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풀이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풀이춤은 무속 의식에서 액을 풀기 위해 추던 춤으로, 도살풀이라고도 불린다. 무속에서 파생되었으나 무속의 형식이나 동작은 보이지 않으며, 살풀이 장단이라는 독특한 무악 장단을 사용한다. 남도 무무 계통이라는 설이 있으며, 기방 무용으로 계승, 발전되었다. 1934년 한성준이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창립하고 1936년 부민관에서 발표회를 통해 처음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이후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 예술성을 인정받아 계승되고 있다.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이 이 춤을 전문적으로 연희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무용 - 검무
검무는 칼을 들고 추는 한국 전통 무용으로, 부족 사회의 전쟁 및 수렵 무용에서 기원하여 신라 시대 황창랑 고사 설화와 함께 궁중 무용으로 발전, 조선 시대 기생들에 의해 재창조되었으며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무용 -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는 2014년 서울에 설립된 댄스 아카데미로, K-POP 안무 제작 및 유튜브 채널 운영을 통해 2,63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SM, YG, JYP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안무를 제작하고 브랜드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한다. - 대전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전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대전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대전광역시에서 지정한 민속문화재를 의미하며, 법동석장승, 송용억가옥, 무수동산신제 동계첩 등이 있으며, 대덕구, 중구 등에 위치하고 1989년과 2011년에 지정되었다. - 대전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전통 의례, 기술, 음식, 예술 등 무형의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산으로, 기능 보유자나 보존회를 통해 전승되며, 과거 지정되었으나 해제된 경우도 있다. - 대구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구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대구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대구광역시가 지정한 유형 문화재 중 민속 분야의 문화재를 의미하며, 현재 신당동 석장승,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 등 4건이 지정되어 있다. - 대구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고산농악, 날뫼북춤, 하향주, 대고장, 모필장 등을 포함하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계승하며 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에 의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살풀이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살풀이춤 | |
![]() | |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
지정 번호 | 97 |
지정일 | 1990년 10월 10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
전승자 | 이매방, 김숙자 |
문화재청 ID | 12,10710000,11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
지정 번호 | 46 |
지정일 | 2015년 1월 29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
문화재청 ID | 22,00460000,11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
지정 번호 | 9 |
지정일 | 1995년 5월 12일 |
소재지 | 대구광역시 |
문화재청 ID | 22,00080000,31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
지정 번호 | 20 |
지정일 | 2012년 5월 18일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중구 |
문화재청 ID | 22,00200000,25 |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
지정 명칭 | 승무, 살풀이춤 |
지정 번호 | 8 |
지정일 | 1991년 10월 19일 |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
문화재청 ID | 22,00080000,31 |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
지정 명칭 | 호남살풀이춤(동초수건춤, 최선) |
지정 번호 | 15 |
지정일 | 1996년 3월 29일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
문화재청 ID | 22,00150000,35 |
2. 역사
살풀이춤은 한국 사람들이 그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벌였던 굿판에서 무당이 나쁜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으로,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한다. 춤꾼은 고운 쪽머리에 비녀를 꽂고 백색의 치마 저고리를 입으며, 멋스러움과 감정을 한껏 나타내기 위해 하얀 수건을 들고 살풀이 가락에 맞추어 춤을 춘다. 살풀이춤은 살풀이 가락에 맞춰 슬픔을 환희의 세계로 승화시키는 인간의 감정을 아름다운 춤사위로 표현하는 춤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큰 고전 무용이다.
2. 1. 기원과 발전
살풀이춤은 그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벌였던 굿판에서 무당이 나쁜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을 말하며,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한다. 원래 수건춤, 산조춤, 즉흥춤이라는 이름의 수건춤이었으나 1903년에 춤꾼 한성준이 극장 공연에서 '살풀이'란 말을 쓴 데서부터 살풀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지금의 살풀이춤은 경기 지방과 호남 지방에서 계승된 춤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중기 이후 나라가 안정되고 서민 문화가 활발히 전개되면서부터 광대들의 춤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때 굿이 금지되자, 무당들 중 일부가 집단을 만들어 춤을 다듬으면서 점차 예술적 형태를 갖추게 되어 오늘날 한국 춤의 대표로 정착하였다.
살풀이춤은 무속신앙 의식에서 액(厄)을 풀어낸다는 뜻으로, 살(煞)을 푸는 춤으로 일명 도살풀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그 해의 액을 풀기 위하여 굿판을 벌이고 살을 푸는 춤을 추어 왔으므로 무속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나, 무속의 형식이나 동작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음악 중 살풀이 장단이라는 독특한 무악(巫樂) 장단이 있다. 따라서 이 춤은 남도(南道) 무무(巫舞) 계통이라는 설이 있다.
이 춤이 어느 시기에 살풀이춤으로 개칭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문헌상으로는 1934년에 한성준이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창립하고 1936년에 부민관에서 제1회 한성준무용발표회를 하면서 방안춤을 극장 무대에 올려 최초로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 뒤 점차 대중 사이에서 본격적인 살풀이춤이 등장하였으며, 살풀이춤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서 그 예술성을 인정하여 계승되고 있다. 이 춤을 전문적으로 연희해 온 사람으로는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을 들 수 있다.
