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관, 태도 등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사회 구조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거시적 관점과 개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사회화가 이루어진다는 미시적 관점이 존재한다. 사회화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되며, 예기 사회화, 재사회화, 탈사회화, 차별 사회화 등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또한, 성 역할 사회화, 인종 사회화, 언어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과 관련된 개념들이 존재하며, 사회화의 기관으로는 제도가 있다. 과잉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사회화의 불평등 등과 같은 문제점과 과제가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탈 - 모럴 패닉
    모럴 패닉은 특정 대상이나 집단에 대한 대중의 과도한 공포와 불안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으로, 사회적 불안 증폭, 차별과 혐오 야기, 법적 규제 강화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 일탈 - 조직 내 공격적 행동
    조직 내 공격적 행동은 구성원 간 발생하는 의도적인 적대 행위로, 피해자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개인과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예방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동조 - 풍자
    풍자는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표현 방식으로, 유머와 달리 웃음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 비판적인 목적을 가지고, 정치, 종교,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학, 예술,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동조 - 스탠퍼드 감옥 실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1971년 필립 짐바르도가 수행한 심리학 실험으로, 평범한 사람들이 역할과 상황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가상의 감옥 환경을 조성하여 교도관과 수감자 역할을 부여했으며, 상황적 요인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력 및 복종의 심리학을 보여주었지만 윤리적 문제로 비판받았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민족
    민족은 언어, 종교, 문화, 역사적 경험 등 특정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사회 집단으로, 본질주의적,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고, 민족주의, 민족자결 등 다양한 사회 현상과 관련되며, 모어, 생활 양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공동체주의
    공동체주의는 개인보다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정치 철학으로, 자유주의에 반대하며 사회 자본과 시민 사회 제도를 강화하려 한다.
사회화
사회화
개요
정의규범, 관습, 이념을 습득하고 전파하는 평생 과정
주요 목적사회 구성원이 사회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과정
사회화 주체가족, 학교, 또래 집단, 미디어
유형1차 사회화: 초기 단계, 주로 가족을 통해 이루어짐
2차 사회화: 이후 단계, 학교, 직장 등 사회적 기관을 통해 이루어짐
재사회화: 기존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과정
발달 사회화: 한 사회에서 다른 사회로 이동하면서 배우는 과정
이론적 관점
기능주의사회 질서와 안정 유지에 기여하는 과정
갈등주의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과정
상징적 상호작용주의개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
주요 개념
자아 개념사회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개인의 정체성
역할 학습사회적 지위에 따른 역할 수행 능력 습득
문화 전승사회의 문화적 유산을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과정
사회화의 영향
긍정적 영향사회 적응력 향상,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부정적 영향사회적 불평등 재생산, 문화적 획일화

2. 사회화의 개념 및 관점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관, 태도 등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사회화는 사회 구조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거시적 관점과 개인 혹은 집단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미시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는 기능론과 갈등론이 있으며, 미시적 관점에는 상징적 상호 작용론이 있다. 기능론은 사회화를 사회 유지에 필요한 과정으로 보며, 갈등론은 사회화를 통해 불평등이 유지된다고 본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개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화가 이루어진다고 본다.

사회화 개념은 사회학과 함께 발생했는데, 사회 집단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연합하는 개인 내에서의 사회적 정신 상태의 발전을 포함한다. 이 용어는 1940년대 이후 탈콧 파슨스의 이론 등에 등장하며 널리 쓰이게 되었다.[20]

사회화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사회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이론이 제시되어 왔다. 사회화는 가치의 내면화이며, 자신이 존경하는 누군가를 모방하는 과정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어떤 어린이가 "여자가 어린이회 회장이 되는 건 이상하다"고 말했다면, 그는 남성 우위를 사회화하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젠더 평등을 이유로 일부러 여자를 어린이회 회장으로 하는 건 이상하다"는 말에 "젠더 평등은 옳다"며 막는 사람은 젠더 평등에 사회화된 것이다.
  • 어떤 어린이가 "남자아이가 반바지를 입는다니 이상해. 반바지는 여자아이가 입는 것이다"라고 말했다면, 그는 반바지의 보급에 사회화된 것이다.


