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타 사비나 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 사비나 성당은 422년부터 432년 사이에 지어진 로마의 바실리카 양식 성당이다. 달마티아 출신 사제 페트루스가 건립했으며, 2세기 로마 여성 사비나의 집터에 위치한다. 1216년 도미니코회가 이 성당을 하사받아 로마 본부로 사용했으며, 성 도미니크,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거쳐갔다. 1914년부터 1919년까지, 그리고 1936년부터 1938년까지 복원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명의본당 -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은 로마에 있는 고딕 양식의 바실리카로, 미네르바 신전 위에 세워졌고 13세기에 도미니코회에 의해 재건축되었으며, 미켈란젤로의 작품과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자설 포기 장소로 유명하고, 베르니니가 디자인한 코끼리 오벨리스크가 있는 곳이다.
  • 로마의 명의본당 -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은 3세기경에 건립되어 체칠리아 성녀를 수호성인으로 모시고, 스테파노 마데르노의 조각상, 피에트로 카발리니의 성화 등 미술 작품과 건축 유물을 소장하며, 역대 명의 추기경으로 교황 스테파노 3세 등이 있었고 현재 괄티에로 바세티가 명의 추기경으로 있는 로마의 성당이다.
산타 사비나 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산타 사비나 성당 외부
공식 명칭 (라틴어)Basilica Sanctae Sabinae
공식 명칭 (이탈리아어)Basilica di Santa Sabina all'Aventino
위치로마
국가이탈리아
주소Piazza Pietro d’Illiria 1
종교가톨릭교회
전례라틴 교회
봉헌성녀 사비나
종교 단체도미니코회
지위소 바실리카, 명예 성당
건축
건축 양식초기 기독교 건축, 바로크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
착공422년
완공432년
길이60 m
너비30 m
네이브 너비17 m
관리
추기경 보호자공석
웹사이트도미니코회 총본부

2. 역사

422년부터 432년 사이에 달마티아 출신의 사제 페트루스가 아벤티노 언덕 위에 산타 사비나 성당을 건립했다. 이 성당은 유노 신전 근처이자 후에 성인으로 추대된 사비나의 집터였다.[24]

9세기에 산타 사비나 성당은 전쟁으로 인해 요새 지역에 포함되었다.

1287년 교황 선거가 이 교회에서 열렸으나, 전염병으로 인해 추기경 6명이 사망하자 선거는 중단되었다. 이후 추기경들은 다시 교회로 돌아와 1288년 2월 22일 니콜라 4세를 교황으로 선출했다.[3]

1587년 도메니코 폰타나가 교황 식스토 5세의 의뢰를 받아 성당 내부를 개조했고, 1643년에는 프란체스코 보로미니가 개조했다.[3]

1870년 이탈리아 왕국이 로마를 점령하면서 도미니코회는 추방되었고, 성당은 해상 여행자를 위한 검역소로 사용되었다.[3]

1914년-1919년 이탈리아 건축가이자 미술사학자인 안토니오 무뇨스(1884-1960)가 성당을 원래의 중세 모습으로 복원했고, 1936년-1938년 프랑스 건축가 P. 베르티에가 복원을 완료했다.[3]

2. 1. 초기 역사와 성녀 사비나

교회는 초기 황실 가옥 부지에 지어졌으며, 그중 하나는 아브루초 지역의 아베차노 출신 로마 귀부인인 사비나의 가옥으로 알려져 있다. 사비나는 서기 126년 황제 하드리아누스 치하에서 참수되었는데, 그녀가 하인 세라피아에게 개종했기 때문이며, 세라피아 역시 서기 119년에 참수되었다. 사비나와 세라피아는 나중에 가톨릭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산타 사비나는 422년에서 432년 사이에 로마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유노 신전 근처에 일리리아의 페테르, 달마티아 사제에 의해 지어졌다.[24]

교황 첼레스티노 1세는 423년에 이곳에 산타 사비나의 추기경 칭호를 설정했다.

