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크리스토발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크리스토발섬은 스페인어로 성 크리스토퍼를 의미하며, 갈라파고스 제도에 위치한 섬이다. 찰스 다윈이 1835년 처음 상륙한 곳으로,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영구 정착촌이 있다. 섬의 면적은 558제곱킬로미터이며, 수도는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이다. 다양한 해양 생물과 조류, 식생이 서식하며, 관광 명소로는 엘 훈코 호수, 세로 티헤레타스, 라 로베리아, 키커 록 등이 있다. 열대 기후를 보이며, 산크리스토발 공항을 통해 항공 운송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산타크루스섬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산타크루스섬은 중앙의 휴화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생과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며, 찰스 다윈 연구소가 위치하여 제도 보존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고유종을 포함한 생물 다양성을 보여주는 섬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이사벨라섬
이사벨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6개의 순상 화산이 합쳐져 형성되었으며, 활화산인 시에라 네그라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을 포함한 독특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산크리스토발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섬 이름 (한국어) | 산크리스토발 섬 |
섬 이름 (스페인어) | Isla de San Cristóbal |
섬 이름 (영어) | Chatham Island (채텀 섬) |
위치 | 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
군도 | 갈라파고스 제도 |
면적 | 558 km² |
최고점 | 세로 산 호아킨 (713m) |
인구 통계 | |
인구 | 약 6,000명 |
최대 도시 |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 |
지리 | |
위치 | 동태평양 |
가장 동쪽 | 갈라파고스 군도 최동단 섬 |
행정 구역 | |
국가 | 에콰도르 |
행정 구역 | 갈라파고스 주 |
2. 명칭
''산크리스토발''은 스페인어로 성 크리스토퍼를 의미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뱃사람들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
'산크리스토발'이라는 이름은 스페인어로 성 크리스토퍼를 의미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그를 뱃사람들의 수호 성인으로 여긴다.
에콰도르 본토의 과야킬에서 산크리스토발 공항으로 두 항공사가 직항편을 운항하며, 키토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은 과야킬을 경유한다.
영국인 해적 윌리엄 앰브로시아 코울리는 1684년에 이 섬을 Dassigney's Island라고 명명했는데, 나중에 Dassigney 또는 Dassigny Island로 줄여 불렀다.[2] 이는 해적 혐의로 처형될 뻔한 선장을 구하기 위해 스페인 지도를 번역했던 바솔로뮤 샤프의 선원 필립 데시니를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영국 해군의 선장 제임스 콜넷은 1793년에 이 섬을 존 피트, 제2대 채텀 백작이자 영국 해군성의 제1대 해군 경을 기리기 위해 Lord Chatham Island로 개명했는데, 이는 이 섬이 이전에 지도에 표시된 적이 없다는 그럴듯한 주장에 따른 것이었다.
3. 역사
1684년, 영국인 해적 윌리엄 앰브로시아 코울리는 이 섬을 'Dassigney's Island'라고 명명했는데,[2] 이는 해적 혐의로 처형될 위기에서 선장을 구하기 위해 스페인 지도를 번역했던 바솔로뮤 샤프의 선원 필립 데시니(Philip Dassigny)를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1793년에는 영국 해군의 선장 제임스 콜넷이 이 섬이 기존 지도에 없었다고 주장하며, 당시 영국 해군성의 제1대 해군 경이었던 존 피트, 제2대 채텀 백작의 이름을 따 '채텀 경의 섬'(Lord Chatham Island)으로 다시 이름을 붙였다.
산크리스토발섬은 활동을 멈춘 3~4개의 화산이 합쳐져 만들어진 섬이다. 이곳은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가장 오래된 영구 정착지가 있는 곳이며, 찰스 다윈이 1835년 군도를 방문했을 때 처음으로 상륙한 섬이기도 하다.[12] 섬 고지대에 위치한 작은 호수 El Junco|엘 훈코spa는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거의 유일하게 민물을 구할 수 있는 곳으로, 이 담수원의 존재는 산크리스토발섬에 초기 정착지가 형성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12]
1880년에는 에콰도르 본토에서 온 죄수들을 수용하기 위한 형벌 식민지(Penal colony)가 산크리스토발섬에 건설되었다.[9] 시간이 지나면서 이 시설은 에콰도르군의 기지로 바뀌었고, 섬의 주요 생산물인 설탕, 커피, 카사바, 소, 생선, 라임 등을 수출하는 중심지이자 현재의 주도인 푸에르토 바케리소 모레노로 발전하게 되었다.[4][9]
4. 지리
이 섬에는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주요 동물로는 아메리카 군함조,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거북, 푸른발 부비, 붉은발 부비, 열대어, 바다 이구아나, 돌고래, 제비꼬리 갈매기 등이 있다. 식물로는 Calandrinia galapagosala, Lecocarpus darwiniila, 유창목, Matazarnala 등이 자란다. 섬 주변 바다에는 상어, 가오리, 바다가재 등이 서식한다.
