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도모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토 도모아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외야수와 내야수를 겸하며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활동했다. 2004년에는 1번 타자 및 우익수 레귤러로 활약하며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2008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MVP를 수상했다. 2012년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전향하여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코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에서 팜 타격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지사와시 출신 - 스에나가 하루카
스에나가 하루카는 5세에 데뷔하여 아역 모델, 드라마 배우, 오하걸, 패션 모델, 주니어 아이돌, 굉굉전대 보우켄저의 보우켄 핑크 역을 맡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일본 배우이다. - 후지사와시 출신 - 이케다 모토히사
이케다 모토히사는 와세다 대학 졸업 후 NHK 기자로 활동하다가 일본사회당에서 민주당으로 이적하여 중의원 의원을 역임하고 간 나오토 내각에서 재무부대신, 경제산업부대신 등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앤디 밴 헤켄
앤디 밴 헤켄은 미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한국, 대만 프로야구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넥센 히어로즈에서 20승을 기록하며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은퇴 후에는 투구 코치로 활동한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오카모토 신야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에서 중간 계투로 활약하며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최우수 중간 계투상을 수상하고 여러 팀에서 우승을 경험한 오카모토 신야는 은퇴 후 음식점 운영과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토 도모아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포지션 | 외야수 / 코치 |
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등번호 | 87 |
타석 | 우타 |
투구 | 우투 |
출생지 |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NPB |
데뷔 일자 | 2001년 3월 24일 |
데뷔 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최종 리그 | NPB |
최종 일자 | 2012년 4월 25일 |
최종 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아마추어 경력 |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게이오기주쿠 대학교 |
프로 입단 년도 | 2000년 |
드래프트 순위 | 드래프트 4위 |
참가 팀 (선수) | 세이부 라이온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01년–2012년) |
참가 팀 (코치)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6년–2022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3년–) |
통계 (2012년 기준) | |
리그 | NPB |
타율 | .255 |
안타 | 410 |
홈런 | 9 |
타점 | 123 |
도루 | 52 |
첫 출장 | 2001년 3월 24일 |
마지막 출장 | 2012년 4월 25일 |
수상 내역 | |
주요 성과 | 2008년 아시아 시리즈 MVP 2× 일본 시리즈 우승 (2004년, 2008년) |
코치 경력 | |
코치 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6년 - 2022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3년 - ) |
코치 직책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 (2016년 - 2019년, 2022년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 (2020년 - 2021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팜 타격 코치 |
2. 선수 경력
사토 도모아키는 2001년 세이부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외야수와 내야수를 겸하며 주로 2루수로 활약했다. 2002년부터는 외야수에 전념했고, 2003년에는 타격 능력이 향상되어 주전 경쟁에 합류했다. 2004년에는 1번 타자 겸 우익수로 자리 잡으며 높은 타율과 출루율을 기록,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3]
2005년 경기 중 부상으로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지만,[1] 이후 좌완 투수에게 강한 면모를 보였다. 2008년 아시아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2009년 타격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비와 좌완 투수 상대 강점을 바탕으로 1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2010년 부상당한 다카야마 히사시를 대신했다. 2011년부터 아키야마 쇼고, 구마시로 세이토 등 젊은 선수들에게 밀려 출전 기회가 줄었고, 2012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3]
2. 1. 프로 입단 전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시절에는 투수로 활약했고, 일반 수험으로 수도권 사립 학교에서 높은 레벨을 요구할 정도로 까다롭기로 유명한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에 합격했다.[8] 1995년 여름에 열린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가나가와 대회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고시엔 대회 출전을 놓쳤다. 당시로서는 매우 드문 ‘1번·투수’였다.[2]고교 졸업 후 게이오기주쿠 대학에 진학하면서 1루수와 투수를 경험하였고 그 후 외야수로 전향, 4학년 춘계 시즌까지는 1번 타자로 활약, 마지막 추계 시즌에는 5번으로 타순을 변경해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도쿄 6대학 시절에 와다 쓰요시로부터 2경기 연속 2루타를 때려내는 등 궁합이 맞았고 프로에 입단한 후에도 와다를 자랑으로 여기고 있었다.
