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목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목구는 기독교 교회 행정의 기본 단위 중 하나로, 가톨릭, 성공회, 동방 정교회, 루터교 등에서 사용된다. 13세기 후반 영어에서 유래된 이 용어는 고대 프랑스어와 라틴어를 거쳐 그리스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시대에 교구 구조가 도입된 이후 중세 시대를 거치며 전국적인 규모로 발전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사목구가 본당과 부속 시설을 포함하는 지역 공동체를 의미하며, 성공회, 감리교, 스코틀랜드 교회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 조직 - 성직 자치단
성직 자치단은 성공회 신자들이 고유한 전례와 영적 유산을 유지하며 가톨릭 교회와 완전한 친교를 이루도록 가톨릭 교회 내에 설립된 특별 관할 구역으로, 성공회 전통을 보존하며 가톨릭 교회에 통합되기를 희망하는 전직 성공회 신자들과 성공회 관련 개신교 신자들에게 개방된다. - 로마 가톨릭 조직 - 대목구
대목구는 명목 주교인 사도 대리가 이끄는 지역으로, 교황의 관할권 행사가 이루어지는 개별 교회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도 지목구에서 발전한 형태로 교황이 임명하는 사도 대리에 의해 운영된다. - 성공회 -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는 1787년 첫 함대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어 식민지 사회에 기여하며 발전, 1962년 자치권을 획득하고 1981년 공식 명칭을 변경했으며, 현재 여성 사제 및 주교 서임 허용과 LGBT 관련 문제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호주의 성공회 교회이다. - 성공회 - 고교회파
고교회파는 17세기 영국 성공회 내에서 전례와 교회 전통을 중시하는 신학적 입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전통 옹호, 앵글로 가톨릭 유사성, 토리당 연관성, 현대적 이슈에 대한 내부 다양성 및 갈등 등의 특징을 보인다.
사목구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유형 | 교회 행정 구역 |
규모 | 교구의 하위 행정 구역 |
설명 | 특정 교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신자들의 공동체 |
역사 | |
기원 | 로마 제국 말기, 도시 외곽 지역의 신자들을 위한 구역 설정에서 유래 |
발전 | 중세 시대에 장원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 교회의 중심적인 행정 단위로 자리 잡음 |
역할 및 기능 | |
주요 역할 | 성례: 세례, 성체성사, 혼인성사 등 거행 교육: 교리 교육, 신앙 상담 등 제공 봉사: 자선 활동, 지역 사회 기여 등 수행 |
구성 요소 | |
구성원 | 사제, 부제, 평신도 |
조직 | 사목회, 재정위원회 등 다양한 조직 운영 |
시설 | 교회, 사제관, 교육관, 묘지 등 |
중요성 | |
신앙 공동체 중심 | 신자들이 함께 신앙 생활을 하고, 영성을 함양하는 중요한 공간 |
지역 사회 연결 | 지역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을 위해 노력 |
문화 유산 보존 | 교회 건축물, 미술품, 음악 등 소중한 문화 유산 보존 |
현황 | |
변화 | 교회 감소, 사제 부족 등 어려움 직면 |
노력 | 공동 사목, 평신도 지도력 강화 등 노력 경주 |
한국의 사목구 | |
특징 | 한국 천주교회의 교구 산하 행정 구역 |
역할 | 신자들의 신앙생활 지원, 선교 활동, 사회봉사 등 수행 |
현황 | 전국에 약 1,700여 개의 사목구 존재 |
2. 역사
"parish"라는 단어는 13세기 후반 영어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고대 프랑스어 paroissefro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다시 paroeciala에서 유래되었으며, paroeciala는 παροικία|paroikiagrc(πάροικοςel (''paroikos'') "곁에 거주하는 사람, 이방인, 체류자"에서 유래[4])를 로마자 표기한 것이다.[3] πάροικοςel는 παράel (''pará'') "곁에, ~에 의해, 근처에"[5] 와 οἶκοςel (''oîkos'') "집"의 합성어이다.[6]
"parish"라는 용어는 가톨릭교회, 성공회, 동방 정교회, 루터교 등 오래된 기독교 교파에서 사용되며, 일부 감리교, 회중교회, 장로교 행정에서도 사용된다.
