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대전광역시가 지정한 무형문화유산을 의미한다. 1989년 웃다리농악을 시작으로, 2016년 대전향제줄풍류까지 총 23개의 종목이 지정되었다. 여기에는 춤, 음악, 공예, 음식, 의례 등 다양한 분야의 전통 기술과 예술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문화유산 - 살풀이춤
    살풀이춤은 무속 의식에서 액을 풀어내는 춤에서 유래되어 한성준에 의해 처음 무대화된 이후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 예술성을 인정받아 계승되고 있으며,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이 대표적인 명인으로 꼽힌다.
  • 대전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전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대전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대전광역시에서 지정한 민속문화재를 의미하며, 법동석장승, 송용억가옥, 무수동산신제 동계첩 등이 있으며, 대덕구, 중구 등에 위치하고 1989년과 2011년에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지정 번호지정: 각 문화재별 지정 번호 참조
해제: 지정 해제된 문화재는 해제 번호 참조
종류무형문화재
지정일각 문화재별 지정일 참조
해제일지정 해제된 문화재는 해제일 참조
설명각 문화재별 설명 참조
소유자각 문화재별 소유자 또는 관리자 참조
소재지각 문화재별 소재지 참조
참고지정 해제된 문화재는 해제 사유 및 관련 정보 참조

2. 지정 목록

1998년 3월 25일 해제 (보유자 사망)제4호유천동산신제중구유천동산신제보존회1997년 1월 9일제5호장동산디마을탑제대덕구장동산디마을탑제보존회1998년 7월 21일제6호불상조각장유성구이진형1999년 5월 26일제7호소목장중구방대근1999년 5월 26일제8호매사냥중구박용순2000년 2월 18일제9호송순주대덕구송순주2000년 2월 18일제9-2호국화주대덕구김정숙2016년 2월 12일제10호연안이씨가각색편중구이만희2000년 10월 31일제11호단청장중구이정오2000년 10월 18일제12호악기장(북메우기)유성구김관식2002년 12월 30일제13호들말두레소리대덕구들말두레소리보존회2002년 12월 30일제14호가곡(여창가곡)중구한자이2002년 12월 30일제15호승무동구송재섭2004년 4월 30일제16호초고장(양중규)동구양중규2007년 3월 23일제17호판소리고법(박근영)중구박근영2008년 4월 11일제18호악기장(가야금/표태선)중구표태선2008년 5월 30일제19호무수동산신제중구2011년 10월 28일제20호살풀이춤중구대전광역시청2012년 5월 18일제21호입춤중구2012년 5월 18일제22호판소리 춘향가중구2013년 3월 15일제23호대전향제줄풍류중구2016년 2월 12일


2. 1. 웃다리농악 (제1호)

웃다리농악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농악이다. 1989년 3월 18일에 지정되었으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216이다. 현재 보유자는 류창열, 송덕수이다.

2. 2. 대전의 앉은굿 (제2호)

1994년 6월 7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대전광역시 중구 대천천서로 849-12에서 전승되고 있으며, 기능보유자는 신석봉이다. 대전의앉은굿은 무당이 앉은 채로 진행하는 굿의 한 형태로, 무속 신앙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특히 충청도 지역 무속 의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2. 3. 상모제작 (제3호, 해제)

농악에 사용되는 모자인 상모(象毛)를 만드는 기술이다. 1996년 3월 27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으나, 1998년 3월 25일에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사망으로 인해 지정이 해제되었다.

2. 4. 유천동산신제 (제4호)

유천동산신제 모습


유천동산신제 柳川洞山神祭한국어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동(유천로 33번길 56)에서 행해지는 산신제이다. 1997년 1월 9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으며, 유천동산신제보존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2. 5. 장동산디마을탑제 (제5호)

장동산디마을탑제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장동 산디마을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탑에 지내는 제사이다. 1998년 7월 21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장동 625-1 산디마을이며, 관리 단체는 장동산디마을탑제보존회이다.

2. 6. 불상조각장 (제6호)

불상조각장(佛像彫刻匠)은 불교 조각의 전통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의미한다. 1999년 5월 26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624이며, 보유자는 이진형이다.

