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노력자공산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방노력자공산대학(KUTV)은 1921년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에 의해 모스크바에 설립된 공산주의 간부 양성 전문 학교이다. 아랍, 아프리카, 동아시아, 남아시아 출신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르크스 이론, 프롤레타리아 혁명, 사회주의 건설 등을 교육했다. 호찌민, 덩샤오핑, 장징궈 등 아시아 각국 공산주의 지도자들을 배출했으며, 1930년대 후반 대숙청으로 폐쇄되었다. 한국인 졸업생으로는 조봉암, 주세죽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감시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노력자공산대학 - 김단야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인 김단야는 3·1 운동 참여, 서울청년회, 고려공산청년회 등에서 활동하며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을 주도했으나, 소련에서 총살된 후 복권되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아시아의 사회주의 - 극동인민대표회의
극동인민대표회의는 코민테른이 러시아 혁명 후 극동 지역의 민족 문제와 공산주의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1922년 모스크바에서 개최한 국제 회의로, 워싱턴 회의 비판, 한국 독립 지지, 일본 공산당 창립 영향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공산주의 이념 확산 및 소련 영향력 확대 도구로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 러시아의 학교 - 국제레닌학교
국제레닌학교는 코민테른의 볼셰비키화 결의로 설립된 국제 공산주의 운동 지도자 양성 기관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소련 공산당의 경험을 교육하여 각국 공산당 간부 및 활동가를 배출했으며, 요시프 브로즈 티토, 호찌민 등 여러 공산 정권 수장을 배출하고 폐교와 재건을 거쳐 현재는 재정대학교로 사용되고 있다. - 러시아의 학교 - 사하·한국학교
사하·한국학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교육 기관으로, 유치부부터 고등부까지의 교육 과정을 통해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 문화 이해를 돕고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학교 발전에 기여한다.
동방노력자공산대학 |
---|
2. 역사
1921년 4월 21일 코민테른에 의해 설립된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1926년 설립된 국제레닌학교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했지만, 식민지 피지배국 운동가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기관이라는 차별성을 지녔다. 공산주의 이론과 함께 당 조직 건설과 선전, 노조 건설 등 실제적인 내용도 가르쳤다.[1]
중국의 덩샤오핑과 류샤오치, 베트남의 호찌민이 이 학교 출신이다. 조봉암, 주세죽, 김만겸, 허정숙, 김용범, 조일명, 한빈, 고광수, 정달헌, 오성륜, 방호산 등 한국의 많은 공산주의 운동가들도 이 학교에서 유학했다.
1928년, 일본 외무성은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약 1,000명의 외국인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으며, 그 중 400명의 중국인 학생들이 가장 큰 그룹을 이루고, 소련 내 350명의 소수 민족 학생들이 그 다음, 일본인 학생은 30명에서 40명 정도라고 추정했다. 소련은 일본 정부의 동의 없이 일본 노동자들을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유치했다. 일본 학생들은 다카하시 사다키와 야마모토 게이조, 그리고 여러 러시아 강사들에게서 경제학, 세계 혁명의 역사, 레닌주의, 철학, 노동 조합 이론, 그리고 일본학을 공부했다. 일본 공산당의 당원인 도쿠다 큐이치는 상하이와 블라디보스토크를 통해 일본 노동자들을 동방노력자공산대학으로 모집하고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1930년대 후반 폐쇄되었고, 이 학교의 기능은 다른 여러 학교에 분산되었다.[5]
2. 1. 설립 배경 및 목적
1921년 4월 21일, 코민테른은 제3세계, 특히 식민지 및 반식민지 국가에서의 공산주의 운동 확산을 위해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설립했다.[1] 이 학교는 국제레닌학교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지만, 식민지 피지배국 출신 운동가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기관이라는 차별성을 가졌다.[1] 초기 교장은 그리고리 브로이도였으며, 이후에는 타지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가 이 직책을 맡았다.[1][2]이 학교의 교육 과정은 공산주의 이론뿐만 아니라 당 조직 건설과 선전, 노동조합 건설 등 실제적인 내용도 포함했다.