캔터베리 대주교 8대인 타르수스의 테오도르 (c. 602–690)는 앵글로색슨 읍 단위에 교구 구조를 추가했으며, 민스터가 주변 지역을 담당했다.[7]
2. 1. 초기 기독교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는 각 도시에 주교를 수장으로 하는 교회가 있었고, 교구(주교구)만 존재했다. 그러나 3세기경부터 도시 외에도 기독교 신자가 늘어나 교회가 세워지면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주교 산하에서 그러한 교회를 관할하는 사제가 배치되기 시작한 것이 소교구제의 시작이다.[24]2. 2. 중세 시대
게르만 민족은 기독교 이전의 풍습을 이어받아 영주의 사유 교회를 세웠고, 이곳에서도 독자적인 소교구제가 성립되었다.[24]중세 시대, 특히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프랑크 왕국이 확대되면서 도시의 교회와 영주의 사유 교회가 합쳐져 전국적인 소교구제가 성립되었다고 여겨진다.[24]
3. 기독교에서의 쓰임
"parish"라는 단어는 13세기 후반 영어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고대 프랑스어 paroisse|파루아스fro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다시 라틴어 paroecia|파로에키아la에서 유래되었고, paroecia|파로에키아la는 παροικία|paroikia|파로이키아grc, 즉 "외국에서의 체류"를 로마자 표기한 것이다.[2][3]
"parish"라는 용어는 가톨릭교회, 성공회, 동방 정교회, 루터교 등 오래된 기독교 교파에서 사용되며, 일부 감리교, 회중교회, 장로교 행정에서도 사용된다.
캔터베리 대주교 8대인 타르수스의 테오도르 (c. 602–690)는 앵글로색슨 읍 단위에 교구 구조를 추가했다.[7] 광범위하게 말해, 교구는 주교정치 교회 행정의 표준 단위이지만, 교구의 일부는 편의 예배당 또는 지교회가 있는 ''채플러리''로 세분될 수 있다.
교구는 교구장 또는 ''포라네 대리구''(또는 단순히 ''대리구'')로 그룹화될 수 있으며, 교구장 또는 ''포라네 대리''가 감독하거나, 경우에 따라 수석사제가 감독한다.
각 교파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교파 | 특징 |
---|---|
가톨릭 교회 | 각 사목구는 자체 본당 신부(일부 국가에서는 목사 또는 교구장)를 두고, 이들은 사목구에 대한 책임과 교회법적 권한을 갖는다.[15] |
잉글랜드 교회 | 지리적 구조는 지역 교구 교회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며, 교구 제도는 성공회 종교 개혁과 함께 살아남았다. |
스코틀랜드 교회 | 교회 행정의 기본 단위이며, 각 교구 교회의 영적 감독은 교구의 당회의 책임이다. |
웨일스 교회 | 1920년 국교에서 분리되었으며, 6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고 교구 제도를 유지했다. |
연합감리교회 | 교회를 사목구라고 부르지만, 단순히 회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으며 지리적 경계는 없다. |
3. 1.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사목구는 중심 성당 건물과 한 곳 이상의 사제 출장 성당이나 공소, 기타 소유지도 포함하는 지역, 지방에 있는 교회 공동체 또는 사유지에 적용되며 본당구로도 불린다. 각 교구(주교구) 안에 여러 개의 소교구가 설치되며, 각 소교구는 "주임 교회"라고 불리는 중심 교회를 갖는다.[15] 소교구에는 "주임 신부"(parish priest영어, parochusla)가 있으며, 소교구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갖는다. 주임 신부는 주교 직속의 교구 사제가 임명되는 경우가 많지만, 주교로부터 소교구 관리를 위임받은 수도회의 수도 사제가 주임 신부를 맡는 경우도 있다. 사목구에 배정받은 사제는 해당 사목구 안에서만 사목을 수행할 수 있다.[15] 사목구는 경계 조정으로 분가되거나 바뀔 수 있다.대부분의 영어권 국가에서 "본당 신부"라고 부르는 사람은 미국에서는 "목사"라고 불리며, "본당 신부"라는 용어는 하위 직책을 포함하여 본당에 배정된 모든 신부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주임 신부를 보조하는 사제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보좌 신부"라고 불린다.[16]
일반적으로 사목구는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 내에 거주하는 모든 가톨릭 신자로 구성되지만, 특정 전례, 언어, 국적 또는 공동체에 속한 가톨릭 신자를 위해 개인적인 기준으로 정의된 지역 내에 비영토 사목구도 설립될 수 있다.[19]
3. 1. 1. 아웃스테이션 (Outstations)
아웃스테이션은 새로 만들어진 신도 공동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주로 교회가 복음주의적이거나 기독교 선교를 하는 경우, 특히 아프리카 국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14][9] 역사적으로는 호주에서도 사용되었다.[8] 아웃스테이션은 주로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 교구 내에 존재한다.[14][9][10][11][12][13]카메룬 성공회 교구는 아웃스테이션을 "모(母) 본당에서 시작하고 후원하며 감독하는" 선교 사업의 결과로 묘사한다. 같은 장소에 충분한 수의 신자들이 모이면 교구 주교가 아웃스테이션의 이름을 지정한다. 아웃스테이션은 "교리교사/전도사" 또는 평신도 독서가에 의해 운영되며, 아웃스테이션을 설립한 본당 또는 교구의 감독을 받는다.[14]
아웃스테이션은 자립형이 아니며, 가난한 지역에서는 매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본당 신부는 가능한 한 자주 방문한다. 공동체가 충분히 성장하면 아웃스테이션은 본당이 되어 본당 신부가 배정될 수 있다.[9]
3. 2. 성공회
성공회는 전도구를 두어 운영하고 있다. 잉글랜드 성공회를 중심으로 기존 전도구 중심의 사목과 대치되는 비지역 기반의 교회 운동인 새로운 교회 표현(영어)을 인정하고 있다.
