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키모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키모리는 7세기 후반부터 10세기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국방 제도로, 곶이나 섬을 지키는 '미사키모리'나 '시마모리'에서 유래했다. 당나라의 방인 제도를 참고하여 도입되었으며, 규슈 지역 방어를 위해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도고쿠 지역 농민을 징발하여 3년간 복무하게 했으나, 8세기 후반부터는 규슈 현지에서 징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신라 해적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인원이 증강되기도 했지만, 인세이 시대에 새로운 군사 조직이 등장하고 무사단이 성립되면서 10세기에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사키모리로 징집된 병사들과 그 가족들의 노래인 '사키모리노우타'가 만요슈에 수록되어 있으며, 현대 일본에서는 지역 사회의 안전을 지키는 공무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카이도 - 사쓰마국
사쓰마국은 현재의 가고시마현에 해당하는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702년 설치되어 시마즈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 사이카이도 - 히고국
히고국은 7세기 중엽 히노쿠니에서 분할되어 성립된 일본의 옛 구니로, 현재의 구마모토현 대부분과 미야자키현 일부를 포함하며, 센고쿠 시대 일본 기독교의 중심지였고, 미야모토 무사시가 『오륜서』를 완성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일본의 군사사 - 통수권
통수권은 일본 제국 헌법에서 천황이 육해군을 통솔하는 권능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군의 자립화와 정치 개입을 심화시키며 일본 군국주의화와 침략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 일본의 군사사 - 왜구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한반도와 중국 연안을 약탈한 일본인 중심의 해적 집단을 지칭하는 명사로,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본인을 비하하는 멸칭으로도 사용되며, 전기에는 일본인, 후기에는 중국인이 주를 이루었고, 약탈 외 무역 활동도 벌였으나, 16세기 말 해금 정책 완화와 해적 금지령으로 쇠퇴하였다. - 나라 시대 - 고후쿠지
고후쿠지는 669년 후지와라 가마타리가 창건한 나라의 불교 사찰로, 후지와라 씨의 후원을 받아 번성했으나 화재와 전란으로 피해를 입고 재건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여러 문화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나라 시대 - 헤이조궁
헤이조궁은 710년부터 784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헤이조쿄의 천황 거처로, 내정과 외조, 주작문 등의 시설을 갖추었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영 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사키모리 | |
---|---|
방인 | |
![]() | |
방인 (사키모리) | さきもり |
로마자 표기 | sakimori |
주요 임무 | 규슈 해안 경비 |
창설 시기 | 7세기 후반 |
폐지 시기 | 8세기 후반 |
역사적 배경 | |
배경 | 7세기 후반, 나당연합군의 침공 위협 |
창설 목적 | 규슈 지역 방어 및 일본 본토 보호 |
조직 및 구성 | |
구성원 | 주로 간토 및 주변 지역의 농민 병사 |
복무 기간 | 3년 |
지원 체계 | 자비 부담 (식량, 무기 등) |
방인의 생활 | |
근무 환경 | 열악한 환경, 고된 근무, 향수병 |
경제적 부담 | 자비 부담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
방인의 노래 | |
방인가 | 방인들의 고된 생활과 향수를 담은 노래 (만요슈 수록) |
방인의 의의 | |
의의 | 고대 일본의 국방 체계 유지, 민중의 희생 강요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방인 연구』 (사키모리 켄큐) 『일본 고대사』 (니혼 코다이시) 『만요슈』 (만요슈)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만요슈 병역 규슈 나당연합군 후방인 |
2. 명칭
738년 완성된 중국의 대당육전(大唐六典)에는 "변방 지역의 방위를 위해 방인(防人)을 둔다"는 기록이 있다.[1] '사키모리'(さきもり)는 곶이나 섬 등을 수비하던 '미사키모리'(岬守)나 '시마모리'(島守)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당나라의 방인 제도가 유입되면서 한자 표기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2] '사키모리'(防人)는 음독하여 '''보진'''('''ぼうじん''')이라고도 읽는다.[3]
646년(다이카 2년) 다이카 개신으로 즉위한 고토쿠 천황이 시정 방침인 개신의 조칙에서 사키모리 제도를 제시했다. 663년 한반도의 백제 구원을 위해 출병한 왜군이 백강 전투에서 당·신라 연합군에게 대패하자, 당나라의 침공을 우려하여 규슈 연안 방어를 위해 설치되었다. "사키모리"는 곶이나 섬 등을 지키던 "곶지기"나 "섬지기"에 당나라 제도였던 "방인(防人)"의 한자를 붙인 것이라고 여겨진다.