2. 2. 교육 과정 및 내용
교육 과정은 마르크스주의 이론, 당 조직 및 선전, 법률 및 행정,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이론 및 전술, 사회주의 건설 문제, 노동 조합 조직 등 이론과 실천을 모두 포함했다.[1]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레오니트 크라신, 미하일 포크롭스키, 할리드 바크다시, 이고르 라이스너, 보리스 슈미야츠키 등이 이 학교에서 강의했다.2. 3. 분교 및 기관지
1922년 여름부터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바쿠(아제르바이잔), 이르쿠츠크(시베리아, 러시아),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에 지역 분교를 두었다.[1] 기관지로는 ''혁명적 동방''(Революционный Восток, ''Revoliutsionnyi Vostok'')을 발행했다.[1]2. 4. 학교의 폐쇄
1930년대 후반, 이오시프 스탈린의 대숙청 시기에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폐쇄되었다. 대숙청으로 인해 교수진과 모스크바 기반 졸업생 상당수가 체포, 처형되면서 학교는 큰 타격을 입었다.[5] 학교의 기능은 소련 각 공화국 내의 여러 기관으로 분산, 이관되었다.3. 주요 졸업생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아시아 각국의 저명한 공산주의 지도자들을 배출했다. 주요 졸업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활동 |
---|---|
케르테크 안치마아-토카 | 탄누-투바 소(小) 후랄 의장[6] |
할리드 바크다쉬 | 1936년부터 1995년까지 시리아 공산당 서기[6] |
크리산토 에반젤리스타 | 필리핀 공산당-1930 창립자, 1928년 졸업[6] |
미르사이드 술탄-갈리예프 | 무슬림 민족 공산주의 설계자[6] |
해리 헤이우드 | 미국 공산당 주요 아프리카계 미국인 멤버[6] |
제인 골든 | KUTVA 재학 중 사망한 흑인 미국인 학생 [6] |
나짐 히크메트 | 터키 시인[6] |
하산 이스라일로프 | 체첸인 반란 지도자[6] |
센 카타야마 | 일본 공산당 및 미국 공산당원[6] |
조모 케냐타 | 케냐 공화국 건국의 아버지이자 초대 국가 원수[6] |
레 홍 퐁 | 베트남 공산당 제2대 서기장[6] |
마고메트 마마카예프 | 체첸 작가[6] |
마나벤드라 나트 로이 | 멕시코 공산당과 인도 공산당 창당 지원[6] |
무함마드 나자티 시드키 | 작가, 팔레스타인 독립 운동 활동가, 1925년부터 1928년까지[6] |
살차크 토카 | 투바 정부 관료[6] |
스부라웰라니 슈왈라 | 남아프리카 공산주의 청년 연맹 지도자 겸 혁명 작가[6] |
왕판시 | 저명한 중국 트로츠키주의자[6] |
니콜라오스 자차리아디스 | 그리스 공산당 서기장 겸 그리스 공산주의 임시 민주 정부 의장, 1947년부터 1949년까지[6] |
이 외에도 중국의 덩샤오핑, 류샤오치, 베트남의 호찌민 등이 이 학교를 졸업했으며, 조봉암 등 많은 한국의 공산주의 운동가들도 이 학교에서 유학했다.[1]
3. 1. 아시아 주요 졸업생
- 邓小平|덩샤오핑중국어: 중국의 최고 지도자였다.[6]
- 刘少奇|류사오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했다.[6]
- 蔣經國|장징궈중국어: 중화민국(대만)의 총통이었다.[6]
- Hồ Chí Minh|호찌민vi: 베트남 국가 주석을 역임했다.[6]
- Hà Huy Tập|하 휘 탭vi: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역임했다.[6]
- Trần Phú|쩐 푸vi: 베트남 공산당 초대 서기장을 역임했다.[6]
- 贺子珍|허쯔전중국어: 마오쩌둥의 전 부인이었다.
- Tan Malaka|탄 말라카id: 인도네시아의 혁명가였다.
- ئەخمەتجان قاسىمى|아흐메트잔 카시미ug: 위구르족 혁명가이자,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의 정치가였다.
- جعفر پیشهوری|자파르 피셰바리fa: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의 창립자였다.
- يوسف سلمان يوسف|유수프 살만 유수프ar: 이라크 공산당 서기였다.
3. 2. 한국인 졸업생
조봉암, 주세죽, 김만겸, 허정숙, 김용범, 조일명, 한빈, 고광수, 정달헌, 오성륜, 방호산 등 많은 한국의 공산주의 운동가들이 이 학교에서 유학했다.[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와 일본 특고경찰은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출신 조선인들을 요주의 대상으로 감시하고 탄압했다.[4]1930년 조선공산당 재조직 사건 관련 취조 과정에서 권오직, 박장송, 고사찰, 이용조, 김응기, 주청송, 안병진, 조금룡 등이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졸업생으로 확인되었다.[5]
3. 3. 기타 졸업생
- 케르테크 안치마아-토카, 탄누-투바의 소(小) 후랄 의장[6]
- 할리드 바크다쉬, 1936년부터 1995년까지 시리아 공산당 서기[6]
- 장징궈, 중화민국(대만)의 총통, 1925년 졸업[6]
- 덩샤오핑,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 1925년 졸업[6]
- 에반젤리스타, 크리산토, 필리핀 공산당-1930 창립자, 1928년 졸업[6]
- 미르사이드 술탄-갈리예프, 무슬림 민족 공산주의의 설계자[6]
- 하 휘 탭, 베트남 공산당 제3대 서기장[6]
- 해리 헤이우드, 미국 공산당의 주요 아프리카계 미국인 멤버[6]
- 제인 골든, KUTVA 재학 중 사망한 흑인 미국인 학생 [6]
- 나짐 히크메트, 터키 시인[6]
- 호치민, 베트남 대통령, 1923년 졸업[6]
- 하산 이스라일로프, 체첸인 반란 지도자[6]
- 일본 및 미국 공산당의 센 카타야마[6]
- 조모 케냐타, 케냐 공화국의 건국의 아버지이자 초대 국가 원수[6]
- 레 홍 퐁, 베트남 공산당 제2대 서기장[6]
- 류사오치,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1921년 졸업[6]
- 마고메트 마마카예프, 체첸 작가[6]