1216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는 설교 수도회 (현재는 도미니코회로 널리 알려짐)를 승인했는데, 이는 "교회가 학문적 임무를 가지고 설립한 첫 번째 수도회"였다. 호노리우스 3세는 설교 수도회의 설립자인 성 도미니크에게 1220년 산타 사비나 교회에 거주할 것을 요청했다. 로마 최초의 도미니코회 ''수도회''인 산타 사비나의 도미니코회 수도원의 공식 설립은 1220년에 형제들이 이미 그곳에 거주했지만, 1222년 6월 5일 호노리우스 3세가 설교 수도회에 재산을 법적으로 이전하면서 이루어졌다.[24] 일설에는, 호노리우스 3세는 사벨리 가문 출신이며, 산타 사비나 교회는 사벨리 가문이 소유한 자산의 일부였다고 한다(그 때문에 도미니코회에 기증할 수 있었다).[25] 그러나, 호노리우스 3세가 사벨리 가문 출신이라는 사실은 없다. 아마 사벨리 가문 출신의 교황 호노리우스 4세와 혼동한 오해로 생각된다.[26]

2. 2. 중세 시대와 도미니코회

1216년, 오늘날 도미니코회로 알려진 설교자 수도회는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 의해 "학문적 사명을 가진 교회가 세운 최초의 수도회"로 승인받았다.[2] 1220년 호노리우스 3세는 설교자 수도회의 창립자인 성 도미니코에게 산타 사비나 성당에 거주할 것을 요청했다.[3] 1222년 6월 5일, 로마 최초의 도미니코회 'studium'인 산타 사비나의 도미니코회 수도원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호노리우스 3세가 설교자 수도회에 재산을 법적으로 양도하면서 이루어졌지만, 수도자들은 이미 1220년에 그곳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일부 학자들은 호노리우스 3세가 사벨리 가문의 일원이었으며, 교회와 관련 건물들이 사벨리 가문의 소유였기 때문에 산타 사비나를 도미니코회에 기증한 것으로 설명했다.[11] 그러나 사실 호노리우스 3세는 사벨리 가문 출신이 아니었다. 이 학자들은 나중에 사벨리 가문 출신인 교황 호노리우스 4세와 호노리우스 3세를 혼동했을 수 있다.[12] 어쨌든, 교회는 도미니코회에 넘겨졌고, 그 이후로 로마의 본부 역할을 해왔다.

1265년, 아나니에 있는 설교자 수도회 로마 관구 수도회의 명령에 따라 토마스 아퀴나스는 산타 사비나의 'studium conventuale'에서 섭정 원장으로 임명되었다.[13] 당시 산타 사비나에 있던 'studium conventuale'는 수도회의 첫 번째 'studium provinciale'로 전환되었는데, 이는 'studium conventuale'와 'studium generale' 사이의 중간 학교였다.[14] 톨로메오 다 루카는 아퀴나스의 동료이자 초기 전기 작가인데, 산타 사비나 'studium'에서 토마스 아퀴나스가 도덕과 자연을 포함한 모든 철학 과목을 가르쳤다고 전한다.[15]

1288년에는 관구 교육 과정의 신학 부분이 산타 사비나 'studium provinciale'에서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의 'studium conventuale'로 이전되었으며, 이곳은 'studium particularis theologiae'로 재지정되었다.[17] 따라서 산타 사비나의 'studium'은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의 'studium generale'의 선구자였다.

