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고등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이다. 1947년 고등연구실습원(EPHE)의 제6부문으로 시작하여, 1975년 독립하여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앙날학파의 역사 연구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피에르 부르디외, 토마 피케티 등 저명한 학자들이 교수로 재직했다. 또한, 옥스퍼드, 캠브리지 등 세계 유수 대학들과 교류하며, 파리 연구대학교(PSL)의 구성 대학으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과학 연구소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성법에 따라 설립되어 한국학 연구 및 교육, 한국학대학원 운영, 장서각 운영, 한국학 관련 지식 콘텐츠 편찬 사업 등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연구 기관이다. - 사회과학 연구소 -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일본의 인구 문제와 사회 보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인구 추계, 사회 보장 비용 통계 작성, 기본 조사 등을 실시하며 국내외 연구를 수행한다. - 파리 6구 - 아카데미 프랑세즈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프랑스어의 순수성 유지와 표준화를 목표로 루이 13세의 칙령에 의해 설립된 40명의 종신회원으로 구성된 학술 단체이며, 프랑스 학사원의 한 부서로서 프랑스어 사전 편찬, 문법 규정, 문학 진흥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 파리 6구 -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는 1747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그랑제콜로, 토목 및 건축 분야 기술 관료 양성을 목표로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제 협력을 통해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 파리의 대학교 - 소르본 대학교
소르본 대학교는 12세기 파리 대학교에서 기원하여 콜레주 드 라 소르본을 거쳐 1968년 분할 후 2018년 재건립된 프랑스 공립 종합대학교로서, 인문사회과학, 예술, 과학, 의학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며 국제 파트너십을 맺고 높은 세계 대학 순위와 수상자 배출로 명성이 높다. - 파리의 대학교 - 에콜 데 보자르
에콜 데 보자르는 1648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국립 고등미술학교로, 회화, 조각, 건축 등 예술 분야 교육을 제공하며 고전 예술 기반의 엄격한 교육과정과 아틀리에 제도로 유명하고, 20세기 초 보자르 건축 운동의 중심지였으나 1968년 이후 여러 분교로 개편되었으며, 현재 파리의 프랑스 국립 고등미술학교가 그 계보를 잇고 있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사회과학고등연구원 |
현지 명칭 |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
기타 명칭 | EHESS |
설립일 | 1975년 1월 23일 |
유형 | 그랑제콜, 공공 과학 문화 직업 기관 (EPCSCP) |
예산 | 6천만 유로 |
총장 | 로맹 위레 (Romain Huret) |
학생 수 | 3,000명 |
교수진 | 830명 |
행정 직원 | 450명 |
위치 | 파리, 마르세유, 툴루즈, 리옹 |
국가 | 프랑스 |
캠퍼스 | 도심 |
이전 명칭 | 고등연구실습원 제6분과 (1947년–1975년), 고등자유연구원 (1941년–1946년) |
웹사이트 | EHESS.fr |
역사 | |
이전 명칭 | 고등연구실습원 제6부문 (1947년 - 1975년) |
이전 명칭 | 고등자유연구원 (École libre des hautes études, 1941년 - 1946년, 뉴욕) |
소속 | |
모기관 | 파리 문리대학교(PSL) |
파트너 | |
참고 자료 |
2. 역사
프랑스 고등연구원(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 EPHE) 제6부(경제 및 사회 과학)는 1975년 1월 23일 독립하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이 되었다. 이는 앙날학파의 역사학 연구와 록펠러 재단(Rockefeller Foundation)의 학술 지원 사업에 의해 촉진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록펠러 재단은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사회학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프랑스 기관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자했다.
1947년 설립된 제6부의 초대 부서장은 뤼시앵 푸브르(Lucien Febvre)였다.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 자크 르고프(Jacques Le Goff), 프랑수아 푸레(François Furet) 등의 학자들이 이곳에서 활동했다. 1956년 F. 브로델이 L. 푸브르의 뒤를 이었고, 포드 재단(Ford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라스팔 거리(boulevard Raspail)(
2014년 12월, 파리 일불 고등연구센터가 설립되었다.
