수행 |
장점 | 의사 결정의 투명성 및 객관성 향상 자원 배분의 효율성 증대 다양한 대안 비교 가능 정책 효과 예측 및 평가 가능 |
단점 | 모든 비용과 편익을 화폐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움 분석 결과가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어려움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정보 확보의 어려움 |
활용 분야 | |
공공 정책 | 정부 정책의 타당성 평가 공공 투자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규제 정책의 효과 분석 |
기업 경영 | 신규 투자 결정 연구 개발 프로젝트 평가 마케팅 전략 수립 |
환경 경제학 | 환경 규제 정책의 비용-편익 분석 환경 보전 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기후 변화 대응 정책 평가 |
참고 | |
관련 개념 | 비용 효과 분석 순현재가치 (NPV) 내부 수익률 (IRR) 민감도 분석 |
2. 역사
비용 편익 분석(CBA)의 개념은 1848년 쥘 뒤퓌이의 논문에서 시작되었으며, 앨프레드 마셜의 후속 연구에서 공식화되었다.[9] 쥘 뒤퓌이는 도로, 교량 건설과 같은 사업의 사회적 수익성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10] 그는 사람들이 어떤 것에 대해 지불하려는 의지를 파악하는 것이 효용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보았다. 각 사용자의 지불 의향을 합하여 해당 사업의 사회적 편익을 측정할 수 있었다.
미국 육군 공병대는 1936년 연방 항해법에 따라 제안된 연방 수로 기반 시설에 대한 비용 편익 분석을 의무화하면서 미국에서 CBA의 사용을 시작했다.[11] 1939년 홍수 통제법은 "혜택이 추정 비용을 초과해야 한다"고 요구하면서 CBA를 연방 정책으로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이후 비용 편익 분석은 사이버 보안, 수자원, 레크리에이션 여행, 토지 보전, 정신 질환, 약물 남용, 대학 교육, 화학 폐기물 등 다양한 분야로 적용 범위를 넓혀갔다. 미국에서는 1969년 국가 환경 정책법에 따라 규제 프로그램에 CBA가 요구되었으며, 이후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규칙을 제정했다.
교통 투자에 대한 비용 편익 분석은 M1 고속도로 사업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런던 지하철의 빅토리아 선을 포함한 많은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27] 유럽 연합은 EU 전반에 걸쳐 교통 평가 관행을 조화시키는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제6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유럽 교통 비용 계산 및 프로젝트 평가를 위한 조화된 접근 방식 개발(HEATCO) 프로젝트를 진행했다.[29]
캐나다 교통부는 1994년 가이드북 발간을 통해 주요 교통 투자를 위한 비용 편익 분석을 장려했다.[30] 미국 연방 및 주 교통 부서는 HERS, BCA.Net, StatBenCost, Cal-BC, TREDIS를 포함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비용 편익 분석을 적용한다.
2. 1. 한국의 비용 편익 분석 역사
한국에서는 1949년에 제정된 토지 개량법 시행령에서 "모든 효용이 모든 비용을 상쇄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으며,[1] 1990년대 후반부터 도로를 중심으로 한 공공 사업 전반에 비용 편익 분석이 도입되고 있다.[1]도로 평가의 경우, 일본의 직할 도로 사업(고속도로, 직할 국도 정비)은 가장 비판을 덜 받는 평가 방법으로 여겨진다.[1] 일본은 판단 기준으로 "주행 시간 단축", "주행 비용 감소", "교통 사고 감소"의 세 가지 항목만을 고려하며,[1] 다른 국가처럼 "고용 창출" 등 폭넓은 경제 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1] 또한, 일본은 신규 사업 채택 기준을 B/C 1.0 이상으로 제한하지만,[1] 영국이나 프랑스는 지역 의향 등도 고려하므로 신규 사업의 B/C가 반드시 1.0 이상인 것은 아니다.[1]
3. 절차
일반적인 비용 편익 분석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41]
1. 행동의 목표와 목적을 정의한다.
