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업 공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업 공정은 원자재를 제품으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화학, 전기 분해, 절단, 금속 가공, 성형, 분리, 증류, 적층 제조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화학 공정은 시멘트, 강철, 알루미늄, 비료와 같은 기본 재료 생산에 필수적이나, 온실 가스 배출과 화석 연료 사용으로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전기 분해는 금속 도금 및 분리에 사용되며, 절단, 금속 가공, 성형, 분리, 증류 등은 재료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제품을 정제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공정들은 품질 관리 및 검사를 통해 수율을 높이고 불량품을 처리하며, 한국의 산업은 고도화된 제조 기술과 분업 체계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차산업부문 - 기계화
    기계화는 산업 혁명 시기부터 기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및 사회 현상으로, 도시화, 노동 계급 형성, 자본주의 발달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자동화, 로봇 기술과 융합하여 미래 사회에 영향을 줄 것이다.
  • 이차산업부문 - 구두닦이
    구두닦이는 구두를 닦아 광을 내는 직업 또는 행위로,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며, 단순 관리부터 전문적인 기술과 서비스로 발전하여 세계 구두닦이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 공정 - 소결
    소결은 분말 재료를 녹는점 이하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입자들을 결합시켜 고체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으로, 세라믹스 제조 및 분말 야금에 활용되며 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 공정 - 조립 라인
    조립 라인은 작업자와 설비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부품을 운반하고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량 생산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지만, 병목 현상, 노동 문제 등 개선 과제도 안고 있다.
산업 공정

2. 화학 공정

특정 화학 공정은 시멘트, 강철, 알루미늄, 비료와 같이 사회에 중요한 기본 재료를 생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반응은 화학 반응을 통해 온실 가스인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고, 화학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고온을 생성하기 위해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기후 변화에 기여한다.[1]


  • '''소성''' - 주로 화석화된 탄산 칼슘(CaCO3)으로 구성된 석회석은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산화 칼슘(CaO)과 이산화 탄소 기체(CO2|CO₂영어)로 분해되며, 이는 부산물로 방출된다. 소성은 시멘트(콘크리트 내의 페이스트)를 만드는 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반응은 또한 고로 내에서 화학적 플럭스(불순물 제거) 역할을 하는 산화 칼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하다.

:CaCO3(s) → CaO(s) + CO2(g)|CaCO₃(s) → CaO(s) + CO₂(g)영어

  • '''제련''' - 고로 내부에서 코크스(석탄의 고탄소 유도체)를 연소시켜 일산화 탄소(CO)가 방출되어 광석 내의 원치 않는 산소(O)가 제거된다. CO2|CO₂영어는 부산물로 방출되어 산소를 제거하고 원하는 순수한 금속을 남긴다. 가장 두드러지게는 철 제련은 채굴된 철광석과 석탄으로부터 강철(주로 소량의 탄소를 함유한 철)을 만드는 방법이다.

:Fe2O3(s) + 3 CO(g) → 2 Fe(s) + 3 CO2(g)|Fe₂O₃(s) + 3 CO(g) → 2 Fe(s) + 3 CO₂(g)영어

  • '''할-에루 공정''' - 산화 알루미늄(Al2O3|Al₂O₃영어)은 고온의 전해 반응에서 코크스(C)와 용융되어 원하는 순수한 알루미늄(Al)과 CO 및 CO2|CO₂영어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Al2O3(s) + 3 C(s) → 2 Al(s) + 3 CO(g)|Al₂O₃(s) + 3 C(s) → 2 Al(s) + 3 CO(g)영어

:2 Al2O3(s) + 3 C(s) → 4 Al(s) + 3 CO2(g)|2 Al₂O₃(s) + 3 C(s) → 4 Al(s) + 3 CO₂(g)영어