1291년 수도회 행위에 명시된 연구 과정을 따라 산타 사비나 'studium'은 세 개의 'studia nove logice' 중 하나로 재지정되었으며, 이는 12세기 후반에 서양에서 발견된 아리스토텔레스 텍스트인 'logica nova'를 다루는 고급 논리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17]

2. 3. 근현대

1287년 교황 콘클라베가 이 교회에서 열렸으나, 전염병으로 고위 성직자 6명이 사망하자 교회를 떠났다. 이후 다시 돌아와 1288년 2월 22일 니콜라 4세를 교황으로 선출했다.[3]

1587년 도메니코 폰타나가 교황 식스토 5세의 의뢰를 받아 성당 내부를 개조했고, 1643년에는 프란체스코 보로미니가 개조했다.[3]

이탈리아 왕국은 1870년에 로마를 정복하고 도미니코회를 추방했으며, 교회를 나자레토(해상 여행자를 위한 검역소)로 개조했다.[3]

이탈리아 건축가이자 미술사학자인 안토니오 무뇨스(1884-1960)는 1914-1919년에 교회의 원래 단순한 중세 모습을 복원했다. 프랑스 건축가 P. 베르티에는 1936-1938년에 복원을 완료했다.[3]

3. 건축

내부.


후진과 개선문.


산타 사비나 성당은 고대 로마의 세속 바실리카 양식으로 지어졌다. 각 측면에 낮은 통로가 있는 긴 중앙 본당이 있고, 통로 위 본당 벽에는 채광창이 뚫려 있다. 벽돌 벽은 대부분 미장되지 않았으며, 창문은 유리가 아닌 셀레나이트로 만들어져 5세기 건축 당시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건물은 회랑에 연결된 주랑 현관과 반원형 후진이 있다. 종탑은 원래 10세기에 지어졌지만, 17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바실리카의 나무 문은 430~432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처음부터 이 성당을 위해 제작된 것은 아니다.

내부는 바실리카 형태이며, 두 줄의 열로 측면 통로와 분리된 중앙 본당이 있고, 그 위에 아케이드가 놓여 있다. 아케이드 위에는 큰 채광창이 있다. 프로콘네소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24개의 기둥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코린트식 기둥머리와 기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바닥에는 산타 사비나보다 앞선 로마 시대 사원 기둥이 있는데, 이는 바실리카 건설을 위해 파괴된 유노 신전의 잔해로 추정된다.

동쪽 끝에는 앱스가 있다. 5세기 앱스 모자이크는 1559년 타데오 추카리의 프레스코화로 대체되었는데, 원래 모자이크와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언덕에 앉아 있는 예수와 양 옆의 성인들, 언덕 아래 시냇물에서 물을 마시는 양들의 모습은 17세기에 파괴된 산탄드레아 인 카타바르바라의 5세기 모자이크와 매우 유사하다.

3. 1. 외부

산타 사비나 성당은 고대 로마의 세속 바실리카, 즉 덮인 포럼 양식으로 지어졌다. 각 측면에 낮은 통로가 있는 긴 중앙 본당이 특징이다. 통로 위, 본당 벽에는 일련의 큰 채광창이 뚫려 있다. 벽돌 벽은 대부분 미장되지 않았으며, 창문은 유리가 아닌 셀레나이트로 만들어져 있어, 5세기에 지어졌을 때와 거의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건물은 회랑에 기대어 열리는 주랑 현관과 반원형 후진이 반대편 끝에 있다. 종탑은 원래 10세기에 지어졌지만, 17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바실리카의 나무 문은 430~432년에 만들어진 원래의 문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이 출입구를 위해 건설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18개의 나무 패널이 남아 있으며, 예수와 두 강도의 십자가형을 가장 초기에 확실하게 묘사한 그림을 포함하여 모두 하나를 제외하고 성경의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다른 패널들도 기독교 도상학 연구에 중요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분석의 대상이 되어 왔다.

산타 사비나 성당 목조 문에 있는 예수의 십자가형 부조


출입구 위, 내부는 라틴어 육보격으로 된 원래의 봉헌문을 보존하고 있다. 커다란 창은 유리가 아닌 투명 석고로 만들어져 있다. 외관은 5세기에 건설된 당시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목조 문은 창건 당시(430년 - 432년)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산타 사비나 성당의 문으로 제작된 것은 아닌 것이 분명하다. 현존하는 목조 패널 18개는 한 개를 제외하고 모두 성경의 각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예수의 십자가형을 그린 것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도상 중 하나로 유명하다. 다른 패널들도 기독교 도상학 연구에서 중요하며, 자세히 분석되어 왔다.