잉글랜드 교회의 지리적 구조는 지역 교구 교회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교구 제도는 성공회의 종교 개혁과 함께 살아남았으며, 잉글랜드 교회가 로마와 분리된 이후에도 대체로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제도와 뿌리를 공유한다. 각 교구는 자체적인 교구 사제를 두고, 부목사나 집사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웨일스 교회는 1920년 국교에서 분리되었으며, 6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웨일스 교회는 교구 제도를 유지했으며, 1974년 커뮤니티가 설립될 때까지 교구는 시민 행정 구역이기도 했지만, 반드시 동일한 경계를 공유하지는 않았다. 웨일스 교회는 교구를 더 큰 사역 구역(Ardaloedd Gweinidogaeth)으로 재편성할 것을 제안했다.
잉글랜드 국교회에서는 가톨릭 교회의 시스템의 많은 부분이 개혁 이후에도 계승되어 교구 교회가 기본적인 단위로 여겨진다. 그러나 잉글랜드 국교회를 모체로 세계에 퍼져나간 성공회 (성공회 공동체)의 여러 교회에서는 소교구 제도를 두고 있지 않은 관구나 교구도 있다.
3. 2. 1. 일본 성공회
일본 성공회에서는 소교구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다.[1]3. 3. 감리회
감리회는 “세계가 나의 전도구(교구)다!”라는 요한 웨슬리의 발언에 따라 구역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지만 행정적 도구로서 구역을 활용하고 있다.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지방회 아래에 구역을 두고 있다. 보통 한 구역에 한 교회가 배속되지만, 미자립교회의 경우 예외적으로 여러 개의 교회가 소속되는 경우가 있다.연합감리교회에서는 교회를 사목구라고 부르지만, 단순히 회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으며 지리적 경계는 없다. 이 용법의 두드러진 예는 『연합감리교회 규정집』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직원을 지원하는 모든 지역 회중의 위원회는 교역자-사목구 관계 위원회라고 불린다. 이 위원회는 각 회중에 교역자를 임명하는 사람이 감독 구역의 연합감리교회 감독이기 때문에 사목구/회중을 대신하여 감독에게 권고안을 제시한다. 이는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와 기독교 감리교 감독 교회에서도 마찬가지다.
3. 4. 스코틀랜드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교구는 교회의 관리 기본 단위이다. 각 교구 교회의 영적 감독에 대한 책임은 교인들의 최하급 장로 회의(Kirk Session)에 있다.4. 행정에서의 쓰임
19세기 영국에서 시민 교구와 교구 의회가 발전하면서, '교구'라는 단어는 세속적인 행정 구역 단위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서는 행정동이 법정동을 관할하는 것처럼, 일부 지역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구' 아래에 '교구' 또는 비슷한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When Parishes Merge or Close
http://www.catholic.[...]
2007-07
[2]
웹사이트
paroecia
https://www.perseus.[...]
[3]
웹사이트
παροικία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πάροικος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παρά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οἶκος
https://www.perseus.[...]
[7]
서적
What Anglicans Believe. An Introduction
Canterbury Press
2011
[8]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stkevins[...]
2020-08-18
[9]
웹사이트
The Outstation That Wanted to be a Real Parish
https://catholicmiss[...]
2011-09-12
[10]
웹사이트
Southwark Cathedral and the Anglican Church in Zimbabwe
https://cathedral.so[...]
1952-08-01
[11]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St. Peter Society
http://www.stmichael[...]
2018-11-11
[12]
웹사이트
Little by Little We Build our Church
https://mcspa.org/li[...]
2019-08-04
[13]
논문
The 'Three Crosses' of Mission Work: Fifty Years of the American Board of Commissioners for Foreign Missions (ABCFM) in Angola, 1880-1930
[14]
웹사이트
Diocese
http://anglicandioce[...]
2017-08-22
[15]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canon 519
http://www.intratext[...]
[16]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canon 545 in the English translation by the Canon Law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ssisted by the Canon Law Societ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the Canadian Canon Law Society
http://www.intratext[...]
[17]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canon 545 in the English translation by the Canon Law Society of America
https://www.vatican.[...]
[18]
웹사이트
Chapel
http://www.newadvent[...]
1908
[19]
웹사이트
can. 518
http://www.intratext[...]
[20]
웹사이트
Summorum Pontificum, article 10
http://www.sanctamis[...]
[21]
웹사이트
Dioceses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2021-09-08
[22]
웹사이트
Vision of Britain {{!}} Administrative Units Typology {{!}} Status definition: Chapelry
https://www.visionof[...]
[23]
웹사이트
Status details for Township
http://www.visionofb[...]
2008-02-24
[24]
문서
阪口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