  • '''하버-보슈법''' - 대기 중의 질소(N2)를 분리하여 암모니아(NH3)를 얻으며, 이 암모니아는 모든 합성 비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하버-보슈 공정은 화석 연료인 천연 가스를 사용하여 수성 가스 변환 반응에 필요한 CO를 공급하고, 수소(H2)를 생성하며 CO2|CO₂영어를 방출한다. 수소(H2)는 N2의 강력한 삼중 결합을 깨는 데 사용되어 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산업용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CH4(g) + H2O(g) → CO(g) + 3 H2(g)|CH₄(g) + H₂O(g) → CO(g) + 3 H₂(g)영어

:CO(g) + H2O(g) → H2(g) + CO2(g)|CO(g) + H₂O(g) → H₂(g) + CO₂(g)영어

:N2(g) + 3 H2(g) → 2 NH3(g)|N₂(g) + 3 H₂(g) → 2 NH₃(g)영어

  • 소독 - 세균과 바이러스를 죽이는 화학적 처리
  • 열처리 - 시멘트와 같이 열을 사용하여 물질을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공정

3. 전기 분해

전기 분해는 전기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해하거나 도금하는 공정이다. 전기의 이용과 그것이 물질에 미치는 영향은 금속을 도금하거나 분리하는 여러 공정을 낳았다.


  • 전해 공정: 전기 분해를 사용하는 모든 공정
  • 전기 영동 증착: 액체 매질에서 콜로이드 입자를 전해 증착하는 공정
  • 전해 연마: 전기도금의 반대 공정
  • 전주 주조: 인쇄판을 생산하기 위해 전기도금을 사용하는 공정
  • 금박 입히기, 전기도금, 양극 산화, 전해 채취: 전극에 물질을 증착하는 공정
  • 등전점 집중 (또는 전기 집중): 전기도금과 유사하지만 분자를 분리하는 공정
  • 금속화, 도금, 스핀 코팅: 비금속에 금속 코팅을 하는 일반적인 용어

4. 절단

방전 가공 (EDM)

레이저 절단

기계 가공 - 재료 손실을 수반하는 금속의 기계적 절단 및 성형

가스 절단

플라스마 절단

톱질

전단 가공

워터젯 절단 - 매우 고압의 물줄기를 사용하여 재료를 절단[2]

5. 금속 가공

금속 가공은 금속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성질을 개선하는 공정이다. 주요 금속 가공 공정은 다음과 같다.


  • 형태 변형 공정
  • 주조: 액체 금속을 금형에 부어 굳혀서 원하는 모양을 만든다.[1]
  • 단조: 금속을 가열한 후 두드리거나 압력을 가하여 모양을 만든다.[1]
  • 하이드로포밍: 금속 튜브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금형에 밀착시켜 모양을 만든다.[1]
  • 프로그레시브 스탬핑: 금속 스트립 또는 롤을 여러 단계로 가공하여 부품을 생산한다.[1]
  • 스탬핑: 금속 판재를 프레스로 눌러 원하는 모양으로 만든다.[1]

  • 성질 개선 공정
  • 침탄, 차동 경화, 쇼트 피닝: 금속 표면의 내마모성을 높인다.[1]
  • 석출 경화: 금속의 강도를 높이는 열처리 방법이다.[1]
  • 가공 경화: 금속을 가공하여 강도를 높인다.[1]

  • 표면 처리 공정
  • 샌드블라스팅: 금속 표면에 모래 등의 연마재를 분사하여 표면을 পরিষ্কার하거나 거칠게 만든다.[1]
  • 텀블 연마: 연마재와 함께 금속 부품을 회전시켜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1]

  • 기타 공정
  • 전기로: 매우 높은 온도에서 금속을 가공한다.[1]
  • 제련 및 직접 환원: 광석에서 금속을 추출한다.[1]

  • 제강 공정: 제련된 선철을 강철로 변환한다.[1]
  • 전로 제강법[1]
  • 베세머 제강법[1]
  • 고로: 선철을 생산한다.[1]
  • 카탈란 단야, 평로, 블루머리: 연철을 생산한다.[1]
  • 침탄법[1]
  • 도가니강[1]
  • 직접 환원 - 직접 환원철 생산[1]
  • 제련: 용광로를 사용하여 강철, 구리 등을 생산한다.[1]

6. 성형

성형은 틀을 사용하여 재료의 액체 형태를 물리적으로 형상을 만드는 것이다.