2. 1. 고등연구실습원(EPHE) 제6부
1947년, 뤼시앵 페브르, 페르낭 브로델, 샤를 모라제가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프랑스 고등연구원(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 EPHE)에 제6부(경제 및 사회 과학)를 설립하였다. 앙날학파의 역사 연구와 록펠러 재단의 학술 지원 사업이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7]뤼시앵 페브르가 초대 부서장이었다. 1956년, 페르낭 브로델이 뤼시앵 페브르의 뒤를 이어 부서장이 되었다. 페르낭 브로델은 포드 재단의 지원을 받아 카르티에 라탱에 흩어져 있던 연구 그룹을 현재 본부가 위치한 라스파유 대로(끌로드 카앙 마르셀 무어 길)로 통합하였다.[7]
2. 2. 독립 기관
1975년 1월 23일,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은 고등연구실습원에서 독립하여 고등교육 연구기관으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었고, 독자적으로 면허를 발급할 수 있게 되었다.[8] 1972년에는 자크 르 고프가 부문장이 되었다. 1977년 프랑수아 퓌레가 원장이 되었다. 독립 이후, EHESS는 프랑스의 주요 사회과학 연구 및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2. 3. PSL 연구대학교
2014년 EHESS는 연방 PSL 연구대학교(PSL Research University)의 구성 대학이 되었다. PSL 연구대학교에는 프랑스 콜레주, 고등사범학교, 고등실용연구원 등 프랑스의 명문 고등교육기관들이 포함되어 있다.3. 연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은 역사학, 사회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앙날학파의 영향을 받은 역사 연구, 피에르 부르디외 등으로 대표되는 사회학 연구, 토마 피케티를 배출한 경제학 연구가 주요 분야이다. 특히 경제학에서는 계량 경제학에 중점을 두고 파리 경제대학교, 툴루즈 경제대학교 설립에 기여했다.
3. 1. 역사학
앙날학파의 영향을 받은 역사 연구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페르낭 브로델, 자크 르고프, 에마뉘엘 르 로이 라뒤리, 프랑수아 아르토 등 저명한 역사학자들이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사회학과 민족지학 분야의 새로운 기여를 역사 분석에 통합하여 "거의 감지할 수 없는 역사의 흐름"이라는 개념을 옹호했다.[9]1960년대부터 브로델, 르 로이 라뒤리와 그들의 영향을 받은 역사가들의 연구는 프랑스의 역사 연구와 공식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에는 자크 르고프와 피에르 노라의 영향 아래 새로운 역사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10]
2019년에는 폴란드 학파 홀로코스트 연구 컨퍼런스를 개최했으나, 폴란드 민족주의자들의 방해를 받았다.[11][12][13]
3. 2. 사회학
피에르 부르디외, 뤼크 볼탕스키, 알랭 투랭, 장클로드 파세롱 등 프랑스 사회학을 대표하는 학자들이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대안 제시를 통해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했다.[1]3. 3. 경제학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은 유럽, 특히 프랑스 경제 논쟁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해 왔다. 프랑스에서는 파리의 연구자들과 국가 경제 기관들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이러한 논쟁이 가능했으며, 경제학 교수 출신의 EHESS 자문위원들은 대중 매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는데, 장 푸라스티에(Jean Fourastié)가 대표적인 예이다.[1]다양한 관점을 중시하여 자유주의 경제학자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이 EHESS에서 논쟁을 벌일 수 있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이후로 EHESS는 루이-앙드레 제라르-바레(Louis-André Gérard-Varet), 장-자크 라퐁(Jean-Jacques Laffont), 프랑수아 부르기뇽(François Bourguignon), 로제 게스네리(Roger Guesnerie) 등 저명한 교수들이 강의를 맡으면서 계량 경제학에 중점을 두었다.[1] 그들은 파리 경제대학교(Paris School of Economics)뿐만 아니라 툴루즈 경제대학교(Toulouse School of Economics)와 그레캄(Grequam, Aix-Marseille)의 설립에도 기여했다.[1]
토마 피케티 (Thomas Piketty) 등 세계적인 경제학자들이 이곳 출신이거나 교수로 재직했다.
4. 국내외 네트워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은 프랑스 국내외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과 활발한 교류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프랑스 내에서는 파리 경제대학교, 툴루즈 경제대학교, 엑스마르세유 경제대학교 등과 협력하며, 파리 연구대학교의 준회원이다.
국제적으로는 옥스퍼드 대학교, 캠브리지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 영미권 유수 대학을 비롯하여, 독일, 일본, 중국, 이탈리아 등 다양한 국가의 대학들과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아시아 및 중동 지역 대학들과의 교류를 통해 아시아 연구 및 이슬람 연구를 진흥하고 있다.
