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 얘르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미 얘르비(Sami Järvi, 1970년 3월 28일 출생)는 핀란드 출신의 각본가, 게임 개발자, 배우이다. 그는 레메디 엔터테인먼트에서 활동하며, 《맥스 페인》, 《앨런 웨이크》, 《퀀텀 브레이크》 등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각본, 제작, 연출에 참여했다. 또한 《맥스 페인》 시리즈에서 주인공 맥스 페인의 얼굴 모델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작가 - 미카엘 아그리콜라
핀란드의 종교 개혁가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핀란드어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핀란드어 표준 표기법 개발, 최초의 핀란드어 신약성서 번역, 종교 서적 출판 등의 업적을 남겼고 핀란드 최초의 루터교 주교를 역임했다. - 핀란드의 작가 - 아우니 누올리바라
아우니 누올리바라는 1936년 오타바 도서상을 수상한 소설 《목자, 하녀, 그리고 안주인》으로 유명하며, 소설 외에도 연극, 라디오 드라마, 어린이 책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한 핀란드의 작가이다. - 게임 시나리오 작가 - 우치코시 코타로
우치코시 코타로는 1973년생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시나리오 작가, 게임 디렉터로서, 극한탈출 시리즈와 AI: 섬니움 파일즈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코다카 카즈타카와 함께 투쿄 게임즈를 설립하여 독특한 스토리텔링으로 인정받고 있다. - 게임 시나리오 작가 - 호리이 유지
호리이 유지는 일본의 게임 디자이너이자 작가, 만화 원작자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시나리오 및 게임 디자인을 담당하여 일본 롤플레잉 게임(RPG)의 전형을 확립했으며, 다양한 게임 제작과 감독을 거쳐 수상 경력과 함께 고향의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었다. - 1970년 출생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1970년 출생 - 제이슨 리
제이슨 리는 1980년대 후반부터 프로 스케이트보더로 활동하다 1990년대 초 배우로 전향하여 케빈 스미스 감독 영화에 다수 출연하고 NBC 드라마 《마이 네임 이즈 얼》에서 주연을 맡은 미국의 배우이다.
사미 얘르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사미 안테로 얘르비 |
출생일 | 1970년 3월 28일 |
출생지 | 헬싱키, 핀란드 |
직업 | 작가, 감독 |
학력 | 헬싱키 대학교 |
고용주 | 레메디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참여 작품 | Max Payne Max Payne 2 Alan Wake Quantum Break Control Alan Wake 2 |
![]() |
2. 생애
1970년 3월 28일 핀란드에서 태어났다.[29] 1995년경 헬싱키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3] 그는 오랜 친구이자 레메디 엔터테인먼트의 초기 멤버 중 한 명인 페트리 얘르빌레토를 통해 비디오 게임을 접하게 되었다. 당시 레메디는 첫 번째 게임인 ''데스 랠리''를 개발 중이었고 게임에 필요한 텍스트가 필요했는데, 얘르빌레토는 레메디가 아는 몇 안 되는 작가 중 한 명인 얘르비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얘르비는 그 제안을 받아들였고, 그 이후로 레메디에 계속 함께하고 있다.[3]
사미 얘르비는 1995년경 헬싱키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3] 그는 오랜 친구이자 레메디 엔터테인먼트의 초기 멤버 중 한 명인 페트리 얘르빌레토를 통해 비디오 게임 개발에 발을 들였다. 당시 레메디는 첫 게임인 《데스 랠리》를 개발 중이었고, 게임에 필요한 텍스트 작성을 위해 얘르비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얘르비는 이 제안을 수락하며 레메디 엔터테인먼트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3]
레메디에 입사하기 전, 핀란드 연극 아카데미(Theatre Academy of Finland)에서 극본을 공부했다.[30] 그는 이곳에서의 공부가 게임 개발에 어떻게 응용되었는지에 대해 "아주 공통적이지만, 몇몇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해야 했다. ... 대사를 쓰는 방식은 영화, TV, 게임에서 쓰이는 방식이 서로 같다. 우리는 영화 대본 소프트웨어로 우리 게임의 각본을 작성했는데, 다른 분기점, 선택적 대사 등등 자연스럽게 영화 극본에서는 존재하지 않은 것이 각본에 존재했다."고 설명했다.[30]