2. 대안적 행동을 나열한다.
3. 이해 관계자를 나열한다.
4. 측정 항목을 선택하고 모든 비용 및 편익 요소를 측정한다.
5. 관련 기간 동안 비용과 편익의 결과를 예측한다.
6. 모든 비용과 편익을 공통 통화로 변환한다.
7. 할인율을 적용한다.
8. 고려 중인 행동의 순현재가치를 계산한다.
9.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다.
10. 권장되는 행동 방침을 채택한다.
4. 평가 및 쟁점
비용 편익 분석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쟁점을 안고 있다.
보건 경제학에서 비용 편익 분석(CBA)은 인간의 생명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소득 수준에 따라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비용-효용 분석, QALY, DALY와 같은 대안적인 방법이 보건 정책 평가에 더 적합할 수 있다.[37][38] 환경 문제의 경우, 비용 효과 분석이 비용 편익 분석을 대체하기도 한다. 이는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같이 특정한 물리적 결과를 목표로 할 때 유용하며, 결과를 돈으로 환산할 필요가 없어 더 간편하다.[39]
하지만 현대적인 비용 편익 분석을 적용하면, 유연 휘발유의 납 제거, 그랜드 캐니언의 댐 건설 중단, 노동자의 염화 비닐 노출 규제와 같이 사회적으로 큰 성과를 거둔 정책들이 시행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40] 미국의 대기 정화법은 혜택이 비용을 초과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지만, 그 혜택(주로 미립자 오염 감소)은 수년 후에야 명확해졌다.[40]
비용 편익 분석은 프로젝트의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측정하려는 시도이다. 총 경제적 가치 분석도 유사한 접근 방식이다. 비용은 시장 데이터가 풍부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되는 반면, 편익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편익은 비용 절감, 공공의 지불 의사(법적 권리 없음), 정책 변화에 대한 보상 수용 의사(법적 권리 있음) 등을 포함한다. 편익 평가의 기본 원칙은 정책의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을 나열하고, 그들이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부여하는 가치(주로 금전적)를 더하는 것이다.
정책 변화에 대한 개인의 보상 요구는 불확실할 수 있다. 이를 추정하기 위해 설문 조사(표명 선호도)나 시장 행동(현시 선호)을 사용한다. 표명 선호도는 환경적 특징에 대한 지불 의사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지만, 응답자가 진정한 선호도를 잘못 보고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42] 현시 선호는 개인의 지불 의사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가치를 시장 선택을 통해 드러낸다.[43]
인명 가치는 도로 안전 조치나 생명을 구하는 의약품을 평가할 때 논란이 된다. 질보정 생존 연수와 같은 비금전적 단위를 사용하는 비용-효용 분석은 이러한 논란을 피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정책을 비교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37][38] 어떤 경우에는 비용 편익 분석 대신 다른 평가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1980년대 미국 대법원은 근로자 안전을 위해 투자 수익 대신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최소 비용 편익을 찾는 결정을 내렸다.[44]
생태계 서비스(공기, 수질, 오염 등)의 가치를 평가하여 환경의 가치를 측정하기도 한다.[45] 사업 평판, 시장 침투, 장기 전략 등 무형의 영향에도 금전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비용 편익 분석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유용하지만, 적용 과정에서 여러 단점과 한계가 드러났다. 주요 쟁점으로는 비용과 편익의 분배 측정, 미래 세대에 대한 할인, 소득의 한계 효용 감소 등이 있다.[58][53][54][55] 또한, 비용 편익 분석에만 의존하면 프로젝트의 다양한 가치 요소를 간과할 수 있다.
