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자 (사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자는 서주 시대에 말을 잘 길러 주 효왕으로부터 진읍을 하사받고 진나라를 건국한 인물이다. 비자의 조상은 전욱의 손녀 여수이며, 순 임금에게 영씨 성을 하사받은 대비의 후손이다. 비자는 말을 잘 길러 효왕의 인정을 받아 진읍을 하사받았으며, 그의 후손들이 진나라 제후로 활동하며 진나라를 발전시켰다. 기원전 858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진후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군주 - 진 목공
    진 목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백리해를 등용하여 국정을 맡기고 진나라 내정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서융을 정벌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중원 진출에는 실패했고, 사후 많은 가신이 순장되었다.
  • 진나라의 군주 - 진 효공
    진 효공은 상앙의 변법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키고 함양으로 천도하여 진나라가 전국 시대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한 군주이다.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 기원전 9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선왕
    주 선왕은 서주 시대의 왕으로, 주 정공과 소 목공의 보좌를 받아 국세를 중흥시키고 동생 우를 정나라 군주로 봉했으며, 사주편을 저술하여 전서를 완성했다.
  • 기원전 9세기 중국의 군주 - 주 효왕
    주 효왕은 주 목왕의 아들이자 의왕의 숙부로, 의왕 사후 주 왕위에 즉위하여 서견구의 비자에게 말 관리를 맡기고 진의 땅을 하사했으며, 사후에는 종손인 이왕이 제후들에 의해 옹립되었다.
비자 (사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잉 비자 (嬴非子)
다른 이름친 잉 (秦嬴)
통치 정보
작위친 (부용국) (秦 (附庸國))
통치 시작기원전 900년
통치 종료기원전 858년
계승자진후
생애
출생기원전 905년
사망기원전 858년
가문
가문잉 (嬴)
왕조진나라
아버지대낙

2. 조상

비자의 선조는 전욱(顓頊)의 손녀인 여수(女修)의 손자 대비(大費)로 알려져 있다. 대비는 순(舜) 임금을 도와 새와 짐승을 잘 훈련시킨 공으로 영씨(嬴氏) 성을 하사받았다.[3]

대비의 후손인 비렴(蜚廉)에게는 악래(惡來)와 계성(季勝)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비자의 직계 조상은 악래 계통이며, 계성의 4세손인 조보(造父)는 주 목왕(周穆王)의 마차를 몰며 공을 세워 조씨(趙氏)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3]

2. 1. 영씨(嬴) 가문의 기원과 분열

사마천이 쓴 전한 시대 역사서인 사기에 따르면, 비자의 선조는 신화 속 황제와 그의 손자이자 후계자인 전욱이다. 전욱의 손녀인 여수(女脩)는 제비의 알을 삼킨 후 대업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대업의 아들 백익은 신화 속 군주인 순 임금을 도와 새와 짐승을 잘 다루는 능력을 보여주었고, 그 공으로 조상 이름인 영(嬴)씨 성을 하사받았다. 다른 기록에서는 전욱의 손녀 여수의 손자이자 비자의 선조인 대비(大費)가 순(舜) 임금을 도와 새와 짐승들을 잘 훈련시킨 공으로 영씨(嬴氏) 성을 하사받았다고도 한다.

상 왕조 시대에 백익(또는 대비)의 후손 중궐은 서융 부족들이 사는 서쪽 변경 지역(西垂, 현재의 간쑤성 리현)을 관리했다. 중궐의 아들 비렴(蜚廉)에게는 악래(惡來)와 계성(季勝)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비렴과 그의 아들 악래는 상 주왕을 섬겼으나, 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왕조를 세울 때 악래는 죽임을 당했다.[3] 비자의 아버지인 대락(大骆)은 이 악래의 증손자였다.

한편, 비렴의 다른 아들인 계성의 4세손 조보(造父)는 주나라 목왕(周穆王)의 마차를 모는 어자가 되었다. 조보는 하루에 천 리를 달리는 뛰어난 마차 몰이 실력으로 목왕이 서언왕(徐偃王)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목왕은 그 공을 인정하여 조보에게 조성(趙城, 현재 산서성 홍동현 조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을 봉토로 하사했고, 이후 조보의 후손들은 조(趙)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영씨 가문에서 조씨가 분리되어 나간 계기가 되었다.

비자의 아버지 대락에게는 비자 외에 다른 아들 成|성중국어이 있었다. 성은 대락의 본 부인이자 신나라 후작의 딸에게서 태어난 적자였기 때문에, 비자는 대락의 뒤를 이을 적장자가 아니었다.[4]

2. 2. 조씨(趙氏) 가문의 등장

비자의 먼 조상은 전욱(顓頊)의 손녀인 여수(女修)이다. 여수의 손자이자 비자의 선조인 대비(大費)는 순(舜) 임금을 도와 새와 짐승을 잘 훈련시킨 공으로 영씨(嬴氏) 성을 하사받았다.

대비의 후손 중 계성(季勝)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그의 4세손인 조보(造父)는 주(周) 목왕(穆王)의 마차를 모는 어자(御者)였다. 조보는 하루에 천 리 길을 달릴 정도로 마차를 능숙하게 몰아 목왕이 서언왕(徐偃王)의 반란을 평정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공로로 조보는 조성(趙城, 현재의 산서성 홍동현 조성 부근)을 봉읍으로 하사받았고, 이후 조보와 그의 일가는 조(趙)를 성씨로 삼게 되었다. 이것이 조씨(趙氏) 가문의 시작이다.