그래픽 노블 스타일의 이야기인 《맥스 페인》을 시작으로, 《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 및 《앨런 웨이크》에서 각본가로 참여했다. 이후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와 마이크로소프트 독점 비디오 게임 《퀀텀 브레이크》에서는 제작 감독(Creative Director)을 맡았다.[31]
작가로서 영향을 준 것에 대한 질문에는 책과 텔레비전 등 여러 매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답했다. 특히 마크 Z. 대니얼레프스키의 책 《나뭇잎의 집》을 언급하며 "... 게임과 공유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어떤 면에서 무엇이 가능한지를 가르쳐 주었고, 그것이 크게 자극이 되었고 흥분을 주었죠."라고 말하며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 또한 데이비드 린치와 마크 프로스트가 참여한 드라마 《트윈 픽스》의 방영 당시 새로운 에피소드를 즐겨 봤으며, 인디 게임의 실험적인 스토리텔링에도 주목한다고 했다.[31]
3. 경력
레메디에 입사하기 전에는 핀란드 연극 아카데미(Theatre Academy of Finland)에서 극본을 공부했다. 이때의 경험이 게임 개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그는 "아주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몇몇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했다. [...] 대사를 쓰는 방식은 영화, TV, 게임에서 서로 유사하다. 우리는 영화 대본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게임 각본을 작성했지만, 분기점이나 선택적 대사처럼 영화 극본에는 없는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포함되었다."라고 설명했다.[30]
그는 그래픽 노블 스타일의 스토리텔링을 선보인 《맥스 페인》 시리즈와 《앨런 웨이크》의 각본가로 참여했으며,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부터는 제작 감독 역할도 맡기 시작하여 《퀀텀 브레이크》에서도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31] 그의 작업은 특히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구축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작가로서 영향을 받은 것에 대한 질문에 얘르비는 책, TV 등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얻는다고 답했다. 특히 마크 Z. 대니얼레프스키의 소설 《나뭇잎의 집》을 언급하며 "... 게임과 공유하는 지점이 있었다. 어떤 면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는 큰 자극과 흥분을 주었다."라고 말하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데이비드 린치와 마크 프로스트가 제작한 TV 시리즈 《트윈 픽스》의 팬이었으며, 인디 게임의 실험적인 스토리텔링 방식에도 주목한다고 덧붙였다.[31]연도 제목 감독 각본가 참고사항 2001 《맥스 페인》 아니오 예 레메디 엔터테인먼트 및 3D 렐름즈 개발 2003 《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 아니오 예 2008 《맥스 페인》 (영화) 아니오 예 존 무어 감독 2010 《앨런 웨이크》 아니오 예 2012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 예 예 제작 감독 2016 《퀀텀 브레이크》 예 예 제작 감독
3. 1. 맥스 페인 시리즈
사미 얘르비는 맥스 페인 1편 개발 과정에서 게임의 스토리와 각본을 작성하고 레벨 디자인을 돕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게임 예산이 부족하여 전문 배우를 고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얘르비 본인이 직접 주인공 맥스 페인의 얼굴 모델을 맡았다. 또한 그의 어머니가 게임의 주요 악당인 니콜 혼 역할을, 아버지가 알프레드 워든 역할을 맡기도 했다.[4][5][18][19]
후속작인 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에서는 제작 예산이 늘어나면서 얘르비는 각본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이 게임의 각본은 일반적인 영화 각본보다 약 4배 더 길었다고 한다.[6][20] 예산 증액 덕분에 그래픽 노블 컷신에 사용될 모델로 전문 배우를 고용할 수 있게 되었고, 맥스 페인의 얼굴 모델은 배우 티모시 깁스로 변경되었다.[7][21] 하지만 게임 내에서 볼 수 있는 TV 프로그램 속에서는 여전히 얘르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쇼 '주소 불명'의 존 미라, 'Lords and Ladies'의 로드 발렌타인과 마마, 'Dick Justice'의 딕 저스티스 등 다양한 캐릭터의 모델로 등장한다. 일부 팬들은 게임 모드를 통해 맥스 페인의 얼굴을 다시 얘르비의 모습으로 바꾸기도 한다.[22]