4. 1. 경제적 가치와 재무적 가치
"경제"에는 "물자의 생산·유통·교환·분배 및 그 소비·축적의 전 과정, 및 그 속에서 영위되는 사회적 제 관계의 총체"라는 의미와 "금전의 출입에 관한 것"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어떤 사업의 산출물이나 투입물의 "경제적 가치"라고 할 때, 이 가치에는 "사업이 사회에 제공하는 것과 그것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의 경제적 가치"와 "사업의 수입액이나 지출액의 가치"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전자를 "경제적 가치", 후자를 "재무적 가치"라고 부른다.사업에서 산출물의 가치와 투입물의 가치의 비를 그 사업의 "효율"이라고 한다. 산출물이나 투입물의 가치로서 경제적 가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효율을 "경제적 효율"이라고 하며, 재무적 가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효율을 "재무적 효율"이라고 한다.
모든 사업은 경제적 효율과 재무적 효율이라는 두 가지 효율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어떤 영리 사업이 사회에 필요한 물품이나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을 통해 이익을 올리고 있다면 경제적 효율과 재무적 효율 모두 어느 정도 이상 높은 값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공 사업은 경제적 효율은 높더라도 수입이 없기 때문에 재무적 효율은 0이다. 반면, 영리 사업 중에는 재무적 효율은 높더라도 경제적 효율은 0인 것, 즉, 막대한 수입을 얻고 있지만 사회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는 것도 있다.
4. 2. 정확성 문제
비용 편익 분석은 특히 보건, 환경 등 화폐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분야에서 정확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인간 생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논란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37][38]예를 들어, 도로 안전 조치나 생명을 구하는 의약품을 평가할 때 인명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지는 논란의 대상이다. 이 경우, 비용 편익 분석 대신 비용-효용 분석과 같이 편익이 질보정 생존 연수(QALY) 같은 비금전적 단위로 표현되는 관련 기술을 사용하면 논란을 피할 수 있다.[37][38] 도로 안전의 경우 생명에 재정적 가치를 부여하지 않고 생명당 절감 비용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비금전적 지표는 결과가 상당히 다른 정책을 평가하는 데는 유용성이 제한적이다.[37][38]
보건 경제학에서 비용 편익 분석(CBA)은 인간의 생명 가치를 결정하는 지불 의사 방법이 소득 수준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부적절한 척도일 수 있다. 따라서 비용-효용 분석, QALY 및 DALY와 같은 변형이 보건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더 적합할 수 있다.[37][38]
일부 환경적 효과의 경우, 비용-편익 분석은 비용 효과 분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에너지 효율성 증가를 통한 에너지 사용 감소와 같이 하나의 유형의 물리적 결과가 추구될 때 특히 그렇다. 비용 효과 분석은 결과의 화폐화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어려울 수 있음) 덜 어렵고 시간이 덜 소요된다.[39]
현대적인 비용-편익 분석을 적용했을 때, 납의 휘발유 제거 의무화, 그랜드 캐니언 위아래에 있는 콜로라도 강에 제안된 두 개의 댐 건설 중단, 노동자의 염화 비닐 노출 규제와 같은 결정이 시행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비록 모두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40] 미국 대기 정화법은 혜택이 비용을 초과한 사례로 사후 연구에서 언급되었지만, 혜택(주로 미립자 오염 감소의 혜택으로 기인함)에 대한 지식은 수년 후에야 얻을 수 있었다.[40]
4. 3. 분배 문제
비용 편익 분석(CBA)은 분배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칼도어-힉스 기준에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56] 즉, 특정 정책이나 프로젝트 시행 시 누가 이득을 보고 누가 손해를 보는지는 상관없이 순이익이 긍정적이면 된다는 의미이다. Phaneuf와 Requate는 "오늘날 CBA는 소득 분배 문제를 다루지 않고 효율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칼도어-힉스 기준에 의존한다. 이는 경제학자들이 비용과 편익 측정에 집중하는 동안 형평성 문제에 대해 침묵하게 한다."라고 표현했다.[56] 정책 혜택이 지속적으로 동일한 개인 그룹에 돌아가는 경우, CBA는 과거에 혜택을 받은 사람과 지속적으로 소외된 사람 중 누구에게 혜택을 제공할지에 대해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57][58][59][60]소득의 한계 효용 감소 또한 주요 비판점이다.[69][70] CBA에서 가중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모든 사람이 동일하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불 능력이 더 높은 사람이 더 높은 가중치를 받게 된다.[71][72] 고소득자는 1 화폐 단위가 저소득자에 비해 가치가 덜하므로, 자신에게 유리한 변화를 위해 1 단위를 기꺼이 포기하려 하기 때문이다.[73] 이는 동일한 절대적 금전적 이익에서 일부 사람들이 더 많은 이익을 얻는 비대칭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즉, 복지 변화는 정확한 금전적 영향이 같더라도 소득이 낮은 사람에게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72] 이는 단순한 분배 문제를 넘어, 가중치 없는 절대적 지불 의사가 부유층의 비용과 이익을 과대평가하고 빈곤층의 비용과 이익을 과소평가하여 CBA의 정확한 이익 측정 능력을 저해한다는 비판이다. 각 사람의 선호도가 분석에서 동일한 가중치를 받아야 한다는 민주주의적 주장(1인 1표)과 달리, 표준 CBA 모델에서는 부유층의 선호도에 더 큰 가중치가 부여된다.[53]