3. 생애

비자(非子)는 서주 시대 견구(犬丘) 출신으로, 말을 기르는 데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 이 소식을 들은 주 효왕(周孝王)은 비자를 등용하여 견수(汧水)와 위수(渭水) 사이의 땅에서 말을 기르게 하였고, 비자의 관리 아래 말은 크게 번식하였다.

효왕은 비자를 총애하여 진읍(秦邑)[6]을 봉토로 하사하고 영씨(嬴氏) 가문의 제사를 잇게 하며 '진영'(秦嬴)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이는 훗날 진나라의 기원이 되었다.[7]

기원전 858년에 사망하였으며,[7] 아들 진후(秦侯)가 뒤를 이었다.

3. 1. 진(秦) 땅 하사와 진영(秦嬴) 칭호

서주 시대 견구(犬丘)에 살았던 비자(非子)는 말을 기르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4] 이 소식을 들은 효왕(周孝王)은 비자를 불러 직접 확인한 후, 견수(汧水)와 위수 사이의 땅에서 말을 기르도록 명했다. 비자의 관리 아래 말들은 빠르게 번식했다.

효왕은 크게 기뻐하며 원래 대락(大駱)의 적자였던 성(成) 대신 비자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성의 외할아버지인 신후가 만약 성을 폐하면 서융과의 관계가 악화될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4][5] 효왕은 신후의 의견을 받아들여 성을 대락의 후계자로 유지하는 대신, 과거 순 임금 시절 짐승을 잘 길러 공을 세운 백익의 사례를 들며 비자에게 새로운 봉토로 진읍(秦邑, 현재 간쑤성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을 하사했다.[4][5][6] 이 땅은 부용(附庸, 작은 부속국)의 지위였으며,[4] 비자는 별도의 귀족 작위를 받지는 못했다.[4] 효왕은 비자에게 영씨(嬴氏) 가문의 제사를 다시 잇게 하고, '진영'(秦嬴)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이로써 '진'(秦)은 부족의 이름이자 영토의 명칭으로, '영'(嬴)은 성씨로 함께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사건은 훗날 진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게 되는 진나라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3] 비자가 다스린 진은 처음에는 작은 부속국에 불과했으나, 5대 후손인 진 양공 대에 이르러 주 평왕견융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한 공으로 정식 제후국으로 인정받게 된다.[4]

기원전 858년, 비자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진후가 그 뒤를 이었다.

3. 2. 진나라의 건국과 발전

비자는 서주 시대 견구(犬丘) 출신으로, 말을 다루는 능력이 뛰어났다.[4] 이 소문을 들은 주 효왕(周孝王)은 비자를 등용하여 견수(汧河)와 위수(渭河) 사이의 땅에서 말을 기르게 했다. 비자의 관리 아래 말은 수가 크게 늘어났다.

효왕은 이에 만족하여, 대낙(大駱)의 적자인 성(成) 대신 비자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성의 외할아버지인 신후(申侯)는 융족의 반발을 우려하며 반대했다.[4][5] 효왕은 순 임금 때 짐승을 잘 길러 봉토와 성을 받은 백예의 고사를 언급하며, 비자에게 진읍(秦邑, 현재 간쑤성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 일대[4])을 봉토로 하사했다.[6] 이는 부용국(附庸國) 형태였으며, 비자는 별도의 귀족 작위를 받지는 못했다.[4]

효왕은 비자에게 영씨(嬴氏) 가문의 제사를 다시 잇도록 하고, 진영(秦嬴)이라는 호(號)를 내렸다.[4][5] 비자는 진(秦)을 부족의 이름으로, 영(嬴)을 성으로 함께 사용했으며, 이후 진나라 제후들은 진영(秦嬴)을 성으로 삼았다. 한편, 신후의 딸이 낳은 아들 성은 그대로 대낙의 후계자가 되어 서쪽의 융족과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

비자가 다스린 진(秦)은 진나라의 시작이었으며[7], 훗날 진 시황이 중국을 통일하는 기반이 되었다.[3] 기원전 858년 비자가 사망하자, 아들인 진후(秦侯)가 뒤를 이었다. 진나라는 비자 사후 5대 뒤인 진 양공 때, 주 평왕견융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식 제후국으로 승격되었다.[4]

4. 사망과 후계

비자는 기원전 858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인 진후가 뒤를 이었다.

기원전 842년에는 융족이 반란을 일으켜 서추이에 있던 비자의 이복 형제 씨족을 멸망시켰다. 20년 후인 기원전 822년에는 비자의 증손자인 진중 역시 융족과의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진중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진 장공은 융족을 격파하고 서추이를 병합하여, 영씨 가문의 나뉜 두 영토를 다시 하나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참조

[1] 문서 p. 12 https://archive.org/[...]
[2] citation Commentary on the Book of Isaiah https://archive.org/[...] 1878
[3] 웹사이트 http://www.guoxue.co[...] guoxue.com 2012-04-29
[4] 서적 Annotated Shiji Zhonghua Book Company
[5]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현재의 甘粛省 天水市
[7] 문서 사기/권005권 - 위키문헌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