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야 탐마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야 탐마삭은 태국의 법학자이자 정치가로, 1973년부터 1975년까지 태국 총리를 역임했다. 1907년 방콕에서 태어나 탐마삿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영국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태국 대법원장, 추밀원 고문관, 탐마삿 대학교 총장을 거쳐, 1973년 10·14 사건 이후 총리로 임명되었다. 총리 퇴임 후에는 추밀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2002년 사망했다. 또한 그는 팰리스 라이트닝 작전과 관련된 인물이며,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마삿 대학교 교수 - 쁘리디 파놈용
    쁘리디 파놈용은 태국의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1932년 쿠데타를 통해 입헌군주제 전환에 기여하고, 탐마삿 대학교 설립, 치외법권 폐지, 자유 타이 운동을 이끌었으나, 라마 8세 의문사와 쿠데타로 실각하여 망명 생활을 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탐마삿 대학교 교수 - 워라쳇 파키랏
    워라쳇 파키랏은 태국의 법학자이자 탐마삿 대학교 교수이며, 행정법과 헌법 관련 교과서를 출판하고 헌법 개혁 및 불경죄법 개정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으며, 불경죄법 개정 운동 반대 남성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쿠데타 이후 군부에 체포되었다가 석방되었다.
  • 태국의 총리 - 탁신 친나왓
    탁신 친나왓은 친나왓 그룹을 설립하고,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정책을 추진했으나 쿠데타로 실각하여 망명 생활을 했고, 2023년 귀국 후 8년 형을 선고받았다가 2024년 가석방된 태국의 기업인 겸 정치인이다.
  • 태국의 총리 - 쁠랙 피분송크람
    쁠랙 피분송크람은 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1932년 쿠데타를 통해 입헌군주제 수립에 기여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민족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태국의 근대화를 이끌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로 비판받기도 한다.
  • 대십자 연방공로십자장 수훈자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십자 연방공로십자장 수훈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산야 탐마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9년의 탐마삭
본명산야
출생일1907년 4월 5일
출생지톤부리, 방콕야이, 방콕, 태국 (당시 시암)
사망일2002년 1월 6일
사망지라마티보디 병원, 랏차테위, 방콕, 태국
직업변호사
배우자퐁아 탐마삭
서명
공직
추밀원 의장시작: 1975년 12월 5일
종료: 1998년 9월 4일
군주푸미폰 아둔야뎃
전임데즈 스니드봉
후임프렘 틴술라논
제12대 태국 총리시작: 1973년 10월 14일
종료: 1975년 2월 26일
군주푸미폰 아둔야뎃
전임타놈 키티카촌
후임세니 쁘라못
탐마삿 대학교 총장시작: 1971년 4월 1일
종료: 1973년 10월 16일
전임완 와타야콘 왕자
후임아둘 위치엔차로엔 (직무 대행)
대법원장시작: 1963년 10월 1일
종료: 1967년 10월 1일
군주푸미폰 아둔야뎃
전임프라왓 파타봉세
후임프라콥 후타싱
학력
모교탐마삿 대학교
미들 템플
훈장
훈장MPCh
MWM
PCh
NR
GCS

2. 생애

1963년부터 1967년까지 대법원장을 역임했고, 1968년 추밀 고문관으로 임명되었다. 1971년에는 탐마삿 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1973년 쿠데타(10·14 사건) 이후 타놈 키티카촌 군사 정권이 무너지자 라마 9세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어 1975년까지 재임했다. 그 후 1998년까지 추밀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2002년 방콕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7년 4월 5일, 톤부리(현 방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고위 불교 학자였다.[1]

1914년 아쌈쑴 대학교에 입학하여 1925년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영어 전공이었다.[3] 아쌈쑴 칼리지에서 수학한 후,[4] 탐마삿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1928년 수석으로 졸업했다.[4] 그 후, 장학금을 받아 영국으로 유학하여 미들 템플(법조원)에서 공부하여 영국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3]

2. 2. 법조 및 학계 경력

산야 탐마삭은 1914년 아쌈쑴 대학교에 입학하여 1925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영어를 전공했다. 그는 3년 동안 법무부 법학에서 공부했으며 1928년에 졸업했다. 그는 최고 점수를 받았고 라피분니티 장학금을 받았다. 이 장학금으로 그는 3년 동안 미들 템플에서 영국 법학을 공부할 수 있었다. 그는 1932년에 영국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4][5]

1963년부터 1967년까지 대법원장을 역임한 후, 1968년 추밀 고문관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1971년에는 탐마삿 대학교 총장으로 취임했다.