이러한 문제 제기에 따르면, 가중치를 사용하지 않는 것 자체가 부유층에게 더 큰 가중치를 주는 결정이다. 이러한 가치 평가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가중치 사용, 베르그손-새뮤얼슨 사회 후생 함수를 이용한 가중치 계산,[74][75] 지불 의사를 총소득 또는 자산의 백분율로 측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72] 누진세와 같은 정책적 해결책도 이러한 우려를 일부 완화할 수 있다.
4. 4. 할인 및 미래 세대
미래의 비용과 편익을 할인하는 행위는 여러 이유로 비판받는다. 특히 기후 변화나 환경 피해처럼 오랜 시간에 걸쳐 나타나는 비용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54][61][62] 이는 미래 세대가 누려야 할 혜택을 현재 세대가 제대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윤리적 문제와도 연결된다.[63][64]일부 학자들은 할인율 적용 자체가 미래 세대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며, 기후 변화와 같이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심각성을 축소한다고 주장한다.[63][64] 이러한 비판은 자원 배분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68]
할인율은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여 미래의 비용과 편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데 사용된다. 할인율()을 적용한 순현재가치(NP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여기서 는 t 시점의 편익, 는 t 시점의 비용을 의미한다.
문제는 이 할인율을 얼마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현재 가치가 크게 달라진다는 점이다. 낮은 할인율은 현재와 미래 세대를 거의 동등하게 평가하는 반면, 높은 할인율은 현재의 가치를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46]
실제로 사람들은 미래의 가치를 현재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현재 편향 또는 쌍곡 할인)이 있는데, 이는 시장 수익률과 같은 높은 할인율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기도 한다.[46] 그러나 주식 프리미엄 수수께끼에서 볼 수 있듯이, 시장 수익률이 먼 미래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47]
결국 적절한 할인율을 선택하는 것은 가치 판단의 문제이며, 특히 장기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기후 변화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비용 편익 분석에서 할인 관행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65][66][67]
4. 5. 불확실성
비용 편익 분석의 결과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확률론을 통해 다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결과와 관련된 위험은 확률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위험 회피 성향을 고려하여 불확실성이 낮은 상황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할 수 있다.민감도 분석은 비용 편익 분석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매개변수 변화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 더 나아가,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공식적인 위험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48] 그러나 낮은 불확실성 매개변수만으로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최대 엔트로피 원리는 불확실성을 설명하는 분포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원리는 현재 지식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분포가 가장 큰 엔트로피를 가진 분포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불확실성에 대해 최대한의 무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때, 균등 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시뮬레이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속 최대 엔트로피 분포의 예시이다.