문의 안쪽 위에는 라틴어의 헥사메트론으로 쓰여진 창건 당시의 헌사가 현존하고 있다.

캄파닐레(종탑)는 10세기의 건축물이다.

3. 2. 내부

내부는 바실리카 형태이며, 두 줄의 열로 측면 통로와 분리된 중앙 본당이 있고, 그 위에 아케이드가 놓여 있다. 아케이드 위에는 큰 채광창이 있다. 프로콘네소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24개의 기둥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코린트식 기둥머리와 기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바닥에 있는 틀로 된 구멍은 산타 사비나보다 앞선 로마 시대 사원 기둥을 드러낸다. 이는 로마 시대에 언덕 꼭대기에 세워진 유노 신전의 잔해로 보이며, 바실리카 건설을 위해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동쪽 끝에는 앱스가 있다. 5세기에 만들어진 원래의 앱스 모자이크는 1559년 타데오 추카리의 프레스코화로 대체되었다. 구성은 아마도 변하지 않았을 것이다. 언덕에 앉아 있는 착한 도둑과 회개하지 않는 도둑 옆에는 예수가 있으며, 언덕 기슭의 시냇물에서 양들이 물을 마시고 있다. 이 모자이크의 도상학은 17세기에 파괴된 산탄드레아 인 카타바르바라의 또 다른 5세기 모자이크와 매우 유사했다.

3. 3. 목조 문

바실리카의 나무 문은 430~432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되지만, 처음부터 이 출입구를 위해 건설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원래 28개의 사이프러스(Cypress) 나무 패널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18개의 패널만이 남아있다. 이 중 17개는 구약(Old Testament) 또는 신약(New Testament)의 장면을 묘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클라미스(chlamys)를 입은 남자에 대한 오마주를 묘사하는 것으로, 강력한 통치자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히 어떤 이야기가 묘사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6][7]



남아있는 패널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예수와 두 강도의 십자가형을 묘사한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십자가형 묘사 중 하나이다. 다른 패널들도 기독교 도상학 연구에 중요하여 광범위하게 분석되었다.[6]

상단 패널 중 하나는 로마 영묘 건축 양식을 암시하는 건물 앞에서 예수와 두 명의 다른 인물이 십자가에 처형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8] 이 패널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을 대중에게 공개적으로 보여준 최초의 이미지로 알려져 있다.[9] 패널은 두 가지 뚜렷한 스타일로 조각되었는데, 하나는 더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고전 미술의 스타일에 충실하며, 다른 하나는 더 단순한 스타일을 채택하여 여러 명의 예술가가 문 작업에 참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패널 프레임의 추상적인 식물 디자인은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 스타일과 일치하며, 적어도 한 명의 예술가의 기원이 이 지역임을 시사한다.[6]

패널의 좁은 구성과 얇은 외부 프레임으로 인해 문은 원래 더 컸고, 산타 사비나의 프레임에 맞게 잘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이 처음부터 이 특정 구조에 사용될 의도였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며, 더 큰 출입구 치수를 가진 다른 로마 건물용으로 설계되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산타 사비나로 옮겨졌을 수도 있다.[6]

그러나 문은 산타 사비나 성당이 세워진 432년경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클라미스 장면 조각의 강력한 인물이 산타 사비나 축성 당시의 황제인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의 묘사와 스타일적으로 유사하다.[6] 연륜 연대기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문 패널에 사용된 나무가 5세기 초의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조각은 교황 첼레스티노 1세(Celestine I, 421–431) 또는 교황 식스토 3세(Sixtus III, 431–440)의 통치 시기에 제작되었을 수 있다.[10]

4. 도미니코회 수도원과 스투디움

도미니코회 수도원 내부는 설교자 수도회 초창기 시절과 거의 변함이 없다. 성 도미니코의 작은 방은 여전히 식별 가능한데, 이후 확장되어 예배당으로 개조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로마에 거주할 때 식사했던 원래의 식당도 여전히 남아있다.[3]

측면 현관.