에밀 뒤르켐은 저서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에서 사회화의 규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행위사고의 유형은 개인에게 외재하며, 명령과 강제의 힘을 가진다.
  • 자신의 의지로 동조할 때는 강제를 느끼지 않지만, 저항하려는 순간 강제는 사실로서 나타난다.
  • 예를 들어 복장의 관습을 무시하면 사람들의 조롱과 반감을 사며, 형벌에 가까운 효과를 낳는다.
  • 산업 경영자가 지난 세기적인 공정과 방법으로 노동을 시키는 것은 금지되지 않지만, 그렇게 하면 파산을 초래할 수 있다.
  • 무사히 돌파하더라도 투쟁은 피할 수 없으며, 최종적으로 승리하더라도 반대와 저항에 의해 구속력을 느낄 수 있다.

2. 1. 기능론적 관점

기능론적 관점에서는 사회화를 사회 구조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과정으로 파악한다. 사회화의 내용이나 방법 등은 개인과 사회의 필요에 의해 합의된 것이며, 사회화를 통해 사회는 존속, 유지되고 동시에 개인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으로 욕구 충족을 하며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53]

2. 2. 갈등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에서는 사회화를 통해 불평등 구조가 유지된다고 본다. 기득권을 가진 집단이 자신들의 지배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들에게 유리한 이데올로기를 교묘하게 학습시킨다는 것이다. 즉, 사회화를 통해 특정 집단에 유리한 가치 체계를 학습시키고, 피지배 집단이 자신들이 지배받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현재의 불평등한 구조를 정당화하려고 한다는 것이다.[53]

2. 3.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상징적 상호 작용론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개인은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서 접하는 타인의 눈을 통해 사회화된 자아를 형성해 가는데, 자신과 접하는 타인들의 반응에 따라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내면화하게 되며, 이 과정이 사회화라는 것이다.[53]

조지 허버트 미드는 사회적 경험이 개인의 자아 개념을 발달시키는 사회적 행동주의 이론을 개발했다. 미드는 자아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경험을 통해 발달한다고 주장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의도를 상상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상상하면서 자신을 보게 된다. 찰스 호튼 쿨리는 이를 타자의식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미드에 따르면 자아 발달의 핵심은 타자의 역할을 배우는 것이며, 일반화된 타자를 통해 문화적 규범과 가치를 평가하게 된다.

3. 사회화의 유형

사회화는 개인의 성장과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예기 사회화: 특정 신분을 얻기 전에 그 신분에 맞는 생각과 행동을 배우는 것이다.[24] 대학교 오리엔테이션(OT)이 대표적인 예시이다.[24]
  • 재사회화: 지위와 생활양식 변화에 따라 새로운 생활양식이나 행동규범을 익히는 과정이다. 탈사회화는 이전 사회의 규범, 행동양식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재사회화와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26] 군대 입대가 대표적인 예시이다.[26]
  • 차별 사회화: 사회 구성원들이 권력 차이(차별)를 인정하도록 사회화되는 것이다.[1] 현모양처와 같은 성 역할, 인종적 편견 등이 이에 해당한다.[1]


사회화 형성 과정은 사회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에밀 뒤르켐, 가브리엘 타르드, 피에르 보르디외, 콜버그, 장 피아제 등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이들은 사회화의 본질이 가치의 내면화이며, 존경하는 대상을 모방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3. 1. 1차 사회화 (Primary socialization)

