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틴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틴은 홍콩 신계의 지역으로, 1574년에 건설된 타이 와이 마을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 사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 홍콩 정부의 신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대규모 매립을 통해 신시가지가 조성되었다. 현재 사틴은 홍콩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며, 다양한 주거 형태, 상업 시설, 산업 시설을 갖추고 있다. 교통은 MTR 철도와 다양한 버스 노선을 통해 이루어지며, 홍콩 중문 대학교, 홍콩 문화 박물관 등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틴구 - 왓슨스
    왓슨스는 1845년 토마스 보스웰 왓슨 박사가 설립한 소매 체인으로, 아시아와 유럽에서 8,000여 개의 매장과 1,500개 이상의 약국을 운영하며 의약품, 화장품, 자체 브랜드 상품 등을 판매하는 허치슨 왐포아 유한회사의 자회사이다.
  • 사틴구 - 마온산
    마온산은 홍콩에 있는 말 안장 모양의 산으로, 화산암 및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특이한 지형과 다양한 식생을 가지며, 과거 철광석 채굴지였으나 현재는 특별 과학적 관심 장소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홍콩의 행정 구역 - 사이궁구
    사이쿵구는 홍콩 동부에 위치한 구로, 1898년 영국이 청나라로부터 신계를 조차하면서 홍콩에 편입되었으며,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사이쿵 타운, 정관오 신도시, 그리고 컨트리 파크와 해변, 섬 등의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 홍콩의 행정 구역 - 남구 (홍콩)
    남구는 홍콩 섬 남부에 위치하며 남중국해와 접해 있고 컨트리 파크로 둘러싸여, 애버딘, 리펄스 베이, 스탠리 등의 관광지와 주거 지역을 포함하며 사우스 아일랜드선 개통으로 대중교통 접근성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학교와 국제학교가 위치한 교육 중심지이다.
사틴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사틴 구역 스카이라인 전경
사틴 구역 스카이라인 전경
공식 명칭사틴 구
다른 이름Shatin
로마자 표기Satihn Kēui
한자 표기沙田區
간체자 표기沙田区
의미모래밭 구역
지리
위치홍콩 내 사틴 구역 위치
좌표22.38715, 114.19534
면적69.27km²
토지 면적69.27km²
참고토지 정보 부서
행정
국가중국
특별행정구홍콩
구 의회 의장크리스 맥
구 의회 부의장신척남
구 의회 선거구41개
인구 통계
총 인구 (2021년)692,806명
인구 밀도10,082명/km²
참고통계청
시간대
시간대홍콩 시간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8
기타 정보
웹사이트사틴 구 의회 공식 웹사이트
설립일1981년 4월
행정관커자러

2. 역사

사틴(沙田)이라는 이름은 영국 식민지 시절, 영국 기록관이 사틴와이에 거주하는 마을 주민들에게 이 구역 이름을 물었을 때, 그들이 '사틴'이라고 대답하면서 유래했다. 영국 기록관은 원래 이름인 '레이윈(瀝源)'을 모르고 '사틴'이라고 기록했고, 이것이 이 지역의 공식 명칭으로 굳어졌다.[6]

사틴구 일대는 옛날에는 릭위안(瀝源)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청먼강을 흐르는 물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인접한 타이포구에서는 석기 시대부터 원주민이 살고 있었고, 사틴구에서는 마온산에서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출토물이 발견되어 명나라 시대 이전부터 사람이 정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강가에 위치하여 주로 농업이 이루어졌다.

1574년, 현재의 다웨이 일대에 다웨이 촌이 건설되었으며, 성벽으로 둘러싸인 마을로서는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것이다. 그 후, 청먼강 연안의 얕은 여울이었던 산샤웨이, 샤오리위안, 사톈에도 마을이 형성되었다. 당시 청먼강의 하구는 현재의 사자교 부근에 있었고, 그 북동쪽은 사톈해였으며, 위엔저우각은 사톈해 속에 떠 있는 작은 섬이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릿위안에 존재했던 40개 이상의 마을이 '사톈 9약'을 맺고 공동으로 치안 유지를 했다. 당시 릿위안에는 시장이 없었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타이포墟 (현재의 타이포 구쉬)까지 도보나 작은 배를 이용해야 했다.