게이오기주쿠 대학에서는 1학년 봄에 내야수와 투수를 맡았다. 1학년 가을에는 외야수로 전향하여 주로 중견수로 활약했다. 2학년 봄에는 수위 타자 자리를 획득했다. 4학년 봄까지는 1번 타자를 맡았고, 4학년 가을에는 타순을 5번으로 변경하여 리그 우승, 메이지 진구 대회에 공헌했다. 도쿄 6대학 리그 통산 77경기에 출장해 298타수 87안타, 타율 2할 9푼 2리, 2홈런, 22타점을 기록했다.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졸업을 필요로 하는 조건을 3학년이 끝난 시점에 취득하고 있었고 프로 1년차인 춘계 스프링 캠프에서 실시한 홍백전에서 활약했을 당시에는 “프로 야구 선수가 되지 않으면 변호사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2. 2. 프로 입단 후 (세이부 라이온스)
사토 도모아키는 2001년 세이부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외야수와 내야수를 겸하며 주로 2루수로 활약했다. 2002년부터는 본업인 외야수에 전념했고, 2003년에는 타격 능력이 향상되어 주전 경쟁에 합류했다. 2004년에는 1번 타자 겸 우익수로 자리 잡으며 높은 타율과 출루율을 기록,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2005년에는 경기 중 부상으로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지만, 이후 좌완 투수에게 강한 면모를 보이며 팀에 공헌했다. 2008년에는 아시아 시리즈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타격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비와 좌완 투수 상대 강점을 바탕으로 1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2010년에는 부상당한 다카야마 히사시를 대신하여 팀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2011년부터 아키야마 쇼고, 구마시로 세이토 등의 젊은 선수들에게 밀려 출전 기회가 줄었고, 2012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1. 2001년
세이부에 외야수로 입단했지만, 주전 2루수 부재로 인해 신인이면서 2번·2루수로 개막전에 선발 출전했다. 불안한 수비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상의 플레이를 보였고, 개막전 다음 날에는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강한 어깨를 살려 보살을 기록했다.다카기 히로유키가 다시 주전 2루수를 차지하면서 타격에서도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해 주전에서 멀어졌다. 이 해에는 외야수 등록이면서도 내야수를 소화하며, 거의 2루수로 뛰었다. 3월 26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 2번 타자·2루수로 1군 첫 출장·첫 선발 출장을 기록했고, 1회에 1군 첫 안타를 날렸는데, 이것이 21세기 프로 야구 첫 안타였다. 또한, 이 경기에서 선취 득점의 홈을 밟아 첫 득점을 기록했다.[3]
2. 2. 2. 2002년
다카기 히로유키가 9번 타자 · 2루수 레귤러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사토 도모아키는 본업인 외야수에 전념했다.2. 2. 3. 2003년
2003년에는 과제였던 타격이 향상되어, 본업인 외야수로 주전 경쟁에 참여하여 85경기에 출장, 타율.288을 기록하며 활약했다. 8월 25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전에서는 5회 말 와다로부터 1군 첫 홈런이자 역전 좌월 만루 홈런을 날려 팀 승리에 기여했다.[6]2. 2. 4. 2004년
6월 초부터 1번 타자 겸 우익수로 주전 자리를 획득했다. 여름 이후 타율이 급상승하여, 처음으로 높은 타율을 기록했다. 첫 두 자릿수 도루와 출루율 .362를 기록했고, 퍼시픽 리그 전 팀을 상대로 .300 이상의 타율을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남기며 마쓰이 가즈오 이적 후 1번 타순을 획득했다.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팀 최고 타율인 .394를 기록하며 팀의 12년 만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3]2. 2. 5. 2005년
