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효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효공은 기원전 361년부터 기원전 338년까지 진나라를 다스린 군주이다. 그는 상앙을 등용하여 두 차례에 걸쳐 변법을 시행,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농업 생산력 증대와 군사력 강화를 통해 진나라의 국력을 크게 신장시켰다. 효공은 함양으로 천도하고 대외적으로 위나라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등, 진나라가 전국 시대의 강대국으로 발돋움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그의 치세는 진시황의 중국 통일의 기반이 되었으나, 가혹한 법 집행과 백성 통제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군주 - 진 목공
진 목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백리해를 등용하여 국정을 맡기고 진나라 내정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서융을 정벌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중원 진출에는 실패했고, 사후 많은 가신이 순장되었다. - 진나라의 군주 - 공백 (영진)
-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열왕
주 열왕은 주 안왕의 아들이자 주 위열왕의 손자이며, 기원전 374년 진나라 헌공에게 천하 통일을 암시하는 예언을 남겼고, 기원전 369년에 사망하여 동생 편이 뒤를 이었다. - 기원전 4세기 중국 사람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세기 중국 사람 - 오기
오기는 중국 전국 시대의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로, 여러 나라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초나라 재상으로 법가 개혁을 추진하여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며, 《오자병법》을 저술했다.
진 효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거량 (嬴渠梁) |
칭호 | 공 (公) |
시호 | 효공 (孝公) |
묘호 | 없음 |
재위 기간 | 기원전 361년 - 기원전 338년 |
출생 | 기원전 381년 |
사망 | 기원전 338년 |
아버지 | 진 헌공 |
자녀 | 진 혜문왕, 계 (Lord Yan) |
왕조 | 영 (嬴) |
국가 | 진 (나라) |
생애 | |
출생 | 진 헌공 4년 정월 9일 (기원전 382년 12월 6일) |
정치 | |
주요 재상 | 상앙 |
주요 업적 | 상앙 변법 추진 |
수도 | 역양 → 함양 |
능묘 | |
위치 | 제여 (弟圉) |
기타 | |
휘 | 영거량 (嬴渠梁) |
시호 (다른 이름) | 평왕 (平王) |
2. 생애
진 효공은 기원전 361년, 21세의 젊은 나이로 아버지 헌공의 뒤를 이어 진나라 군주가 되었다.[2] 즉위 초, 효공은 목공 시대의 영광을 되찾고 진나라를 다시 강대국으로 만들기 위해 인재를 찾았다. 그는 포고를 내려 기묘한 계책으로 진나라를 부강하게 만들 수 있는 자에게는 높은 지위와 영읍을 주겠다고 약속했다.[10]
당시 진나라는 서쪽 변방에 위치하여 중원의 제후들에게 이민족과 다름없이 취급받았고, 회맹에도 초대받지 못하는 등 멸시를 받고 있었다.[10] 효공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국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효공은 위나라 출신의 법가 사상가 상앙을 등용하여 기원전 359년과 기원전 351년 두 차례에 걸쳐 변법을 추진하였다.[1] 이 변법을 통해 진나라는 급속하게 국력이 신장되어 강대국으로 부상하였다.
효공은 대외적으로도 적극적인 정책을 펼쳤다. 초나라와 화친하고 한(韓)과 맹약을 맺었으며, 진(秦), 조(趙), 제(齊) 삼국동맹을 맺어 당시 최대 강국이었던 위나라를 동서에서 협공하고자 했다.[1] 여러 차례에 걸친 위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안읍을 점령하고 낙수 이동의 땅을 개척했다.[1] 이로 인해 위나라는 도성을 하동의 안읍에서 동쪽의 대량으로 옮겨야 했다.[1]
기원전 366년, 진나라 군대는 한나라와 위나라 연합군을 시문 전투에서 격파했다.[6]
그러나 효공은 비교적 젊은 나이인 44세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
2. 1. 상앙의 등용과 변법 추진
위(衛)나라 출신 상앙은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한 부국강병책을 제시하였고, 효공은 이를 받아들여 기원전 359년과 기원전 351년 두 차례에 걸쳐 변법을 시행하였다.[2] 상앙의 변법은 농업 생산력 증대, 군사력 강화,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확립을 목표로 하였다. 토지 제도 개혁, 군공에 따른 신분제 도입, 엄격한 법 집행 등 급진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3][4][5]효공은 인재 등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포고령을 내렸다.[10]
이 포고령에 위의 공손앙(이후, 위앙)이 응모하여 진나라로 들어왔다. 그는 효공의 총신을 통해 효공과 면담을 가졌다.
위앙이 효공을 처음 알현했을 때, 위앙의 논의가 길어지자 효공은 졸면서 이야기를 들었다. 위앙이 퇴장하자 효공은 경감을 꾸짖었다.
경감이 위앙을 책망하자 위앙은 다음과 같이 답했다.
5일 후, 효공은 다시 위앙을 만났고, 위앙은 더욱 열정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쳤으나 효공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효공은 다시 경감을 나무랐고, 경감은 위앙을 책망했다. 위앙은 다시 한번 효공을 만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세 번째 만남에서 효공은 위앙의 이야기에 흥미를 느꼈지만, 아직 그를 등용할 생각은 없었다. 위앙이 퇴장한 후, 효공은 경감에게 자신의 손님이 말솜씨가 있다고 칭찬했다. 위앙은 경감에게 이번에는 패자의 도를 설명했고, 효공이 꽤 마음에 들어 했다고 말했다.
