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한국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하·한국학교는 1994년 시베리아 원주민 연구를 하던 한국 민족지학자의 제안으로 사하 공화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학교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강덕수 교수의 지원과 미하일 니콜라예프 사하 공화국 대통령을 포함한 현지 인사들의 지지 속에 설립되었으며, 2006년에는 알단스키 울루스에 분교를 설립했다. 한국어, 한국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일본어, 중국어 교육을 제공하며, 매년 서울로 유학 및 홈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졸업생들은 통번역 분야, 한국 관련 분야, 그리고 대한민국 대학 진학 등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쿠츠크의 교육 - 북동연방대학교
북동연방대학교는 러시아 사하 공화국 야쿠츠크에 위치한 연방 대학교로, 시베리아와 극동 지역의 교육 및 과학 발전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북극 연구,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등 북동 시베리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와 지역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 러시아의 학교 - 국제레닌학교
국제레닌학교는 코민테른의 볼셰비키화 결의로 설립된 국제 공산주의 운동 지도자 양성 기관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소련 공산당의 경험을 교육하여 각국 공산당 간부 및 활동가를 배출했으며, 요시프 브로즈 티토, 호찌민 등 여러 공산 정권 수장을 배출하고 폐교와 재건을 거쳐 현재는 재정대학교로 사용되고 있다. - 러시아의 학교 -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1921년 코민테른이 설립한 모스크바 소재 교육기관으로, 식민지 출신 공산주의 운동가 양성을 목표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실질적인 훈련을 제공했으나, 스탈린의 대숙청 시기에 폐쇄되고 졸업생들이 숙청당했으며 한국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 야쿠츠크의 건축물 - 야쿠츠크 공항
야쿠츠크 공항은 러시아 사하 공화국 야쿠츠크에 위치하며,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3,400m 활주로와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야쿠티아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야쿠츠크의 건축물 - 북동연방대학교
북동연방대학교는 러시아 사하 공화국 야쿠츠크에 위치한 연방 대학교로, 시베리아와 극동 지역의 교육 및 과학 발전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북극 연구,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등 북동 시베리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와 지역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사하·한국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하-한국학교 |
로마자 표기 | Saha-Hanguk Hakkyo |
한글 표기 | 사하·한국학교 |
한자 표기 | 사하·韓國學校 |
러시아어 표기 | Саха-корейская школа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 | Sakha-koreyskaya shkola |
모토 | 알 수 없음 |
설립 | 1994년 |
폐교 | 알 수 없음 |
종류 | 알 수 없음 |
소속 | 알 수 없음 |
구역 | 알 수 없음 |
학년 | 알 수 없음 |
총장 | 알 수 없음 |
교장 | Vadim Borisov Georgievich |
학교 대표 | 알 수 없음 |
학장 | 알 수 없음 |
교직원 수 | 30명 |
직원 수 | 알 수 없음 |
학생 수 | 280명 |
등록 | 알 수 없음 |
운동 경기 | 알 수 없음 |
컨퍼런스 | 알 수 없음 |
색상 | 알 수 없음 |
마스코트 | 알 수 없음 |
캠퍼스 종류 | 알 수 없음 |
캠퍼스 크기 | 알 수 없음 |
위치 | 42 Korolenko St. Yakutsk, 677005 Sakha Republic, Russia |
국가 | 러시아 |
웹사이트 | sakhakorea.yaguo.ru |
2. 연혁
1994년 5월, 시베리아 원주민 연구를 하던 한국 민족지학자가 사하 공화국 정부와 한국어 학교 설립을 논의, 대한민국에서 교사를 찾기 시작하면서 학교가 설립되었다.[2][8]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이자 사하-한국 친선협회 회장인 강덕수 씨가 지원하였다.[2] 1989년 설립된 야쿠츠크 한국인회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일요학교를 설립했으나, 한국어 전문가 수요 증가로 사하 공화국 대통령 미하일 니콜라예프를 포함한 후원자들이 정규 학교 설립을 지지했다.[2][9] 당시 야쿠츠크 교육부 수장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가 초기 현지 리더십을 제공, 사하 공화국 정부는 학교에 지속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2] 학교의 다른 초기 현지 지지자로는 고등 교육 연구소 소장[10] 올가 호로소바와 야쿠츠크 한국인회 회장 베라 샤마예바가 있었다.[9]