4월 2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에서 수비 시 펜스에 격돌하여 왼쪽 어깨 탈구 및 왼쪽 발목 내 발꿈치뼈 골절의 중상을 입어, 가을에 복귀했지만 레귤러 시즌의 대부분을 허비해 버렸다.[1] 사토 대신 구리야마 다쿠미, 다카나미 후미카즈, 시바타 히로유키 등이 1번 타자 · 우익수로 활약하게 되어, 레귤러 확보는 이루지 못했다.2. 2. 6. 2006년
등번호를 '''10'''으로 변경했다. 2006년에는 개막 초부터 타율이 올라가지 않았고, 후쿠치 토시키의 가세도 있어서 주전에서 제외되었다. 사토가 대학 시절부터 잘했던 와다 등, 좌완 투수가 선발로 등판할 때에는 거의 예외 없이 1번 타자 · 중견수로 출장했지만, 출장 경기는 적었다.2. 2. 7. 2007년
라쿠텐으로 이적한 다카나미의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사토는 수비 능력을 어필하며 다시 주전 자리를 노렸다. 개막 직후에는 아카다 쇼고의 장기 부상 이탈과 후쿠치가 좌완 투수에 약하다는 점 등 여러 이유로 중견수 주전 자리를 꿰찼고, 한때 3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부진에 빠지면서 타율이 .222로 떨어져 주전 확보에는 실패했다. 우완 투수 상대로는 .120의 타율에 그쳤지만, 좌완 투수에게는 .266의 타율을 기록하며 좌완 킬러의 면모를 이어갔다. 최우수 평균 자책점을 획득한 좌완 투수 나루세 요시히사를 상대로도 3할에 가까운 타율을 기록하는 등 좌완 투수가 등판할 때면 1번 타자 겸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는 경우가 많았다.2. 2. 8. 2008년
팀의 방침으로 공격 중시가 되었기 때문에 출장 경기 수는 줄었지만, 전년도에 부진했던 타율이 .301로 호조를 보였다. 좌완 투수에게는 이 해에도 .325로 맹타를 휘둘렀다. 또한, 좌완 투수 한정이었던 타격도 .300에 가까운 타율을 기록했다. 11월에 개최된 아시아 시리즈에서 6번 타자 · 우익수로 선발 출장한 결승전에서는 9회 말 2아웃 1루 상황에서 끝내기 적시 2루타를 날려,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또한, 이 시리즈에서 MVP를 획득했다.2. 2. 9. 2009년
2009년에는 타격 부진을 겪었지만, 수비 강화와 좌완 투수 대책을 위한 선발 요원으로 출장하며 2군으로 내려가지 않고 한 해를 보냈다. 시즌 중반 이후에는 오사키 유타로와 함께 좌익수로 기용되었으며, 득점권 타율 .333, 대타 타율 .429를 기록하며 승부 근성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2004년 주전으로 활약한 이후 5년 만에 1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2. 2. 10. 2010년
다카야마 히사시의 부상으로, 레귤러 정착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히라오 히로시 등과 함께 팀을 지탱하는 숨은 조력자로서 활약했다.2. 2. 11. 2011년
아키야마 쇼고, 구마시로 세이토 등의 젊은 선수들에게 완전히 출전 기회를 빼앗겨, 출전 기회가 작년에 비해 크게 줄었다.2. 2. 12. 2012년
2012년에는 겨우 12경기에 출장하는 데 그쳤고, 연말에 현역 은퇴를 표명했다. 마찬가지로 이 해에 현역 은퇴를 표명한 히라오 히로시와 함께 현역 은퇴 기자 회견을 가졌다.[3]3. 지도자 경력
연도 | 소속팀 | 직책 |
---|---|---|
2016년 ~ 2019년, 2022년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1군 외야 주루 코치 |
2020년 ~ 2021년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2군 외야 주루 코치 |
4. 상세 정보
사토 도모아키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통산 타격 성적'''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희생 도루 | 희생 플라이 | 고의사구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01 | 세이부 | 46 | 143 | 131 | 14 | 31 | 1 | 0 | 0 | 32 | 5 | 5 | 4 | 3 | 0 | 9 | 0 | 16 | 1 | .237 | .286 | .244 | .530 |