1960년대 이후, 홍콩 정부는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사틴구를 위성 도시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1961년에 최초의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고, 처음에는 타이포 행정청 관할 하에 진행되다가 이후 사틴 행정청으로 독립했다. 1973년, 선주민 마을과 사틴 비행장이 철거되면서 사틴 뉴타운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사틴 해와 청먼 강 양안에서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 정부는 최초 계획의 규모를 36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계획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고, 사틴 구는 마온산을 포함하는 현재의 규모가 되었다.

사틴구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사건
1574년다웨이 일대에 다웨이 촌 완성.
1898년청나라와 영국이 홍콩 할양에 관한 조약에 서명, 선전 강 이남이 영국 식민지 홍콩이 되어 사틴도 포함됨.
1910년구광 철로(현재의 홍콩 지하철동철선) 개통, 사틴 역 개업.
1920년대호주 화교인 류시청이 사틴역 주변의 염전 구입[6].
1937년고조가 토로 만에서 사틴 해로 흘러들어 침수 피해와 다수의 사상자를 냄.
1945년사틴향공소(사틴향사위원회의 전신) 설립[6].
1949년영국 공군 항공대의 사틴 비행장 완성.
1956년사틴 쉬 완성. 구광 철로 마료수 역(현재의 동철선 대학 역) 개업.
1962년태풍 완다가 홍콩을 강타, 사틴 쉬와 사틴 비행장 피해.
1963년홍콩 중문 대학교 설립, 마료수의 충기산에 캠퍼스 설치 결정.
1967년사자산 터널 남행 완성. 사틴과 구룡이 직접 연결됨.
1969년-1973년중문 대학교 본부, 신아서원 등이 마료수로 단계적으로 이전.
1973년사틴 뉴타운 정식 착공.
1975년최초의 공영 주택인 력원촌 입주 시작.
1976년6월 16일사틴 구쉬의 28개 점포 철거, 대포로(현재의 대포로 사틴단) 확장[7].
1977년3월 - 1980년사틴 구 최초의 고층 민간 주택인 세계화원 완성, 입주 시작.
1978년
1978년10월 7일사틴 경마장 완성, 구광 철로의 마장 역 개업[9].
1980년3월 4일사틴 구쉬에 남아 있던 점포 철거[10].
1981년사틴 구의회 설립.
1982년청허둥에 최초의 대형 민간 주택, 사틴 제일성 완성. 구광 철로 전철화, 신사틴 역과 윌스 친왕 병원(중문 대학교 병원) 개업.
1983년구광 철로 다웨이 역 임시 역 개업. 구광 철로 전선 전철화 완료.
1984년사틴 체육회 사틴 드래곤 보트 레이스 개최.
1985년구광 철로 훠탄 역 개업. 훠탄 지구 최대 대형 민간 주택 은희화원 (제1기) 입주 시작.
1986년훠탄 지구 대형 주택, 은희화원(제2기) 입주 시작. 다웨이 역 상설 역 전환.
1987년사틴 구청 완성, 홍콩에서 2번째 청사. 마안산 최초 공영 주택 항안촌 완성.
1988년사틴 법원, 사틴 공공 도서관, 사틴 공원 완성.
1990년성문 터널 완성. 구내 2번째 터널.
1991년대노산 터널 완성. 구룡 연결 2번째 터널.
2000년홍콩 최대 박물관, 홍콩 문화 박물관 완성.
2002년사틴 정부 청사 완성. Citylink와 구 사틴 정부 청사(현재의 가어산)에 있던 기관 일부 이전.
2004년마안산 철로(현재의 홍콩 지하철마안산선) 개통.
2005년마안산 공공 도서관, 마안산 체육관 완성.
2008년청사 컨트롤 에어리어와 시티 아트 스퀘어 개업.
2009년3월난연성 재질 사용 최초 주택, 어룡산 입주 시작.
2012년신세계 발전에 다웨이 역 개발 계획 승인.
2015년툰마선 사자산 철도 터널 개통.
2017년툰마 경유 현경 역-홍함 역 신설 구간 완성, 전철화 완료.
2019년7월 14일사틴 구 사틴 일우 도망자 조례 개정안 반대 시위 실시.


2. 1. 식민지 이전 시대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약 4천 년 전부터 사틴 지역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6] 현재의 사틴 지역은 명나라 이전에 인구가 거주했다. 성문강이 이 지역을 가로질러 흐르면서, 대부분의 지역 주민들은 농부였고 농업에 의존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1574년,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옹벽 마을인 대위촌이 건설되었다.[6] 타이 와이 마을 이후 강을 따라 몇몇 다른 마을들이 건설되었다.