섬 남쪽 고지대(해발 약 700m)의 분화구에는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가장 큰 담수호인 Laguna El Junco|엘 훈코es가 있다.[15] 이 호수는 많은 야생 조류의 중요한 서식지로, 군함조가 호수 위를 날아다니고 고유종인 산크리스토발땅울새도 관찰할 수 있다.[16] 호수로 가려면 짧은 등산로를 올라야 한다. 호수 근처에는 자이언트 거북의 부화장이자 보호 구역인 La Galapaguera|라 갈라파구에라es가 있다.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 마을 근처에는 여러 관광 명소가 있다. Cerro Tijeretas|세로 티헤레타스es는 아메리카군함조의 집단 서식지이며, 1835년 9월 16일 찰스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 제도에 처음 상륙한 것을 기념하는 동상이 세워져 있다.[17][19] 갈라파고스 바다사자의 군락지인 la Loberia|라 로베리아es는 마을에서 버스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
섬 주변 해역에서의 보트 투어도 인기가 있으며, 주로 두 곳의 다이빙 명소를 방문한다. 섬 북서쪽에 위치한 "Kicker Rock|키커 록영어" (스페인어명 León Dormido|레온 도르미도es, "잠자는 사자"라는 뜻[18])은 두 조각으로 갈라진 화산암 지형이다. "Isla Lobos|이슬라 로보스es" (sea lion island|바다사자 섬영어이라는 뜻)는 푸른발 부비의 번식지이기도 하다.
4. 1. 행정 구역
갈라파고스 주는 1973년 2월 18일 대통령령에 따라 지정되었으며, 이사벨라 칸톤, 산크리스토발 칸톤, 산타크루즈 칸톤의 3개 칸톤으로 나뉜다. 산크리스토발섬은 이 중 산크리스토발 칸톤에 속한다.
산크리스토발 칸톤은 다음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갈라파고스 주의 주도이자 산크리스토발 칸톤의 행정 중심지인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는 산크리스토발섬 남서쪽 끝에 위치한다.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의 인구는 6,142명이며, 면적은 849km2이다.
산크리스토발 섬 자체의 면적은 558km2이며,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730m에 달한다. 섬의 인구는 약 6,000명으로[3], 산타 크루스 섬 다음으로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다.[1] 또한, 군도 내에서 가장 비옥한 섬 중 하나로 꼽힌다.[1]
5. 교통
섬의 주요 교통은 산크리스토발 공항을 통해 이루어진다. 에콰도르 본토의 키토와 과야킬에서 매일 항공편이 운행되며, 두 항공사가 과야킬에서 출발하는 직항편을 제공한다. 일부 항공편은 과야킬을 경유하여 키토까지 운항한다.
6. 생태
산크리스토발섬은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다. 이 섬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mportant Bird Area, IBA)으로 지정되었다.[6]
분류 | 주요 종 |
---|---|
조류 | 아메리카 군함조, 푸른발 부비, 붉은발 부비, 붉은부리 열대새, 제비꼬리갈매기 |
파충류 | 갈라파고스땅거북 (아종 Geochelone nigra chathamensis), 바다 이구아나 |
포유류 |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물개, 돌고래 |
학명 (일반명) | 과 |
---|---|
Calandrinia galapagosa | 쇠비름과 |
Lecocarpus darwinii | 국화과 |
가이악 나무 (Lignum vitae) | 남가새과 |
Piscidia carthagenensis (마타자노) | 콩과 |
섬 근처의 바다에는 상어, 가오리, 바닷가재 등이 서식한다.
