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 1. 개요
- 2. 지정 목록
- 2.1. 웃다리농악 (제1호)
- 2.2. 대전의 앉은굿 (제2호)
- 2.3. 상모제작 (제3호, 해제)
- 2.4. 유천동산신제 (제4호)
- 2.5. 장동산디마을탑제 (제5호)
- 2.6. 불상조각장 (제6호)
- 2.7. 소목장 (제7호)
- 2.8. 매사냥 (제8호)
- 2.9. 송순주 (제9호)
- 2.10. 국화주 (제9-2호)
- 2.11. 연안이씨가각색편 (제10호)
- 2.12. 단청장 (제11호)
- 2.13. 악기장(북메우기) (제12호)
- 2.14. 들말두레소리 (제13호)
- 2.15. 가곡(여창가곡) (제14호)
- 2.16. 승무 (제15호)
- 2.17. 초고장 (제16호)
- 2.18. 판소리고법 (제17호)
- 2.19. 악기장(가야금) (제18호)
- 2.20. 무수동산신제 (제19호)
- 2.21. 살풀이춤 (제20호)
- 2.22. 입춤 (제21호)
- 2.23. 판소리 춘향가 (제22호)
- 2.24. 대전향제줄풍류 (제23호)
- 참조
1. 개요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대전광역시가 지정한 무형문화유산을 의미한다. 1989년 웃다리농악을 시작으로, 2016년 대전향제줄풍류까지 총 23개의 종목이 지정되었다. 여기에는 춤, 음악, 공예, 음식, 의례 등 다양한 분야의 전통 기술과 예술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문화유산 - 살풀이춤
살풀이춤은 무속 의식에서 액을 풀어내는 춤에서 유래되어 한성준에 의해 처음 무대화된 이후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춤으로 예술성을 인정받아 계승되고 있으며, 이동안, 김숙자, 이매방, 한영숙 등이 대표적인 명인으로 꼽힌다. - 대전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전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대전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대전광역시에서 지정한 민속문화재를 의미하며, 법동석장승, 송용억가옥, 무수동산신제 동계첩 등이 있으며, 대덕구, 중구 등에 위치하고 1989년과 2011년에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 |
지정 번호 | 지정: 각 문화재별 지정 번호 참조 해제: 지정 해제된 문화재는 해제 번호 참조 |
종류 | 무형문화재 |
지정일 | 각 문화재별 지정일 참조 |
해제일 | 지정 해제된 문화재는 해제일 참조 |
설명 | 각 문화재별 설명 참조 |
소유자 | 각 문화재별 소유자 또는 관리자 참조 |
소재지 | 각 문화재별 소재지 참조 |
참고 | 지정 해제된 문화재는 해제 사유 및 관련 정보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