1216년, 오늘날 도미니코회로 알려진 설교자 수도회는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 의해 "학문적 사명을 가진 교회가 세운 최초의 수도회"로 승인받았다.[2] 호노리우스 3세는 성 도미니코에게 1220년 산타 사비나 성당에 거주할 것을 요청했다.[3] 로마 최초의 도미니코회 studium인 산타 사비나 도미니코회 수도원은 1222년 6월 5일 호노리우스 3세가 도미니코회에 재산을 법적으로 양도하면서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수도자들은 이미 1220년에 그곳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일부 학자들은 호노리우스 3세가 사벨리 가문 출신이며, 교회와 관련 건물들이 사벨리 가문의 소유였기 때문에 산타 사비나를 도미니코회에 기증했다고 설명한다.[11] 하지만 호노리우스 3세는 사벨리 가문 출신이 아니었다. 이 학자들은 나중에 사벨리 가문 출신인 교황 호노리우스 4세와 호노리우스 3세를 혼동했을 수 있다.[12] 어쨌든, 교회는 도미니코회에 넘겨졌고, 그 이후로 로마의 본부 역할을 해왔다.

1265년, 토마스 아퀴나스는 산타 사비나의 'studium conventuale'에서 섭정 원장으로 임명되었다.[13] 이 당시 산타 사비나의 'studium conventuale'는 수도회의 첫 번째 'studium provinciale'로 전환되었는데, 이는 'studium conventuale'와 'studium generale' 사이의 중간 학교였다.[14] 토마스 아퀴나스는 산타 사비나 'studium'에서 도덕과 자연을 포함한 모든 철학 과목을 가르쳤다고 한다.[15]

1288년, 신학 교육 과정은 산타 사비나 'studium provinciale'에서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의 'studium conventuale'로 이전되었다.[17] 1291년, 산타 사비나 'studium'은 세 개의 'studia nove logice' 중 하나로 재지정되어 고급 논리 과정을 제공했다.[17]

산타 사비나 'studium'에서는 1293년 밀로네 다 벨레트리,[18] 1310년 피렌체의 조반니 데이 토르나퀸치,[19] 1331년 네리우스 데 테르티아[20]강사로 활동했다.

4. 1. 주요 인물

사비나는 아브루초 지역 아베차노 출신의 로마 귀부인으로, 하드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세라피아의 도움으로 기독교로 개종한 후 순교했다. 사비나와 세라피아는 모두 가톨릭 성인으로 추대되었다.[1]

일리리아의 페테르는 달마티아 출신 사제로, 422년에서 432년 사이에 아벤티노 언덕에 산타 사비나 성당을 지었다.[2]

1287년 교황 콘클라베에서 전염병으로 인해 6명의 추기경이 사망하자, 남은 추기경들은 산타 사비나 성당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와 1288년 2월 22일 니콜라 4세를 교황으로 선출했다.

성 도미니크는 1220년에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요청으로 산타 사비나 성당에 거주했으며, 1222년 6월 5일 설교 수도회의 공식적인 설립과 함께 수도회가 이 성당을 본부로 삼게 되었다.[3]

토마스 아퀴나스는 1265년부터 산타 사비나의 수도회에서 섭정 원장으로 임명되어 철학 과목을 가르쳤다.[13] 이후 산타 사비나의 교육 과정은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으로 일부 이전되어, 1288년에는 신학 과정이, 1291년에는 고급 논리 과정이 제공되었다.

교황 비오 5세 또한 산타 사비나 성당의 인접 수도원에 거주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성 도미니코,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거주했던 수도원 시설은 초창기 모습과 거의 변함없이 보존되어 있다.

