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호복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호복합은 2013년 개발을 시작하여 2015년 실전 배치된 대한민국 방공 무기 체계이다. 인도 국방부의 공개 입찰에서 러시아의 판치르-S1을 제치고 예비 조달자로 선정되었으나, 러시아 측의 반발과 인도의 독자 개발 추진 가능성으로 인해 수출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비호복합은 탐지거리 21km의 레이더, 3km 사거리의 30mm 대공포 2문, 7km 사거리의 신궁 지대공 미사일 4발을 탑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0 mm 포 - K-30 비호
K30 비호는 대한민국 육군의 자주대공포 시스템으로, 30mm 쌍열 기관포와 레이더를 탑재하여 저고도 항공기를 방어하며, 미사일 통합 및 차륜형 변형 개발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공포 - K-30 비호
K30 비호는 대한민국 육군의 자주대공포 시스템으로, 30mm 쌍열 기관포와 레이더를 탑재하여 저고도 항공기를 방어하며, 미사일 통합 및 차륜형 변형 개발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공포 - M167 발칸
M167 발칸은 M45 쿼드마운트를 대체하기 위해 196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20mm 구경의 대공포로, 베트남 전쟁 등에서 활약하며 지속적인 개량을 거쳤고, 현재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KM167A3과 같은 개량형으로 운용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기갑 전투 차량 - K-21
K-21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되어 대한민국 육군에 배치되기 시작한 차세대 보병전투차로, 40mm 기관포와 대전차 미사일로 무장하고 수륙양용 능력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며,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K21-105 경전차, AS21 레드백 등의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 대한민국의 기갑 전투 차량 - 천마 (미사일)
천마는 대한민국 육군과 해병대가 운용하는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크로탈 NG를 기반으로 K200 장갑차에 탑재되어 기동성을 확보하고 저고도 적 항공기 방어 임무를 수행하며, 레이다, 광학 카메라, 적외선 추적기 등으로 목표물을 탐지 및 추적한다.
비호복합 | |
---|---|
기갑차량 정보 | |
이름 | 비호복합 |
![]() | |
종류 | 자주 대공포와 지대공 미사일 |
용도 | 저고도 대공방어임무 |
개발사 | 대우중공업 및 4개사 |
배치 | 2015년 |
개발년도 | 2013년 |
일반 제원 | |
승무원 | 4명 |
길이 | 6.77 m |
높이 | 3.276 m (조준기 포함) 4.065 m (레이다 운용시) |
폭 | 3.3 m |
중량 | 25 ton |
무장 | |
주무장 | 2 x KKCB 30mm 쌍열 자동포 4 x 신궁 지대공 미사일 |
주포개발사 | S&T 중공업 (舊 통일중공업) |
사용포탄 | Tp,Tp-T, HE-I,HEI-T탄 |
탑재량 | 500 + 100 적재 |
유효사거리 | 3000 m (기관포) 7000 m(미사일) |
장전방식 | 자동 장전(5분 소요) |
기동 | |
엔진 | D-2480L |
마력 | 520 hp |
출력비 | 20.8 hp/ton |
변속기 | HMPT-500EK |
서스펜션 | 토션 바 방식 |
노상속도 | 65 km/h |
야지속도 | 40 km/h |
항속거리 | 500 km |
등판능력 | 60% |
방호 | |
방어수단 | 연막탄 발사기 2 X 5 |
2. 역사
비호복합은 2013년 개발을 시작해 2015년 실전배치되었다.
2. 1. 개발
2013년 개발을 시작해 2015년 실전배치되었다.3. 인도 수출 관련 논란
2013년 10월 인도 국방부의 공개 입찰에서 한화디펜스의 비호복합이 러시아 KPB 툴라의 판치르-S1을 제치고 예비 조달자로 선정되었다. 이는 대부분 러시아 무기를 수입하는 인도에서 이례적인 결과였다. 파키스탄과의 국경 지역 5개 육군 여단에 배치할 계획으로, 2013년 입찰 공고 후 2015년 기술평가 결과 발표, 2017년 시험평가를 거쳐 2018년 10월 최종 예비 조달자가 선정되었다. 전 세계에서 대공포와 지대공 미사일을 함께 장착한 복합 방어 체계는 러시아 제품들이 유일했으며, 퉁구스카, 판치르-S1은 1980년대부터 실전 배치되었다.
3. 1. 인도-러시아 간 군사기술 협력 문제
2013년 10월, 인도 국방부의 공개 입찰에서 한화디펜스의 비호 복합이 러시아 KPB 툴라의 판치르-S1을 제치고 예비 조달자로 선정되었다. 이는 대부분 러시아 무기를 수입하는 인도에서 이례적인 결과였다.[1]2018년 12월 18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인도-러시아 정부 간 군사기술 협력회의에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인도 군 당국이 의도적으로 적절한 시험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라고 주장하며 공식 항의했다. 러시아 국방부와 업체는 인도 국방부에 이번 평가의 재평가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1]
러시아는 인도에 향후 방산 협력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도는 러시아 무기를 매우 많이 사용하는데, 러시아는 이번 사업에서 한국 비호복합이 채택될 경우, 인도의 러시아산 무기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이용하려 하였다.[1]
3. 2. 비호 복합의 인도 수출 무산 가능성
인도는 국제 입찰을 취소하고 독자 개발로 방향을 틀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었다. 이는 러시아 기술을 도입하여 인도 국내에서 독자 개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1]3. 3. 입찰 경쟁: 한국 vs 러시아
인도 국방부의 공개 입찰에서 한화디펜스의 비호복합이 예비 조달자로 선정된 후, 러시아는 이에 대해 항의하고 재평가를 요구했다.[1]
인도는 러시아 무기를 매우 많이 사용하는데, 러시아는 이번 사업에서 한국 비호복합이 채택될 경우, 인도의 러시아산 무기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노려 향후 방산 협력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1]
3. 4. 사업 규모 (인도 수출 관련)
비호 복합 104대, 탄약운반차량 97대, 지휘용 차량 39대, 미사일과 탄환 각 4928발과 17만 2260발 등으로 구성된 이 사업은 전체 규모가 2.5조원에서 3조원 사이로 추산된다.[1]4. 제원
구분 | 내용 |
---|---|
레이더 | 탐지거리 21km |
기관포 | 30mm 대공포 2문, 사거리 3km |
미사일 | 신궁 지대공 미사일 4발, 사거리 7 km |
4. 1. 레이더
탐지 거리는 21km이다.4. 2. 기관포
30mm 대공포 2문을 탑재하며, 사거리는 3km이다.4. 3. 미사일
신궁 지대공 미사일 4발을 장착하며, 사거리는 7km이다.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