2002 | 31 | 57 | 51 | 1 | 7 | 2 | 0 | 0 | 9 | 3 | 2 | 3 | 6 | 0 | 0 | 0 | 8 | 0 | .137 | .137 | .176 | .314 | |
2003 | 85 | 236 | 205 | 24 | 59 | 13 | 3 | 2 | 84 | 22 | 4 | 1 | 15 | 0 | 15 | 0 | 28 | 6 | .288 | .339 | .410 | .749 | |
2004 | 105 | 348 | 306 | 54 | 97 | 9 | 2 | 2 | 116 | 27 | 11 | 8 | 11 | 1 | 27 | 1 | 36 | 8 | .317 | .375 | .379 | .754 | |
2005 | 17 | 74 | 67 | 3 | 16 | 2 | 0 | 0 | 18 | 4 | 0 | 0 | 1 | 1 | 4 | 0 | 7 | 1 | .239 | .278 | .269 | .546 | |
2006 | 64 | 120 | 99 | 14 | 22 | 2 | 1 | 0 | 26 | 6 | 9 | 4 | 5 | 1 | 14 | 1 | 13 | 4 | .222 | .322 | .263 | .584 | |
2007 | 68 | 180 | 159 | 15 | 35 | 5 | 0 | 1 | 43 | 7 | 3 | 1 | 7 | 2 | 11 | 0 | 19 | 3 | .220 | .272 | .270 | .542 | |
2008 | 59 | 144 | 126 | 23 | 38 | 8 | 1 | 1 | 51 | 11 | 4 | 2 | 8 | 1 | 6 | 0 | 23 | 2 | .302 | .341 | .405 | .746 | |
2009 | 105 | 216 | 191 | 22 | 46 | 4 | 4 | 0 | 58 | 21 | 9 | 4 | 7 | 2 | 15 | 2 | 30 | 2 | .241 | .297 | .304 | .600 | |
2010 | 98 | 199 | 173 | 30 | 43 | 5 | 1 | 2 | 56 | 16 | 5 | 5 | 10 | 2 | 12 | 0 | 26 | 3 | .249 | .302 | .324 | .625 | |
2011 | 42 | 57 | 50 | 4 | 6 | 1 | 0 | 1 | 10 | 1 | 0 | 0 | 4 | 0 | 2 | 0 | 10 | 1 | .120 | .170 | .200 | .370 | |
2012 | 12 | 16 | 14 | 0 | 1 | 0 | 0 | 0 | 1 | 0 | 0 | 0 | 2 | 0 | 0 | 0 | 1 | 1 | .071 | .071 | .071 | .143 | |
통산:12년 | 732 | 1790 | 1572 | 204 | 401 | 52 | 12 | 9 | 504 | 123 | 52 | 32 | 79 | 10 | 115 | 4 | 217 | 32 | .255 | .309 | .321 | .631 |
'''통산 수비 기록'''
연도 | 구단 | 외야 | 2루 | 3루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01 | 세이부 | 7 | 9 | 1 | 0 | 0 | 1.000 | 43 | 75 | 93 | 4 | 16 | 0.977 | - | |||||
2002 | 29 | 28 | 1 | 0 | 0 | 1.000 | - | - | |||||||||||
2003 | 80 | 127 | 6 | 1 | 1 | .993 | 2 | 1 | 1 | 0 | 0 | 1.000 | - | ||||||
2004 | 97 | 135 | 4 | 0 | 2 | 1.000 | 2 | 3 | 1 | 0 | 0 | 1.000 | 4 | 1 | 1 | 0 | 0 | 1.000 | |
2005 | 17 | 36 | 2 | 1 | 0 | .974 | - | - | |||||||||||
2006 | 47 | 53 | 0 | 0 | 0 | 1.000 | - | - | |||||||||||
2007 | 60 | 99 | 2 | 1 | 1 | .990 | - | - | |||||||||||
2008 | 55 | 88 | 0 | 1 | 0 | .989 | - | - | |||||||||||
2009 | 88 | 110 | 1 | 2 | 1 | .982 | - | - | |||||||||||
2010 | 89 | 112 | 3 | 1 | 0 | .991 | - | - | |||||||||||
2011 | 39 | 31 | 1 | 1 | 1 | .970 | - | - | |||||||||||
2012 | 10 | 4 | 0 | 0 | 0 | 1.000 | - | - | |||||||||||
통산 | 618 | 832 | 21 | 8 | 6 | .991 | 47 | 79 | 95 | 4 | 16 | .978 | 4 | 1 | 1 | 0 | 0 | 1.000 |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2001년 ~ 2005년 | 30 |
