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상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상왕은 고구려의 제10대 국왕이다. 신대왕의 아들로, 고국천왕 사후 왕후 우씨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 중 환도성을 축조하고, 후한의 유민들을 받아들이는 등 대내외적인 활동을 펼쳤다. 형인 발기의 반란을 진압하고, 요동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227년에 사망하여 산상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27년 사망 - 한당
    한당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무장으로, 활약과 충성심으로 손견, 손책, 손권 삼대를 섬기며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도독에 이르렀으나 질병으로 사망했다.
  • 227년 사망 - 하제 (동오)
    하제는 후한 말부터 삼국 시대 동오의 장수로 손책과 손권 휘하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헌했으며, 특히 남부 군현과 산월 정벌에 큰 역할을 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분서왕
    분서왕은 백제의 제11대 왕으로 낙랑군과의 전쟁을 지휘하다 자객에게 피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백제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초기 왕권 계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산상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태왕
왕위 계승고구려 국왕
재위 기간197년 5월 - 227년 5월
이전 국왕고국천왕
다음 국왕동천왕
이름고연우 / 이이모
출생지국내성
사망일227년 5월
사망지국내성
매장지산상릉
자녀우위거
시호산상태왕
아버지신대왕
직업
왕후왕후 우씨
왕가
왕조고구려
이름
한자山上王
한글산상왕
로마자 표기Sansangwang
한자 (출생 시)高延優; 伊夷謨
한글 (출생 시)고연우; 이이모
로마자 표기 (출생 시)Go Yeonu; Iimo

2. 생애

신대왕의 아들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와 《삼국유사》에는 태어날 때부터 태조왕처럼 이빨이 나고 사물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와 《삼국유사》, 중국 《북사(北史)》에 따르면 그는 태조왕의 증손자라고 한다. 다만,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및 《삼국유사》의 다른 기록에는 신대왕이 태조왕의 동생이므로 태조왕은 그의 큰아버지가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198년 환도성을 쌓았고, 203년에는 국상 을파소가 사망하여 고우루(高優婁)를 후임 국상으로 삼았다. 209년 환도성으로 도읍을 옮겼다.

208년 겨울 음력 11월, 제사에 쓸 돼지가 달아나는 일이 있었다. 제사 담당자는 돼지를 쫓아 주통촌(酒桶村)에 이르렀는데, 그곳에서 후녀(后女)라는 20세 가량의 여인의 도움으로 돼지를 잡았다. 이 소식을 들은 산상왕은 몰래 후녀를 찾아가 하룻밤을 보냈다. 왕후는 이를 알고 분노하여 후녀를 죽이려 하였으나, 후녀가 산상왕의 아들을 임신하여 죽이지 못했다. 후녀는 아들 교체(郊彘)를 낳고 소후(小后)로 봉해졌다. 213년 후녀의 아들 교체가 태자로 책봉되었다.

217년 후한 평주(平州)의 하요(夏瑤)가 위나라 조조 군에 쫓겨 1천여 가(家)를 거느리고 투항하자, 왕은 책성(柵城)에 이들을 안치하였다. 227년 서거하여 산상릉(山上陵)에 장사지냈다.

2. 1. 즉위 과정

고국천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고국천왕의 왕후 우씨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였다.[4] 우 왕후는 산상왕의 아내가 되어 다시 왕후가 되었다.[4] 이는 고구려의 형사취수 풍습이 남아있는 것이며, 우씨의 권력 유지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5][6] 산상왕의 형이었던 발기는 자신이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고 군사를 동원하여 왕궁을 포위하였다.[2] 그러나 3일 동안 산상왕이 농성하는 가운데 고구려 국내에서도 발기를 따르는 자가 없자 발기는 요동으로 망명하였다.[2] 뒤이어 발기가 요동 태수 공손도에게 군사를 빌려 쳐들어오니 왕은 동생 계수를 보내 막게 하였다.[7] 계수가 발기의 군대를 물리치자 발기는 자살하였다.[7]

2. 2. 왕위 계승 분쟁

고국천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왕후 우씨는 산상왕을 지지하여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우씨는 산상왕의 왕후가 되었는데,[4] 이는 고구려의 형사취수 풍습이 남아있었기 때문이며, 우씨가 궁궐 내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5][6]