6. 1. 엘 훈코 호수
엘 훈코 호수(Laguna El Junco|라구나 엘 훙코es)는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다.[15] 산크리스토발섬 남쪽 고지대의 분화구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는 약 700m이다.[15] 이 화산호는 많은 야생 조류의 중요한 서식지로, 군함조가 호수 위를 날아다니고 고유종인 산크리스토발땅울새도 관찰할 수 있다.[16] 호수에 도달하려면 짧은 오르막길을 걸어야 한다.호수 근처에는 갈라파고스 거북의 번식장이자 보호 구역인 '라 갈라파구에라'(La Galapaguera|라 갈라파게라es)가 있다.
6. 2. 라 갈라파게라
섬 남쪽 고지대에 위치한 엘 훈코 호수 근처에는 La Galapaguera|라 갈라파게라spa가 있다. 이곳은 갈라파고스 거북(자이언트 거북)의 번식 기지이자 부화장, 보호 구역으로 운영된다.7. 관광
에콰도르 갈라파고스주의 주도인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는 산크리스토발섬의 남서쪽 끝에 위치하며, 섬 주민 대부분이 이곳에 거주한다.[12] 주민들은 주로 정부 관련 업무, 관광업, 어업에 종사하며 생활한다.[12] 에콰도르 본토의 과야킬에서 두 항공사가 산크리스토발 공항으로 직항편을 운항하며, 키토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은 과야킬을 경유한다.
섬의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엘 훈코 호수 (Laguna El Junco): 섬 남쪽 고지대(해발 약 700m) 분화구에 위치한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다.[15] 호수까지는 짧은 오르막길을 올라야 하며, 많은 야생 조류의 서식지이다. 특히 군함조가 호수 위를 나는 모습과 고유종인 산크리스토발땅울새를 관찰할 수 있다.[16]
- 라 갈라파구에라 (La Galapaguera): 엘 훈코 호수 근처에 있는 갈라파고스 거북의 부화장이자 보호 구역이다.
- 세로 티헤레타스 (Cerro Tijeretas):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 마을 근처에 있으며, 군함조의 집단 서식지이다. 이곳에는 1835년 9월 16일, 찰스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 제도에 처음 상륙한 것을 기념하는 동상이 세워져 있다.[7][17]
- 라 로베리아 (La Loberia): 갈라파고스 바다사자의 군락지로, 푸에르토바케리소모레노에서 버스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
현지 보트 투어를 통해 인근의 유명한 다이빙 명소를 방문할 수 있다.
- 키커 록 (Kicker Rock / 레온 도르미도, Léon Dormido): '잠자는 사자'라는 뜻의 스페인어 이름을 가진 이곳은[18] 두 개로 갈라진 용암 원뿔의 잔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기 있는 다이빙 장소이다.
- 이슬라 로보스 (Isla Lobos): '바다사자 섬'이라는 뜻으로, 갈라파고스 바다사자와 함께 푸른발 부비의 둥지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이 외에도 섬에서는 아메리카 군함조,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거북, 푸른발 부비, 붉은발 부비, 열대어, 바다 이구아나, 돌고래, 제비꼬리 갈매기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을 만날 수 있다. 근처 바다에는 상어, 가오리, 바다가재 등이 서식한다.
8. 기후
산크리스토발섬은 열대 기후에 속하며, 겨울은 따뜻하고 건조한 반면 여름은 덥고 습하며 강수량이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San Cristobal Island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
서적
Kitchin's General Atlas...
Laurie & Whittle
1797
[3]
웹사이트
San Cristobal
http://www.galapagos[...]
Galapagos Conservancy
[4]
웹사이트
San Cristóbal Island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5]
서적
Evolution's Workshop: God and Science on the Galápagos Island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6]
웹사이트
Isla San Cristóbal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
[7]
서적
Charles Darwin's Beagle Diary
http://darwin-online[...]
2001
[8]
웹사이트
San Cristobal-Galapagos
https://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1-23
[9]
웹사이트
San Cristóbal Island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7-07-26
[10]
문서
伊藤 (1983)
[11]
문서
molluscs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San Cristóbal
http://www.galapagos[...]
Galapagos Conservancy
2017-07-26
[13]
문서
伊藤 (1983)
[14]
서적
エクアドル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15]
문서
伊藤 (1983)
[16]
문서
藤原 (2001)
[17]
서적
Charles Darwin's Beagle Diary
http://darwin-online[...]
2001
[18]
문서
水口 (1999)
[19]
서적
Charles Darwin's Beagle Diary
http://darwin-onlin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