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는 디지털 시네마 혁명이 영화계에 가져온 변화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키아누 리브스가 인터뷰를 진행하며, 여러 영화감독, 배우, 제작진 등이 참여하여 디지털과 필름, 두 가지 제작 방식의 장단점과 영화 미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한다. 로튼 토마토에서 93%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다큐멘터리 영화 - 케이티 페리: 파트 오브 미
《케이티 페리: 파트 오브 미》는 2012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가수 케이티 페리의 삶과 캘리포니아 드림스 투어 공연 실황, 그리고 러셀 브랜드와의 결혼 생활 등을 보여준다. - 2012년 다큐멘터리 영화 - I AM.
I AM.은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며, 2012년 5월부터 여러 국가에서 개봉되었다. -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북극의 나누크
《북극의 나누크》는 로버트 J. 플래허티가 제작한 1922년 개봉 다큐멘터리 영화로,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인 나누크와 그의 가족의 삶을 담고 있으며, 다큐멘터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게 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아버지, 군인, 아들
아버지, 군인, 아들은 미국 육군 상사 출신 브라이언 아이쉬와 그의 가족이 겪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후 부상, 아들의 죽음, 다른 아들의 군 입대 등 역경과 변화를 장기간에 걸쳐 기록한 다큐멘터리이다. - 2012년 영화 - 마데아: 증인보호프로그램
현재 제공된 정보로는 마데아: 증인보호프로그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의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2012년 영화 - 26년 (영화)
2012년 개봉한 영화 《26년》은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과 학살 책임자에게 복수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등이 출연,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되어 복수와 정의, 개인적 복수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관계를 조명한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Side by Side |
감독 | 크리스토퍼 케닐리 |
각본 | 크리스토퍼 케닐리 |
제작 | 키아누 리브스 저스틴 슬라자 |
출연 | 제임스 카메론 데이비드 핀처 데이비드 린치 로버트 로드리게스 마틴 스코세이지 스티븐 소더버그 키아누 리브스 |
나레이터 | 키아누 리브스 |
음악 | 브렌단 라이언 빌리 라이언 |
촬영 | 크리스 캐시디 |
편집 | 마이크 롱 말콤 헌 카밀 도브로울스키 |
제작사 | 컴퍼니 필름스 |
배급사 | 트라이베카 필름 업링크 Axiom Films |
상영 시간 | 98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흥행 | |
흥행 수입 | 67,054달러 |
2. 내용
이 다큐멘터리는 디지털 영화 기술의 등장이 전통적인 필름 기반의 영화 제작 방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탐구한다. 감독을 비롯한 다양한 영화 제작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과 필름이라는 두 매체에 대한 그들의 경험과 생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실제 영화 속 장면들과 촬영 현장의 모습을 함께 보여주면서, 기술의 발전이 영화라는 예술 형식과 영화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2. 1. 디지털 시네마 vs 필름 시네마
이 다큐멘터리는 디지털 영화와 필름을 사용한 영화 제작의 역사, 과정, 그리고 워크플로를 조사한다. 영화는 예술가와 영화 제작자들이 필름과 디지털 방식을 통해 무엇을 성취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그들의 요구와 기술 혁신이 어떻게 영화 제작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는지 보여준다. 감독, 색보정 전문가, 과학자, 엔지니어, 예술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필름 및 디지털 매체 작업에 대한 그들의 경험과 생각을 전달한다. 특히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필름 사용이 줄어드는 최근 영화계의 변화를 여러 영화감독과 제작진에 대한 인터뷰, 관련 작품의 일부 장면, 촬영 현장의 모습을 통해 보여준다.2. 2. 영화 제작자들의 시각
이 다큐멘터리는 디지털 영화와 필름 영화 제작 사이에서 영화 제작자들이 가지는 다양한 시각을 탐구한다. 영화감독뿐만 아니라 색보정 전문가, 과학자, 엔지니어, 예술가 등 영화 제작 과정에 참여하는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필름과 디지털 미디어 작업에 대한 그들의 경험과 생각을 보여준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필름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최근 영화계의 변화상을 다양한 인물들의 목소리와 함께 해당 작품의 일부 장면, 촬영 현장의 모습을 통해 보여준다. 이를 통해 기술 변화에 대한 여러 관점을 제시하며 관객이 스스로 판단할 여지를 남긴다.3. 출연진
이 영화에는 키아누 리브스, 존 말코비치, 그레타 거윅 등 배우뿐만 아니라, 조지 루카스, 제임스 카메론, 마틴 스코세이지, 크리스토퍼 놀란 등 저명한 영화 감독들과 프로듀서, 촬영 감독, 시각 효과 전문가 등 영화 제작의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인물들이 다수 출연하여 인터뷰를 진행했다. IMDb에는 총 69명의 출연진이 등재되어 있다.
