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페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페섬은 갈라파고스 제도 중앙에 위치한 면적 24km²의 섬으로, 스페인어로 "성스러운 믿음"을 의미한다. 지질학적으로 400만 년 전의 화산암이 발견되는 오래된 섬 중 하나이며, 다양한 관목, 팔로 산토 나무, 손바닥 선인장 등이 자생한다. 바링턴 만에는 습지가 있어 관광객들이 방문하며, 산타페 땅이구아나, 갈라파고스매, 바다사자 등 고유종을 관찰할 수 있다. 19세기 중반 멸종된 산타페 자이언트 거북을 복원하기 위해 에스파뇰라 섬 거북을 도입하는 생태 복원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산타크루스섬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산타크루스섬은 중앙의 휴화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생과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며, 찰스 다윈 연구소가 위치하여 제도 보존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고유종을 포함한 생물 다양성을 보여주는 섬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이사벨라섬
이사벨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6개의 순상 화산이 합쳐져 형성되었으며, 활화산인 시에라 네그라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을 포함한 독특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산타페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산타페 섬 (배링턴 섬) |
원어 이름 | Isla Santa Fé (스페인어) |
위치 | 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
면적 | 24 제곱킬로미터 |
지리 | |
행정 구역 | |
국가 | 에콰도르 |
명칭 | |
어원 | 산 크리스토발 군의 수호 성인인 "산타페"에서 유래. |
다른 이름 | 사무엘 배링턴 제독의 이름을 딴 "배링턴 섬"(Barrington Island)이라고도 불림. |
2. 이름
Santa Fé|산타페es는 로마 가톨릭 기독교를 언급하며 "성스러운 믿음"을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이다.
산타페 섬은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 군도 중앙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산타크루스 섬의 남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4][6] 섬의 면적은 24km2이며, 최고 지점은 해발 259m이다.[6] 지질학적으로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약 390만 년 전에 형성된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다.[6]
영어 이름인 ''바링턴 섬(Barrington Island)''은 1794년 제임스 콜넷이 그의 지휘 하에 있는 선원들에게 친절하기로 유명했던 사무엘 배링턴 제독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3. 지리
섬의 식생은 주로 관목, 감람나무과의 파로산토(Bursera graveolens), 그리고 여러 종류의 가시 많은 손바닥선인장으로 구성된다.[6]
방문객들은 주로 섬 북동쪽의 바링톤 만(Barrington Bay)을 통해 해변에 상륙(wet landing)한다. 만의 해변에서는 많은 수의 바다사자를 볼 수 있으며, 이들은 때때로 산책로까지 올라오기도 한다.[6] 해변에서는 두 개의 산책로가 시작되는데, 하나는 해변 근처를 도는 짧은 순환 코스로 파로산토와 거대한 손바닥선인장을 관찰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가파른 절벽을 따라 올라가 섬 내부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는 길이다.[6]
산타페 섬은 여러 고유종과 고유 아종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짧은 산책로에서는 산타페 땅이구아나(Conolophus pallidus)나 갈라파고스매와 같은 고유 동물을 종종 만날 수 있다.[6] 대표적인 고유종 및 아종은 다음과 같다.
4. 환경
산타페섬은 갈라파고스 군도 중앙에 위치한 면적 24km2의 작은 섬으로, 산타크루즈 섬 남동쪽에 자리한다. 지질학적으로 약 4백만 년 된 화산암이 발견되는 등 군도 내에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여겨진다.[1][6] 섬의 최고 지점은 259m이다.[6]
섬의 식생은 관목, 팔로 산토 나무, 그리고 갈라파고스 손바닥 선인장의 큰 변종인 ''Opuntia galapageia'' subvar. ''barringtonensis'' 등으로 대표된다.[2] 이러한 환경 덕분에 산타페섬은 바링턴 육지 이구아나, 산타페 바다 이구아나, 산타페 쌀쥐 등 여러 고유종과 고유 아종의 중요한 서식지가 되고 있다.[3] 섬 북동쪽 바링톤 만에서는 많은 수의 갈라파고스 바다사자도 관찰된다.
과거 이 섬에는 고유종인 산타페 자이언트 거북이 서식했으나 19세기 중반 인간 활동으로 멸종했다. 최근에는 섬의 생태계 복원을 위해 유전적으로 가까운 후드 섬 자이언트 거북을 도입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4][5] 이는 1970년대 야생 염소 박멸 이후 이어진 생태 복원 노력의 일환이다.
