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치케이 베르털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치케이 베르털런은 선수와 감독으로 활동한 헝가리 축구인이다. 선수 시절에는 페렌츠바로시, 부다페스트 혼베드, MTK 부다페스트 등에서 뛰었으며, 헝가리 유소년 및 성인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했다. 감독으로서는 MTK 부다페스트 유소년 프로그램 코칭 디렉터, 헝가리 18세 이하 국가대표팀 감독, 혼베드 부다페스트, 헝가리 국가대표팀, 대우 로얄즈(부산 아이파크), FC 루체른, 알 라에드 FC, RABA ETO 죄르, 말레이시아, 라이베리아 국가대표팀 등을 지도했다. 특히 1991년 대우 로얄즈 감독으로 K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K리그 감독상을 수상했다. 2011년 부다페스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이베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베르트 트라우트만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영국에서 포로 생활을 거쳐 1949년부터 맨체스터 시티 FC의 골키퍼로 활약하며 1956년 FA컵 우승을 이끄는 등 전설적인 선수로 인정받았고, 은퇴 후에는 여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독일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라이베리아의 외국인 축구 감독 - 베르트 트라우트만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영국에서 포로 생활을 거쳐 1949년부터 맨체스터 시티 FC의 골키퍼로 활약하며 1956년 FA컵 우승을 이끄는 등 전설적인 선수로 인정받았고, 은퇴 후에는 여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독일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페헤르바르 FC의 축구 감독 - 베르나르 카소니
프랑스 축구 선수 출신 감독인 베르나르 카소니는 선수 시절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리그 1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이후 감독으로서 여러 국가의 클럽과 알메니아 국가대표팀을 지휘했다. - 페헤르바르 FC의 축구 감독 - 파울루 소자
파울루 소자는 포르투갈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SL 벤피카, 유벤투스 FC,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등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두 차례 달성했으며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에 참가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했으며 최근에는 샤밥 알아흘리의 감독을 맡고 있다.
비치케이 베르털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비치케이 베르털런 |
원래 이름 | Bicskei Bertalan |
출생일 | 1944년 9월 17일 |
출생지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사망일 | 2011년 7월 16일 |
사망지 | 부다페스트, 헝가리 |
포지션 | 골키퍼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클럽 | 1962–1964: 베스프레미 헬라다시 페퇴피 1964–1974: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1974–1976: MTK 헝가리아 FC |
클럽 출장 (골)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240 (1) |
국가대표팀 | 1973: 헝가리 |
국가대표팀 출장 (골) | 헝가리: 1 (0) |
감독 경력 | |
감독 클럽 | 1987–1988: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1989: 헝가리 1991: 대우 로얄즈 1993: FC 루체른 1994: 알마스리 클럽 1995: MTK 헝가리아 FC 1995–1996: 알리야드 SC 1996–1997: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1998–2001: 헝가리 2002: 센장 2003: 비데오톤 FC 2003–2004: 알마스리 클럽 2004–2005: 말레이시아 2006: 우이페슈트 FC 2009: 알마스리 클럽 2010–2011: 라이베리아 |
수상 | |
메달 | 남자 축구 동메달 2004 (말레이시아 감독) |
2. 선수 경력
(내용 없음)
2. 1. 헝가리 시절
유소년 시절에는 헝가리의 유명 클럽인 페렌츠바로시에서 활동했다. 이후 헝가리 1부 리그 소속의 혼베드와 MTK 부다페스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골키퍼로서 헝가리 유소년 대표팀과 성인 대표팀에 발탁되어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유소년 축구 선수들을 지도하며 코치로서 활동했다.3. 감독 경력
비치케이 베르털런은 1977년 MTK 부다페스트 유소년 프로그램 코칭 디렉터를 시작으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헝가리 유소년 대표팀을 이끌고 1984년 유럽 유스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으며, 1986년 독일 쾰른에서 코칭 자격증을 취득했다. 1987-88 시즌 혼베드 부다페스트 감독으로 프로 경력을 시작해 리그와 컵 우승을 달성했고, 1989년에는 처음으로 헝가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1991년에는 대한민국 대우 로얄즈 (현 부산 아이파크) 감독으로 부임하여 1991년 K리그 우승과 K리그 감독상 수상을 이끌었다. 이후 스위스(FC 루체른[1]), 헝가리(MTK 부다페스트, 혼베드 부다페스트), 사우디아라비아(알 라에드 FC)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다시 헝가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2]
이후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2004-2005), 헝가리 축구 협회 기술 이사 (2006-2008), 라이베리아 국가대표팀 (2010-2011) 감독 등을 역임했다.[3]
3. 1. 헝가리
1977년부터 1982년까지 MTK 부다페스트 유소년 프로그램의 코칭 디렉터로 일했으며, 1982년부터 1986년까지는 헝가리 국가대표팀 유소년 코치 디렉터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그의 지도 아래 헝가리 18세 이하 국가대표팀은 1984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유럽 유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986년에는 독일 쾰른의 유명 축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코칭 자격증을 취득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으로 소수의 헝가리 출신 코치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독일에 머무는 동안 철학을 공부하기도 했으며, 능숙한 독일어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1987-88 시즌에는 혼베드 부다페스트의 감독을 맡아 리그 우승과 헝가리 컵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며 성공적인 프로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1989년에는 헝가리 성인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처음 선임되었다.