2. 2. 영국 식민지 시대

1898년, 청나라영국은 전탁홍콩계지전조(홍콩 영토 확장 조약)에 서명하여 신계 지역을 조차하면서 사틴은 영국령 홍콩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6] 이때 영국군은 조사단을 파견했는데, 원래 하나의 마을에 불과했던 사틴와이를 릭위안(瀝源, Lei Yuen) 전체의 지명으로 착각하여, 지역의 총칭으로 사틴이라는 명칭이 정착되었다.[6]

1910년, 구광철로(구룡-광저우 철도 (영국 구간))가 개통되면서 사틴역이 건설되었고, '사틴'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6] 이후 사틴의 지명은 점점 인지도를 높여갔지만, 반대로 옛 릭위안은 잊혀져 갔다.

1920년대에는 호주 국적의 화교였던 류시청이 사틴역 주변의 염전을 구입했지만,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6] 1950년, 류시청의 아들이 사틴역 주변의 큰 농지(현재의 뉴타운 플라자 일대)에 사틴허(沙田墟)라는 시장 마을을 건설했으며, 1956년에 완성되었다.

2. 3. 신도시 개발

1960년대, 홍콩 정부는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사틴을 위성 도시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6] 1961년에 최초의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고, 처음에는 타이포행정청 관할 하에 진행되다가 이후 사틴 행정청으로 독립했다. 1973년, 선주민 마을과 사틴 비행장이 철거되면서 사틴 신시가지(沙田新市鎮)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사틴 해와 청먼강 양안에서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7] 1976년, 사틴 최초의 공공 주택 단지인 레이윈(瀝源邨)이 완공되었다.[7]

1980년대, 사틴 신시가지 계획은 마온산 지역까지 확장되었다. 1981년 4월에는 사틴 구 의회가 설립되었다. 2004년에는 마안산선(馬鞍山綫)이 개통되어 사틴 동부 지역의 교통이 개선되었다.

3. 지리

사틴과 성문강


우카이사


사틴구에는 주거 지역 외에도 타이 와이, 포탄, 샤오 렉 유엔, 섹 문 등 4개의 산업 지역이 있다.

홍콩 중문 대학교가 사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동철선 대학교역에서 하차하여 이동한다. 캠퍼스 내에서는 미니버스 서비스가 운영된다.

사틴에는 8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홍콩의 두 번째 경마장(가장 유명한 곳은 해피 밸리 경마장)이 있다. 이 경마장은 2008년 하계 올림픽 승마 경기를 개최하기도 했다.

펜폴드 공원은 경마장 안에 위치해 있으며 경마일에는 폐쇄된다. 포탄역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다. 사틴 공원은 사틴에 위치한 또 다른 주요 공원이다.

사틴구는 홍콩에서 처음으로 도시 계획 개념을 도입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뉴타운은 청먼강에서 산 중턱까지 남서쪽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동철선 사틴역 주변에는 사틴 시 중심지가 설치되어 정부 기관, 공원, 교통 허브, 대형 쇼핑몰 등이 모여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사틴 신시진은 청먼강(城門河, Shing Mun River Channel) 강둑을 따라 형성되었으며, 주요 주택 지구가 위치하고 있다. 1970년대 초에는 인구 3만 명의 농촌 지역이었으나, 1976년 첫 공공 주택 단지인 레이윈(瀝源, Lei Yuen) 완공 이후 주거지가 팽창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사틴구 인구의 약 65%는 공공 주택에 거주하고 있다.[11]

사틴 개발 초기 단계부터 성문강 양쪽을 따라 주거, 상업 및 산업 건물이 건설되었다.


타이 와이의 팀 삼 스트리트


성문강은 길이 7km, 폭 200m의 수로로, 타이 모 산 유역인 성문 저수지에서 발원하여 타이 와이 지역을 거쳐 사틴 시내를 지나 차오차이만까지 이어진다. 타이 와이 눌라, 포 탄 눌라, 시우 렉 유엔 눌라의 세 주요 지류가 있다. 성문강을 따라 고층 주거, 상업, 산업 건물과 함께 수많은 마을 형태의 개발이 흩어져 있다.