4. 1. 프랑스 국내 협력
파리 경제대학교(Paris School of Economics), 툴루즈 경제대학교(Toulouse School of Economics), 엑스마르세유 경제대학교(Aix-Marseille School of Economics) 등 프랑스 주요 경제 연구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파리 연구대학교(Paris Research University, PSL)의 준회원이기도 하다.4. 2. 국제 교류
옥스퍼드와 캠브리지, 미국의 컬럼비아, 예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독일의 하이델베르크, 일본의 도쿄와 교토, 중국의 베이징 대학교, 이탈리아 피렌체의 유럽대학원 등과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 및 중동 지역 대학들과도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아시아 연구 및 이슬람 연구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5. 주요 교수진 및 동문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사회과학 연구 및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해왔다.
'''주요 교수진'''(고등연구실습원 제6부문 시대 포함):
- 롤랑 바르트
- 피에르 부르디외
- 자크 데리다
- 밀란 쿤데라
- 로베르 브와예
-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
- 에바 일루즈
- 토마 피케티
- 마르크 오제
- 프랑수아즈 에리티에
- 로즈 마리 라그라브
- 디디에 파상
- 프레데릭 로르동
- 쥘리에트 렌느
5. 1. 저명한 교수진
Roland Barthes|롤랑 바르트프랑스어, Pierre Bourdieu|피에르 부르디외프랑스어, Jacques Derrida|자크 데리다프랑스어, Milan Kundera|밀란 쿤데라프랑스어, Thomas Piketty|토마 피케티프랑스어, Fernand Braudel|페르낭 브로델프랑스어, Lucien Febvre|뤼시앵 페브르프랑스어, Jacques Le Goff|자크 르 고프프랑스어, Claude Lévi-Strauss|클로드 레비스트로스프랑스어, Jean Tirole|장 티롤프랑스어, Emmanuel Le Roy Ladurie|에마뉘엘 르 로이 라뒤리프랑스어, Alain Touraine|알랭 투렌프랑스어, Edgar Morin|에드가 모랭프랑스어 외 다수의 저명한 교수진이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재직했거나 재직 중이다.5. 2. 주요 동문
- 마르완 비샤라(Marwan Bishara)
- 마놀라 안토니올리(Manola Antonioli)
- 로베르토 베네두체(Roberto Beneduce)
- 니콜 브레네즈(Nicole Brenez)
- 프랑수아즈 브리앙(Françoise Briand)
- 마누엘 카르발헤이루(Manuel Carvalheiro)
- 안토니오 카실리(Antonio Casilli)
- 아라추 카스트로(Arachu Castro)
- 오펠리 코엘류(Ophelie Coelho)
- 이브 센시(Yves Censi)
- 필립 코르퀠프(Philippe Corcuff)
- 쥘리앵 쿠파(Julien Coupat)
- 루이 쇼벨(Louis Chauvel)
- 루이 뒤몽(Louis Dumont)
- 파스칼 셰뉴(Pascal Chaigneau)
- 자크 다시에(Jacques Dassié)
- 로베르 델로르(Robert Delort)
- 보지다르 젤리치(Božidar Đelić)
- 아이사 데르무슈(Aïssa Dermouche)
- 마마두 디아와라(Mamadou Diawara (ethnologist))
- 알베르 도자(Albert Doja)
- 에스터 뒤플로(Esther Duflo)
- 세르주 뒤풀롱(Serge Dufoulon)
- 모이세스 에스피리투 산투(Moisés Espírito Santo)
- 사피 파이(Safi Faye)
- 캐롤린 푸레스트(Caroline Fourest)
- 다리오 감보니(Dario Gamboni)
- 수전 조지(Susan George (political scientist))
- 멜라니 구라리에(Mélanie Gourarier)
- 나탈리 아이니히(Nathalie Heinich)
- 베아트리스 이부(Béatrice Hibou)
- 장 이폴리트(Jean Hyppolite)
- 브뤼노 자프레(Bruno Jaffré)
- 크리스티앙 제프레이(Christian Geffray)
- 미셸 로베르(Michel Lauwers)
- 마르크 라자르(Marc Lazar)
- 호세 마누엘 로페스 로페스(José Manuel López López)
- 프레드릭 로르동(Frédéric Lordon)
- 에두아르 루이(Édouard Louis)
- 카테리나 마니(Caterina Magni)
- 사브리나 말렉(Sabrina Malek)
- 알랭 마를레익스(Alain Marleix)
- 프레드릭 마르텔(Frédéric Martel)
- 월터 미뇰로(Walter Mignolo)
- 로르 무라(Laure Murat)
- 세바스티앙 나도(Sébastien Nadot)
- 과달루페 네텔(Guadalupe Nettel)
- 크리스틴 니더베르거 베통(Christine Niederberger Betton)