- 탄 말라카, 인도네시아 공산당[6]
- 마나벤드라 나트 로이, 멕시코 공산당과 인도 공산당 창당을 지원[6]
- 무함마드 나자티 시드키, 작가, 팔레스타인 독립 운동 활동가, 1925년부터 1928년까지[6]
- 자파르 피셰바리, 공산주의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의 창립자이자 의장[6]
- 살차크 토카, 투바 정부 관료[6]
- 스부라웰라니 슈왈라, 남아프리카 공산주의 청년 연맹 지도자 겸 혁명 작가[6]
- 쩐 푸, 베트남 공산당 초대 서기장[6]
- 왕판시, 저명한 중국 트로츠키주의자[6]
- 유수프 살만 유수프, 1941년부터 1949년까지 이라크 공산당 서기[6]
- 니콜라오스 자차리아디스, 그리스 공산당 서기장 겸 그리스 공산주의 임시 민주 정부 의장, 1947년부터 1949년까지[6]
4. 일본과의 관계
개교 당시부터 일본 좌익 운동 관계자들이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유학했다. 일본 공산당은 당원을 파견하거나 해외에서 입국하는 자들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학생 유치에 관여했다.[9] 카자마 죠키치, 야마모토 마사미, 노사카 류(노사카 산조의 아내), 카스가 쇼지로, 하카마다 사토미, 쿠니자키 테이도 등이 주요 일본인 졸업생이다. 특고경찰이 일본 공산당에 보낸 "스파이 M"이었던 이이즈카 미츠노부(마츠무라 노보루)도 졸업생이었다.[9] 초기 유학 후 일본으로 귀국한 졸업생들은 일본 내 운동 지도를 맡았으며, 당시 일본 공산당에서는 "쿠트베 귀국자"는 그 자체로 존경받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1924년 가을, 쿠튜모프가 주임이 되어 일본부가 설립되었다.[10]
그러나 1930년대 대숙청 시기에 소련에 체류하던 일본인 졸업생 대부분이 체포되었고,[11] 숙청 희생자가 되기도 했다. 일본 내 졸업생들 역시 특고경찰에 검거, 탄압당하거나 전향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후 일본 공산당 요직에 오른 사람은 숙청 이전에 졸업, 귀국하여 비전향을 관철한 하카마다 사토미, 카스가 쇼지로 등 소수였다.
5. 한국에서의 연구 및 자료
한국외국어대학교 디지털인문한국학연구소는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을 통해 동방노력자공산대학 관련 자료를 번역, 출간하여 한국인 졸업생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 이 자료집은 1921년부터 1938년까지 존속했던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의 한인들과 관련된 문서 번역집과 문서 모음집으로, 2020년에 출간되었다.[2][3]
고려대학교 도서관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에는 193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이 송부한 동방노력자 공산대학 졸업생의 취조 상황에 관한 건(東方勞力者共産大學卒業生ノ取調狀況ニ關スル件)이 소장되어 있다.[4] 이 문건에는 1930년 3월 화요회파 조선공산당 재조직사건 검거에 관련된 피의자 중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졸업한 권오직(경북 안동), 박장송(함북 온성), 고사찰(충남 논산), 이영조(경북 안동), 김응기(경북 예천), 주청송(함북 경성), 안병진(평북 의주), 조금룡(충북 충주) 등 8명의 취조 상황에 관한 보고가 수록되어 있다.
국회도서관에도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졸업생의 취조 상황에 관한 건이 소장되어 있으며,[5]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에는 1932년 2월 7일자 코민테른의 밀명을 띤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졸업생 검거에 관한 자료가 있다.[6]
이러한 자료들은 일제강점기 한국인 공산주의 운동가들의 활동과 동방노력자공산대학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Voices from the Soviet Edge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
서적
Éducation et socialisme: Le compte rendu de la scission de l'Association pour l'enseignement, Athènes 1927
https://www.research[...]
Épicentre
[3]
서적
Imperial Eclipse: Japan's Strategic Thinking about Continental Asia before August 1945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4]
학술지
"Sons of Muslims" in Moscow: Soviet Central Asian Mediators to the Foreign East, 1955–1962
2011-01-01
[5]
웹사이트
The Communist University for Toilers of the East (KUTV)
https://globalsouths[...]
U. Virginia
2023-03-12
[6]
서적
A Black Communist in the Freedom Struggle: The Life of Harry Haywood
https://books.google[...]
[7]
서적
コミンテルンは挑戦する
[8]
학술지
Новый документ по истории советского Туркестана начала 20-х годов
https://n.ziyouz.com[...]
Издательство «ФАН» академии наук Узбекской ССР
[9]
웹사이트
野坂竜の逮捕をめぐって
https://web.archive.[...]
[10]
서적
コミンテルンは挑戦する
[11]
문서
日本人同士の密告も起き、山本懸蔵(非卒業生)や野坂参三が同志を「スパイ」としてNKVDに密告したことがソ連崩壊後判明している。詳細は両名の項目を参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