4. 6. 평가 범위의 한계
경제학적 비용 편익 분석은 혜택 평가를 경제적 가치로 제한하는 경향이 있어, 소수 집단의 바람, 포용성, 타인의 권리 존중과 같은 다른 가치 요인의 중요성을 무시한다.[76] 이러한 가치 요인은 가중치 측면에서 순위를 매기고 측정하기 어렵지만, 비용 편익 분석은 이러한 요인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사회 복지 판단의 완전성과 포괄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더 높은 평가 기준이 필요한 프로젝트의 경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프로젝트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른 평가 방법을 사용하고 참조해야 한다.[77]5. 미국의 규제 정책과 비용 편익 분석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규제 정책에서 비용 편익 분석(CBA)의 사용을 강화했다. 이전에도 미국의 정책 결정에 CBA가 활용되었지만, 레이건의 행정명령 12291은 규제 과정에서 CBA 사용을 의무화했다. 규제 완화를 공약으로 내건 레이건은 1981년 정보 규제국(OIRA)에 기관 규정을 검토할 권한을 부여하고, 연간 예상 영향이 1억달러를 초과할 경우 연방 기관이 규제 영향 분석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50]
1980년대에는 CBA에 대한 학술적, 제도적 비판이 제기되었다. 주요 비판은 다음과 같다.[50]
# CBA가 정치적 목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 비용과 편익 비교의 타당성에 대한 논쟁은 정치적, 철학적 목표, 규칙 및 규정을 회피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CBA가 본질적으로 반(反)규제적이며, 따라서 편향된 도구라는 점. 정책 영향의 화폐화는 사망 위험과 분배적 영향을 평가하는 데 부적절한 도구이다.
# CBA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져 정책 규제를 방해할 수 있다는 점.
이러한 비판은 1990년대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도 계속되었다. 클린턴은 행정명령 12866을 통해 반규제 환경을 강화했다.[51] 이 명령은 레이건 행정명령의 일부 표현을 변경하여, 비용을 초과하는 대신 이익이 비용을 정당화하도록 요구하고 "차별 또는 편견 감소"를 분석할 이점으로 추가했다. CBA에 대한 비판(불확실성 평가, 미래 가치 할인, 위험 계산 등)은 CBA가 규제 과정에서 아무런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 사용되었다.[52]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규제 과정에서 CBA의 사용은 계속되었으며, 그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가치에 대한 논쟁도 함께 이어졌다. 일부 분석가들은 정책 결정에서 CBA의 사용에 반대하고, 찬성하는 사람들은 분석과 계산의 개선을 지지한다.
6. 한국의 정책 방향 (중도진보적 관점)
오토 에크스타인의 연구에서 비롯된 비용 편익 분석(CBA)은 여러 공공 정책에 적용되어 왔지만, 그 한계점 또한 명확히 드러났다.[14] 특히, 분배 측정, 미래 세대에 대한 고려, 소득의 감소하는 한계 효용 등의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58][53][54][55]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비용 편익 분석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유용한 도구이지만, 만능은 아니다. 특히, 사회적 형평성, 분배 정의, 지속가능성 등 가치를 간과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비용 편익 분석 결과를 참고하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성적인 평가, 전문가 판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취약 계층, 소외 계층의 이익을 보호하고, 환경 보호, 사회적 가치 증진 등 장기적인 관점을 강조하는 정책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 비용 편익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회적 영향 평가, 형평성 분석, 지속가능성 평가 등 다양한 분석 도구를 활용하고, 시민 참여, 공론화 과정 등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누진세와 같은 정책은 비용 편익 분석에서 간과될 수 있는 소득 불평등 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공 사업의 경우 경제적 효율성은 높지만 재무적 효율성은 낮을 수 있으므로, 비용 편익 분석 결과와 함께 사회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A cost–benefit analysis of document management strategies used at a financial institution in Zimbabwe: A case study
2013-07-16
[2]
논문
The Case for Investor Ordering
https://scholarship.[...]