2. 2. 변천 과정
살풀이춤은 원래 수건춤, 산조춤, 즉흥춤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1903년 춤꾼 한성준이 극장 공연에서 '살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조선 중기 이후 서민 문화가 발전하면서 광대들의 춤으로 발전하였고, 일제강점기 때 굿이 금지되자 무당들이 춤을 다듬어 예술적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1934년 한성준이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창립하고 1936년에 부민관에서 제1회 한성준무용발표회를 하면서 방안춤을 극장무대에 올려 최초로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이후 살풀이춤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서 그 예술성을 인정받아 계승되고 있다.
이 춤은 남도(南道) 무무(巫舞) 계통이라는 설과, 무당들이 살풀이 가락에 맞추어 신(神)을 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춤을 추었으나, 이후 관기(官妓)나 사당패(社堂牌)로 신분이 바뀌면서 기방무용(妓房舞踊)으로 계승·발전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러한 변천과정에서 살풀이춤은 입춤즉흥무, 수건춤 등으로 불리며 보편화된 춤사위가 생성되었고,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이 전문적으로 연희해 왔다.
2. 3. 계승
살풀이춤은 경기 지방과 호남 지방에서 계승된 춤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중기 이후 서민 문화가 활발히 전개되면서 광대들의 춤으로 발전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굿이 금지되자, 무당들이 춤을 다듬으면서 예술적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오늘날 한국 춤의 대표로 정착하였다.살풀이춤은 남도(南道) 무무(巫舞) 계통이라는 설이 있다. 무당들이 살풀이 가락에 맞춰 신(神)을 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춤을 추었으나, 이들이 관기(官妓)나 사당패(社堂牌)로 신분이 바뀌고, 다시 기녀(妓女)로 변화하는 동안 기방 무용(妓房舞踊)으로 계승·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변천 과정에서 살풀이춤은 기방인(妓房人)들에 의해 입춤, 즉흥무, 수건춤 등으로 불리며 보편화된 춤사위가 생성되었다. 1934년 한성준이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창립하고 1936년에 부민관에서 제1회 한성준 무용 발표회를 하면서 방안춤을 극장 무대에 올려 최초로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그 뒤 살풀이춤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서 예술성을 인정받아 계승되고 있다. 이 춤을 전문적으로 연희해 온 사람으로는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을 들 수 있다.
3. 특징
살풀이춤은 나쁜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으로,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수건춤, 산조춤, 즉흥춤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1903년 춤꾼 한성준이 극장 공연에서 '살풀이'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춤꾼은 하얀 수건을 들고 살풀이 곡에 맞춰 춤을 추며, 멋과 감정을 표현한다. 현재 전해지는 살풀이춤은 경기 지방과 호남 지방에서 계승된 춤이다. 조선 중기 이후 서민 문화가 발전하면서 광대들의 춤으로 발전했고, 일제강점기에 굿이 금지되자 무당들이 춤을 다듬어 예술적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살풀이춤은 살풀이 가락에 맞춰 슬픔을 환희로 승화시키는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춤으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고전 무용이다. 무속신앙 의식에서 액을 풀어낸다는 의미를 가지며, '도살풀이'라고도 불린다. 예로부터 굿판을 벌여 살을 푸는 춤을 추었기 때문에 무속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만, 무속적인 형식이나 동작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살풀이 장단이라는 독특한 무악 장단이 있어 남도 무무 계통이라는 설이 있다.
다른 설에 따르면, 처음에는 무당들이 신을 접하기 위해 살풀이 가락에 맞춰 춤을 추었으나, 이후 관기나 사당패로 신분이 바뀌면서 기방 무용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입춤, 즉흥무, 수건춤 등으로 불리며 널리 퍼진 춤사위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1936년 한성준이 무용 발표회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살풀이춤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 인정받아 계승되고 있으며,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이 전문적으로 춤을 춰 온 사람들이다.
4. 의의와 가치
살풀이춤은 살풀이 가락에 맞춰 슬픔을 환희의 세계로 승화시키는 인간의 감정을 아름다운 춤사위로 표현하는 춤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큰 고전 무용이다. 살풀이는 무속 의식에서 액(厄)을 풀어낸다는 뜻으로, 살(煞)을 푸는 춤으로 일명 도살풀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그 해의 액을 풀기 위하여 굿판을 벌이고 살을 푸는 춤을 추어 왔으므로 무속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나, 무속의 형식이나 동작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음악 중에는 살풀이 장단이라는 독특한 무악(巫樂) 장단이 있다. 따라서 이 춤은 남도(南道) 무무(巫舞) 계통이라는 설이 있다.
이 춤은 처음에 무당들이 살풀이 가락에 맞추어 신(神)을 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춤을 추었으나, 뒷날 이들이 관기(官妓)가 되거나 사당패(社堂牌)로 그 신분을 달리 하였고, 다시 사당패가 분화되어 기녀(妓女)로 탈바꿈하는 동안 변화되면서 점차 멋을 부려 아름다움을 보이는 기법으로 변천하여 기방무용(妓房舞踊)으로 계승·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변천과정에서 살풀이춤은 기방인(妓房人)들에 의해 그 호칭이 입춤, 즉흥무, 수건춤 등으로 불리면서 보편화된 춤사위가 생성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한다.
문헌상으로는 1934년에 한성준이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창립하고 1936년에 부민관에서 제1회 한성준무용발표회를 하면서 방안춤을 극장무대에 올려 최초로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 뒤 점차 대중 사이에서 본격적인 살풀이춤이 등장하였으며, 살풀이춤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서 그 예술성을 인정하여 계승되고 있다. 이 춤을 전문적으로 연희해 온 사람으로는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을 들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