산상왕의 형인 발기는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고 군사를 동원해 왕궁을 포위했다. 그러나 산상왕이 3일 동안 농성하고 고구려 국내에서도 발기를 따르는 자가 없자, 발기는 요동으로 망명하였다. 이후 발기는 요동 태수 공손도에게 군사를 빌려 쳐들어왔으나, 왕은 동생 계수를 보내 막게 하였다. 계수가 발기의 군대를 물리치자 발기는 자살하였다.[7]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산상왕 즉위전기에 따르면, 태조대왕(궁)을 닮아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휘(諱)를 "위궁"이라 지었다고 『위서』(고구려전)를 인용하여 기록하고 있다.[14] 고국천왕이 왕자를 두지 못한 채 사망하자, 왕비 우씨는 처음에는 상을 숨긴 채 바로 아래 동생인 발기에게 왕위를 계승할 것을 권했다. 발기는 왕의 죽음을 알지 못했기에 우씨의 권유가 불손하다고 책망했고, 우씨는 연우에게 갔다. 거기서 왕의 죽음과 함께 발기가 오만하다고 말하며, 연우에게 왕위를 계승할 것을 권했다. 연우는 이에 응하여 다음날 이른 아침에 우씨는 왕의 유언이라고 속여 연우를 왕위에 앉혔다. 발기는 왕위를 빼앗긴 것에 불복하고, 요동군 태수 공손도와 결탁하여 무력 침공을 감행했지만, 왕위 찬탈에 실패한 후 자결했다.[15]

이노우에 히데오는 『삼국지』 고구려전 등을 바탕으로 고국천왕 사후 발기(발기)와 연우[16]가 다투었고, 발기를 지지한 것은 소노부뿐이었고 나머지 사부는 연우를 지지했기 때문에 발기는 요동군의 공손씨에게 의지하여 요녕성 본계시 환인 부근에서 왕위에 올랐다고 보았다.

2. 3. 환도성 천도와 통치

198년에 환도성을 쌓았고 209년에는 환도성으로 도읍을 옮겼다.[9] 요동의 압박으로 고구려는 수도를 혼강 유역에서 환도산성 부근의 압록강 유역으로 옮겨야 했다.[10]

고국천왕이 죽자 그의 왕후인 우씨가 산상왕의 왕위 계승을 지지하며 그를 왕위에 앉혔다. 이후 우씨는 산상왕의 왕후가 되었다.[4] 이는 고구려에서 형사취수(수계혼) 풍습이 여전히 행해졌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우씨의 궁정 내 권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5][6]

산상왕의 형인 발기는 반란군을 이끌고 수도를 공격했으며, 중국 세력의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2] 산상왕은 그의 동생 계수를 시켜 공격을 격퇴하게 했고, 발기는 자살했다.[7]

204년 공손강은 고구려를 침략하여 발기가 왕이 될 수 있도록 지원했지만, 고구려는 1차 침략을 격퇴하고 발기를 죽였다.[8] 209년에 공손강은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일부 영토를 점령하고 고구려를 약화시켰다.[9]

이노우에 히데오는 『삼국지』 고구려전 등을 바탕으로 고국천왕 사후 발기와 연우[16]가 다투었고, 발기를 지지한 것은 소노부뿐이었고 나머지 사부는 연우를 지지했기 때문에 발기는 요동군 공손씨에게 의지하여 환인(요녕성본계시환인만족자치현) 부근에서 왕위에 올랐다고 주장했다. 한편 연우 등은 집안(길림성집안시) 부근에 환도산성을 축조하여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왕위에 올랐으며, 발기는 나중에 공손씨에 의해 요동군으로 이주되었고, 연우의 신국이 발기의 구국을 흡수하여 고구려의 이름을 계승했다고 한다. 이후, 집안 부근의 환도산성과 평지의 국내성이 일체가 된 고구려의 왕도가 되었고, 장수왕에 의해 평양으로 천도될 때까지를 국내·환도 시대라고도 한다.