2018-07-01
[3]
웹사이트
http://www.dot.ca.go[...]
2008-10-16
[4]
웹사이트
Cost-Effectiveness and Cost–Benefit Analysis
http://home.gwu.edu/[...]
2012-09-24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finance.g[...]
2012-09-20
[6]
서적
Policy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Pearson Prentice Hall
[7]
웹사이트
The Effectiveness of a Costs and Benefits Analysis in Making Federal Government Decisions: A Literature Review
https://www.mitre.or[...]
The MITRE Corporation
2014
[8]
서적
Technofix: Why Technology Won't Save Us or the Environment
http://www.newtechno[...]
New Society Publishers
2011
[9]
서적
The Globalization of Cost–Benefit Analysis in Environmental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Economics evolving : a history of economic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11]
웹사이트
History of Benefit–Cost Analysis
http://www.chicagoas[...]
[12]
서적
Cases in Public Policy Analysis
https://archive.org/[...]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3]
논문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http://tissec.acm.or[...]
2002-11
[14]
서적
Water Resource Development: The Economics of Project Evalu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Economics of Regional Water Quality Management
Johns Hopkins Press
[16]
서적
Economics of Outdoor Recreation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Press
[17]
논문
Conservation Reconsidered
[18]
논문
Collective-Consumption Services of Individual-Consumption Goods
[19]
논문
Benefit–Cost Analysis of a Controlled Experiment: Treating the Mentally Ill
[20]
논문
Applying Benefit–Cost Analysis to Substance Abuse Prevention Programs
[21]
서적
Benefits, Costs, and Finance of Public Higher Education
Markham
[22]
서적
Hazardous wastes: A Risk-Benefit Framework Applied to Cadmium and Asbestos
Stanford Research Institute
[23]
간행물
Canadian Cost–Benefit Guide: Regulatory Proposals
http://sciencepolicy[...]
Treasury Canada
2007
[24]
간행물
Introduction to Cost–Benefit Analysis and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ologies and Handbook of Cost–Benefit Analysis, Finance Circular 2006/01
http://www.finance.g[...]
Australian Government
2006
[25]
간행물
Feasibility, Alternatives, And Cost/Benefit Analysis Guide
http://www.acf.hhs.g[...]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3
[26]
간행물
Guide to Benefit Cost Analysis
http://www.fema.gov/[...]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dministration
1022
[27]
서적
Management Accoun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05-04-18
[28]
웹사이트
HEATCO project site
http://heatco.ier.un[...]
Heatco.ier.uni-stuttgart.de
2013-04-21
[29]
간행물
Guide to Cost–Benefit Analysis of Major Project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DG Regional Policy, Evaluation Unit
2008
[30]
간행물
Guide to Benefit–Cost Analysis in Transport Canada
http://www.tc.gc.ca/[...]
Transport Canada, Economic Evaluation Branch, Transport Canada, Ottawa
1994
[31]
웹사이트
Economic Analysis Primer: Benefit–Cost Analysis 2003
https://www.fhwa.dot[...]
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32]
웹사이트
Cost–Benefit Forecasting Toolbox for Highways, Circa 2001
http://www.fhwa.dot.[...]
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33]
웹사이트
Airport Benefit–Cost Analysis Guidance
http://www.faa.gov/a[...]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1999
[34]
웹사이트
Benefit Cost Analysis
http://www.oim.dot.s[...]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N DOT Office of Investment Management
[35]
웹사이트
Benefit–Cost Analysis Guide for Transportation Planning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36]
웹사이트
Transportation Benefit–Cost Analysis
http://bca.transport[...]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ansportation Economics Committee
[37]
서적
Health Economics
Pearson/Addison-Wesley
[38]
논문
Health impact model for modal shift from car use to cycling or walking in Flanders: application to two bicycle highways
[39]
논문
Economic Appraisal of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Using Cost-effectiveness Assessment
[40]
논문
Applying Cost–Benefit to Past Decisions: Was Environmental Protection ''Ever'' a Good Idea?
http://heinonlinebac[...]
