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67 발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67 발칸은 미국에서 개발된 견인식 20mm 발칸포 방공 시스템이다. 1960년대에 미 육군에 도입되어 비행장 보호 및 경무장 지상 목표물 공격에 사용되었으며, M45 쿼드마운트를 대체했다. 1994년 이후 미국에서는 M1097 어벤저 미사일 발사기 등으로 대체되었지만,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개량된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KM167A3을 사용하며,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국산화 사업을 진행하여 성능을 개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공포 - 비호복합
비호복합은 대한민국에서 개발되어 실전 배치된 자주대공포 복합체계로, 레이더, 30mm 대공포, 신궁 지대공 미사일을 탑재하여 저고도 침투 항공기 요격에 사용되며, 수출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입찰 취소 가능성도 있다. - 대한민국의 대공포 - K-30 비호
K30 비호는 대한민국 육군의 자주대공포 시스템으로, 30mm 쌍열 기관포와 레이더를 탑재하여 저고도 항공기를 방어하며, 미사일 통합 및 차륜형 변형 개발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20 mm 포 - 2 cm 38호 대공포
2 cm 38호 대공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대공 기관포로, Flak 30의 발사 속도 문제를 개선하여 육군, 해군, 공군, 무장친위대 등 다양한 군에서 운용되었으며, 자주포 탑재 및 2 cm Flakvierling 38 등의 파생형이 존재하고 대공 사격과 지상 목표 제압에 활용되어 여러 영화와 게임에도 등장한다. - 20 mm 포 - 비르벨빈트
비르벨빈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4호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자주대공포이며, 2cm 4연장 기관포를 탑재하고 1944년 초에 개발되어 87대에서 105대 가량 생산되었다. - 미국의 무기 - AN/APG-77
AN/APG-77은 노스럽 그루먼과 레이시온이 개발한 AESA 방식의 항공 레이더로, 저피탐지 성능과 다목표 동시 추적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개량형인 AN/APG-77(v)1은 지상 공격 능력을 향상시켰다. - 미국의 무기 - 레밍턴 M870
레밍턴 M870은 1950년 레밍턴사에서 출시된 펌프 액션 방식의 샷건으로, 하부 장전과 측면 배출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군, 경찰 등 다양한 기관과 대중문화에서 널리 사용된다.
M167 발칸 | |
---|---|
개요 | |
![]() | |
종류 | |
무기 종류 | 발칸포, 대공포 |
원산지 | 미국 |
사용 정보 | |
사용 기간 | 1965년–1994년 (미국) 1960년대–현재 (다른 국가) |
사용 국가 | 문단 참조 |
실전 | 다르푸르 분쟁 남코르도판 및 청나일 분쟁 예멘 내전 (2015년~현재)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 예멘 개입 |
개발 및 생산 정보 | |
설계 | 록 아일랜드 아스널 |
설계 년도 | 1964년 |
제조사 | 제너럴 일렉트릭 병기 시스템 부서 대우중공업 |
파생형 | 문단 참조 |
제원 | |
중량 | 1,583 kg (캐리지 포함) |
길이 | 이동 구성: 472.4 cm 배치: 386.1 cm |
구경 | 20 mm (0.787 in) |
총열 | 6-총열 (오른쪽 포물선형 강선, 9개 강선) |
작동 방식 | 유압 작동, 전기 발사, 회전식 기관포 |
발사 속도 | 분당 1,000발 또는 3,000발 |
탄속 | 1,030 m/s |
사거리 | 공중: 1,200m 지상: 4,500m |
급탄 방식 | 500발 링크 급탄 |
탄약 | |
탄약 종류 | 20 × 102 mm |
파생형 | |
파생형 종류 | KM167A3 (한국) JM167A1 (일본) |
2. 역사
M167 발칸의 기원은 1953년 F-104 전투기에 시험 장착된 M61 발칸 기관포로 거슬러 올라간다.[16] M61은 1960년대 이후 대부분의 미국 전투기에 탑재되는 표준 화기가 되었다. 이후 미국 육군은 저고도로 침투하는 적 항공기에 대응할 필요성을 느껴 M61을 지상용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1964년 록 아일랜드 조병창에서 미국 육군 무기 사령부 주도로 견인식 M167과 자주식 M163 VADS 발칸 방공 시스템(VADS, Vulcan Air Defense System) 개발이 시작되었다.[1] M167은 1965년 기존의 구형 M45 쿼드마운트를 대체하는 장비로 채택되었으며, 첫 양산형은 1967년 미 육군에 인도되었다.[1]
초기에 M167은 주로 비행장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경무장한 지상 목표물에 대한 공격에도 효과를 보였다.[16] 그러나 미국에서는 1994년부터 AN/TWQ-1 어벤저 미사일 시스템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미국 해군 함정에 사용되는 팰렁스 CIWS 근접방어무기체계의 지상형 버전이 도입되면서 미군에서는 완전히 퇴역했다.[9][16]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다른 국가에서는 여전히 M167을 운용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독자적인 개조를 거쳐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수단과 예멘에서는 M167을 BTR-152 장갑차에 탑재하여 간이 자주 대공포 형태로 운용하는 사례가 있다.