3. 역사
다이호 율령의 군방령(701년)과 이를 계승한 요로 율령(757년)에서는 교토 경호 병사를 위사(衛士)로, 변경 방비 병사를 방인(防人)으로 규정하여 사키모리 제도를 운용했다. 사키모리의 임기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3년이었으며, 각국의 군단에서 파견되었다. 임기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았고, 식량·무기는 자비로 부담해야 했다. 다자이후가 지휘를 담당했고, 이키섬, 쓰시마섬 및 지쿠시의 여러 나라에 배치되었다.[1] 2004년 사가현가라쓰시의 나카바루 유적에서 "가이노쿠니 □ 수인"의 먹 자국이 있는 목간이 출토되어, 히젠국의 규슈 북안에도 배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2]
초기에는 도토미 동쪽의 도고쿠에서 징병되었고, 복무 기간 동안 세금 면제 혜택이 없어 농민에게는 무거운 부담이었으며, 병사의 사기는 낮았다고 여겨진다. 징집된 방인은 규슈까지 관계자가 동행하여 데려갔지만, 임무가 끝나고 귀향할 때는 동행도 없이 도중에 객사하는 자도 적지 않았다.
757년 이후 사키모리는 규슈에서 징용되었다. 나라 시대 말기 792년 간무 천황이 겐지의 제도를 성립시켜 군단·병사가 폐지되어도, 국토 방어를 위해 병사의 질보다 수를 중시한 조정은 방인 폐지를 미루었다. 실제로 8세기 말부터 10세기 초에 걸쳐 신라 해적이 규슈를 종종 습격했고 (신라의 입구), 홍인의 입구 이후에는 인원이 증강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때 폐지되었던 쇠뇌를 부활하여 조간, 간페이의 입구에 대응했다.
인세이 시대에 호쿠멘 무사, 추포사, 오료사 등 새로운 군사 조직이 등장하고 각지의 지방 무사단이 성립되자, 질을 중시하는 조정은 차츰 방인의 규모를 축소했고, 10세기에는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1019년 규슈를 습격한 도이를 격퇴한 것은 다자이곤노소치 후지와라노 다카이에가 이끈 규슈의 무사였다.
3. 1. 제도 도입과 초기 운영 (7세기 후반 ~ 8세기)
646년, 다이카 개신의 일환으로 고토쿠 천황이 시정 방침으로 삼은 개신의 조(改新の詔)에서 사키모리 제도의 시행을 언급하고 있다. 663년 백강 전투에서 왜국이 나·당 연합군에 패배한 이후, 왜국 조정은 당나라의 침공을 우려하여 규슈 연안 방어를 위해 사키모리를 본격적으로 설치하였다.
초기 사키모리는 도토미 동쪽의 도고쿠 지역 농민들로부터 징발되었다. 이들은 3년의 복무 기간 동안 세금 감면 등의 혜택 없이 양식과 무기를 자비로 조달해야 했기 때문에 큰 부담을 느꼈고, 사기도 낮았다.[11] 징집된 사키모리들은 규슈까지 감시자가 동행하여 데리고 갔으나 임무를 마치고 귀향할 때는 아무것도 없었으며 도중에 길에서 객사하는 자도 적지 않았다.