게임 엔딩에 흐르는 테마곡 "Late Goodbye"는 얘르비가 쓴 시를 바탕으로 핀란드의 록 밴드 Poets of the Fall이 작곡한 곡이며, 게임 속 캐릭터들이 이 노래를 흥얼거리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한다.[8][23]
또한, 게임 내에 등장하는 마피아 보스 비니 고그니티는 게임 속 만화 시리즈 '캡틴 베이스볼 배트 보이'의 작가가 '새미 워터스(Sammy Waters)'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샘 레이크(Sam Lake)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이다.[24]
2008년에 개봉한 맥스 페인 영화의 각본 작업에도 참여했으며, 주로 캐릭터의 배경 설정에 기여했다.[25]
3. 2. 앨런 웨이크 시리즈
2010년 출시된 심리 액션 스릴러 앨런 웨이크의 수석 작가를 맡았다.[9][26] 이 게임은 뛰어난 캐릭터 묘사와 스토리로 많은 상을 받았고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게임 내에서는 플레이어가 주인공 앨런 웨이크의 소설 『The Sudden Stop』 페이지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사미 얘르비의 이전 작품인 맥스 페인 시리즈에 대한 오마주이다.[10][28] 해당 페이지를 읽을 때는 맥스 페인의 성우였던 제임스 맥커프리의 목소리가 흘러나오며, 내용 역시 맥스 페인의 배경 설정(살해된 가족, 진통제 남용 등)을 연상시킨다. 사미 얘르비는 게임 속 TV 쇼에 본인 역으로 카메오 출연하기도 했다. 인터뷰 말미에 진행자가 "그 표정을 지어달라"고 요청하자, 맥스 페인 게임 모델 당시 지었던 특유의 표정을 재현하는 장면이 나온다.[27]
2012년에는 스핀오프 작품인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에서 제작 감독과 각본가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2023년에 출시된 정식 후속작 앨런 웨이크 II에서도 그의 참여는 이어졌다. 게임 내 토크쇼 장면에 전작과 마찬가지로 본인 역으로 다시 등장했으며,[11] 주요 등장인물인 알렉스 케이시의 얼굴 모델을 담당하기도 했다. 알렉스 케이시의 목소리는 맥스 페인과 마찬가지로 제임스 맥커프리가 연기했다. 또한, 첫 번째 DLC인 "나이트 스프링스(Night Springs)"에도 직접 출연했다.[12]
3. 3. 퀀텀 브레이크
사미 얘르비는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에서 제작 감독 역할을 시작했으며,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독점 비디오 게임인 2016년작 《퀀텀 브레이크》에서도 제작 감독과 각본가 역할을 맡았다.[31]
3. 4. 컨트롤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어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작품 목록
연도 | 작품 | 역할 |
---|---|---|
1996 | 데스 랠리 | 집필 |
2001 | 맥스 페인 | 스토리 및 각본, 그래픽 노블 모델 |
2003 | 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 | 작가 |
2010 | 앨런 웨이크 | 컨셉 디자인, 스토리, 각본 |
2012 |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작가 |
2016 | 퀀텀 브레이크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겸 총괄 프로듀서 |
2019 | 컨트롤 | 컨셉 및 작가 |
2023 | 앨런 웨이크 2 | 디렉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각본, 알렉스 케이시(연기·모델) |
사미 얘르비는 《맥스 페인》 개발 과정에서 게임의 스토리와 각본을 쓰고 레벨 디자인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게임 예산이 부족하여 전문 배우를 고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얘르비 본인이 직접 주인공 맥스 페인의 얼굴 모델을 맡았으며, 레미디 엔터테인먼트의 다른 직원들과 함께 게임 내 캐릭터 모델로 참여했다. 그의 어머니는 게임의 주요 악역인 니콜 혼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18][19]
