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리 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리 밀스는 오글랄라 라코타족 출신 육상 선수로, 1964년 도쿄 올림픽 10,000m 경기에서 우승하며 미국 선수 최초로 해당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인디언 기숙학교에서 차별을 경험했으나, 캔자스 대학교에서 육상 선수로 활약하며 NCAA 올 아메리카 크로스컨트리 선수로 세 번 선정되었다. 올림픽 이후에는 육상 선수 활동과 더불어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여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또한, "워키니: 행복과 자기 이해를 향한 라코타의 여정" 등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남자 장거리달리기 선수 - 루이스 잠페리니
    루이스 잠페리니는 미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으로, 올림픽 국가대표 출전 후 전쟁 중 일본군 포로로 억류되었으며, 전후에는 복음주의자로 용서와 화해를 전파하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 미국의 남자 장거리달리기 선수 - 라이언 셰이
    라이언 셰이는 노터데임 대학교 출신의 육상 선수로, 고등학교와 대학교, 프로 선수로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07년 올림픽 선발전 중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 사우스다코타주 출신 - 브록 레스너
    브록 레스너는 NCAA 레슬링 챔피언 출신으로 WWE와 UFC에서 여러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고 "짐승"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이지만, NFL 진출 실패, 신일본 프로레슬링 활동, 약물 논란 등으로 주목과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다.
  • 사우스다코타주 출신 - 오스카 미쇼
    오스카 미쇼는 흑인 사회의 현실과 인종 차별 문제를 다룬 영화와 소설을 제작하고, 흑인 영화 감독으로서 최초의 장편 영화를 제작하며 '인종 영화' 장르를 개척한 미국의 영화 제작자이자 작가이다.
  • 캔자스 대학교 동문 - 롭 리글
    롭 리글은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작가이자 군인으로, 미 해병대 예비역 중령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영화와 코미디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 캔자스 대학교 동문 - 밥 돌
    밥 돌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캔자스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상원 원내대표를 역임했고, 대통령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정계 은퇴 후에는 로비스트, 작가, 연설가, 자선 활동가로 활동했다.
빌리 밀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밀스 (왼쪽)와 감무디 (1964년 올림픽)
밀스(왼쪽)와 감무디 (1964년 올림픽)
본명윌리엄 머빈 밀스
원어 이름Tamakhóčhe Theȟíla
별칭빌리 밀스
국적오글라라 라코타족, 미국
출생일1938년 6월 30일
출생지미국사우스다코타주파인리지
180 cm
몸무게68 kg
소속 클럽미국 해병대
학력
출신 대학하스켈 인디언 학교
캔자스 대학교
선수 경력
종목육상
개인 최고 기록5000 미터: 13분 41.4초
10000 미터: 28분 17.6초
마라톤: 2시간 22분 56초
주요 참가 대회올림픽의 육상 경기
메달 기록

2. 어린 시절과 교육

윌리엄 머빈 밀스(William Mervin Mills)는 파인리지에서 태어나 오글랄라 라코타족의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자랐다. 그의 라코타 이름인 ''Tamakhóčhe Theȟíla''는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 또는 "대지를 존중하는 사람"을 의미한다.[4] 7살 때 어머니를 여의었고, 12살에 아버지마저 돌아가시면서 고아가 되었다.[5] 그는 어린 시절 가난과 인종차별을 경험했다.

밀스는 로렌스에 있는 해스켈 인디언 네이션 대학교에서 달리기를 시작했고, 1956년 KSHSAA B 클래스 주 크로스컨트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6] 젊은 시절 복싱과 달리기를 병행했지만, 달리기에 집중하기 위해 복싱을 그만두었다. 캔자스 대학교에 체육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여 세 차례 NCAA 올 아메리카 크로스컨트리 선수가 되었다. 1960년에는 빅 에이트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캔자스 대학교 육상팀은 1959년과 1960년 실외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62년 체육 학위를 받고 졸업한 후, 미국 해병대에 입대했다. 1964년 올림픽에 출전했을 당시 해병대 예비군의 중위였다.[3] 일부 자료에 따르면, 밀스는 올림픽 경기 전날 밤까지 새 신발을 가져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7][8]

2. 1. 라코타족의 전통과 가르침

밀스는 오글랄라 라코타족의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자랐다. 그의 라코타 이름인 ''Tamakhóčhe Theȟíla''는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 또는 "대지를 존중하는 사람"을 의미한다.[4]

아버지 시드니는 밀스에게 “성공이란 인생에서 분명한 목표를 찾는 것이다”라는 말을 가르쳤는데, 이 말은 그의 인생 철학이 되었고, 훗날 금메달을 따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밀스는 아버지와 코치 두 사람에게서 "인디언 전사로 살아라"라는 가르침을 받고, 다음과 같은 목표를 제시받았다고 한다.