[41]
서적
Cost–benefit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Prentice Hall
[42]
서적
Environmental Economics: An Introduction
McGraw-Hill
2016
[43]
서적
Environmental Economics: An Introduction
McGraw-Hill
2016
[44]
뉴스
Safety Agency to Forgo 'Cost-Benefit Analysis'
The New York Times
1981
[45]
서적
Benefit–Cost Analysis: Financial and Economic Appraisal using Spreadshe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Longman
[47]
논문
Discounting the Distant Future: How Much Do Uncertain Rates Increase Valuations?
http://ageconsearch.[...]
[48]
서적
Benefit–Cost Analysis: Financial and Economic Appraisal using Spreadshe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서적
Elements of Information Theo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50]
PDF
http://regulation.hu[...]
2022-03
[51]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12866: Regulatory Planning and Review
http://govinfo.libra[...]
[52]
문서
The Rights of Statistical People
[53]
서적
Cost-benefit analysis : concepts and practice
https://www.worldcat[...]
2018
[54]
서적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worldcat[...]
Thomson Gale/Macmillan Reference USA
2006
[55]
서적
Cost-benefit analysis: legal, economic,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6]
서적
A Course in Environmental Economics: Theory, Polic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2-24
[57]
서적
The cost-benefit revolution
https://www.worldcat[...]
2018
[58]
서적
Are All Lives Equal? Why Cost-Benefit Analysis Values Rich Lives More and How Philosophy Can Fix It
https://www.research[...]
Carneades.org
[59]
서적
Priceless : on knowing the price of everything and the value of nothing
https://www.worldcat[...]
2004
[60]
논문
Costa, cancer, and coronavirus: contractualism as a guide to the ethics of lockdown
https://jme.bmj.com/[...]
2022
[61]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worldcat[...]
Routledge
1998
[62]
서적
Are All Lives Equal? Why Cost-Benefit Analysis Values Rich Lives More and How Philosophy Can Fix It
https://www.research[...]
Carneades.org
[63]
논문
Intergenerational equity, discounting, and the role of cost-benefit analysis in evaluating global climate policy
1995-04-01
[64]
논문
Does a discount rate measure the cost of climate change?
2017
[65]
논문
Climate change and the re-evaluation of cost-benefit analysis
2018-11-01
[66]
논문
Ethics and Climate Change Cost-Benefit Analysis: Stern and After
https://doi.org/10.1[...]
2009-12-01
[67]
논문
Discounting, Climate Change, and the Ecological Fallacy
https://nottingham-r[...]
2019
[68]
논문
The Cost-Benefit Fallacy: Why Cost-Benefit Analysis Is Broken and How to Fix It
https://doi.org/10.1[...]
[69]
논문
Distributional Weights in Environmental Valu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2018-08-01
[70]
논문
Retrospectives: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Classical Creed
2001-11
[71]
서적
Cost-benefit analysis : concepts and practice
https://www.worldcat[...]
2018
[72]
서적
Are All Lives Equal? Why Cost-Benefit Analysis Values Rich Lives More and How Philosophy Can Fix It
https://www.research[...]
Carneades.org
[73]
간행물
The numéraire matters in cost–benefit analysis
1997-04-01
[74]
간행물
Principles of Cost–Benefit Analysis
https://econpapers.r[...]
2006
[75]
간행물
Reaffirming the Existence of "Reasonable" Bergson-Samuelson Social Welfare Functions
1977
[76]
문서
A cost-benefit-state?
1998
[77]
문서
Economic valuation through cost-benefit analysis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https://doi.org/10.1[...]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