2. 7. 소목장 (제7호)

소목장은 나무를 이용하여 가구나 작은 생활용품 등을 만드는 전통적인 목공예 기술 또는 그 기술을 가진 장인을 말한다. 1999년 5월 26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보유자는 방대근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 단재로 229번길 69이다.

2. 8. 매사냥 (제8호)

매사냥에 사용되는 의 일종.


매사냥은 매를 훈련시켜 사냥하는 전통적인 기술이다. 2000년 2월 18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보유자는 박용순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이다.[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80000,25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매사냥]

2. 9. 송순주 (제9호)

송순주(松筍酒)는 소나무 순을 넣어 빚는 대한민국전통주이다. 2000년 2월 18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대덕구이며, 보유자(관리자)는 송순주이다.

2. 10. 국화주 (제9-2호)

국화를 넣어 빚는 전통주로, 송순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9호)와 함께 대전광역시를 대표하는 술이다. 2016년 2월 12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로 80이며, 기능보유자는 김정숙이다.

2. 11. 연안이씨가각색편 (제10호)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10호이다. 2000년 10월 31일 지정되었다. 연안 이씨 가문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종류의 을 만드는 기술과 그 결과물을 가리킨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로 38번길 35이며, 기능보유자는 이만희이다.

2. 12. 단청장 (제11호)

단청은 궁궐, 사찰 등 전통 목조 건축물에 여러 가지 빛깔로 무늬를 그려 아름답고 장엄하게 장식하는 기술 또는 그 기술을 가진 장인을 말한다.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0년 10월 18일에 지정되었다. 보유자는 이정오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로 38번길이다.

2. 13. 악기장(북메우기) (제12호)

악기장(북메우기)는 을 만드는 전통 기술 또는 그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가리킨다. 2002년 12월 30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보유자는 김관식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295번길 10이다.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20000,25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악기장(북메우기)]

2. 14. 들말두레소리 (제13호)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된 들말두레소리는 농사일을 할 때 부르는 전통 민요이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일동 1682-8이며, 들말두레소리보존회가 관리하고 있다. 2002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2. 15. 가곡(여창가곡) (제14호)

2002년 12월 30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가곡(歌曲)은 한국의 전통 성악곡으로, 특히 여성이 부르는 것을 여창가곡(女唱歌曲)이라고 한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이며, 지정 당시 보유자는 한자이였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가곡(여창가곡)

2. 16. 승무 (제15호)

승무


승무(僧舞)는 2004년 4월 30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 1232이며, 보유자는 송재섭이다.

2. 17. 초고장 (제16호)

2007년 3월 23일 지정되었다. 초고장은 풀이나 짚을 엮어 물건을 만드는 전통 공예 기술 또는 그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의미한다. 보유자는 양중규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동구이다.

2. 18. 판소리고법 (제17호)

판소리를 부를 때 으로 반주하는 장단, 즉 고법 또는 이를 연주하는 기술 및 그 보유자를 의미한다. 2008년 4월 11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보유자는 박근영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254번길 50이다.

2. 19. 악기장(가야금) (제18호)

악기장은 악기를 만드는 전통 기술 또는 그 기술을 가진 장인을 의미하며,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는 특히 가야금을 만드는 기술 및 그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가리킨다. 2008년 5월 30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었다. 樂器匠(伽倻琴/表泰先)|악기장(가야금/표태선)zho으로도 표기한다. 보유자는 표태선이며,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이다.

2. 20. 무수동산신제 (제19호)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9호로, 2011년 10월 28일 지정되었다.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소재지: 운남로 90)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2. 21. 살풀이춤 (제20호)

살풀이춤은 액운을 풀기 위해 추는 한국의 민속춤이다. 2012년 5월 18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이며, 관리 주체는 대전광역시청으로 등재되어 있다.

2. 22. 입춤 (제21호)

입춤은 전통 춤의 기본이 되는 춤사위로, 2012년 5월 18일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이다.




2. 23. 판소리 춘향가 (제22호)

판소리 춘향가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대표적인 판소리 작품으로, 2013년 3월 15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대전광역시 중구이다.

2. 24. 대전향제줄풍류 (제23호)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된 문화유산이다. 2016년 2월 12일에 지정되었으며, 중구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풍류 음악의 한 종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