  • 자신의 일은 스스로 책임져라. 그럴 수 있다면 타인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라.
  • 모든 일에 신중하라. 우리는 모든 생명체의 위에도 아래에도 있지 않다.
  • 주는 것의 힘을 배우고, 자신을 존중하며, 타인을 존중하라.
  • 정령을 존중하고, 겸손과 헌신, 자존심을 중심으로 고귀함을 쌓아라.

2. 2. 인디언 기숙학교와 차별 경험

밀스는 파인리지의 인디언 기숙학교에 다녔으며, 이후 캔자스주 로렌스에 있는 해스켈 인디언 고등학교(현 해스켈 인디언 부족 대학교)에 진학했다.[6] 해스켈 재학 중에는 여름방학 동안 네브래스카주 발렌타인의 창고에서 아침 6시부터 저녁 5시까지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비를 벌었다. 인디언이라는 이유로 방을 구하지 못해, 여름 동안 인디언 아르바이트 동료와 함께 폐차장의 폐차 안에서 잠을 자고 개울에서 목욕하는 생활을 하는 등 차별을 경험했다.

2. 3. 스포츠와의 만남

밀스는 미식축구를 희망했지만, 코치였던 토니 코핀의 권유로 크로스컨트리를 시작하게 되었다.[6] 코핀은 "인간성과 자존심에 기반한 스포츠맨십이야말로 인디언의 길이다"라고 말했고, 밀스는 이 말에 감명을 받았다. 밀스는 미식축구 연습에 참가했으나 3주 만에 그만두고 코핀의 조언을 따랐다. 해스켈 고등학교에서 크로스컨트리 1위, 1마일 달리기 5위를 기록했다. 이후 달리기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캔자스 대학교에 육상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2. 4. 캔자스 대학교와 차별

밀스는 캔자스 대학교에서 육상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재학 중 전미 대학 선수권 대회 크로스컨트리에서 3회 우승했고, 1960년대에는 빅 에이트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개인 타이틀도 획득했다. 캔자스 대학교 육상팀은 밀스가 재학했던 1959년과 1960년 실외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1]

하지만 그 기록들은 완전히 무시되었다. 단체 사진 촬영 시 우승자인 그는 항상 백인들 사이에서 제외되었다. 사교 클럽 가입도 거부당했다. 친척 이야기를 하면 아메리카 원주민 이름이 이상하다며 조롱당했다.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과 괴롭힘이 너무 심해 밀스는 3학년 때 대학을 그만두기로 결심하고 고등학교 시절 코핀 코치에게 버스 정류장에서 전화를 걸었다. 달려온 코핀은 밀스 앞에서 통곡하며 “목표도 즐거움도 찾지 못하는 사람은 많은데, 도망치는 너가 안타깝다”라고 타일렀고, 뜻밖의 말에 놀란 밀스는 다시 경기를 계속하기로 했다. 버스는 밀스의 짐을 실은 채 떠나갔고, 코핀 코치는 밀스에게 갈아입을 옷을 사주었다.[1]

1960년, 4학년 때 아내 패트리샤와 결혼했다. 이 해 미시간에서 열린 NCAA 크로스컨트리 1부 리그에서 우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승자인 그는 기념 사진에서 제외되도록 강요받았다. 캐나다 대표 선수는 “미국 선수 중 우승한 사람이 그런데 왜 그러는가?”라며 밀스를 대신해 따졌다. 졸업 후 해병대 소위가 되었다.[1]