초기 사회화는 아동이 특정 문화의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태도, 가치관 및 행동을 배우는 과정이다. 아동에게 있어 초기 사회화는 매우 중요한데, 이는 모든 미래의 사회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주로 직계 가족과 친구들의 영향을 받는다.[1] 예를 들어, 어린이의 어머니가 소수 또는 다수 집단에 대해 차별적인 의견을 표현하면, 그 아이는 이러한 행동이 받아들일 만하다고 생각하고 그 소수 또는 다수 집단에 대해 계속해서 그러한 의견을 가질 수 있다.[1]

모방이 사회화의 기초라고 전제한 후, 행동 양식 습득에는 모델과 학습자의 동일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한다.[2] 애착을 동일시의 기초로 한 말하는 새 실험을 실시했다.[2] 이 실험은 기호 학습이라고 불리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말하는 새에게 인간의 언어를 가르칠 때, 훈련자가 굶주림이나 갈증 등으로부터 보호해 준다는 신뢰 관계를 구축한다. 훈련자가 자리를 비우면, 새는 불안해지고, 훈련자에게서 배운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훈련자를 떠올리고 불안을 달랜다는 것이다.[2]

부모에 의한 훈육 또한 초기 사회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부모와의 사이에는 이미 애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달의 기초가 되는 동일시는 쉽게 이루어진다. 아이는 부모 없이는 존재할 수 없으며, 자기중심과 부모의 보호를 양립시키기 위해 부모와 동일시하고 부모의 가치관을 받아들인다. 또한 아이는 존경하는 인격이 가진 행동 방식을 바람직하다고 여긴다.[2]

3. 2. 2차 사회화 (Secondary socialization)

2차 사회화는 더 큰 사회 내의 소규모 집단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지 배우는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사회의 사회화 주체들이 강화하는 행동 패턴을 포함한다. 2차 사회화는 가정 외부에서 일어난다. 아이들과 어른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적절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법을 배우는 곳이다.[23] 학교는 가정과는 매우 다른 행동을 요구하며, 아이들은 새로운 규칙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새로운 교사들은 학생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동해야 하며 주변 사람들로부터 새로운 규칙을 배워야 한다.[23] 2차 사회화는 일반적으로 십 대 및 성인과 관련이 있으며 1차 사회화에서 발생하는 변화보다 작은 변화를 수반한다. 2차 사회화의 예로는 새로운 직업에 진입하거나 새로운 환경이나 사회로 이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3. 3. 예기 사회화 (Anticipatory socialization)

예기 사회화는 특정 신분을 얻기 전에 그 신분에 맞는 생각과 행동을 배우는 것을 말한다.[24]

예를 들어 대학교 오리엔테이션(OT)은 보통 입학 전에 실시되는데, 이는 대학생이 되기 전에 미리 대학 생활을 경험하는 예기 사회화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커플이 결혼 전에 함께 사는 것은 결혼 생활을 미리 경험하는 예기 사회화의 한 형태이다.[24]

Kenneth J. Levine과 Cynthia A. Hoffner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는 직업 및 경력과 관련된 예기 사회화의 주요 원천이다.[25]

3. 4. 재사회화 (Resocialization)

재사회화는 삶의 전환 과정의 일부로 이전의 행동 패턴과 반사 작용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26] 이는 인간의 평생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재사회화는 극심한 경험이 될 수 있으며, 개인은 과거와의 갑작스러운 단절과 함께 근본적으로 다른 규범과 가치관을 배우고 접해야 할 필요성을 경험한다.

한 가지 일반적인 예로는 전체 제도, 즉 "사람들이 사회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고립되고 행정 직원에 의해 조종되는 환경"을 통한 재사회화가 있다.[26] 전체 제도를 통한 재사회화는 두 단계의 과정을 포함한다.