2. 1. 개발 및 도입
M167 발칸 방공 시스템은 M61 발칸 기관포에 기반한다. M61 발칸은 1953년 F-104 전투기에 시험 발사된 것을 시작으로, 1960년대 이후 대부분의 미국 전투기에 탑재되는 표준 화기가 되었다.[16] 이후 미국 육군은 저고도로 침투하는 적 항공기에 대응하기 위해 M61을 지상용으로 개조할 필요성을 느꼈다.이에 따라 1964년 록 아일랜드 조병창에서 미국 육군 무기 사령부 주도로 M167 견인식 발칸과 M163 VADS 자주식 발칸 방공 시스템(VADS, Vulcan Air Defense System) 개발이 시작되었다.[1] M167은 1965년 기존의 M45 쿼드마운트를 대체하는 장비로 채택되었으며, 첫 양산형은 1967년 미 육군에 인도되었다.[1]
VADS 시리즈는 M61 발칸의 대공포 버전인 '''M168 20mm 기관포'''를 핵심으로, 레이더, 컴퓨터 등 사격 통제 장치를 결합한 반자동 시스템이다. M168 기관포는 GE사가 개발했으며, 분당 6,000 또는 4,000발에 달하는 M61의 발사 속도를 지상 운용에 맞게 분당 3,000 또는 1,000발로 낮추었다. 또한, 6개의 포신 배열을 약간 타원형으로 조정하여 발사된 포탄이 넓게 퍼져 탄막을 형성함으로써 명중률보다는 저지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VADS는 거리 측정 레이더와 탄도 계산기를 이용해 이동하는 표적의 미래 위치를 예측하여 사격하는 편차 사격이 가능하다. 탄약으로는 주로 20mm 예광 자폭 고폭탄 및 예광탄을 사용한다.

미국에서 M167은 주로 비행장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경무장한 지상 목표물 공격에도 효과적이었다.[16] 그러나 1994년부터 AN/TWQ-1 어벤저 미사일 시스템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미국 해군 함정에 사용되는 팰렁스 CIWS 근접방어무기체계의 지상형 버전이 도입되면서 미군에서는 완전히 퇴역했다.[9] 팰렁스 CIWS 역시 M167과 동일한 20mm 속사식 개틀링포를 기반으로 한다.[9]
대한민국에서는 육군, 공군, 해병대가 M167을 도입하여 운용 중이며, 현재는 개량형인 KM167A3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군은 1973년에 M167을 처음 도입하여 야전에 배치함과 동시에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국산화 사업을 추진했다. 1973년 M168 포열 결합체 역설계를 시작으로 차량 탑재용 및 고정 진지용 포가 결합체 제작 등 4단계에 걸쳐 개발이 진행되어 1977년에 완료되었다. 1981년부터는 레이더를 장착하여 명중률을 높이고 고장 빈도를 줄인 국산 M167A1 모델이 등장했다.[16]
초기 국산 모델은 탑재 차량이 단륜(홑바퀴) 방식이어서 이동 중 전복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1983년부터 탑재 차량의 좌우 차축을 더 긴 것으로 교체하고 복륜(겹바퀴)화하여 안정성과 기동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시기에 미 군사원조로 도입된 M167 역시 국산 M167A1 사양으로 개량되었으며, 이때 사격통제장치도 전자식·IC 방식으로 개선되었다.[16]
1983년부터 1988년 사이에는 K300 차량에 탑재된 M167과 일부 견인형 발칸을 K200 장갑차 차체에 탑재한 K263 자주발칸이 육군 기계화부대에 배치되어 자체 대공방어 능력을 강화했다. 2001년에는 레이더 성능을 개량하고 사거리를 연장한 KM167A3 모델이 개발되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으며,[17] KM167A3에는 열영상 야간 조준기가 장착되어 야간 작전 능력이 향상되었다.[16]
미국에서는 퇴역했지만, 한국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M167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수단과 예멘에서는 M167을 BTR-152 장갑차에 탑재한 간이 자주 대공포 형태로 운용하는 사례도 있다.