1963년, 뉴욕에서 열린 아마추어 육상 경기 연맹 크로스컨트리 결승에서 미국 선수 중 최고 성적인 3위에 입상했다. 이때도 사진에서 제외되도록 괴롭힘을 당했지만, 함께 있던 해병대 장교가 그렇게 하지 못하게 했다. 이렇게 해서 처음으로 기록 사진에 밀스의 모습이 남게 되었다. 그때까지 크로스컨트리 1부 리그에서 밀스를 이긴 미국 선수는 단 한 명뿐이었지만, 이러한 차별 속에 그 사실은 감춰져 있었다.[1]

3. 1964년 도쿄 올림픽

1964년 하계 올림픽에서 빌리 밀스는 10000m와 마라톤 종목에 미국 국가대표로 출전했다. 당시 밀스는 무명 선수였지만, 10,000m 경기에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올림픽 역사를 새로 썼다.

10,000m 경기 전까지 미국은 물론 서반구 출신 선수도 우승한 적이 없었다. 당시 유력한 우승 후보는 세계 기록 보유자인 오스트레일리아론 클라크였다. 밀스는 올림픽 선발전에서 2위를 기록했지만, 클라크의 기록보다 1분 가까이 느려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경기 후반, 론 클라크, 튀니지의 모하메드 가무디, 그리고 빌리 밀스만이 선두 그룹을 형성했다. 마지막 바퀴에서 클라크와 밀스가 선두 경쟁을 벌이던 중, 가무디가 이들 사이를 파고들며 선두로 치고 나갔다. 모두가 가무디의 우승을 예상했지만, 밀스는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폭발적인 스퍼트를 보여주며 가무디와 클라크를 모두 제치고 결승선을 통과했다. 밀스의 기록은 28분 24.4초로, 자신의 최고 기록을 50초 가까이 단축한 올림픽 신기록이었다.[9][10][11][12]

밀스는 10,000m 경기 후 마라톤에도 출전하여 2시간 22분 55.4초로 14위를 기록했다.

3. 1. 10,000m 경기

1964년 하계 올림픽 10,000m 경기에는 당시 세계 기록 보유자인 오스트레일리아론 클라크와 전 대회 우승자인 소련표트르 볼로트니코프 등 강력한 우승 후보들이 출전했다. 밀스는 예선 기록이 클라크보다 1분이나 느렸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경기 중반, 클라크, 튀니지의 모하메드 가무디, 에티오피아의 마모 볼데, 그리고 밀스만이 클라크와 함께 달렸다. 현지 기대를 모았던 일본의 츠부라야 고키치는 먼저 탈락했고, 볼데도 뒤이어 탈락했다.

결승선 2바퀴를 남기고 클라크, 가무디, 밀스만이 남았다. 클라크는 28분 15.6초의 세계 신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가무디와 밀스는 29분 이내 기록이 없었다.

마지막 바퀴에서 클라크와 밀스는 가무디가 바로 뒤따르는 상황에서 함께 달렸다. 클라크는 백스트레치에서 다른 선수들에게 막히자 밀스를 밀었고, 가무디가 그 틈을 타 선두로 나섰다. 클라크는 가무디를 추격했으나, 밀스는 경쟁에서 밀려난 듯 보였다.

그러나 밀스는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4번 레인으로 이동하여 놀라운 스퍼트를 보여주며 가무디와 클라크를 모두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밀스의 우승 기록은 28분 24.4초로, 자신의 이전 최고 기록보다 거의 50초나 빠른 올림픽 신기록이었다.[9][10][11][12]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갤런 럽이 은메달을 획득하기 전까지, 미국은 이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없었다.

경주 후 밀스는 클라크에게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최선을 다했는지 물었고, 클라크는 "네"라고 답했다. 밀스는 마지막 스퍼트를 할 때 편안하게 달리려고 노력했고, 그것이 가무디와 클라크를 제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3. 1. 1. 경기 전 상황

1964년 도쿄 올림픽 미국 대표 선발전에서 빌리 밀스는 제리 린드그렌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밀스는 6마일 경주에서 27분 56초 2의 기록을 세웠지만, 여전히 무명 선수였다. 선발전에서 기록한 29분 10초 4는 론 클라크의 최고 기록보다 1분 가까이 느린 기록이었다.