1) 직원들은 새로운 수감자의 개인적 정체성을 근절하려고 노력하고,

2) 직원들은 수감자를 위해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려고 시도한다.[26]

다른 예로는 군에 입대하기 위해 집을 떠나는 젊은이의 경험이나 새로운 신앙의 신념과 의례를 내면화하는 종교 개종자의 경험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트랜스젠더 사람이 극적으로 변화된 성 역할에서 사회적으로 기능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재사회화는 지위와 생활양식의 변화로 다시 새로운 생활양식이나 행동규범을 학습하는 과정을 말하고, 탈사회화는 자신이 전에 몸담고 있던 사회의 규범이나 행동양식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말한다. 이 둘의 특성으로 인해 탈사회화와 재사회화는 거의 동시에 진행된다.

예) 군대의 입대: 군대에 입대하면 그때까지 갖고 있던 말, 행동을 버리고(탈사회화) 군대에서 행하는 언어, 행동을 습득(재사회화)해야 한다.

3. 5. 탈사회화 (Desocialization)

탈사회화는 이전에 자신이 속했던 사회의 규범이나 행동 양식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말한다.[26] 재사회화와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예) 군 입대: 군대에 입대하면 그때까지 가졌던 말, 행동을 버리고(탈사회화) 군대에서 사용하는 언어, 행동을 습득(재사회화)해야 한다.

3. 6. 차별 사회화

사회 자체가 권력적이어서, 구성원들이 권력 차이(차별)를 인정하도록 사회화되는 것을 말한다.[1]

예)[1]

4. 사회화의 단계

사회화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사회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이론이 제시되어 있다. 사회화의 본질은 가치의 내면화이며, 자신이 존경하는 누군가를 모방하고 싶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5. 사회화와 관련된 주요 개념

사회화와 관련된 주요 개념으로는 성 역할 사회화, 인종 사회화, 언어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이 있다.
성 역할 사회화는 주어진 성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행동과 태도를 배우는 것이다. 이는 가족, 친구, 또래 집단, 학교, 직장, 대중 매체 등 다양한 사회화 매개체를 통해 이루어진다.[36] 캐롤 릴리건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도덕 발달을 비교하면서, 남자아이는 정의 관점에, 여자아이는 돌봄과 책임 관점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37] 부모는 아이의 초기 사회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장난감, 활동, 상호 작용, 성 모델, 성 기대 등을 통해 성 역할을 사회화한다.[37]
인종 사회화는 아이들이 특정 민족 집단의 행동, 인식, 가치관 및 태도를 습득하고 자신과 타인을 그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게 되는 과정이다.[39] 인종 사회화는 다음과 같은 차원으로 나타난다.[40]

차원설명
문화 사회화아이들에게 인종적 역사나 유산을 가르치는 양육 방식.[41]
편견에 대한 준비차별을 인식하고 대처하도록 준비시키는 양육 방식.
불신 조장다른 인종의 사람들을 경계하도록 아이들을 사회화하는 양육 방식.
평등주의모든 사람이 평등하며 공통의 인간성으로 대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아이들을 사회화하는 것.[40]


언어 사회화는 아동이 언어와 문화를 통합된 과정에서 함께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44] 모든 사회 구성원은 언어 사용을 통해서, 그리고 언어 사용을 '함으로써' 아동을 사회화한다.
정치 사회화는 시민이 정치 체제의 정치 문화를 배우고, 흡수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이다.[47] 사회의 정치 문화는 정치 사회화 과정을 통해 시민들에게 주입되고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진다. 현대 민주 정부에서 정당은 정치 사회화의 주요 원동력이다.[47]

5. 1. 성 역할 사회화 (Gender socialization)