사틴 뉴타운


사틴구의 시가지는 원래 사틴 해와 청먼강 양안에 위치한 大圍|대위중국어, 火炭|훠탄중국어, 禾輋|워체중국어, 석문, 小瀝源|샤오리위안중국어, 위안저우자오, 九肚山|가우도산중국어, 말랴오수이 등을 포함하는 매립지로 구성되었다. 현재는 마안산이나 오케이샤로도 확대되었다. 사틴 뉴타운은 바다를 매립하는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양쪽에서 매립이 이루어진 결과, 현재는 만의 중앙부에 있던 비교적 깊은 부분이 청먼강의 연장으로 남아 있다.

3. 2. 주변 지역

사틴은 다이보구, 췬완구, 콰이칭구, 사이궁구 등과 인접해 있다.

4. 도시 경관


4. 1. 주거

사틴구는 홍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다양한 형태의 주택이 공급되고 있다.

홍콩 주택 위원회는 1970년에 공영 주택 건설 계획을 수립했다. 1976년 MTR 사틴역 근처에 7동의 직사각형 집합 주택으로 구성된 레이윈邨(瀝源邨)이 처음으로 완공되었다. 1979년에 완공된 워체邨(禾輋邨)은 현재 사틴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수이춘오邨(水泉澳邨)은 사틴에서 가장 많은 호수를 가지고 있다. 현재 사틴에는 홍콩 주택 위원회의 임대형 공영 주택 22동, 홍콩 주택 협회의 주택 1동이 있다.[11]

홍콩 주택 위원회는 공영 주택과 동시에 공공 분양 주택도 건설했다. 1983년 화탄의 중턱에 위치한 수이워위안(穗禾苑)이 사틴 최초의 공공 분양 주택으로 완공되었다. 현재 사틴에는 공공 분양 주택 18개와 민간 주택 7개가 있다.

1981년에는 대형 민간 주택인 사틴제일성(沙田第一城)이 완공되었다. 이 외에도 은희화원(銀禧花園), 준경원, 명성과 같은 대형 민간 주택 단지들이 있다.

4. 2. 상업

주어진 소스에는 '상업' 섹션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기 때문에,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요약에서 언급된 뉴타운 플라자(新城市廣場)에 대한 내용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주어진 소스와 요약만으로는 '상업' 섹션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4. 3. 산업

사틴에는 타이와이, 포탄, 샤오렉위엔, 섹문 등 4개의 경공업 지구가 있다.

5. 교통

사틴에는 홍콩 중문 대학교가 있으며, 사람들은 주로 MTR 동철선 대학교역에서 내려 이동한다. 캠퍼스 안에서는 미니버스가 다닌다.

사틴에는 8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마장(해피 밸리 경마장이 첫 번째이자 가장 유명하다)이 있다. 이 경마장은 2008년 하계 올림픽 승마 경기를 개최했다. 올림픽은 베이징에서 열렸지만, 중국 수도의 검역 및 질병 감시 문제로 인해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펜폴드 공원은 경마장 안에 있으며 경마일에는 문을 닫는다. 포탄역으로 가는 것이 가장 좋다. 사틴 공원은 사틴에 있는 또 다른 주요 공원이다.

5. 1. 철도

사틴구는 홍콩의 다른 어떤 구보다 많은 총 14개의 도시 철도역이 MTR 철도 네트워크의 두 노선에 걸쳐 있으며, 이는 홍콩 내에서 가장 많은 수치이다. 이 역들 중 5개는 동철선에 위치하며, 타이 와이, 사틴, 포탄, 경마장, 대학교 역이 해당된다. 경마장 역은 경마일에만 운행하며, 이 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1910년에 개통된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구룡-광저우 철도에 위치한다. 다만, 사틴 역만이 1910년 노선 개통 당시부터 존재했으며, 남쪽의 홍함 역과 북쪽의 로 우 및 록마차우의 중국 본토 국경 검문소로 직접 연결되었다. 나머지 4개의 역은 1980년대 노선 전철화 과정에서 홍콩 중문 대학교, 사틴 경마장, 사틴 신시가지 개발로 인해 추가되었다.

마온산선은 동철선의 지선으로, 2004년 12월에 운행을 시작하여 사틴의 동부와 마온산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타이 와이에서 우카이샤까지 운행하는 9개의 역은 모두 사틴구 내에 있으며, 노선을 따라 새로 건설된 주택 단지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노선과 나머지 네트워크 간의 유일한 환승역은 타이 와이였으며, 이 역과 관탕선과 연결되는 구룡통 사이의 동철선에 극심한 혼잡을 초래했다. 이 노선과 동철선은 모두 2007년 MTR Corporation에 흡수되기 전까지 구룡-광저우 철도 공사에서 운영했다.