다자이후가 사키모리의 지휘를 담당했으며, 이키, 쓰시마, 지쿠시 등지에 배치되었다.[11] 2004년에는 사가현 가라쓰시의 나카하라 유적(中原遺跡)에서 "방인"이라고 적힌 목간이 출토되어 히젠국에도 사키모리가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2] 2005년 나카하라 유적에서는 가이국(지금의 일본 야마나시 현) 출신의 사키모리의 존재를 보여주는 목간이 출토되었고, 2007년에는 「相模型杯」와 같은 형태의 토기(식기)가 출토되어, 사가미(相模) 출신의 사키모리가 이 지역으로 파견되어 있었던 것을 암시하고 있다.[13]
방어군이 동국에서 징병된 시기, 그 규모는 2,000명 정도였다. 738년(덴표 10년)의 "스루가국 정세장"[3]에 따르면, 이 해 스루가를 거쳐 동국으로 돌아가는 방어군의 인원은 1,083명이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그 외에 방어군을 배출했던 도토미국, 스루가국, 무사시국, 고즈케국, 시모쓰케국에서도 같은 규모의 방어군이 배출되었다고 추측하면, 1,000명 정도가 더해져 총 2,083명이 된다.[5]
3. 2. 운영 방식 변화와 쇠퇴 (8세기 ~ 10세기)
757년 이후 사키모리는 규슈 현지에서 징발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792년 간무 천황이 건아 제도(健児の制)를 도입하면서 군단·병사 제도가 폐지되었지만, 사키모리 제도는 유지되었다. 이는 신라 해적의 침입이 잦아지면서 국방 강화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했기 때문이다. 신라 해적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사키모리의 인원이 증강되고, 한때 폐지되었던 쇠뇌(弩)가 부활하기도 하였다.[11]인세이(院政) 시기에 북면무사(北面武士), 추포사(追捕使), 압령사(押領使) 등 새로운 군사 조직이 등장하고, 지방 무사단(武士団)이 성장하면서 사키모리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하였다. 10세기에 이르러 사키모리는 실질적으로 소멸하였다. 1019년 도이의 입구(刀伊の入寇) 당시에는 다자이노곤노소치(大宰権帥) 후지와라노 다카이에(藤原隆家)가 이끄는 규슈 지역 무사들이 방어에 나섰다.[11]
3. 3. 규모
738년 스루가를 거쳐 동국으로 돌아간 사키모리는 1,083명이었다. 다음은 그 내역이다.[14]
도토미, 스루가, 무사시, 고즈케, 시모쓰케 등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사키모리가 파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추가로 1,000명 정도가 더해져 합계 2,083명이 된다.[16]
같은 해 스오 국 정세장의 기록에는 사키모리가 3반(班)으로 나뉘어 귀향했고, 중반(中班) 953명, 후반(後班) 124명이 기록되어 있다. 전반(前班)의 인원은 남아 있지 않지만 비용과 식량을 통해 1,000명 규모였던 것으로 추정되어 총 2,077명이 된다.
4. 사키모리노우타(防人歌)
나라 시대에 성립된 『만요슈』에는 사키모리 임무로 징집된 병사들이나 그 가족들이 읊은 노래(와카)가 100수 이상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을 통칭 사키모리노우타(防人歌, 사키모리의 노래)라고 부른다. 사키모리노우타는 간토 지방 등 동국의 방언으로 쓰인 경우가 많으며, 히가시노우타(東歌)처럼 고대 일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1]
5. 현대의 사키모리
현대 일본에서는 평소 위험과 가까이 하면서 지역사회의 안전을 지키는 직무에 종사하는 자위관, 경찰관, 소방관(소방대원), 해상보안관 등을 사키모리라고 비유적으로 부른다.[17][18]
2014년 11월 9일 일본 오키나와현 지사 선거 와중에 오키나와현 도미구스쿠시에서 있었던 강연회에서 일본의 극우단체 '일본회의'의 대외선전 단장인 사쿠라이 요시코(櫻井よしこ)가 중국과의 국경에 가까운 오키나와를 "사키모리"에 비유하기도 하였다.[19]
참조
[1]
서적
続日本紀1
平凡社(東洋文庫457)
1986
[2]
간행물
九州と南島 大陸との窓口
[3]
문서
正倉院文書
[4]
문서
駿河国正税帳
0739
[5]
논문
東人考
平凡社
1980
[6]
간행물
九州と南島 大陸との窓口
[7]
간행물
九州と南島 大陸との窓口
[8]
간행물
九州と南島 大陸との窓口
[9]
기타
防人たちの女神
自衛隊広報誌MAMOR
[10]
뉴스
白鵬関「防人の像」除幕 篠栗町、警察官らたたえる
http://www.47news.jp[...]
西日本新聞
2012-11-05
[11]
서적
쇼쿠니혼키(続日本紀)1
헤이본샤(平凡社, 도요분코東洋文庫457)
1986
[12]
웹사이트
唐津市・中原遺跡 防人存在記す木簡(佐賀新聞) ― 「戍人」の文字
http://www.asyura2.c[...]
[13]
웹인용
防人が作った食器用土器か 唐津の中原遺跡で出土
https://web.archive.[...]
2020-05-22
[14]
문서
正倉院文書
[15]
문서
스루가 국 정세장
0739
[16]
논문
아즈마비토고(東人考)
平凡社
1980
[17]
기타
防人たちの女神
https://www.mod.go.j[...]
自衛隊の広報誌MAMOR
[18]
뉴스
白鵬関「防人の像」除幕 篠栗町、警察官らたたえる
https://www.47news.j[...]
西日本新聞
2012-11-05
[19]
웹사이트
櫻井よしこ氏も知事選で沖縄2紙を全面批判――不買運動まで呼びかけ
http://www.kinyobi.c[...]
週刊金曜日ニュース
2015-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