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찐꼬리쇠주머니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Thylamys)은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속으로, 12종 이상의 종을 포함한다. 이 속은 살찐꼬리쇠주머니쥐족에 속하며, 가는주머니쥐속, 파타고니아주머니쥐속 등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의 종들은 난쟁이살찐꼬리쇠주머니쥐, 카리미살찐꼬리쇠주머니쥐, 담황색배살찐꼬리쇠주머니쥐, 신데렐라살찐꼬리쇠주머니쥐,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 파라과이살찐꼬리쇠주머니쥐, 테이트살찐꼬리쇠주머니쥐, 엘레강스살찐꼬리쇠주머니쥐, 흰배살찐꼬리쇠주머니쥐, 작은살찐꼬리쇠주머니쥐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머니쥐목 - 멕시코쇠주머니쥐
멕시코쇠주머니쥐는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적갈색의 작은 유대류로, 다양한 환경에서 야행성 잡식 생활을 하며 나무 위에서 곤충과 과일을 먹고 굴이나 버려진 둥지를 이용해 생활하지만 서식지 감소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 주머니쥐목 - 붓꼬리주머니쥐
붓꼬리주머니쥐는 털이 많은 꼬리와 얼굴의 굵은 줄무늬가 특징인 중간 크기의 주머니쥐로,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등지의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삼림 벌채와 인간의 정착으로 위협받고 있는 주머니쥐과 *Glironia* 속의 유일한 종이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살찐꼬리쇠주머니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Thylamys J. E. Gray, 1843 |
어원 | 티라미스(Thylamys)는 그리스어로 "주머니"를 의미하는 '틸라코스(thylakos)'와 "쥐"를 의미하는 '미스(mys)'의 합성어이다. |
![]() | |
분포 시기 | 마이오세 중기 (콜론쿠라세) ~ 현재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수아강 |
하강 | 유대하강 |
목 | 주머니쥐목 |
과 | 주머니쥐과 |
아과 | 주머니쥐아과 |
하위 분류 | |
속 |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 (Thylamys) |
모식종 | Didelphis elegans |
모식종 명명자 | Waterhouse, 1839 |
종 | 본문 참조 |
2. 하위 종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Thylamys'')은 다음 종들을 포함한다.[7][8]
- 난쟁이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velutinus'')
- 카리미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karimii'')
- 담황색배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venustus'')
- 신데렐라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cinderella'')
-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sponsorius'')
- 파라과이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macrurus'')
- 테이트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tatei'')
- 엘레강스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elegans'')
- ''Thylamys fenestrae''[17]
- 흰배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pallidior'')
- ''Thylamys citellus''[18]
- ''Thylamys pulchellus''[19]
- 작은살찐꼬리쇠주머니쥐 또는 커먼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pusillus'')
다른 ''Thylamys'' 종은 다음과 같다.[11]
3. 계통 분류
다음은 주머니쥐과의 계통 분류이다.[20]
{| class="wikitable"
|-
! 주머니쥐과
|-
|
{| class="wikitable"
|-
! 양털주머니쥐아과
|-
|
{| class="wikitable"
|-
| 붓꼬리주머니쥐속
|-
|
|}
|-
! 주머니쥐아과
|-
|
{| class="wikitable"
|-
| 칼리노프스키생쥐주머니쥐속
|-
|
{| class="wikitable"
|-
! 쇠주머니쥐족
|-
|
{| class="wikitable"
|-
|
|-
| 짧은꼬리주머니쥐속
|}
|-
|
{| class="wikitable"
|-
! 주머니쥐족
|-
|
{| class="wikitable"
|-
| 갈색네눈주머니쥐속
|-
|
{| class="wikitable"
|-
| 물주머니쥐속
|-
|
{| class="wikitable"
|-
| 족제비주머니쥐속
|-
|
|}
|}
|}
|-
! 살찐꼬리쇠주머니쥐족
|-
|
{| class="wikitable"
|-
| 가는주머니쥐속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3. 1. 주머니쥐과 내 계통 분류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은 주머니쥐과 내에서 살찐꼬리쇠주머니쥐족에 속하며, 가는주머니쥐속, 파타고니아주머니쥐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0]다음은 주머니쥐과 내 살찐꼬리쇠주머니쥐족의 계통 분류이다.[20]
{| class="wikitable"
|-
| 가는주머니쥐속
|-
|
|-
|
파타고니아주머니쥐 | 살찐꼬리쇠주머니쥐 |
|}
3. 2.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 내 계통 분류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Thylamys) 내에서는 난쟁이살찐꼬리쇠주머니쥐와 카리미살찐꼬리쇠주머니쥐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다.[21] 이후 여러 종들이 분화되어 현재의 다양성을 가지게 되었다.Thylamys영어 속에 속하는 현존하는 종들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7][8]
종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 †''T. colombianus''
- ''T. fenestrae''
- †''T. minutus''
- †''T. pinei''
- †''T. zettii''
참조
[1]
MSW3
[2]
서적
Mammals of the Neotropics: The Central Neotropics: Ecuador, Peru, Bolivia, Brazi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Marsupials, xenarthrans, shrews, and ba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학술지
Nonmolecular data and new IRBP sequences: separate and combined analyses of didelphine relationships with denser taxon sampling
https://zenodo.org/r[...]
[5]
학술지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relationships of mouse opossums Thylamys (Didelphimorphia, Didelphidae) in southern South America
[6]
학술지
New DNA data from transthyretin nuclear intron suggest an Oligocene to Miocene diversification of living South American opossums (Marsupialia: Didelphidae)
[7]
학술지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2019
[8]
학술지
Phylogeny and evolution of body mass in didelphid marsupials (Marsupialia: Didelphimorphia: Didelphidae)
https://link.springe[...]
2016
[9]
iucn
"''Thylamys citellus''"
2020-01-09
[10]
iucn
"''Thylamys pulchellus''"
2020-01-09
[11]
Fossilworks
"''Thylamys''"
https://paleobiodb.o[...]
[12]
iucn
"''Thylamys fenestrae''"
2020-01-09
[13]
MSW3
[14]
서적
Mammals of the Neotropics: The Central Neotropics: Ecuador, Peru, Bolivia, Brazil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Marsupials, xenarthrans, shrews, and bats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저널
Nonmolecular data and new IRBP sequences: separate and combined analyses of didelphine relationships with denser taxon sampling
http://digitallibrar[...]
2013-08-28
[17]
웹사이트
http://www.iucnredli[...]
[18]
웹사이트
http://www.iucnredli[...]
[19]
웹사이트
http://www.iucnredli[...]
[20]
저널
Phylogeny and evolution of body mass in didelphid marsupials (Marsupialia: Didelphimorphia: Didelphidae)
https://www.research[...]
2016
[21]
저널
Phylogeny and evolution of body mass in didelphid marsupials (Marsupialia: Didelphimorphia: Didelphidae)
https://www.research[...]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