2006년 ~ 2012년 | 10 |
2016년 ~ 2022년 | 70 |
2023년 ~ | 87 |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2008년 아시아 시리즈 MVP[1]
'''개인 기록'''
- 첫 출장: 2001년 3월 26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경기(세이부 돔), 2번·2루수로 선발 출장[1]
- 첫 타석·첫 안타: 상동, 1회말에 구로키 도모히로를 상대로 우전 안타[1]
- 첫 도루: 2001년 3월 28일 오릭스 블루웨이브와의 경기(그린 스타디움 고베) 2회초에 2루 도루(투수: 오구라 히사시, 포수: 히다카 다케시)[1]
- 첫 타점: 상동, 10회초에 이마무라 후미아키에게서 적시타[1]
- 첫 홈런: 2003년 8월 25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의 경기(세이부 돔) 5회말에 와다 쓰요시에게서 좌월 만루 홈런[1]
4. 1.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2008년 아시아 시리즈 MVP[1]
4. 2. 개인 기록
사토 도모아키일본어의 첫 출장 기록은 2001년 3월 26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경기(세이부 돔)로, 2번·2루수로 선발 출장했다.[1] 같은 경기 1회말에 구로키 도모히로를 상대로 우전 안타를 기록하며 첫 타석과 첫 안타를 기록했다.[1] 2001년 3월 28일 오릭스 블루웨이브와의 경기(그린 스타디움 고베) 2회초에 2루 도루(투수: 오구라 히사시, 포수: 히다카 다케시)를 기록하며 첫 도루를 기록했다.[1] 같은 경기 10회초에 이마무라 후미아키에게서 적시타를 얻어내며 첫 타점을 기록했다.[1] 2003년 8월 25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의 경기(세이부 돔) 5회말에 와다 쓰요시에게서 좌월 만루 홈런을 뽑아내며 첫 홈런을 기록했다.[1]통산 12년간 732경기에 출전했고, 타율 0.255, 401안타, 123타점, 52도루를 기록했다.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희생 도루 | 희생 플라이 | 고의사구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01 | 세이부 | 46 | 143 | 131 | 14 | 31 | 1 | 0 | 0 | 32 | 5 | 5 | 4 | 3 | 0 | 9 | 0 | 16 | 1 | .237 | .286 | .244 | .530 |
2002 | 31 | 57 | 51 | 1 | 7 | 2 | 0 | 0 | 9 | 3 | 2 | 3 | 6 | 0 | 0 | 0 | 8 | 0 | .137 | .137 | .176 | .314 | |
2003 | 85 | 236 | 205 | 24 | 59 | 13 | 3 | 2 | 84 | 22 | 4 | 1 | 15 | 0 | 15 | 0 | 28 | 6 | .288 | .339 | .410 | .749 | |
2004 | 105 | 348 | 306 | 54 | 97 | 9 | 2 | 2 | 116 | 27 | 11 | 8 | 11 | 1 | 27 | 1 | 36 | 8 | .317 | .375 | .379 | .754 | |
2005 | 17 | 74 | 67 | 3 | 16 | 2 | 0 | 0 | 18 | 4 | 0 | 0 | 1 | 1 | 4 | 0 | 7 | 1 | .239 | .278 | .269 | .546 | |
2006 | 64 | 120 | 99 | 14 | 22 | 2 | 1 | 0 | 26 | 6 | 9 | 4 | 5 | 1 | 14 | 1 | 13 | 4 | .222 | .322 | .263 | .584 | |
2007 | 68 | 180 | 159 | 15 | 35 | 5 | 0 | 1 | 43 | 7 | 3 | 1 | 7 | 2 | 11 | 0 | 19 | 3 | .220 | .272 | .270 | .542 | |
2008 | 59 | 144 | 126 | 23 | 38 | 8 | 1 | 1 | 51 | 11 | 4 | 2 | 8 | 1 | 6 | 0 | 23 | 2 | .302 | .341 | .405 | .746 | |
2009 | 105 | 216 | 191 | 22 | 46 | 4 | 4 | 0 | 58 | 21 | 9 | 4 | 7 | 2 | 15 | 2 | 30 | 2 | .241 | .297 | .304 | .600 | |