네 번째 만남에서 효공은 자신도 모르게 논의에 열중했고, 며칠 동안 토론을 이어갔다. 경감은 위앙에게 어떻게 효공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 물었다.
진 효공은 마침내 위앙을 신임하고 국정 개혁을 단행하려 했으나, 여론의 비난을 두려워했다. 이에 위앙은 다음과 같이 진언했다.
효공은 위앙의 의견에 동의했지만, 감룡이 반론했다.
위앙은 감룡의 의견은 속론에 불과하다고 반박하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두지 역시 변법에 반대하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위앙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효공은 위앙의 주장에 동의하고 그를 좌서장[11]으로 발탁하여 국정 개혁 명령을 내렸다.
2. 2. 변법의 성과와 한계
상앙의 주도로 기원전 359년과 기원전 351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된 변법은 진나라의 국력을 크게 신장시켰다.[1] 기원전 350년에는 함양으로 천도하고, 진나라 역사상 최초로 군자를 위한 부세를 징수했다.[1] 대외적으로는 초나라와 화친하고 한과 맹약을 맺었으며, 진, 조, 제 삼국동맹을 맺어 당시 최대 강국이었던 위나라를 동서에서 협공하고자 했다.[1] 위나라와의 전쟁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여 안읍(安邑)을 점령하고 낙수(洛水) 이동의 땅을 개척했다.[1] 이로 인해 전국시대 초기 초강대국이었던 위나라는 진나라의 동진정책에 밀려 도성을 하동의 안읍에서 동쪽의 대량으로 옮겨야 했다.[1]그러나 상앙의 변법은 가혹한 형벌과 백성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민생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특히 연좌제, 사상 통제 등은 백성들의 삶을 억압하고 불만을 야기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2. 3. 대외 확장
秦孝公중국어은 상앙을 등용하여 기원전 359년과 기원전 351년 두 차례에 걸쳐 변법을 시행하여 국력을 크게 신장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대외 확장 정책을 추진하여 주변국들과 전쟁을 벌였다.기원전 358년에는 서산[12]에서 한(韓)나라를 격파하였다. 기원전 354년에는 위나라가 조나라를 공격한 틈을 타 하서를 공략하고, 원리[13]에서 위나라 군대를 격파한 후 소량을 점령했다. 기원전 352년에는 위나라의 옛 수도 안읍을 포위하여 항복시켰고, 진나라의 영토는 동쪽으로 낙수를 넘어섰다. 기원전 351년 위앙이 고양[14]을 함락시켰다.
기원전 341년, 마릉 전투에서 제나라가 위나라를 격파하자, 상앙은 효공에게 위나라를 공격할 것을 제안했다. 효공은 상앙의 제안을 받아들여 위나라를 공격했고, 상앙은 계략을 써서 위나라 공자 앙을 사로잡고 위나라 군대를 대파했다. 위나라는 진나라에 하서 땅을 할양하고 화친을 맺었다. 기원전 338년에는 안문을 공격하여 위나라 장수 위착을 사로잡았다.[2]
3. 죽음과 평가
효공은 24년간 진나라를 통치했으며 기원전 338년 4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뒤는 아들 진 혜문왕이 이었다. 효공은 "효(孝|효중국어)"라는 시호를 받았는데, 이는 "효도"를 의미한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개혁은 진나라가 그의 후손인 정(政)이 진 시황이 되어 진나라를 통해 중국을 통일하는 데 강력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8]
효공은 또한 자신의 후계자들이 스스로를 "왕(王|왕중국어)"이라 칭하면서 "공(公|공중국어)"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마지막 진나라 군주였다. 이러한 변화는 여러 다른 봉건 국가의 통치자들이 "공" 대신 "왕"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중앙 정부(주 왕조)의 권위 상실을 나타내는 지표였다.
4. 가족 관계
韓|한중국어나라 출신 부인으로, 태자 지의 어머니다.
4. 1. 아들
진 효공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다.이름 | 설명 |
---|---|
태자 사 | 기원전 356년에 태어나 기원전 311년에 사망하였다. 기원전 338년부터 311년까지 진 혜문왕으로 재위하였다. |
공자 질 | 기원전 300년에 사망하였다. 촉리(樗裡子) 또는 엄군(嚴君)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306년부터 300년까지 진나라 재상(서장)을 역임하였다. |
공자 화 |
5. 기타
진 효공은 상앙의 변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진나라를 부국강병하게 만든 군주로, 그의 업적과 생애는 여러 매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5. 1. 등장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Harvard University reference page for a 2006 class called Moral Reasoning; includes a useful map
http://isites.harvar[...]
2012-07-09
[2]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993
[3]
서적
Chinese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Japan) English-language abstract of Japanese article by Ochi Shigeaki
http://ci.nii.ac.jp/[...]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5]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article on Shang Yang
http://www.britannic[...]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99/2007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99/2007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Cumbria article
http://philtar.ucsm.[...]
2000-10-02
[9]
문서
史記
[10]
문서
陝西省宝鶏市鳳翔区の南東
[11]
문서
二十等爵のたかだか十級にすぎない。列侯が二十級で最高位である。
[12]
문서
河南省盧氏県の西
[13]
문서
陝西省澄城県の南
[14]
문서
陝西省延安市の東
[15]
문서
陝西省渭南市の西南
[16]
문서
陝西省咸陽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