2.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육군, 공군, 해병대에서 M167 발칸의 개량형인 KM167A3을 운용하고 있다. 한국군은 1973년 M167을 처음 도입했으며, 야전 배치와 동시에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국산화 사업을 추진했다. 이는 M168 포열 결합체를 역설계하는 것을 시작으로, 차량 탑재용 및 고정 진지용 포가 결합체 제작 등 1977년까지 4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1981년에는 레이더를 장착하여 명중률을 높이고 고장 빈도를 줄인 국산 M167A1 모델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초기 M167A1은 탑재 차량이 단륜 구조여서 이동 중 전복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1983년부터는 탑재 차량의 좌우 차축을 더 긴 축으로 교체하고 바퀴를 복륜으로 만들어 안정성과 기동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시기에는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로 도입된 M167 역시 국산 M167A1 사양으로 개량되었으며, 사격통제장치도 전자식 및 IC 방식으로 개선되었다.[16]
또한, 1983년부터 1988년 사이에는 K300 차량에 탑재된 M167과 일부 견인형 발칸을 K200 장갑차 차체에 탑재한 K263 자주발칸을 개발하여 육군 기계화부대에 배치해 자체 대공방어망 전력으로 운용하기 시작했다.
2001년에는 레이더 성능을 더욱 개량하고 유효 사거리를 늘린 KM167A3 모델이 개발되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으며[17], KM167A3 모델은 특히 열영상 야간 조준기가 장착되어 야간 작전 능력이 향상되었다.[16]
3. 디자인
M167 VADS(Vulcan Air Defense System)는 20mm M168 기관포, 탄약 공급 시스템, 동력식 포탑 내 사격 통제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M42A1 견인 포가에 장착된다.[1] VADS 시리즈는 M61 발칸의 대공포 버전인 '''M168 20mm 기관포'''를 핵심으로, 레이더, 컴퓨터 등 사격 통제 장치를 조합한 반자동 시스템이다. 자주식인 M163과 견인식 M167이 있다. M163의 차체는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한다. 탄약은 일반적으로 20mm 예광 자폭 고폭탄 및 예광탄을 사용한다.
M167A2 VADS는 개선된 사격 통제 하위 시스템으로 개조되었다. 개선 사항은 교란 레티클 조준경을 지시 레티클 조준경으로 교체하고, 조준경 전류 발생기를 디지털 프로세서로 교체하며, 방위각 구동 어셈블리를 하모닉 드라이브로 교체하여 이루어졌다.[10] 또한 각 측면에 바퀴를 추가하여 더 긴 지렛대를 제공함으로써 전복을 방지했다.
M168은 미국의 GE사가 개발한 M61의 파생형이다. M61은 유명한 항공 기관포이며, 분당 6,000 또는 4,000발의 발사 속도를 자랑하지만, M168에서는 분당 3,000 또는 1,000발로 낮춰져 있다. 또한, M61의 경우 6개의 포신이 정면에서 보면 원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한 점에 대한 사격 명중률을 향상시키는 데 비해, VADS의 경우 다소 타원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발사된 포탄이 흩어져 탄막을 형성함으로써 목표 제압 효과를 높인다.
VADS는 거리 측정 레이더와 탄도 계산기를 조합하여 적절한 편차 사격(이동하는 표적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래 위치에 사격하여 명중시키는 사격 방법)이 가능하다. 현재는 카메라를 부착하여 더욱 정확한 사격이 가능하게 된 개량형도 있다.