2. 3. 총리 재임 (1973-1975)

1973년 쿠데타(10·14 사건)로 타놈 키티카촌의 군사 독재 정권이 붕괴되자, 국왕 라마 9세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어 1975년까지 재임했다.[4][5]

2. 4. 총리 퇴임 이후

10·14 사건으로 타놈 키티카촌의 군사 독재 정권이 붕괴된 후, 라마 9세 국왕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어 1975년까지 재임했다.[4][5] 이후 1998년까지 추밀원 의장을 역임했다. 2002년 방콕에서 사망했다.

2. 5. 사망

산야 탐마삭은 2002년 1월 6일 방콕의 라마티보디 병원에서 사망했다.[1]

3. 팰리스 라이트닝 작전

팰리스 라이트닝(Palace Lightning)은 미국 공군태국에서 항공기와 인원을 철수시킨 계획의 이름이다. 1975년 봄 프놈펜과 사이공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는 정부가 무너진 후, 워싱턴과 산야 탐마삭 정부 사이의 정치적 분위기가 악화되었고, 연말까지 미군 병력은 철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6] 전략 공군 사령부 부대는 1975년 12월에 떠났지만,[7] 우타파오 해군 항공 기지는 1976년 6월 13일 공식적으로 태국 정부에 반환될 때까지 미국의 통제하에 있었다.[8]

4. 서훈

산야 탐마삭은 태국 및 해외에서 여러 훈장을 받았다. 태국에서는 구보석 훈장, 출라 촘 클라오 훈장, 백상 훈장, 태국 왕관 훈장 등 최고 등급의 훈장을 받았다. 해외에서는 일본욱일대수장, 독일의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1급 대십자장, 라오스 왕국의 백상 훈장 대십자장, 필리핀의 시카투나 훈장 대수장, 페루의 페루 태양 훈장 대십자장 등을 받았다.

4. 1. 태국

산야 탐마삭은 태국 훈장 체계에서 다음과 같은 왕실 훈장을 받았다.

수여 년도훈장
1996년
고대하고 상서로운 구보석 훈장 기사
1968년
최고 훈장 출라 촘 클라오 훈장의 기사단 특급
1961년
최고 훈장 백상 훈장의 특별 1등급 기사단장
1959년
가장 고귀한 태국 왕관 훈장의 특별 1등급 기사단장
1974년
자유 수호 훈장 1등급
1969년
두시 말라 문학과 과학 핀 (민간인)
1950년
차크라바르티 말라 훈장
1971년
라마 9세 국왕 왕실 암호 훈장 1등급


4. 2. 해외

국가훈장
일본
일본 욱일대수장
욱일대수장
독일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1급 대십자장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1급 대십자장
라오스 왕국
라오스 백상 훈장 대십자장
백상 훈장 대십자장
필리핀
필리핀 시카투나 훈장 대수장
시카투나 훈장 대수장
페루
페루 태양 훈장 대십자장
페루 태양 훈장 대십자장


참조

[1] 뉴스 U.S. to begin pullout of troops from Thailand https://news.google.[...] 1975-05-05
[2] 뉴스 Many Thais saddened by U.S. military withdrawals https://news.google.[...] 1975-12-03
[3] 뉴스 U.S. out of Thailand https://news.google.[...] 1976-06-21
[4] URL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core.ac.uk/d[...] 2018-07-21
[6] 뉴스 U.S. to begin pullout of troops from Thailand https://news.google.[...] 1975-05-05
[7] 뉴스 Many Thais saddened by U.S. military withdrawals https://news.google.[...] 1975-12-03
[8] 뉴스 U.S. out of Thailand https://news.google.[...] 1976-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