헨슬린은 "사회화의 중요한 부분은 문화적으로 정의된 성 역할을 배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6] 성 사회화는 주어진 성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행동과 태도를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즉, 남자아이는 남자아이답게, 여자아이는 여자아이답게 배우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은 다양한 사회화 매개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각 성별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행동은 주어진 사회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성 사회화는 가치관이 다른 사회 간에 상당히 다를 수 있다. 가족은 성 역할을 강화하는 데 분명 중요하지만, 친구, 또래 집단, 학교, 직장, 대중 매체 등의 집단도 마찬가지이다. 사회 집단은 "셀 수 없이 미묘하고 그렇지 않은 미묘한 방식"으로 성 역할을 강화한다.[36] 또래 집단 활동에서 고정관념적인 성 역할은 다양한 목적으로 거부되거나, 재협상되거나, 교묘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캐롤 릴리건은 성과 도덕 발달 이론에서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의 도덕 발달을 비교했다. 그녀는 남자아이는 정의 관점, 즉 공식적인 규칙에 의존하여 옳고 그름을 정의한다고 주장했다.[37] 반면 여자아이는 돌봄과 책임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황을 판단할 때 인간관계를 고려한다고 한다. 릴리건은 또한 성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녀는 사회의 여성 사회화가 여자아이들의 자존감이 나이가 들면서 떨어지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여자아이들은 사춘기를 거치면서 여성 교사가 적고 대부분의 권위자가 남성이기 때문에 자신의 개인적인 힘을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부모는 아이의 발달 초기에 함께하기 때문에, 특히 성 역할과 관련하여 아이의 초기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 사회학자들은 부모가 자녀의 성 역할을 사회화하는 네 가지 방법을 확인했다. 장난감과 활동을 통해 성과 관련된 속성을 형성하는 것,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와의 상호 작용을 다르게 하는 것, 주요 성 모델 역할을 하는 것, 그리고 성 이상과 기대를 전달하는 것이다.[37]

성 사회학자 R.W. 코넬은 사회화 이론이 성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소수의 "일탈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동의적인 과정을 전제로 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아이들은 전통적인 성별이 되라는 압력에 반항하기 때문이며, 같은 사회의 다른 사회화 매개체로부터 오는 모순적인 "각본"을 설명할 수 없고, 개인의 성(및 일반적인) 정체성의 여러 수준 간의 갈등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38]

  • 어떤 어린이가 "여자가 어린이회 회장이 되는 건 이상하다"고 말했다고 하자. 그 경우 그는 남성 우위를 사회화하고 있는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 "젠더 평등을 이유로 일부러 여자를 어린이회 회장으로 하는 건 이상하다"고 말한 사람에게 "젠더 평등은 옳다"며 발언을 막으려 한 사람은 젠더 평등에 사회화되어 있는 것이다.
  • 어떤 어린이가 "남자아이가 반바지를 입는다니 이상해. 반바지는 여자아이가 입는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하자. 그 경우 그는 반바지의 보급에 사회화되어 있는 것이다.

5. 2. 인종 사회화 (Racial socialization)

인종 사회화 또는 인종-민족 사회화는 "아이들이 특정 민족 집단의 행동, 인식, 가치관 및 태도를 습득하고 자신과 타인을 그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게 되는 발달 과정"으로 정의된다.[39] 기존 문헌에서는 인종 사회화를 여러 차원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인종 사회화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다섯 가지 차원을 확인했다.[40]

차원설명
문화 사회화때때로 "자긍심 함양"으로 불리며, 아이들에게 그들의 인종적 역사나 유산에 대해 가르치는 양육 방식을 의미한다.[41]
편견에 대한 준비아이들이 차별을 인식하고 대처하도록 준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양육 방식을 말한다.
불신 조장다른 인종의 사람들을 경계하도록 아이들을 사회화하는 양육 방식을 의미한다.
평등주의모든 사람이 평등하며 공통의 인간성으로 대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아이들을 사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40]



미국에서는 백인들이 인종을 제로섬 게임이자 흑백 이분법으로 인식하도록 사회화된다.[42]

5. 3. 언어 사회화 (Language socialization)

언어인류학자 엘리너 오크스(Elinor Ochs)와 밤비 시프펠린(Bambi Schieffelin)은 다양한 사회에 대한 비교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 발달에서 언어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 언어 사회화 이론을 발전시켰다.[44] 그들은 문화 전달과 사회화 과정이 언어 습득 과정과 별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통합된 과정에서 언어와 문화를 함께 습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모든 사회 구성원은 언어 사용을 통해서, 그리고 언어 사용을 '함으로써' 아동을 사회화한다. 언어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초보자는 동시에 문화의 범주와 규범에 사회화되고, 반대로 문화는 언어 사용의 규범을 제공한다.