3. 1. 감독
이 영화에는 다음과 같은 감독들이 참여했다.3. 2. 배우
- 키아누 리브스, 배우
- 존 말코비치, 배우
- 대니 보일, 감독
- 조지 루카스, 감독, 제작자
- 제임스 카메론, 감독
- 데이비드 핀처, 감독
- 데이비드 린치, 감독
- 로버트 로드리게스, 감독
-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
-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 워쇼스키 자매,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 조엘 슈마허, 감독
-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
- 라스 폰 트리에, 감독
- 레나 더넘, 감독, 배우
- 그레타 거윅, 배우
- 캐롤라인 카플란, 제작자
- 로렌조 디 보나벤투라, 제작자
- 존 놀, 인더스트리얼 라이트 & 매직의 시각 효과 감독
- 팀 웨버
- 데니스 머렌, 시각 효과 아티스트
- 브래드포드 영, 촬영 감독
- 마이클 볼하우스, 촬영 감독
- 월리 피스터, 촬영 감독
- 크레이그 우드, 영화 편집자
- 데릭 암브로시, 영화 편집자
- 다이온 비비, A.C.S.
- 요스트 바카노, A.C.S.
이 외에도 많은 인물들이 참여했으며, IMDb에는 총 69명의 출연진이 등재되어 있다.
3. 3. 제작진 및 기타
- 프로듀서: 키아누 리브스
이름 | 주요 직책 |
---|---|
키아누 리브스 | 배우, 프로듀서 |
존 말코비치 | 배우 |
대니 보일 | 감독 |
조지 루카스 | 영화 감독, 프로듀서 |
제임스 카메론 | 영화 감독 |
데이비드 핀처 | 영화 감독 |
데이비드 린치 | 영화 감독 |
로버트 로드리게스 | 영화 감독 |
마틴 스코세이지 | 영화 감독 |
스티븐 소더버그 | 영화 감독 |
워쇼스키 자매 | 영화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 영화 감독 |
조엘 슈마허 | 영화 감독 |
리처드 링클레이터 | 영화 감독 |
라스 폰 트리에 | 감독 |
레나 더넘 | 영화 감독, 배우 |
그레타 거윅 | 배우 |
캐롤라인 카플란 | 프로듀서 |
로렌조 디 보나벤추라 | 프로듀서 |
존 놀 | 인더스트리얼 라이트 & 매직 시각 효과 감수자 |
데니스 뮤런 | 시각 효과 아티스트 |
브래드포드 영 | 촬영 감독 |
크레이그 우드 | 편집기사 |
데릭 암브로시 | 편집기사 |
디온 비비 | A.C.S. |
요스트 바카노 | A.C.S. |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IMDb는 총 69명의 출연진을 등재하고 있다.
4. 제작진
- '''프로듀서'''
- * 키아누 리브스
- * 캐롤라인 카플란
- * 로렌조 디 보나벤추라
- '''출연 (인터뷰)'''
- * 키아누 리브스
- * 존 말코비치
- * 조지 루카스
- * 제임스 카메론
- * 데이비드 핀처
- * 데이비드 린치
- * 로버트 로드리게스
- * 마틴 스코세이지
- * 스티븐 소더버그
- * 워쇼스키 자매
- * 크리스토퍼 놀란
- * 리처드 링클레이터
- * 조엘 슈마허
- * 레나 더넘
- * 그레타 거윅
- '''시각 효과'''
- * 존 놀 (인더스트리얼 라이트 & 매직 시각 효과 감수자)
- * 데니스 뮤렌 (시각 효과 아티스트)
- '''촬영'''
- * 브래드퍼드 영 (촬영 감독)
- * 디온 비브 (A.C.S.)
- * 요스트 바카노 (A.C.S.)
- '''편집'''
- * 크레이그 우드
- * 데릭 암브로시
5.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 수집한 6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이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93%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점수는 7.43/10점이다. 웹사이트의 평론가들은 "키아누 리브스는 기술이 영화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유익한 탐구에서 멋진 안내자 역할을 하며, 구식과 신식 모두에 대한 균형 잡힌 변호를 제공한다."라는 평을 내렸다.
참조
[1]
웹사이트
Production Notes
http://sidebysidethe[...]
2012-12-02
[2]
웹사이트
Side by Side (2012)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018-05-11
[3]
뉴스
Tribeca: Film vs. Digital in 'Side by Side'
http://artsbeat.blog[...]
The New York Times
2012-04-26
[4]
뉴스
Review: 'Side by Side' traces digital revolution
http://www.latimes.c[...]
The Los Angeles Times
2012-08-16
[5]
뉴스
Side by Side: When Keanu Talks Film and Cameras, You Should Listen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2-08-15
[6]
웹사이트
Side by Side (2012)
http://www.rottentom[...]
2020-05-25
[7]
웹사이트
Production Notes
http://sidebysidethe[...]
2012-12-02
[8]
웹사이트
Side by Side (2012)
https://www.boxoffic[...]
IMDb
2012-12-27
[9]
뉴스
Tribeca: Film vs. Digital in 'Side by Side'
http://artsbeat.blog[...]
The New York Times
2012-04-26
[10]
뉴스
Review: 'Side by Side' traces digital revolution
http://www.latimes.c[...]
The Los Angeles Times
2012-08-16
[11]
뉴스
Side by Side: When Keanu Talks Film and Cameras, You Should Listen
https://www.huffpost[...]
Huffington Post
2012-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