1994년 5월, 시베리아 원주민에 대한 연구를 하던 한 한국 민족지학자가 사하 공화국 정부와 한국어 학교 설립에 관해 논의했고, 대한민국에서 교사를 찾기 시작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이자 사하-한국 친선협회 회장인 강덕수 씨가 지원하기로 동의했다.[2][8] 1989년에 설립된 야쿠츠크 한국인회는 이전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일요학교를 설립했었다. 그러나 한국어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사하 공화국 대통령 미하일 니콜라예프를 포함한 강력한 후원자들이 정규 학교 설립 움직임을 지지했다. 당시 야쿠츠크 교육부 수장인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가 이 프로젝트의 초기 현지 리더십을 제공했다. 사하 공화국 정부는 공화국의 외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더 광범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학교에 지속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해 왔다.[2][9] 학교의 다른 초기 현지 지지자로는 고등 교육 연구소 소장[10] 올가 호로소바와 야쿠츠크 한국인회 회장 베라 샤마예바가 있었다.[9]
2006년에는 알단스키 울루스에 분교를 설립했다.[11]
학교 설립 이후 약 250명의 학생들이 졸업했다. 2009년 12월 15주년 기념식에는 미하일로바(당시 사하 공화국 부통령), 내무부 장관 게오르기 니코노프, 이르쿠츠크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 최석인이 참석했다.[12]
3. 설립 배경 및 역사
2006년에는 알단스키 울루스에 분교를 설립했다.[11]
설립 이후 약 250명의 학생들이 졸업했다. 2009년 12월에 열린 15주년 기념식에는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당시 사하 공화국 부통령)와 내무부 장관 게오르기 니코노프, 이르쿠츠크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 최석인이 참석했다.[12]
3. 1. 설립 배경
1994년 5월, 시베리아 원주민에 대한 연구를 하던 한 한국 민족지학자가 사하 공화국 정부와 한국어 학교 설립에 관해 논의했고, 대한민국에서 교사를 찾기 시작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이자 사하-한국 친선협회 회장인 강덕수 씨가 지원하기로 동의했다.[2][8] 1989년에 설립된 야쿠츠크 한국인회는 이전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일요학교를 설립했었다. 그러나 한국어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사하 공화국 대통령 미하일 니콜라예프를 포함한 강력한 후원자들이 정규 학교 설립 움직임을 지지했다.[2][9] 당시 야쿠츠크 교육부 수장인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가 이 프로젝트의 초기 현지 리더십을 제공했다. 사하 공화국 정부는 공화국의 외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더 광범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학교에 지속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해 왔다.[2][9] 학교의 다른 초기 현지 지지자로는 고등 교육 연구소 소장[10] 올가 호로소바와 야쿠츠크 한국인회 회장 베라 샤마예바가 있었다.[9]
3. 2. 초기 역사
학교의 기원은 1994년 5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베리아 원주민에 대한 연구를 하던 한 한국 민족지학자가 사하 공화국 정부와 한국어 학교 설립에 관해 논의했고, 대한민국에서 교사를 찾기 시작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이자 사하-한국 친선협회 회장인 강덕수 씨가 지원하기로 동의했다.[2][8] 1989년에 설립된 야쿠츠크 한국인회는 이전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일요학교를 설립했었다. 그러나 한국어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강력한 후원자들이 정규 학교 설립 움직임을 지지했다. 여기에는 사하 공화국 대통령 미하일 니콜라예프도 포함되었다. 당시 야쿠츠크 교육부 수장인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가 이 프로젝트의 초기 현지 리더십을 제공했다. 사하 공화국 정부는 공화국의 외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더 광범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학교에 지속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해 왔다.[2][9] 학교의 다른 초기 현지 지지자로는 고등 교육 연구소 소장[10] 올가 호로소바와 야쿠츠크 한국인회 회장 베라 샤마예바가 있었다.[9]
3. 3. 발전 과정
1994년 5월, 시베리아 원주민에 대한 연구를 하던 한 한국 민족지학자가 사하 공화국 정부와 한국어 학교 설립에 관해 논의했고, 대한민국에서 교사를 찾기 시작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이자 사하-한국 친선협회 회장인 강덕수 씨가 지원하기로 동의했다.[2][8] 1989년에 설립된 야쿠츠크 한국인회는 이전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일요학교를 설립했었다. 그러나 한국어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사하 공화국 대통령 미하일 니콜라예프를 포함한 강력한 후원자들이 정규 학교 설립 움직임을 지지했다. 당시 야쿠츠크 교육부 수장인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가 이 프로젝트의 초기 현지 리더십을 제공했다. 사하 공화국 정부는 공화국의 외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더 광범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학교에 지속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해 왔다.[2][9] 학교의 다른 초기 현지 지지자로는 고등 교육 연구소 소장[10] 올가 호로소바와 야쿠츠크 한국인회 회장 베라 샤마예바가 있었다.[9]