5. 4. 정치 사회화 (Political socialization)

정치 사회화는 유아(심지어 성인) 시민이 자신의 정치 체제의 정치 문화(핵심 정치적 가치, 신념, 규범 및 이념)를 배우고, 흡수하고, 궁극적으로 내면화하는 긴 발달 과정으로, 그를 더욱 정보에 입각하고 효과적인 정치 참여자로 만들기 위함이라고 설명된다.[47]

사회의 정치 문화는 정치 사회화 과정의 일환으로 시민들에게 주입되고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진다. 따라서 사회화의 매개체는 사람, 조직 또는 제도로,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며, 다른 지향성을 갖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현대 민주 정부에서 정당은 정치 사회화의 주요 원동력이다.[47]

6. 사회화의 기관

사회화는 다양한 기관을 통해 이루어진다.[50]

7. 사회화의 문제점 및 과제

에밀 뒤르켐은 저서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에서 사회화가 규범성을 가진다고 언급한다. 개인의 행위사고 유형은 개인에게 외재하며, 명령과 강제의 힘을 지닌다. 자신의 의지로 동조할 때는 강제를 느끼지 못하지만, 저항하려는 순간 강제는 사실로서 나타난다.[45]

예를 들어, 복장 관습을 무시하면 사람들의 조롱과 반감을 사며, 이는 형벌에 가까운 효과를 낸다. 산업 경영자가 과거의 방식으로 노동을 시키는 것은 금지되지 않지만, 그렇게 하면 파산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돌파하더라도 투쟁은 피할 수 없으며, 결국 승리하더라도 반대와 저항에 의해 구속력을 느낄 수 있다.[45]

학교폭력과 같이 교육 현장이 붕괴되어 아동의 학력과 미래를 막는 학교 문화에 대해서도 사회화가 요구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에 저항하면 대인 관계가 단절될 수도 있다.

7. 1. 과잉 사회화 (Oversocialization)

에밀 뒤르켐은 사회를 제재와 법규를 부과하여 개인을 통제하는 외부적인 힘으로 보았다. 그러나 제약과 제재는 죄책감이나 불안감과 같은 내적 감정으로서도 발생한다.

7. 2. 부정적 사회화 (Negative socialization)

부정적 사회화는 사회화 주체가 처벌, 가혹한 비판 또는 분노를 사용하여 '교훈을 가르치려고' 할 때 발생하며, 종종 우리는 부정적 사회화와 그것을 우리에게 부과하는 사람들 모두를 싫어하게 된다.[45] 긍정적 사회화와 부정적 사회화는 다양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회 학습 경험이 많을수록 우리는 더 행복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삶의 어려움에 잘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배울 수 있다면 더욱 그렇다. 긍정적 사회화에 비해 부정적 사회화의 비율이 높으면 사람은 불행해지고 삶에 대해 패배감이나 비관적인 감정을 갖게 될 수 있다.[45]

학교폭력은 부정적 사회화의 예가 될 수 있다.[49]