수단과 예멘은 M167 기관포를 소련 BTR-152 장갑차에 장착하여 사용했다.[11][12] 토요타 랜드 크루저에 "테크니컬" 형태로 장착된 M167이 후티 반군에 의해 예멘에서 실전에 사용된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4. 파생형
M167 발칸 대공 시스템(VADS)은 20mm M168 기관포, 탄약 공급 시스템, 동력식 포탑 내 사격 통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42A1 견인 포가에 장착된다.[1]
M167A2 VADS는 개선된 사격 통제 하위 시스템으로 개조된 모델이다.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교란 레티클 조준경을 지시 레티클 조준경으로 교체하고, 조준경 전류 발생기를 디지털 프로세서로 대체했으며, 방위각 구동 어셈블리를 하모닉 드라이브로 교체한 점 등이 있다.[10] 또한, 안정성 향상을 위해 각 측면에 바퀴를 추가하여 포가의 지지 기반을 넓혔다.[10]
4. 1. M163
M163은 M61 발칸의 대공포 버전인 '''M168 20mm 기관포'''를 핵심으로 하는 발칸 대공 시스템(VADS) 시리즈의 자주식 버전이다.[1] M163의 차체는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한다.[1]VADS 시스템은 M168 기관포와 함께 레이더, 컴퓨터 등 사격 통제 장치를 조합한 반자동 시스템이다.[1] 사용되는 탄약은 일반적으로 20mm 예광 자폭 고폭탄 및 예광탄이다.[1]
M168 기관포는 미국의 GE사가 개발한 M61의 파생형으로, 분당 발사 속도를 3,000발 또는 1,000발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원형인 항공 기관포 M61의 발사 속도(분당 6,000 또는 4,000발)보다 낮춰진 것이다.[1] 또한, M168의 6개 포신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다소 타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M61의 원형 배치와 다른 점으로, 발사된 포탄이 넓게 퍼져 탄막을 형성하여 표적 제압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1]
VADS는 거리 측정 레이더와 탄도 계산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미래 위치를 예측하여 사격하는 편차 사격이 가능하다.[1] 이후 카메라를 부착하여 사격 정확도를 더욱 높인 개량형도 개발되었다.[1]
4. 2. KM167A3
KM167A3은 육군, 공군, 해병대에서 운용 중인 M167 발칸의 한국형 개량 모델이다. 한국군은 1973년에 M167을 처음 도입하여 야전 배치와 동시에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국산화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M168 포열 결합체 역설계를 시작으로 차량 탑재용 및 고정 진지용 포가 결합체 제작 등 4단계에 걸쳐 1977년까지 진행되었다.
1981년에는 레이더를 장착하여 명중률을 높이고 고장 빈도를 줄인 국산 M167A1 모델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초기 M167A1은 탑재 차량이 단륜 구조여서 이동 중 전복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1983년부터는 탑재 차량의 좌우 차축을 더 긴 것으로 교체하고 복륜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성과 기동성을 높였다. 이 시기에 미 군사원조로 도입된 M167 역시 국산 M167A1 사양으로 개량되었으며, 사격 통제 장치도 전자식·IC 방식으로 개선되었다.[16]
이후 2001년에는 레이더 성능을 더욱 개량하고 유효 사거리를 늘린 KM167A3 모델이 개발되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17] KM167A3 모델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열영상 야간 조준기가 장착되어 야간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이다.[16]
4. 3. 기타
수단과 예멘은 M167 기관포를 소련 BTR-152 장갑차에 장착하여 운용하기도 했다.[11][12] 또한 토요타 랜드 크루저에 M167을 탑재한 이른바 '테크니컬' 형태가 후티 반군에 의해 예멘 내전에서 실전에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M167에 사용된 M168 20mm 기관포는 유명한 항공 기관포인 M61 발칸을 기반으로 개발된 파생형이다. M61은 분당 6,000발 또는 4,000발의 매우 빠른 발사 속도를 가지지만, 지상 대공용으로 개량된 M168은 발사 속도를 분당 3,000발 또는 1,000발로 낮추어 운용한다. 또한 M168은 M61과 달리 6개의 포신 배열을 약간 타원형으로 조정하여, 발사된 포탄이 좀 더 넓게 퍼져나가 탄막을 형성함으로써 비행 표적에 대한 명중률보다는 제압 효과를 높이도록 설계되었다.