사틴-중앙선이 완공되면 사틴구와 주변 지역의 철도 연결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동철선과 마온산선 모두 연장될 예정이다. 툰마선 1단계로 알려진 첫 번째 구간은 2020년 1월에 개통되어 마온산선을 다이아몬드 힐을 거쳐 카이탁까지 연장했으며, 사틴구 남쪽 끝에 있는 힌켕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이 추가되었다. 이는 타이 와이와 구룡통 사이의 동철선 혼잡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말까지 전체 툰마선이 구룡 시티를 통과하는 새로운 노선으로 개통되어 홍함에서 서철선과 합쳐져 구룡 서부를 거쳐 신계 북서부로 이어진다. 2022년에는 동철선이 빅토리아 항을 가로질러 애드미럴티 역에서 종착하여 처음으로 홍콩 섬으로 직접 연결될 예정이다.

  • 홍콩 MTR
  • 동철선

:: (금종 방면) - 다이웨이 역 - 사틴 역 - 포탄 역 - 마창 역 - 대학 역 - (뤄후 / 록마차우 방면)

  • 툰마 선

:: (툰문 방면) - 힌힝 역 - 다이웨이 역 - 차궁먀오 역 - 사틴와이 역 - 제일성 역 - 석문 역 - 타이수이항 역 - 항안 역 - 마온산 역 - 우카이사 역

5. 2. 도로

사틴구는 홍콩의 주요 간선 도로망의 혜택을 받고 있다. 4개의 주요 간선 노선이 사틴구를 통과한다.

  • 1번 국도는 포탄애버딘을 연결하며, 라이언 록 터널(獅子山隧道)을 통과한다.
  • 2번 국도는 마리우수이와 쿼리베이를 연결하며, 테이츠 케언 터널(大老山隧道)을 통과한다.
  • 8번 국도는 타이와이와 홍콩 국제공항을 연결하며, 칭샤 고속도로(青沙公路)를 이용한다.
  • 9번 국도는 췬완(취안완), 툰문(툰문), 위엔롱(위엔롱), 판링(판링), 타이포(타이포) 등과 연결되며, 싱문 터널(城門隧道)을 통과한다.


이러한 간선 도로는 구로 이어지는 여러 도로 터널을 이용한다. 이 중 라이언 록 터널은 1967년에 개통된 가장 오래된 터널로, 여전히 구룡 중심부로 가는 가장 직접적인 경로이며 교통량이 가장 많다. 그 외에도 1990년 싱문 터널, 1991년 테이츠 케언 터널, 2008년 칭샤 고속도로 (이글스 네스트 터널 및 사틴 하이츠 터널로 구성) 등이 개통되었다.

이 지역의 다른 주요 도로로는 샤렉 고속도로, 사틴 로드, 테이츠 케언 고속도로, 톨로 고속도로, 사이샤 로드 등이 있다.

5. 3. 버스

사틴구에는 총 110개의 프랜차이즈 버스 노선이 여러 지점을 운행한다. 이 노선들은 주로 구룡 버스(Kowloon Motor Bus)가 운영하며, 소류역(Siu Lek Yuen)에 차고지를 두고 있다. 여기에는 구역 내에서만 운행하는 노선, 사틴구를 신계 및 구룡의 다른 지역과 연결하는 노선, 그리고 애버딘(Aberdeen)까지 가는 노선을 포함하여 홍콩섬으로 가는 여러 해저 노선이 포함된다. 또한, 롱윈 버스(Long Win Bus)는 란타우섬, 공항 및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로 가는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뉴 월드 퍼스트 버스(New World First Bus)는 홍콩 섬 동부 및 저우관오로 가는 급행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틴구는 또한 다양한 미니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5. 4. 자전거 도로

사틴은 홍콩에서 가장 긴 자전거 도로망(약 50km)을 갖추고 있다.[1]