섬의 북동쪽 바링톤 만은 방문객을 위한 주요 접근 지점으로, 이곳에서 시작되는 산책로를 통해 섬의 자연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6]
4. 1. 지질
지질학적으로 산타페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섬에서는 약 4백만 년 전[1] 또는 390만 년 전[6]으로 추정되는 화산암이 발견되었다.4. 2. 생태
섬의 식생은 관목, 팔로 산토 나무, 그리고 갈라파고스 손바닥 선인장의 큰 변종인 ''Opuntia galapageia'' subvar. ''barringtonensis''로 특징지어진다.[2]산타페 섬에는 여러 고유종과 고유 아종이 서식하고 있다. 섬 북동쪽 바링톤 만의 해변에서는 많은 수의 갈라파고스 바다사자가 발견되며, 때때로 해변에서 이어지는 산책로 이용을 방해하기도 한다. 섬의 고유종과 고유 아종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종/아종 | 학명 |
---|---|---|
고유종 | 바링턴 육지 이구아나 | Conolophus pallidus |
바링턴 잎발 도마뱀 | Phyllodactylus barringtonensis[3] | |
고유 아종 | 산타페 바다 이구아나 | Amblyrhynchus cristatus trillmichi |
산타페 쌀쥐 | Aegialomys galapagoensis bauri |
과거 이 섬에는 고유종인 산타페 자이언트 거북이 서식했으나, 19세기 중반 고래잡이와 정착민들의 과도한 포획으로 인해 멸종되었다. 이 거북은 아직 미기재된 상태였다. 이후 150년 이상 산타페 섬에는 거북이가 살지 않았다. 섬에서 발견된 거북이 뼈의 유전자 검사 결과, 에스파뇰라 섬의 후드 섬 자이언트 거북(''Chelonoidis hoodensis'')과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임이 밝혀졌다.[4]
거북이는 특히 종자 산포자로서 섬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2012년 자이언트 거북 관련 국제 워크숍에서는 에스파뇰라 섬의 거북을 생태적 대체종으로 사용하여 산타페 섬의 거북 개체군을 복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1970년대 야생 염소를 성공적으로 근절시킨 이후 진행된 섬의 생태 복원 프로그램의 일환이었다. '산타페 거북이 프로젝트'를 통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약 700마리의 어린 에스파뇰라 거북과 31마리의 준성체 에스파뇰라 거북이 산타페 섬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4][5]
4. 3. 산타페 자이언트 거북 복원
산타페 섬에는 원래 고유종인 산타페 자이언트 거북이 서식했으나, 19세기 중반 고래잡이와 정착민들의 과도한 포획으로 인해 멸종했다. 이 거북은 아직 학술적으로 기록되지 않은 종이었다. 거북이 사라진 후 1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산타페 섬에는 거북이가 존재하지 않았다.섬에서 발견된 거북이 뼈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 이 멸종된 거북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종은 에스파뇰라 섬(과거 후드 섬)에 서식하는 후드 섬 자이언트 거북(Chelonoidis hoodensislat)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12년에 열린 자이언트 거북 관련 국제 워크숍에서는 에스파뇰라 섬의 거북을 생태학적으로 유사한 대체 종으로 활용하여 산타페 섬에 거북 개체군을 재건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거북은 특히 종자 산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섬 생태계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산타페 거북이 프로젝트'를 통해 약 700마리의 어린 후드 섬 자이언트 거북과 31마리의 준성체 거북이 산타페 섬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4][5] 이 프로젝트는 1970년대에 섬의 야생 염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된 산타페 섬 생태 복원 프로그램의 완결 단계에 해당한다.
5. 관광
섬의 북동쪽 바링톤 만(Barrington Bay)에 방문객을 위한 습지 사이트가 있다. 이 만의 해변에서는 많은 수의 바다사자를 볼 수 있으며, 때때로 바다사자들이 해변에서 산책로로 나와 이동을 방해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anta Fe Island Tour
http://www.galapagos[...]
galapagosalternative.com
2017-06-06
[2]
웹사이트
SANTA FE ISLAND (BARRINGTON), GALAPAGOS
https://animalcorner[...]
animalcorner.co.uk
2017-06-06
[3]
간행물
[4]
웹사이트
Santa Fé
https://www.galapago[...]
Galapagos Conservancy
2021-07-17
[5]
웹사이트
Final Phase of the Santa Fe Tortoise Repopulation Process Complete
https://www.galapago[...]
Galapagos Conservancy
2021-07-17
[6]
웹사이트
Santa Fé
https://www.galapago[...]
Galapagos Conservanc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