후속작 《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에서는 예산이 늘어나면서 얘르비는 각본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이 게임의 각본은 일반적인 영화 각본보다 약 4배 더 길었다고 알려져 있다.[20] 또한 예산 증가 덕분에 그래픽 노블 컷신에 전문 배우를 기용할 수 있게 되었고, 맥스 페인의 모델은 배우 티모시 깁스로 교체되었다.[21] 하지만 게임 내 TV 쇼나 광고판 등에서는 얘르비가 모델을 맡은 여러 캐릭터(예: '존 미라', '로드 발렌타인', '딕 저스티스')를 찾아볼 수 있다. 사용자들이 직접 만든 모드 중에는 맥스 페인의 얼굴 모델을 다시 얘르비로 바꾸는 것도 있다.[22] 게임 엔딩 테마곡인 'Late Goodbye'는 얘르비가 쓴 시를 바탕으로 핀란드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포이츠 오브 더 폴이 작곡했다.[23] 게임 내에서 마피아 보스 비니 고그니티는 '캡틴 베이스볼 배트 보이'라는 만화 시리즈의 작가가 '새미 워터스(Sammy Waters)'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샘 레이크(Sam Lake)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이다.[24]
2008년에 개봉한 영화 맥스 페인의 각본 작업에도 참여했으며, 주로 캐릭터의 배경 설정에 기여했다.[25]
2010년에 출시된 심리 액션 스릴러 게임 《앨런 웨이크》에서는 메인 작가를 맡았으며, 이 게임은 캐릭터와 스토리 면에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26] 얘르비는 게임 내 가상의 토크쇼에 주인공과 함께 게스트로 카메오 출연하기도 했다. 인터뷰가 끝날 때 토크쇼 진행자가 얘르비에게 "그 표정"을 지어달라고 요청하자, 그는 《맥스 페인》 1편에서 자신이 모델을 맡았던 특유의 찡그린 표정을 흉내 낸다.[27] 또한 게임 속에서 플레이어가 읽을 수 있는, 주인공 앨런 웨이크가 쓴 소설 《The Sudden Stop》의 일부 페이지에는 전작 《맥스 페인》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해당 페이지를 펼치면 맥스 페인의 성우인 제임스 맥카프리의 목소리로 소설 내용이 낭독되는데, 살해된 아내와 아기, 진통제 남용 등 맥스 페인의 이야기를 연상시키는 내용이 담겨 있다.[28]
5. 수상 및 후보
wikitext
연도 | 시상식 | 부문 | 후보작 | 결과 | Ref. |
---|---|---|---|---|---|
2020 | 제23회 D.I.C.E. 어워드 | 캐릭터 연기상 (제시 페이든) | 컨트롤 | 후보 | [13] |
스토리상 | 후보 | ||||
2024 | 제27회 D.I.C.E. 어워드 | 올해의 게임 | 앨런 웨이크 II | 후보 | [14] |
올해의 어드벤처 게임 | 후보 | ||||
캐릭터 연기상 (사가 앤더슨) | 후보 | ||||
스토리상 | 후보 | ||||
제20회 영국 아카데미 게임 어워드 | 조연 연기상 | 후보 | [15] |
6. 기타
1970년 3월 28일 핀란드에서 태어났다.[29] 레미디에 입사하기 전, 핀란드 시어터 아카데미(Theatre Academy of Finland)에서 극본을 공부했다. 그는 이곳에서의 공부가 게임 개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묻는 질문에, 영화, TV, 게임의 대사 작성 방식은 공통점이 많지만 게임만의 다른 방식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게임 각본은 영화 대본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작성하지만, 분기점이나 선택적 대사처럼 영화에는 없는 요소들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30]
그는 그래픽 노블 이야기인 《맥스 페인》을 시작으로, 《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과 《앨런 웨이크》에서 각본가로 참여했다. 이후 《앨런 웨이크의 아메리칸 나이트메어》와 마이크로소프트 독점 비디오 게임인 《퀀텀 브레이크》에서는 제작 감독을 맡았다.[31]
작가로서 영향을 준 것에 대한 질문에는 책, 텔레비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받는다고 답했다. 특히 마크 Z. 대니얼레프스키의 책 《나뭇잎의 집》에 대해 "게임과 공유하는 것이 있었고, 어떤 면에서 무엇이 가능한지를 가르쳐 주어 크게 자극이 되었다"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데이비드 린치와 마크 프로스트가 참여한 드라마 《트윈 픽스》의 새로운 에피소드를 방영 당시 즐겨 보았으며, 인디 게임의 실험적인 스토리텔링에도 주목한다고 언급했다.[31]
참조
[1]
웹사이트
Sami Järvestä tuli rahapulan vuoksi 2000-luvun alun hittipelin Max Paynen kasvot, ja hänellä on valmis selitys pelisarjan suursuosioon
https://www.hs.fi/ku[...]