5. 역대 추기경 목록

이름재임 기간비고
일리리아의 베드로425년 – ?
발렌스494년 – ?
바실523년 – ?
펠릭스590년 – 612년 이전
마리누스612년 – ?
마리누스fl. 721
토르도누스741년 – 745년 이전
테오필루스745년 – 757년
테오필루스757년 – 761년
피터 윌리엄761년 – ?
에우제니오 사벨리816년 – 824년 5월교황으로 선출
조비니아노853년 – ?
스테파노964년 – ?
마르티노1033년 – 1058년 이전
브루노1058년 – 1088년 이전
알베리코1088년 – 약 1092년
브루노1092년 – 약 1099년
알베르토1099년 – 1100년
비탈레1105년 – 1112년 이전
우베르토1112년 – 약 1117년
로베르토1120년 – 1122년
그레고리오1126년 – 약 1137년사망
스탄지오1137년 – 1143년사망
만프레도1143년 12월 17일 – 약 1158년사망
갈디노 발바시 델라 살라1165년 12월 15일 – 1176년 4월 18일사망
피에트로1176년 12월 – 1178년사망
기욤 오 블랑슈 멩1179년 3월 – 1202년 9월 7일사망
토마스 오브 카푸아1216년 6월 13일 – 1243년 8월 22일사망
위그 드 생-셰르1244년 5월 28일 – 1261년 12월 24일오스티아-벨레트리 추기경 주교로 임명
베르트랑 드 생-마르탱1273년 – 1277년 3월 29일사망
위그 세갱 드 빌롬1288년 5월 16일 – 1294년 8월in commendam (1294년 8월 – 1298년 12월 30일), 사망
니콜로 보카시니1298년 12월 4일 – 1300년 3월 2일오스티아-벨레트리 추기경 주교로 임명
윌리엄 마르스펠드1303년 – 1304년사망
월터 윈터본1304년 2월 19일 – 1305년 9월 24일사망
토마스 조르즈1305년 12월 15일 – 1310년 12월 13일사망
니콜라 카니에 드 프레오빌1310년 – 1323년 1월 15일사망
제라르 도마르1342년 9월 20일 – 1343년 9월 27일사망
장 드 라 몰리네리1350년 12월 17일 – 1353년 2월 23일사망
프란체스코 테발데스키1368년 9월 22일 – 1378년 8월 20일경사망
조반니 다 아멜리아1378년 9월 18일 – 1385년 12월사망
토마소 디 카사스코1382년 5월 30일 – 1390년 6월 17일대립 추기경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벌린트 알사니1385년 2월 9일 – 1386년사티 콰트로 코로타티 추기경 사제로 임명
줄리아노 체사리니약 1440년 – 1444년 3월 7일프라스카티 추기경 주교로 임명
조반니 데 프리스1446년 12월 16일 – 1449년 1월 21일사망
기욤-위그 데스탱1450년 1월 12일 – 1455년 10월 28일사망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1456년 12월 18일 – 1458년 8월 19일교황으로 선출
베라도 에롤리1460년 3월 19일 – 1474년 5월 23일사비나 추기경 주교로 임명
아시아스 데스푸이그1477년 12월 12일 – 1483년 9월 2일사망
조반니 다라곤1483년 9월 10일 – 1485년 10월 17일in commendam, 사망
공석1485년 – 1493년
장 빌리에르 드 라그롤라스1493년 9월 23일 – 1499년 8월 6일사망
디에고 우르타도 데 멘도사 이 키뇨네스1500년 10월 5일 – 1502년 10월 14일사망
프란시스코 요리스 이 데 보르자1503년 6월 12일 – 1505년 12월 17일산타 마리아 누오바 추기경 부제로 임명
파치오 조반니 산토리1505년 12월 17일 – 1510년 3월 22일사망
르네 드 프리에1511년 3월 17일 – 1511년 10월 24일제명
반디넬로 사울리1511년 10월 24일 – 1516년 7월 18일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추기경 사제로 임명
조반니 피콜로미니1517년 7월 6일 – 1521년 6월 11일산타 발비나 추기경 사제로 임명
공석1521년 – 1533년
루이 2세 드 부르봉-방돔1533년 3월 3일 – 1550년 2월 24일팔레스트리나 추기경 주교로 임명
오토네 디 발드부르크1550년 2월 28일 – 1561년 4월 14일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추기경 사제로 임명
미켈레 기슬리에리1561년 4월 14일 – 1565년 5월 15일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추기경 사제로 임명
시모네 파스쿠아1565년 5월 15일 – 1565년 9월 4일산 판크라치오 추기경 사제로 임명
스타니슬라우스 호시우스1565년 9월 4일 – 1565년 9월 7일산 테오도로 추기경 사제 프로 하크 비체로 임명
베네데토 로멜리니1565년 9월 7일 – 1579년 7월 24일사망
빈첸초 주스티니아니1579년 8월 3일 – 1582년 10월 28일사망
필리포 스피놀라1584년 2월 20일 – 1593년 8월 20일사망