5. 사용 국가
M167 발칸은 개발국인 미국을 비롯하여 대한민국, 이스라엘, 이집트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13] 일본 역시 과거 항공자위대와 해상자위대에서 운용한 바 있으나 현재는 퇴역하였다.[15] 이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방위군[13]이나 예멘의 후티 반군[14][13] 등 다양한 군사 조직에서 사용되었다.
5. 1. 현재 운용 국가
다음은 M167 발칸을 현재 운용 중인 국가 목록이다.
국가 | 보유 수량 | 비고 |
---|---|---|
대한민국 | 60 [13] | |
모로코 | 40 | |
미국 | ||
벨기에 | ||
보츠와나 | ||
사우디아라비아 | 30 [13] | 국가방위군에서 사용 |
수단 | 16 [13] | |
에콰도르 | 10 [13] | |
예멘 | [14][13] | 후티군에서 사용 |
온두라스 | ||
우루과이 | ||
이스라엘 | 72 [13] | |
이집트 | 72 [13] | |
태국 | 24 [13] |
'''과거 운용 국가'''
5. 2. 과거 운용 국가
=== 일본 ===
일본에서는 항공자위대가 항공 기지의 방공용으로 M167을 도입하여 기지방공대가 운용했다. 유효 사거리는 1.2km였다. 1992년부터는 해상자위대의 기지 방공용으로도 배치되었으나, 2006년에 항공자위대로 다시 이관되었다. 이후 방위 소요상의 중요도가 감소했다고 판단되어 2020년에 운용이 중지되었고, 2021년에는 당시 남아있던 176문이 모두 폐기되었다.[15]
6. 미디어
- '''배틀필드 시리즈'''
-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 ** 싱글 플레이에만 M167이 등장한다. 플레이어가 사용하기 전에 파괴되어 사용 불가능하다.
-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 ** 일부 맵의 미국군 진지에 M167이 설치되어 있으며, 플레이어가 사용 가능하다.
- '''기동 요새 "야마토"'''
-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타임슬립한 일본에서 항공자위대의 기지 방공대가 기지를 습격하는 B-29 슈퍼포트리스를 요격하기 위해 사용한다.
- '''초공의 결전'''
- * 타임게이트를 통해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견된 자위대가 만주국에 습격하는 소련 적군의 항공기를 요격하기 위해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Jane's Land-Based Air Defence 1992-93
Jane's Information Group
1992
[2]
서적
Operator's Manual (Crew) for Gun, Air Defense Artillery, Towed, 20mm, M167A1
https://archive.org/[...]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1986-05-22
[3]
서적
FM 44-1-2: Air Defense Artillery Reference Handbook
https://archive.org/[...]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4]
서적
FM 44-3: U.S. Army Air Defense Artillery Employment, Chaparral/Vulcan
https://archive.org/[...]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5]
웹사이트
M167 Vulcan Towed / Static Air Defense System - United States
https://www.military[...]
[6]
웹사이트
M167 VADS Vulcan Air Defense System
https://www.globalse[...]
[7]
웹사이트
M167 Vulcan - Weaponsystems.net
http://weaponsystems[...]
[8]
웹사이트
20mm M167 VADS
https://militaryedge[...]
2014-01-23
[9]
웹사이트
CIWS now does surface targets, too – Murdoc Online
http://www.murdoconl[...]
2009-03-27
[10]
웹사이트
M167A2 VADS Basis of Issue Plan - BOIP
https://man.fas.org/[...]
2022-09-26
[11]
문서
Soviet wheeled armoured vehicles
Concord
1990
[12]
간행물
Bronetransporter BTR-152
[13]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2
2022
[14]
웹사이트
The Oryx Handbook of Pre-war Yemeni Fighting Vehicles
https://www.oryxspio[...]
2015-09-20
[15]
문서
(35)中期防衛力整備計画(平成31年度~平成35年度)に基づく装備品の運用停止・プロジェクトの見直し状況
https://www.mof.go.j[...]
財務省主計局
[16]
뉴스
표적 특성 따라 발사탄 선택 육·해·공 어디든 촘촘히 방어한다
https://kookbang.dem[...]
2022-06-12
[17]
뉴스
'[한국의 무기 이야기] <16> 육군 특수무기 ⑦자주국방 서막 연 벌컨포<下>'
https://n.news.naver[...]
네이버
2022-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