- 로랑 누네즈(Laurent Nunez)
- 헥터 오발크(Hector Obalk)
- 토마스 파벨(Thomas Pavel)
-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
- 기 포이트뱅(Guy Poitevin)
- 이냐시오 라모넷(Ignacio Ramonet)
- 조셉 가이 라마카(Joseph Gaï Ramaka)
- 베르나르 살라니에(Bernard Salanié)
- 셰이크 우마르 시소코(Cheick Oumar Sissoko)
- 베르나르 스티글레르(Bernard Stiegler)
- 장-루이 스위너스(Jean-Louis Swiners)
- 데이비드 테스마르(David Thesmar)
- 알랭 투랭(Alain Touraine)
- 니콜라스 트리퐁(Nicolas Trifon)
- 로랑 투르코(Laurent Turcot)
- 프레드릭 반덴베르헤(Frédéric Vandenberghe)
- 올리비에 베베르(Olivier Weber)
- 요안나 안드레에스코(Ioanna Andreesco)





- 토마 피케티 (Thomas Piketty) - 경제학자
- 프레데리크 마르텔 (Frédéric Martel) - 작가
- 베르나르 스티글레르 (Bernard Stiegler) - 철학자
- 도미니크 페로 (Dominique Perrault) - 건축가
- 아오야기 에츠코 (青柳悦子) - 불어불문학자
- 쿠니부 쿤이치로 (國分功一郎) - 철학자
- 사에자키 아키요시 (先崎彰容) - 윤리학자
- 코사카이 토시아키 (小坂井敏晶) - 사회심리학자
- 모리타 타카히로 (守田貴弘) - 언어학자
- 모리 치카코 (森千香子) - 사회학자
참조
[1]
웹사이트
EHESS : l'École
http://www.ehess.fr/[...]
2008-06-19
[2]
웹사이트
Décret n° 2005-1444 du 24 novembre 2005 relatif à l'E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
https://www.legifran[...]
2005-11-24
[3]
웹사이트
Décret n° 2019-1130 du 5 novembre 2019 portant création de l'Université Paris sciences et lettres (Université PSL) et approbation de ses statuts
https://www.legifran[...]
2019-11-05
[4]
웹사이트
Partenaires
https://www.ehess.fr[...]
2015-12-07
[5]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ehess.fr[...]
2016-03-02
[6]
웹사이트
Thomas Piketty
https://www.ehess.fr[...]
2017-02-21
[7]
웹사이트
L'histoire de l'École
https://www.ehess.fr[...]
2018-12-19
[8]
웹사이트
Les unités et centres de recherche
https://www.ehess.fr[...]
2015-11-25
[9]
서적
Breaking Up Time: Negotiating the Borders Between Present, Past and Future
Vandenhoeck & Ruprecht
2013
[10]
서적
Historical Memory in Africa: Dealing with the Past, Reaching for the Future in an Intercultural Context
Berghahn Books
2010
[11]
간행물
Chahut lors d’un colloque sur la Shoah en Pologne
http://journals.open[...]
Tsafon
2019-09-09
[12]
웹사이트
Conflits contemporains dans la culture polonaise, un diagnostic : entretien avec Agnieszka Żuk, 3ᵉ partie
https://theconversat[...]
[13]
웹사이트
Comprendre la relation des Polonais à la Shoah
https://www.nonficti[...]
2019-11-25
[14]
뉴스
Un colloque sur l’histoire de la Shoah perturbé par des nationalistes polonais
https://www.lemonde.[...]
Le Monde
[15]
뉴스
La Pologne minimise les incidents lors d’un colloque sur la Shoah à Paris
https://www.lemonde.[...]
Le Monde
[16]
웹사이트
Entre histoire et propagande. Les contributions de l’Institut polonais de la mémoire nationale à la mise en récit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https://halshs.archi[...]
Allemagne d'aujourd'hui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ehess.fr/[...]
2008-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