2010 | 98 | 199 | 173 | 30 | 43 | 5 | 1 | 2 | 56 | 16 | 5 | 5 | 10 | 2 | 12 | 0 | 26 | 3 | .249 | .302 | .324 | .625 | |
2011 | 42 | 57 | 50 | 4 | 6 | 1 | 0 | 1 | 10 | 1 | 0 | 0 | 4 | 0 | 2 | 0 | 10 | 1 | .120 | .170 | .200 | .370 | |
2012 | 12 | 16 | 14 | 0 | 1 | 0 | 0 | 0 | 1 | 0 | 0 | 0 | 2 | 0 | 0 | 0 | 1 | 1 | .071 | .071 | .071 | .143 | |
통산:12년 | 732 | 1790 | 1572 | 204 | 401 | 52 | 12 | 9 | 504 | 123 | 52 | 32 | 79 | 10 | 115 | 4 | 217 | 32 | .255 | .309 | .321 | .631 |
수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구단 | 외야 | 2루 | 3루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01 | 세이부 | 7 | 9 | 1 | 0 | 0 | 1.000 | 43 | 75 | 93 | 4 | 16 | 0.977 | - | |||||
2002 | 29 | 28 | 1 | 0 | 0 | 1.000 | - | - | |||||||||||
2003 | 80 | 127 | 6 | 1 | 1 | .993 | 2 | 1 | 1 | 0 | 0 | 1.000 | - | ||||||
2004 | 97 | 135 | 4 | 0 | 2 | 1.000 | 2 | 3 | 1 | 0 | 0 | 1.000 | 4 | 1 | 1 | 0 | 0 | 1.000 | |
2005 | 17 | 36 | 2 | 1 | 0 | .974 | - | - | |||||||||||
2006 | 47 | 53 | 0 | 0 | 0 | 1.000 | - | - | |||||||||||
2007 | 60 | 99 | 2 | 1 | 1 | .990 | - | - | |||||||||||
2008 | 55 | 88 | 0 | 1 | 0 | .989 | - | - | |||||||||||
2009 | 88 | 110 | 1 | 2 | 1 | .982 | - | - | |||||||||||
2010 | 89 | 112 | 3 | 1 | 0 | .991 | - | - | |||||||||||
2011 | 39 | 31 | 1 | 1 | 1 | .970 | - | - | |||||||||||
2012 | 10 | 4 | 0 | 0 | 0 | 1.000 | - | - | |||||||||||
통산 | 618 | 832 | 21 | 8 | 6 | .991 | 47 | 79 | 95 | 4 | 16 | .978 | 4 | 1 | 1 | 0 | 0 | 1.000 |
4. 3.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2001년 ~ 2005년 | 30 |
2006년 ~ 2012년 | 10 |
2016년 ~ 2022년 | 70 |
2023년 ~ | 87 |
참조
[1]
웹사이트
野球・ソフトボール│ミズノ
http://www.mizunobal[...]
[2]
서적
プロ野球人名事典 2003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3]
웹사이트
西武の平尾、佐藤が今季限りで引退「チームの力になれない」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2017-07-21
[4]
웹사이트
2016年度 コーチングスタッフ発表!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公式サイト
2015-10-13
[5]
웹사이트
2021シーズン コーチングスタッフ発表&就任会見
https://www.seibulio[...]
埼玉西武ライオンズ公式サイト
2021-08-14
[6]
웹사이트
佐藤友亮ファーム野手育成コーディネーター兼打撃コーチが就任会見
https://sp.fighters.[...]
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公式サイト
2022-11-04
[7]
웹사이트
日本ハムが2軍首脳陣を発表 稲葉篤紀GMが監督就任…清水雅治氏と“五輪金タッグ”
https://full-count.j[...]
2023-11-18
[8]
문서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에서는 추천 입시도 있었지만 실시된 것은 2003년이었고 야구를 하면서 하루 10시간 정도 공부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