3. 1. 2. 경기 진행

1964년 하계 올림픽 1만m 경주 마지막 바퀴에서, 빌리 밀스와 론 클라크는 모하메드 가무디가 바로 뒤따라오는 상황에서 함께 달리고 있었다. 선두 그룹은 다른 선수들을 추월하며 달렸고, 클라크는 백스트레치에서 다른 선수들에게 막혔다. 클라크는 밀스를 한 번, 그리고 다시 한 번 밀었다. 그러자 가무디가 두 선수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마지막 커브를 돌면서 선두로 나섰다. 클라크는 가무디를 추격했지만, 밀스는 뒤처져 경쟁에서 밀려난 것처럼 보였다.[9]

3. 1. 3. 역전 우승

1964년 도쿄 올림픽 10000m와 마라톤 미국 대표로 선발된 빌리 밀스는 당시까지 미국인은 물론 서반구 출신 선수 중 누구도 10000m에서 우승한 적이 없었기에 무명 선수였다. 도쿄 올림픽에서는 세계 기록 보유자인 오스트레일리아론 클라크를 중심으로, 1960년 로마 올림픽 10000m 금메달리스트인 소련의 표트르 보로트니코프와 5000m 금메달리스트인 뉴질랜드의 머레이 할버그가 우승을 다툴 것으로 예상되었다.

미국 선발전에서 린드그렌보다 8초 정도 늦은 2위로 통과한 밀스는 6마일 경주에서 27분 56초 2를 기록했지만, 선발전 기록(29분 10초 4)은 클라크의 최고 기록보다 1분 가까이 느렸다.

10000m 결승전은 클라크가 페이스를 조절하며 진행되었다. 레이스 중반을 넘어서자 클라크를 따라온 것은 튀니지의 모하메드 가무디, 에티오피아의 마모 왈데, 그리고 밀스뿐이었다. 클라크, 마모, 가무디, 밀스 4명으로 선두 집단이 좁혀졌고, 2위 그룹에서는 일본의 에누야 고키치, 소련의 두토프, 이바노프, 오스트레일리아의 쿡이 경쟁했다. 레이스 후반에는 에누야와 이바노프가 남아 치열한 5위 다툼을 벌였다.

클라크, 밀스, 마모가 번갈아 선두에 서고, 가무디는 클라크를 바짝 따라붙었다. 마지막 2바퀴에서 마모가 탈락하여 선두 그룹에서 10~15m 뒤처지기 시작했다. 클라크는 28분 15초 6의 세계 신기록을 가지고 있었지만, 가무디와 밀스는 모두 29분을 밑돈 적이 없었다.

마지막 바퀴, 밀스와 클라크의 약간 뒤에 가무디가 붙은 채로 2번째 코너를 돌 때, 클라크가 추월당한 선수를 추월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나갔다. 그 순간 밀스와 부딪혔고, 클라크는 밀스에게 한두 번 팔꿈치로 쳤다. 밀스는 바깥쪽으로 밀려 휘청거렸지만 다시 균형을 잡고, 바로 뒤이어 가무디가 밀스와 클라크 사이를 양팔을 휘두르며 비집고 들어갔다(영상에 분명하게 남아있다). 이때 가무디가 금메달을 따낼 것처럼 보였다.

클라크는 가무디를 추격하며 속도를 높였지만, 2m의 차이는 좁혀지지 않았다. 밀스는 추월당한 선수들이 흩어져 달리는 가운데 경쟁에 뛰어들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마지막 직선에서 밀스는 바깥쪽에서 놀라운 스퍼트로 클라크와 가무디 두 선수를 제치고 앞질렀다.

밀스는 자신의 최고 기록을 약 50초나 단축한 28분 24초 4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우승했다.[9][10][11][12] 이는 미국 선수 최초의 올림픽 10,000m 금메달이었다.