2020-03-26
[2]
웹사이트
Shareholders
https://investors.re[...]
2023-06-08
[3]
웹사이트
War Stories: Alan Wake's transformation emerged from a two-month 'sauna'
https://arstechnica.[...]
2020-05-14
[4]
AV media
Behind the Scenes – Max Payne
https://www.youtube.[...]
Neoseeker
2019-03-25
[5]
AV media
Remedy talks Max Payne 1 and 2
https://www.youtube.[...]
GameSpot
2011-10-03
[6]
웹사이트
Max's Pain
http://pc.ign.com/ar[...]
IGN
2003-09-19
[7]
간행물
The Making of Max Payne
http://www.next-gen.[...]
2008-11-02
[8]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Late Goodbye, the song that defined Max Payne 2
https://www.pcgamer.[...]
2018-08-21
[9]
웹사이트
Alan Wake writer Sam Lake on the creative process. Part one
https://www.theguard[...]
2010-04-30
[10]
웹사이트
Easter Eggs and Secrets – Alan Wake Wiki Guide – IGN
https://www.ign.com/[...]
2017-05-13
[11]
AV media
Alan Wake – Harry Garrett Show Teaser
https://www.youtube.[...]
Remedy Entertainment
2010-03-30
[12]
URL
https://www.pastemag[...]
2024-08
[13]
웹사이트
D.I.C.E. Awards By Video Game Details Control
https://www.interact[...]
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2024-02-29
[14]
웹사이트
D.I.C.E. Awards By Video Game Details Alan Wake 2
https://www.interact[...]
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2024-02-29
[15]
웹사이트
20th BAFTA Games Awards: The Nominations
https://www.bafta.or[...]
BAFTA
2024-03-07
[16]
URL
https://www.remedyga[...]
[17]
웹사이트
War Stories: Alan Wake’s transformation emerged from a two-month “sauna”
https://arstechnica.[...]
2020-05-14
[18]
웹사이트
Behind the Scenes - Max Payne
https://www.youtube.[...]
2020-01-06
[19]
웹사이트
Remedy talks Max Payne 1 and 2
https://www.youtube.[...]
2020-01-06
[20]
웹사이트
Max's Pain
http://pc.ign.com/ar[...]
IGN
2003-09-19
[21]
웹사이트
The Making of Max Payne
http://www.next-gen.[...]
2008-11-02
[22]
GameSpot
GameSpot:Video Games PC Xbox 360 PS3 Wii PSP DS PS2 PlayStation 2 GameCube GBA PlayStation 3
http://www.gamespot.[...]
[23]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Late Goodbye, the song that defined Max Payne 2
https://www.pcgamer.[...]
2018-08-21
[24]
웹사이트
Max Payne 2: The Fall of Max Payne (Video Game 2003) - Trivia - IMDb
https://www.imdb.com[...]
2020-06-24
[25]
웹사이트
Max Payne (2008)
https://www.imdb.com[...]
2020-06-24
[26]
웹사이트
Alan Wake writer Sam Lake on the creative process. Part one
https://www.theguard[...]
2010-04-30
[27]
웹사이트
Alan Wake - Harry Garrett Show Teaser
https://www.youtube.[...]
Remedy Entertainment Oyj
2010-03-30
[28]
웹사이트
Easter Eggs and Secrets - Alan Wake Wiki Guide - IGN
https://www.ign.com/[...]
2017-05-13
[29]
웹인용
Sam Lake Biography
https://www.imdb.com[...]
2017-09-29
[30]
뉴스
Alan Wake writer Sam Lake on the creative process. Part one
https://www.theguard[...]
2010-05-04
[31]
뉴스
Remedy’s Sam Lake on 21 years of game storytelling and transmedia
https://venturebeat.[...]
2017-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