2006년에는 알단스키 울루스에 분교를 설립했다.[11]
설립 이후 약 250명의 학생들이 졸업했다. 2009년 12월에 열린 15주년 기념식에는 예브게니야 미하일로바(당시 사하 공화국 부통령)와 내무부 장관 게오르기 니코노프, 이르쿠츠크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 최석인이 참석했다.[12]
4. 교직원
2002년, 전임 교장인 겐나디 김이 다른 직업을 갖기로 결정하면서, 예브게니 체레파노프 제카가 부교장에서 교장으로 승진했다.[7][3] 사하·한국학교에는 정규직 교사 25명과 시간제 교사 5명이 근무하고 있으며[3], 교직원에는 한국인 교사 4명이 포함되어 있다.[1]
5. 교육 프로그램
사하·한국학교는 다른 과목들 외에도, 한국어를 제2 언어로 가르치며, 한국인 교사가 가르친다. 한국어 수업은 5학년부터 시작하며, 주당 3시간 수업이 진행된다.[4] 이 학교는 제16학교와 함께 야쿠츠크에서 어린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두 학교 중 하나이다.[13] 교사들은 학교의 상대적으로 부족한 연령 기반의 위계질서를 포함한 다른 교육 방식에 다소 문화 충격을 경험한다.[7] 또한 학교는 태권도, 한국 음악, 한국 요리와 같은 다른 한국 문화 측면도 학생들에게 소개한다.[2] 일본어와 중국어도 가르친다.[4] 매년 여름, 학교는 약 10명에서 20명의 학생들을 대한민국 서울로 유학 및 홈스테이 프로그램에 파견한다.[6][14] 졸업생들은 야쿠츠크 국립 대학교에서 번역 및 언어 강사, 그리고 더 나아가 대한민국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등 다양한 한국 관련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12]
5. 1. 한국어 교육
사하·한국학교는 한국어를 제2 언어로 가르치며, 한국인 교사가 가르친다.[4] 한국어 수업은 5학년부터 시작하며, 주당 3시간 수업이 진행된다.[4] 이 학교는 제16학교와 함께 야쿠츠크에서 어린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두 학교 중 하나이다.[13]5. 2. 한국 문화 교육
사하·한국학교는 태권도, 한국 음악, 한국 요리와 같은 한국 문화 교육도 진행한다.[2] 일본어와 중국어도 가르친다.[4]5. 3. 기타 외국어 교육
사하·한국학교는 한국어 외에 일본어와 중국어도 가르친다.[4]5. 4. 유학 및 홈스테이 프로그램
매년 여름, 학교는 약 10명에서 20명의 학생들을 대한민국 서울로 유학 및 홈스테이 프로그램에 파견한다.[6][14]6. 졸업생 진로
참조
[1]
간행물
해외한국학교 누가 키웁니까/Who will cultivate Korean schools overseas?
http://article.joins[...]
2009-08-03
[2]
간행물
12년간 사하공화국 전도사 역할 한국외대 강덕수 교수: "한국-사하共 이젠 일촌지간이죠"/Gang Deok-su, Hankuk Foreign Studies University professor and missionary in the Sakha Republic for 12 years
http://weekly.donga.[...]
2009-08-03
[3]
웹사이트
Staff
http://caxakopea.nar[...]
Sakha-Korean School
2009-08-04
[4]
뉴스
시베리아의 한국학교를 아십니까/Do you know about the Korean schools in Siberia?
http://www.yonhapnew[...]
2009-08-03
[5]
웹사이트
Contact
http://caxakopea.nar[...]
Sakha-Korean School
2009-08-04
[6]
뉴스
사하한국학교 연수단 에버랜드 방문/Sakha-Korean School study group visits Everland
http://press.cbs.co.[...]
2009-08-03
[7]
간행물
Женщина номера – Ольга Кимовна Потапова – директор Саха-корейской школы с 2002 года/Olga Kimovna Potapova - Director of the Sakha-Korean School since 2002
http://onaplus.ykt.r[...]
2009-08-03
[8]
뉴스
러 사하공화국에서 한국말 뿌리 확인/In Russia's Sakha Republic, the Korean language takes root
http://news.chosun.c[...]
2010-09-01
[9]
간행물
Ассоциация корейцев города Якутска/The Korean Association of the city of Yakutsk
http://ilin-yakutsk.[...]
2010-02-18
[10]
문서
Институт повышения квалификации работников образования
[11]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школы/School history
http://sakhakorea.ya[...]
Sakha-Korean School
2010-02-18
[12]
뉴스
Саха-Корейская школа отметила 15-летний юбилей/Sakha-Korean School celebrates 15th anniversary
http://www.ysia.ru/f[...]
2010-02-18
[13]
간행물
Я корейский бы выучил... Учить иностранные языки современные дети начинают в детских садах, в начальных классах/I have to learn Korean ... children today beg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in kindergarten and early grades
http://www.gazetayak[...]
2009-08-04
[14]
간행물
러시아 사하공화국 청소년들, 인천 방문/Youths from Russia's Sakha Republic visit Incheon
http://www.kfm.co.kr[...]
2010-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