1964년 올림픽 1만m 경주에서 결승선을 통과하는 빌리 밀스

4. 올림픽 이후

밀스는 올림픽 이후에도 육상 선수로 활동하며 아마추어 육상 연맹(AAU)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제리 린드그렌과 함께 6마일 달리기 세계 기록을 동시에 경신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13]

은퇴 후에는 러닝 스트롱 포 아메리칸 인디언 유스(Running Strong for American Indian Youth)라는 비영리 단체를 공동 설립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청소년들을 지원하고, 인권 운동과 당뇨병 예방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14][15] 니콜라스 스파크스(Nicholas Sparks)와 함께 책을 집필하기도 했다.[29][5]

4. 1. 육상 선수로서의 활동

밀스는 이후 10,000m(28m 17.6초)와 3마일 달리기에서 미국 신기록을 세웠고, 5,000m 최고 기록은 13분 41.4초였다. 1965년, 제리 린드그렌과 함께 아마추어 육상 연맹(AAU)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6마일 달리기 세계 기록을 동시에 경신했는데, 27분 11.6초로 동시에 결승선을 통과했다.[13]

4. 2. 자선 활동과 사회 운동

밀스는 유진 크리제크와 함께 비영리 단체인 러닝 스트롱 포 아메리칸 인디언 유스(Running Strong for American Indian Youth)를 공동 설립했다. 러닝 스트롱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고, 자립심과 자존감을 갖도록 돕는 단체이다. 밀스는 현재 이 단체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원주민 청소년들에게 꿈을 쫓도록 격려하고 있다.[14] 또한, 밀스는 당뇨병 예방 및 관리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그는 2형 당뇨병 환자로서, 건강한 생활 방식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15]

밀스는 니콜라스 스파크스(Nicholas Sparks)와 함께 "워키니: 행복과 자기 이해를 향한 라코타의 여정(Wokini: A Lakota Journey to Happiness and Self-Understanding)"이라는 책을 공동 집필했고,[29] "라코타의 교훈(Lessons of a Lakota)"이라는 책을 집필하기도 했다.[5]

5. 유산과 영예

빌리 밀스는 육상 선수이자 사회 운동가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의 명예의 전당 헌액 및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명예의 전당 헌액미국 육상 명예의 전당,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 미국 장거리 달리기 명예의 전당, 캔자스 명예의 전당, 사우스다코타 명예의 전당, 샌디에이고 명예의 전당, 전국 고등학교 명예의 전당, 전국 아메리카 원주민 명예의 전당
주요 수상대통령 시민훈장(2012년), 시어도어 루즈벨트 상(2014년), 반 명예훼손 연맹 증오에 맞선 ADL 콘서트 수상(2014년), 대통령 위원회 평생 공로상(2015년)
기타1984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 올림픽 깃발 전달, 새크라멘토 명예의 거리 명판(2017년), 빌리 밀스 중학교로 교명 변경(2018년)



밀스는 아메리카 원주민으로서 겪은 차별을 극복하고 이룬 성과로 더욱 값진 평가를 받는다. 특히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대통령 시민훈장 수여는 사회 공헌을 인정받은 결과이다.[19]

5. 1. 명예의 전당 헌액

밀스는 1976년 미국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7] 1984년에는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1] 같은 해 제23회 올림픽 개막식에서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으로 올림픽 깃발을 전달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18]

그는 미국 장거리 달리기 명예의 전당, 캔자스 명예의 전당, 사우스다코타 명예의 전당, 샌디에이고 명예의 전당, 전국 고등학교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1] 2018년 10월에는 전국 아메리카 원주민 명예의 전당 첫 헌액식에서 헌액자 중 한 명이 되었다.[26]

5. 2. 수상 경력


  • 1976년, 미국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7]
  • 1984년,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열린 23회 올림픽 개막식에서 올림픽 깃발을 전달하는 영광을 안은 미국 올림픽 선수 중 한 명이었다.[18]
  • 1984년,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 미국 장거리 달리기 명예의 전당, 캔자스 명예의 전당, 사우스다코타 명예의 전당, 샌디에이고 명예의 전당, 전국 고등학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 2012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아메리칸 인디언 청소년을 위한 힘찬 질주(Running Strong for American Indian Youth) 단체에서의 활동을 인정하여 대통령 시민훈장을 수여했다.[19]
  • 2014년, NCAA 최고의 영예인 시어도어 루즈벨트 상을 수상했다.[20]
  • 2014년, 버지니아주 상원은 그의 올림픽 우승 50주년을 기념하는 공동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1]
  • 2014년, 반 명예훼손 연맹은 증오에 맞선 ADL 콘서트(ADL In Concert Against Hate) 수상자로 선정했다.[22]
  • 2015년, 미국 대통령 체력·스포츠·영양위원회는 대통령 위원회 평생 공로상을 수여했다.[23]
  • 2017년, 새크라멘토의 명예의 거리에 있는 명판에 업적이 기념되었다.[24]
  • 2018년, 로렌스 통합 교육구 497은 사우스 중학교의 이름을 빌리 밀스 중학교로 변경했다.[25]
  • 2018년, 전국 아메리카 원주민 명예의 전당의 첫 번째 헌액식에서 헌액자 중 한 명이 되었다.[26]