참조

[1] 서적 Socialisation and Society Little Brown and Company 1968
[2] 서적 Sociology Pearson 2013
[3] 서적 Sociological Perspectives Heinemann 2007
[4] 서적 Sociology Pearson Canada 2010
[5] 백과사전 socializa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
[6]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Elsevier 2006
[7] 학술지 The lived experience of parents from educating morality to their children Phenomenological study https://pmc.ncbi.nlm[...] 2022-11-26
[8] 서적 The Blank Slate Penguin Books 2002
[9] 잡지 The Interpretation of Genes 2002-10
[10]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r Pearson 2005
[11] 서적 Nature Via Nurture: Genes, Experience, and What Makes us Human HarperCollins 2003
[12] 서적 Psychology: Brain, Behavior & Culture Wiley & Sons 2002
[13] 학술지 Genetic influences on measures of the environment: a systematic review 2007
[14] 뉴스 Fourier and his partisans 1841-09-06
[15] 서적 The Gentleman's Magazine https://books.google[...] F. Jefferies 2017-04-02
[16] 웹사이트 socialization,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4-02
[17] Master's Thesis "Socialization": The Politics and History of a Psychological Concept, 1900-1970 http://wesscholar.we[...] Wesleyan University 2017-04-02
[18] 학술지 The Problem of Sociology https://zenodo.org/r[...] 1895-01-01
[19] 서적 The theory of socialization. A syllabus of sociological principles.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2017-04-02
[20] 학술지 The evolving vocabulary of the social sciences: The case of "socialization". https://works.bepres[...] 2018-04-20
[21] 서적 Developmental Tasks in Adolescence Routledge 2019
[22] 학술지 Wired to Be Social: The Ontogeny of Human Interaction 2010-10-07
[23] 웹사이트 Analysis the Status of Socialization Variables in the Iran High School Textbooks with Emphasize on Motahari's Thoughts https://www.research[...] 2020-11-09
[24] 웹사이트 SparkNotes: Socialization http://www.sparknote[...]
[25] 학술지 Adolescents' conceptions of work: What is learned from different sources during anticipatory socialization? 2006
[26] 서적 How to Achieve Total Enlightenment: A Practical Guide to the Meaning of Life https://books.google[...] Andrews McMeel Publishing 2023-06-15
[27] 논문 Introduktion – Integration? : Om introduktionsprogrammets betydelse för integration av nyanställda http://urn.kb.se/res[...] University of Skövde 2010-01-01
[28] 학술지 Unwrapping the organizational entry process: Disentangling antecedents and their pathways to adjustment 2003
[29] 학술지 Where is the child's environment? A group socialization theory of development 1995
[30] 서적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Wiley 1983
[31] 학술지 Personality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peer group versus parents 2007
[32] 서적 Behavioral genetics of cognitive stability: A life-span perspectivenes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3
[33] 학술지 Why are children in the same family so different from one another? 2011-06
[34] 서적 Nature and nurture: An introduction to human behavioral genetics Brooks/Cole 1990
[35] 학술지 Socialization in Small Groups: Temporal Changes in Individual-Group Relations 1982
[36] 논문 Conversation and Gen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논문 Explor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bout gender: Results from adolescent and emerging adult samples
[38] 서적 Gender and power: society, the person and sexual politics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 Press 1987
[39] 서적 Introduction: Definitions and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children's ethnic socialization Sage Publications
[40] 논문 Parents' ethnic-racial socialization practices: A review of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41] 서적 Manhood Development in Urban African-Americ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6-15
[42] 웹사이트 The Whiteness of Prejudice Plus Power https://www.academia[...] 2022
[43] 서적 Political sociology: Oppression, resistance, and the state. Thousand Oaks: Pine Forge Press
[44] 서적 Language Socialization across Cul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What is the socialization proces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12-10-04
[46] 웹사이트 Socialization, Genetic Issue in Nigeria and Nation Building https://www.ijrhss.o[...] 2023-05-11
[47] 웹사이트 POLITICAL SOCIALIZATION AND NATION BUILDING: THE CASE OF NIGERIA https://core.ac.uk/d[...] 2023-05-11
[48] 웹사이트 Socialization, Genetic Issue in Nigeria and Nation Building https://www.ijrhss.o[...] 2023-05-11
[49] 서적 Brute Reality: Structures of Representation in 'The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2023-06-15
[50] 백과사전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4-12-21
[51] 서적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Socialisation During the Life Course Routledge
[53] 서적 고등학교 사회 문화 금성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