  • 블로우 성형 - 플라스틱 용기 또는 유리 용기 산업에서와 같이 금형에 불어넣어 속이 빈 물체를 만드는 방법이다.
  • 주조, 모래 주조 - 금형을 사용하여 용융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 압축 성형
  • 소결, 분말 야금 - 금속 또는 세라믹 분말로 물체를 만드는 방법이다.

7. 분리

많은 물질은 불순한 형태로 존재한다. 정제 또는 분리는 사용 가능한 제품을 제공한다.


  • 분쇄 공정 – 고체 입자의 크기를 줄이는 공정 (파쇄와 분쇄의 중간 단계에 해당)
  • 프라슈 공법 – 땅에서 용융 유황을 추출하는 방법
  • 부유 선광, 부유 선광 공정 – 부유를 통해 광물을 분리하는 방법
  • 액체-액체 추출 – 한 물질을 다른 물질에 용해시키는 방법[2]

8. 증류

휘발성 물질을 증발응축을 통해 정제하는 것이다.


  • 회분식 증류
  • 연속식 증류
  • 분별 증류, 수증기 증류, 진공 증류

9. 적층 제조

적층 제조는 재료를 층층이 쌓아 올려 원하는 형태를 만드는 공정이다.


  • 융합 증착 모델링 (FDM)
  • 광 리소그래피
  • 선택적 레이저 소결 (SLS)
  • 입체 조형 (SLA)

10. 유기 화합물 및 석유화학 공정

알킬화는 원유 정제에 사용되는 공정이다.[1] 버튼 공정은 탄화수소를 분해한다.[1] 크래킹 (화학)은 더 큰 분자를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1] 큐멘 공정은 벤젠으로부터 페놀아세톤을 제조한다.[1] 프리델-크래프츠 반응, 콜베-슈미트 반응도 유기 화합물 공정에 사용된다.[1]

올레핀 메타테시스, 열적 탈중합은 유기 분자 변형에 사용된다.[1] 옥소 공정은 알켄으로부터 알데히드를 생성한다.[1] 중합은 작은 분자들을 결합하여 큰 분자를 만든다.[1] 라시히 히드록실아민 공정은 히드록실아민을 생성하며, 나일론의 전구체이다.[1] transesterification은 유기 화학 물질을 변형하는 공정이다.[1]

11. 제품별 공정

특정 화학 공정은 시멘트, 강철, 알루미늄, 비료 등 사회에 중요한 기본 재료를 제공한다.


  • '''소성''' – 석회석(주로 화석화된 탄산 칼슘(CaCO3)으로 구성)은 고온에서 산화 칼슘(CaO)과 이산화 탄소 기체로 분해되며, 이는 부산물로 방출된다.
  • '''제련''' – 고로 내부에서 코크스(석탄의 고탄소 유도체)를 연소시켜 일산화 탄소(CO)를 방출하여 광석 내의 원치 않는 산소(O)를 제거한다.
  • '''할-에루 공정''' – 산화 알루미늄은 고온의 전해 반응에서 코크스(C)와 용융되어 순수한 알루미늄(Al)과 CO 및 CO2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 '''하버-보슈법''' – 대기 중의 질소(N2)를 분리하여 암모니아(NH3)를 얻으며, 이 암모니아는 모든 합성 비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제품별 공정 목록:

제품공정
알루미늄할-에루 공정, 데빌 공정, 바이어 공정, 뵐러 공정
암모니아, 비료하버-보슈 공정
브롬Dow 공정
염소, 화학 물질알칼리-염소 공정, Weldon 공정, Hooker 공정
지방렌더링
비료니트로인산 공정
유리필킹턴 공정
세균 산화, 파크스 공정
흑연애치슨 공정
중수, 방사성 제품 정제Girdler 황화물 공정
수소수성 가스 전환 반응, 증기 개질
납 (및 비스무트)Betts 전해 공정, Betterton-Kroll 공정
니켈Mond 공정
질산오스트발트 공정
종이펄프 제조, 크라프트 공법, Fourdrinier machine
고무가황
소금Alberger 공정, Grainer 증발 공정
반도체 결정Bridgman–Stockbarger 방법, 초크랄스키 공법
파티오 공정, 파크스 공정
탄화 규소애치슨 공정, Lely 공정
탄산 나트륨, 비누르블랑 공정, 솔베이 공정, Leblanc-Deacon 공정
황산연실법, 접촉 공정
티타늄헌터 공정, Kroll 공정
지르코늄헌터 공정, Kroll 공정, 반 아르켈-데 보어 공정


공정별 목록:

공정설명
Alberger 공정, Grainer 증발 공정염수에서 소금 생산
세균 산화금 생산
바이어 공정광석에서 알루미늄 추출
알칼리-염소 공정, Weldon 공정염소 및 수산화 나트륨 생산
Dow 공정염수에서 브롬 생산
Formox 공정메탄올의 산화로 포름알데히드 생산
Girdler 황화물 공정중수 제조
헌터 공정, Kroll 공정티타늄 및 지르코늄 생산
산업 렌더링뼈와 단백질에서 지방 분리
연실법, 접촉 공정황산 생산
Mond 공정니켈 생산
니트로인산 공정비료 생산 (여러 유사 공정)
오스트발트 공정질산 생산
포장
피전 공정산화물을 실리콘을 사용하여 환원시켜 마그네슘 생산
증기 개질, 수성 가스 전환 반응메탄에서 수소와 일산화탄소, 또는 물과 일산화탄소에서 수소와 이산화탄소 생산
진공 금속화마감 공정
반 아르켈-데 보어 공정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토륨 또는 프로트악티늄 생산


12. 품질 관리 및 검사

공업 제품 제조 과정에서 품질 관리는 제품의 수율을 높이고 불량품을 줄이기 위해 필수적이다. 각 생산 단계마다 검사 공정을 추가하여, 규격에 맞지 않는 부품을 제거하거나 보정한다. 제외된 부품은 불량품으로 처리되어 이전 단계로 돌아가 수정되거나, 재활용을 위해 원료로 환원된다.[2]

제조 과정에서 외부에서 조달한 부품이나 소재에 대한 자체 검사도 이루어진다. 모든 부품을 검사하는 "전수 검사" 외에도, 로트 단위로 일부만 추출하여 검사하는 "샘플 검사"도 실시된다.[3] 이는 검사 과정을 간소화하지만, 대량 생산에서는 제조 설비가 연속적으로 가동되면서 로트 단위가 형성되고, 같은 로트 내 불량률이 균일해져 샘플 검사만으로도 문제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3. 한국의 산업 공정 현황과 과제

한국의 산업은 고도화된 제조 기술과 분업 체계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을 예로 들면, 섀시에 엔진, 변속기 등 다양한 컴포넌트를 조립하는 각 단계가 공정이며, 이들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도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이 존재한다.[1] 부품 제조 단계에서의 분업은 복잡하고 고도화된 제품을 만드는데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며, 산업 혁명 이후 공업화 역사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1] 대량 생산에서는 효율을 중시하고, 세분화된 분업 체제로 연속적으로 동일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1]

더불어민주당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스마트 팩토리 구축과 자동화 기술 도입으로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중립 및 친환경 생산 기술 개발로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지원하고 대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last Furnace http://www.scienceai[...] Science Aid 2007-12-30
[2] 웹사이트 全数検査 https://www.keyence.[...] キーエンス 2024-09-04
[3] 웹사이트 抜き取り検査 https://www.keyence.[...] キーエンス 2024-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