6. 교육

(고등학교)밥티스트 루이 밍 초이 중학교, 홍콩 침례대학교 부속 웡 캄 파이 중고등학교, 홍콩 국제 크리스찬 학교, 조키 클럽 티-아이 컬리지, 장쑤-저장 컬리지 (사틴), 리 포춘 유나이티드 월드 컬리지, 헬렌 량 기념 사틴 중학교, 르네상스 칼리지, S. K. H. 창 시우 팀 중학교, 샤틴 칼리지, 샤틴 정부 중학교, 샤틴 감리교 칼리지, 샤틴 푸이 잉 칼리지, 사틴 종 친 중학교, 탁 선 중학교, 보량국 주경문 중학교, 박애 의원 진해 기념 중학교, 명애 안산 중학교, 홍콩 중문 대학교 동문회 연합회 진진하 중학교초등학교둥관 공상 총회 장황위 소학교, 동화삼원 선차운 소학교, 순리회 메이린 소학교, 구룡성 침례회 희년(은평) 소학교, 보량국 우천 소학교, 구룡성 침례회 희년 소학교, 홍콩 도교 연합회 순양 소학교, 천주교 성화 학교, 자항 학교, 사톈 숭진 학교, 기독교 홍콩 신의회 화서 신의학교, 보량국 소한선 소학교, 구세군 전가병 학교, 보량국 주정현 소학교, 호소진 박사 기념 학교, 세계 용강학교 황요남 소학교, 사톈위 호소진 박사 기념 학교, 앤필 학교



이 외에도 다수의 초등학교, 중학교 및 국제학교가 사틴 구에 위치해 있다.[3]

7. 문화 및 여가 시설

사틴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 및 여가 시설이 있다.

7. 1. 박물관

홍콩 문화 박물관은 홍콩에서 가장 큰 박물관으로, 2000년 12월 16일에 개관했으며 12개의 전시관, 카페, 박물관 상점을 갖추고 있다. 기후 변화 조키 클럽 박물관도 이 지역의 박물관이다.

7. 2. 공원

사틴 공원(沙田公園)은 성문강 수로를 따라 조성된 인기 있는 공원으로, 사틴 타운에 위치해 있으며 매일 07:00~22:45에 개방한다. 펜폴드 공원(彭福公園)은 사틴 경마장 내에 위치해 있다. 마온산 공원이 있다.

7. 3. 기타 시설


  • 사틴 경마장(沙田馬場, Sha Tin Racecourse): 홍콩의 두 경마장 중 하나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승마 경기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 차쿵 사원(車公廟, Che Kung Temple): 중국 설날에 수많은 참배객이 찾는 곳으로, 지방 정부 관계자들도 많이 방문한다.
  • 만불사(萬佛寺, Ten Thousand Buddhas Monastery)
  • 도풍산(道風山, Tao Fong Shan)
  • 사틴 타운 홀(沙田大會堂, Sha Tin Town Hall): 신계 동부 지역의 주요 문화 시설로, 문화 행사 및 전시회가 열린다.
  • 스누피의 세상(史諾比開心世界, Snoopy's World): 뉴 타운 플라자 3층에 있는 놀이 공간으로, 스누피 집, 카누 타기, 피너츠 캐릭터 박물관 등이 있다.
  • 사틴 도서관(沙田公共圖書館)

8. 한국과의 관계

사틴 신시진은 홍콩다마 뉴타운이자 대한민국분당신도시와 비슷한 시기에 계획적으로 개발된 신도시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사틴 경마장은 8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홍콩의 두 번째 경마장이다. 이 경마장은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베이징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지만, 중국 수도에서의 적절한 검역 및 질병 감시에 대한 우려로 인해 승마 경기를 개최하였다. 이 대회에는 한국 선수단도 참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ong Kong Geographic Data (As at October 2021) https://www.landsd.g[...] 2022-01-01
[2] 간행물 2021 Population Census: Summary Results https://www.censtatd[...] 2022-02-01
[3] Citation 2016 Population By-census Summary Results http://www.bycensus2[...]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2020-02-09
[4] 웹사이트 District Highlights http://www.districtc[...] Sha Tin District Council 2012-04-01
[5] 뉴스 TTP to build Asian towers http://www.sharechat[...] 2004-07-02
[6] 서적 《沙田社區網絡》 沙田臨時區議會
[7] 뉴스 大公報 1976-06-17
[8] 뉴스 香港工商日報 1978-08-26
[9] 뉴스 香港工商日報 1978-10-03
[10] 뉴스 華僑日報 1980-03-05
[11] 웹사이트 沙田區特色 http://www.districtc[...] 2006-06-19
[12] 웹인용 https://www.district[...] District Councils of Hong Kong
[13] 웹인용 2016 Population By-census: Summary Results https://www.bycensus[...]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Hong Ko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