217년 산상왕은 요동 지역에서 온 1천 가구를 받아들여 피난처를 제공했다.[2][5][11]

2. 4. 후계자 선정

208년 겨울 음력 11월, 제사에 쓸 돼지가 달아났다. 제사 담당자는 돼지를 쫓아 주통촌(酒桶村)에 이르렀는데, 그곳에서 후녀(后女)라는 20세 가량의 여인의 도움으로 돼지를 잡았다. 이 소식을 들은 산상왕은 몰래 후녀를 찾아가 하룻밤을 보냈다. 왕후는 이를 알고 분노하여 후녀를 죽이려 하였으나, 후녀가 산상왕의 아들을 임신하여 죽이지 못하였다. 후녀는 아들 교체(郊彘)를 낳았고, 소후(小后)로 봉해졌다. 213년에는 후녀의 아들 교체가 태자로 책봉되었다.[7][12][13]

2. 5. 대외 관계

198년 고구려는 환도성(丸都城)을 쌓았다.[2] 209년에는 환도성으로 도읍을 옮겼다.[10]

산상왕의 형인 발기는 왕위 계승에 불만을 품고 군사를 동원하여 왕궁을 포위하였으나, 고구려 국내에서 발기를 따르는 자가 없어 요동으로 망명하였다.[4] 발기는 요동군 태수 공손도(公孫度)에게 군사를 빌려 쳐들어왔으나, 동생 계수가 발기의 군대를 물리치자 발기는 자살하였다.[7]

204년, 공손강낙랑군의 남쪽 절반을 분리하여 대방군을 설치했다.[8] 고구려는 공손강의 1차 침략을 격퇴하고 발기를 죽였지만,[8] 209년에 공손강은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일부 영토를 점령하고 고구려를 약화시켰다.[9] 이로 인해 고구려는 수도를 혼강 유역에서 압록강 유역의 환도산성 부근으로 옮겨야 했다.[10]

217년, 후한 평주(平州)의 하요(夏瑤)가 위나라 조조 군에 쫓겨 1천여 가(家)를 거느리고 투항하자, 왕은 책성(柵城)에 이들을 안치하였다.[2][5][11]

3. 사망

217년 8월에 후한의 평주에서 하요가 천여 가구의 사람들을 이끌고 투항했으므로, 산상왕은 이들을 받아들여 책성에 정착시켰다.[15]

산상왕은 재위 31년 만인 227년 5월에 사망하여 산상릉에 매장되었고, 산상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5]

4. 가계


  • 부왕: 신대왕
  • 왕후: 우씨 (? ~ 234년 9월) - 우소의 딸. 고국천왕과 산상왕의 부인이다. 유언으로 산상왕릉 곁에 묻혔다.[15]
  • 후궁: 소후(小后) (? ~ ?) - 주통촌 출신의 평민 여인.[3]
  • 아들: 고우위거 - 제11대 왕 동천왕이 된다.[3]

5. 대중문화

6. 관련 인물

참조

[1]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1-29
[2] 웹사이트 Kings and Queens of Korea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5-03-09
[3] 문서 삼국사기 관련 내용
[4] 서적 Women in Korean History 한국 역사 속의 여성들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8-01-01
[5] 서적 Introduction to Asian civilizations: Sources of Korean Tradition: Volume One: From Early Times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1-29
[6] 서적 World Clothing and Fashion: An Encyclopedia of History, Culture, and Social Influ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1-29
[7]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Vol.3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2016-01-30
[8] 뉴스 History: King Sansang https://world.kbs.co[...] 2015-03-01
[9]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Brill
[10] 서적 State Formation in Korea Curzon Press
[11] 서적 Asian Thought on China's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1-29
[12] 웹사이트 http://www.doopedia.[...] Doopedia 2016-03-09
[13] 웹사이트 King Sansang(山上王) https://folkency.nfm[...] 2020-09-18
[14] 문서 魏書와 삼국사기의 기록 불일치
[15] 문서 扶余족의 풍습과 왕위 계승
[16] 문서 삼국지와 삼국사기의 고구려 왕위 계승 기록
[17] 문서 삼국사기와 삼국지의 기록 비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