오타비오 반디니1596년 6월 21일 – 1615년 9월 16일산 로렌초 인 루치나 추기경 사제로 임명
줄리오 사벨리1616년 1월 11일 – 1636년 11월 10일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추기경 사제로 임명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1645년 - 1652년
알레산드로 비키1637년 12월 7일 – 1657년 5월 25일사망
스키피오 파노키에스키 델치1658년 5월 6일 – 1670년 4월 12일사망
루이스 마누엘 페르난데스 데 포르토카레로1670년 5월 19일 – 1698년 1월 27일팔레스트리나 추기경 주교로 임명
프란체스코 델 주디체1700년 3월 30일 – 1717년 2월 12일팔레스트리나 추기경 주교로 임명
미하이 프리제스 (미켈레 페데리코) 알탄1720년 9월 16일 – 1734년 6월 20일사망
공석1734년 – 1738년
라니에로 델치1738년 7월 23일 – 1761년 6월 22일in commendam (1747년 4월 10일 – 1761년 6월 22일), 사망
공석1761년 – 1775년
레오나르도 안토넬리1775년 5월 29일 – 1794년 2월 21일팔레스트리나 추기경 주교로 임명
줄리오 마리아 델라 소말리아1795년 9월 22일 – 1801년 7월 20일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추기경 사제로 임명
공석1801년 – 1818년
카시미르 요한 밥티스트 폰 헤펠린1818년 5월 25일 – 1822년 4월 19일산타나스타시아 추기경 사제로 임명
루이지 판돌피1823년 5월 16일 – 1824년 2월 2일사망
공석1824년 – 1829년
구스타브-막시밀리앙-쥐스트 드 크루아–솔르1829년 5월 21일 – 1844년 1월 1일사망
시스토 리아리오 스포르차1846년 4월 16일 – 1877년 9월 29일사망
빈첸초 모레티1877년 12월 31일 – 1881년 10월 6일사망
에드워드 맥케이브1882년 3월 30일 – 1885년 2월 11일사망
세라피노 바누텔리1887년 5월 26일 – 1889년 2월 11일성 제롬오브 크로아티아 추기경 사제로 임명
아고스티노 바우사1889년 2월 14일 – 1899년 4월 15일사망
프랑수아–데지레 마티유1899년 6월 22일 – 1908년 10월 26일사망
레옹-아돌프 아메트1911년 11월 30일 – 1920년 8월 29일사망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비달 이 바라케르1921년 6월 16일 – 1943년 9월 13일사망
공석1942년 – 1946년
에르네스토 루피니1946년 2월 22일 – 1967년 6월 11일사망
가브리엘-마리 가론1967년 6월 29일 – 1994년 1월 15일사망
요제프 톰코1996년 1월 29일 – 2022년 8월 8일사망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1913):Order of Preachers, Part 1 http://www.domcentra[...] Pirerre Mandonnet 2012-08-19
[3] 웹사이트 General Curia http://curia.op.org/[...] 2009-01-29
[4] 간행물 Pierre Mandonnet, O.P., ''St. Dominic and His Work'', Translated by Sister Mary Benedicta Larkin, O.P., B. Herder Book Co., St. Louis/London, 1948, Chapt. III, note 50: "If the installation at Santa Sabina does not date from 1220, at least it is from 1221. The official grant was made only in June, 1222 (Bullarium O.P., I, 15). But the terms of the bull show that there had been a concession earlier. Before that concession the Pope said that the friars had no hospitium in Rome. At that time St. Sixtus was no longer theirs; Conrad of Metz could not have alluded to St. Sixtus, therefore, when he said in 1221: "the Pope has conferred on them a house in Rome" (Laurent no. 136). It is possible that the Pope was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the building that he was having done at Santa Sabina, before giving the title to the property, on June 5, 1222, to the new Master of the Order, elected not many days before." http://opcentral.org/resources/2012/08/23/years-of-experimental-activity-1215-19/ 2016-02-27