이후 대한민국(대우 로얄즈), 스위스(FC 루체른[1]), 사우디아라비아(알 라에드 FC) 등 해외에서 활동하다가 1995-96 시즌 잠시 귀국하여 MTK 부다페스트를 지도했다. 1996-97 시즌에는 다시 혼베드 부다페스트의 감독을 맡았고, 1998-99 시즌에는 RABA ETO 죄르의 기술 이사로 활동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헝가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두 번째로 수행했으며[2], 이후 2006년부터 2008년 중반까지 헝가리 축구 협회의 기술 이사직을 역임했다.
3. 2. 대한민국 (대우 로얄즈/부산 아이파크)
1989년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맡은 후, 1991년 대한민국 대우 로얄즈 (현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는 대한민국으로부터의 제안을 수락한 결과였다. 그의 지도 아래 대우 로얄즈는 1991년 K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비치케이 본인은 그 해 K리그 감독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1992년부터는 스위스의 FC 루체른[1]을 지도하며 대한민국을 떠났다.
3. 3. 기타 리그
기간 | 소속팀 | 국가 | 주요 성과 및 비고 |
---|---|---|---|
1991 | 대우 로얄즈 | 대한민국 | 1991 K리그 우승, K리그 감독상 수상 |
1992–1994 | FC 루체른 | 스위스 | [1] |
1995–1996 | 알 라에드 FC | 사우디 아라비아 | "어린 축구 선수 훈련 준비" 집필 시작 |
2004–2005 |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 타이거 컵 3위, 2005년 9월 계약 해지 |
2010–2011 | 라이베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라이베리아 | 2011년 2월 독살 시도 사건 후 휴가[3] |
비치케이는 1991년 대한민국으로 건너와 대우 로얄즈 (현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을 맡아 1991 K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그 해 K리그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후 1992년부터 1994년까지는 스위스의 FC 루체른을 지도했다.[1]
1995년에는 사우디 아라비아로 활동 무대를 옮겼고, 1995-96 시즌 동안 알 라에드 FC를 이끌었다. 이 시기 그는 유소년 축구 선수 육성에 관한 책인 "어린 축구 선수 훈련 준비"의 집필을 시작했다.
2004년 하반기에는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역 대회인 타이거 컵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하지만 2005년 6월 싱가포르와의 친선 경기 중 보인 행동(물병 투척 및 상대 선수와의 대립)으로 인해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FAM)로부터 징계를 받아 유소년 개발 업무로 보직이 변경되었고, 결국 같은 해 9월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했다.
2010년 7월에는 4년 계약으로 라이베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수락했으나, 2011년 2월 라이베리아 현지에서 독살 시도 사건 이후 휴가를 받았다.[3]
4. 사망
2011년 7월 16일, 비치케이는 오랜 투병 끝에 부다페스트에서 향년 67세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헝가리 축구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잃은 것으로 평가받았다.[4]
참조
[1]
웹사이트
Switzerland - Trainers of First and Second Division Club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8-07-10
[2]
웹사이트
Hungary National Team Coache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8-07-10
[3]
웹사이트
Troubling Moment For Liberian Football
http://www.liberians[...]
2011-03-05
[4]
뉴스
Member associations - Switzerland - News – UEFA
http://www.uefa.com/[...]
UEFA
2011-07-20
[5]
뉴스
헝가리 축구대표감독 빅스키 대우 사령탑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11-15
[6]
뉴스
비츠케이 감독 타계, 아들 '父 생전 영상 부탁해'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1-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