6. 저서


  • 1990년, 니콜라스 스파크스와 함께 ''워키니: 행복과 자기 이해를 향한 라코타의 여정(Wokini: A Lakota Journey to Happiness and Self-Understanding)''을 공동 집필했다.[27]
  • 2005년, ''라코타의 교훈(Lessons of a Lakota)''을 집필했다.[28]

참조

[1] Sports-Reference Billy Mills https://www.sports-r[...]
[2] 웹사이트 Billy MILLS - Athlete Profile https://www.iaaf.org[...]
[3] 웹사이트 Marine Corps History Division http://www.tecom.usm[...] Marine Corps History Division, United States Marine Corps 2008-08-13
[4] 웹사이트 Olympic Legend Billy Mills: One Man Is Still Going the Distance for Two Nations https://www.washingt[...] 2005-10-29
[5] 뉴스 The Olympians: Billy Mills, USA http://www.ft.com/in[...] 2012-06-09
[6] 웹사이트 Boys State Cross Country Champions (Kansas State High School Activities Association), p. 15, top http://www.kshsaa.or[...]
[7] 웹사이트 Billy Mills: From unknown to 1964 Olympic gold medalist https://www.nbcolymp[...] 2023-01-11
[8] 웹사이트 From Poverty to Olympic Gold https://www.shoestha[...] 2023-01-11
[9] 웹사이트 Look At https://web.archive.[...] 2012-02-27
[10] 웹사이트 USA Track & Field | USATF mourns the loss of Harry Groves and Dick Bank https://www.usatf.or[...]
[11] Youtube 1964 Olympic 10,000m uOj0zjPzg-c 2008-04-09
[12] 웹사이트 TV COLUMN: Bank's call made Mills' upset even more memorable http://www.sandiegou[...] 2012-08-10
[13] 웹사이트 Statistics – USA Outdoor Track & Field Champions https://web.archive.[...] 2011-06-10
[14] 웹사이트 Running Strong for American Indian Youth http://www.indianyou[...] Indianyouth.org
[15] 웹사이트 Runner Billy Mills Keeps Making Strides http://www.diabetesf[...] diabetesforcast.org
[16] 웹사이트 Running as a Spiritual http://www.onbeing.o[...] 2016-08-18
[17] 웹사이트 Hall of Fame http://www.legacy.us[...]
[18] 웹사이트 SCOUTING; A 'Fraternity' Excludes Spitz https://www.nytimes.[...] 1984-07-31
[19] 웹사이트 President Obama to Honor Recipients of the 2012 Citizens Medal https://obamawhiteho[...] 2013-02-08
[20] 웹사이트 Billy Mills to receive NCAA's 2014 Theodore Roosevelt Award https://www.ncaa.org[...] NCAA
[21] 웹사이트 SENATE JOINT RESOLUTION NO. 5083 http://lis.virginia.[...] Virginia's Legislative Information System 2014-09-18
[22] 웹사이트 2014 ADL In Concert Against Hate Honorees http://www.cvent.com[...] ADL
[23] 웹사이트 PCFSN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www.fitness.g[...] President's Council on Fitness, Sports & Nutrition
[24] 웹사이트 Meet the newest Sacramentans honored on the Walk of Stars https://web.archive.[...]
[25] 뉴스 Lawrence school board approves changing name of South to Billy Mills Middle School http://www2.ljworld.[...] 2018-02-26
[26] 웹사이트 National Native American Hall of Fame names first twelve historic inductees - IndianCountryToday.com https://web.archive.[...] Newsmaven.io
[27] 서적 Wokini: A Lakota Journey to Happiness and Self-Understanding Hay House 1999-07
[28] 서적 Lessons of a Lakota Hay House 2005-07-01
[29] 서적 Wokini: A Lakota Journey to Happiness and Self-Understanding Hay House 199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