[5] 서적 La grande guida dei monumenti di Roma: storia, arte, segreti, leggende, curiosità Newton Compton
[6] 학술지 Notes on the Wooden Doors of Santa Sabina 1952-06
[7] 학술지 The "King's Advent": And The Enigmatic Panels in the Doors of Santa Sabina 1944-12
[8] 학술지 Gendering Dark Age Jesus 2016-04-01
[9] 학술지 The Crucifixion Conundrum and the Santa Sabina Doors* 2010-01
[10] 학술지 Wiggle Matching Analysis of the Doors of Santa Sabina in Rome https://www.riha-jou[...] 2019-01-31
[11] 간행물 J. J. Berthier, ''L'Eglise de Sainte-Sabine a Ro''me (Rome: M. Bretschneider, 1910)
[12] 간행물 Joan Barclay Lloyd, "Medieval Dominican Architecture at Santa Sabina in Rome, c. 1219 – c. 1320." 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 2004. v. 72, pp. 231–292, 379.
[13] 간행물 Acta Capitulorum Provincialium, Provinciae Romanae Ordinis Praedicatorum, 1265, n. 12, in Corpus Thomisticum, http://www.corpustho[...] 2011-04-08
[14] 서적 "First the Bow is Bent in Study-- ": Dominican Education Before 1350 https://books.google[...] PIMS 1998
[15] 간행물 "Tenuit studium Rome, quasi totam Philosophiam, sive Moralem, sive Naturalem exposuit." Ptolomaei Lucensis historia ecclesiastica nova, xxii, c. 24, in In Gregorovius'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Vol V, part II, 617, note 2. http://www.third-mil[...] 2011-06-05
[16] 서적 Compendium historiae Ordinis Praedicatorum [microform] http://archive.org/d[...] Romae : Herder 1930
[17] 서적 "First the Bow is Bent in Study-- ": Dominican Education Before 1350 https://books.google[...] PIMS 1998
[18] 웹사이트 Cronologia remigiana 1302-1303 http://www.e-theca.n[...] 2012-04-06
[19] 웹사이트 Cronologia remigiana 1311 http://www.e-theca.n[...] 2012-04-05
[20] 웹사이트 "(2006) CrOv, testo n° 148-193" http://www.e-theca.n[...] 2012-04-05
[21] 웹사이트 "(1994) Arezzo1326 §5 le tribolazioni degli spoletini, Pieve San Fortunato di Montefalco" http://www.e-theca.n[...] 2011-07-05
[22] 간행물 Giovanni Domenico Mansi,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http://mansi.fscire.[...]
[23] 백과사전 BARBERINI, Francesco https://www.treccani[...]
[24] 웹사이트 General Curia http://curia.op.org/[...] 2009-01-29
[25] 간행물 J. J. Berthier, L'Eglise de Sainte-Sabine a Rome (Rome: M. Bretschneider, 1910).
[26] 간행물 Joan Barclay Lloyd, "Medieval Dominican Architecture at Santa Sabina in Rome, c. 1219-c. 1320." 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 2004. v 72, p 231-292, 379.
[27] 서적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