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백안은 동양의 관상학에서 눈의 흰자위가 홍채의 위, 아래, 또는 양쪽에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통적인 관상학에서는 삼백안을 신체적 또는 정신적 불균형의 징후로 간주하여, 알코올 중독, 정신병, 분노와 연관 짓고 사고나 폭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여겼다. 매크로바이오틱 옹호자 조지 오사와는 삼백안 상태를 위험의 징후로 해석했으며, 1965년 저서 《당신들은 모두 삼백안이다》를 통해 이러한 관점을 제시했다. 오사와는 현미와 콩을 중심으로 한 매크로바이오틱 식단으로 삼백안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두리 과학 - 아로마테라피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의 향기를 이용하여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는 요법으로, 프랑스에서 유래되었으며 후각 자극과 피부 흡수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 - 변두리 과학 - 프린지 (드라마)
FBI 요원 올리비아 던햄이 천재 과학자 월터 비숍과 그의 아들 피터 비숍과 함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현상들을 조사하는 프린지 팀의 이야기를 그린 J.J. 에이브럼스 제작의 SF 드라마 《프린지》는 평행 우주, 대체 시간선 등의 설정을 통해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 일본 민속 - 주게무
주게무는 라쿠고 이야기에 등장하는 긴 이름을 가진 아이의 이름이자 이야기 자체를 가리키며, 아이의 장수와 행복을 기원하는 이름으로 인해 다양한 해프닝이 발생하는 이야기이다. - 일본 민속 - 양갱
양갱은 중국에서 유래된 과자로, 일본에서 팥 등으로 재료를 대체하여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고, 한천의 발명으로 널리 퍼졌으며, 한국에 전래되어 다과나 선물용으로 즐겨지고, 무시요칸, 네리요칸, 미즈요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삼백안 | |
---|---|
정의 | |
종류 | 눈의 흰자위(공막)가 삼면에 보이는 눈 |
어원 | 일본어 "三白眼 (さんぱくがん)"에서 유래 |
의미 | 동양의 관상학: 건강 악화, 성격 불균형, 불운의 징조 서양의 믿음: 카리스마, 신뢰성 부족 |
특징 | |
형태 | 윗삼백안: 검은 눈동자가 위로 치우쳐 아래 흰자위가 보이는 눈. 분노, 좌절감, 충동적인 성향으로 여겨짐 아랫삼백안: 검은 눈동자가 아래로 치우쳐 위 흰자위가 보이는 눈. 냉소적, 우울, 지쳐 보이는 인상 |
건강과의 연관성 (의학적 관점) | |
원인 | 눈꺼풀처짐 (안검하수): 눈꺼풀이 처져 눈동자를 덮는 현상. 삼백안을 유발할 수 있음 눈을 크게 뜨는 습관: 눈꺼풀을 과도하게 들어올려 흰자위가 더 많이 보이게 함 |
기타 | |
문화적 의미 | 영화, 만화 등: 특정 캐릭터의 성격이나 운명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관상학적 해석: 개인의 성격, 운명, 건강 상태 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됨 |
2. 역사
삼백안은 동양 전통 관상학에서 유래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의학적 안면 판독에서는 눈을 음(검은색, 홍채와 동공)과 양(흰색, 공막)으로 나누어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도 했다.
2. 1. 동양 전통 관상학에서의 삼백안
중국과 일본의 전통 관상학에서는 눈을 음양의 조화로 보았다. 여기서 음은 검은색 부분인 홍채와 동공을, 양은 흰색 부분인 공막을 의미한다.[3][4] 홍채 아래쪽의 공막이 보이는 것은 신체적 불균형을 나타내는 징후로 여겨졌는데, 알코올 중독자, 마약 중독자, 또는 설탕이나 곡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고 보았다.[3][4] 반대로 홍채 위쪽의 공막이 보이는 것은 정신적 불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신병, 살인, 분노 조절 장애 등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고 여겨졌다.[7] 이러한 삼백안을 가진 사람들은 사고나 폭력적인 사건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고 믿었다.[7]1963년 8월, 매크로바이오틱 옹호자인 조지 오사와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삼백안 상태이기 때문에 큰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5][6] 1965년, 오사와는 윌리엄 더피의 도움을 받아 ''You Are All Sanpaku''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에서 그는 삼백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수천 년 동안 극동 지역 사람들은 이 무서운 질병의 징후를 찾기 위해 서로의 눈을 들여다보았다. 삼백안의 징후는 인간의 전체 시스템(신체적, 생리적, 영적)이 균형을 잃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우주의 질서에 반하는 죄를 지었고, 따라서 그는 아프고, 불행하고, 정신이 나갔으며, 서양에서는 이를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상태라고 부른다. 삼백안의 상태는 사람의 생명이 조기에 비극적인 종말로 위협받고 있다는 자연의 신호이자 경고이다.
오사와는 현미와 콩을 중심으로 하는 매크로바이오틱 식단이 삼백안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7]
2. 2. 조지 오사와와 삼백안
1963년, 매크로바이오틱(장수식) 옹호자인 조지 오사와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삼백안을 보고 그가 큰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5][6] 이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과 관련지어 주목받았다.1965년, 오사와는 윌리엄 더프티와 함께 《당신은 모두 삼백안이다(You Are All Sanpaku)》를 저술하여 삼백안에 대한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삼백안이 신체적, 생리적, 정신적 불균형을 의미하며, 우주의 질서에 어긋나는 죄를 지은 결과라고 주장했다.[7] 또한, 삼백안은 조기에 비극적인 종말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경고라고 설명했다.[7]
오사와는 현미와 콩을 중심으로 한 매크로바이오틱 식단을 통해 삼백안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7]
참조
[1]
논문
The Globalisation of Macrobiotics as Culinary Tourism and Culinary Nostalgia.
https://brill.com/vi[...]
2009
[2]
서적
A Dictionary of Japanese Loanword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7
[3]
뉴스
What Causes Sanpaku Eyes?
https://washingtonci[...]
2016-04-01
[4]
서적
Face Reading in Chinese Medicin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5]
뉴스
Kennedy to Bardot, Too Much Sanpaku
New York Herald Tribune
1963-08-18
[6]
서적
The Book of Macrobiotics: The Universal Way of Health, Happiness, and Peace
https://books.google[...]
Japan Publications
1987
[7]
서적
You Are All Sanpaku
Citadel Press
1965
[8]
웹사이트
三白眼(サンパクガン)とは
https://kotobank.jp/[...]
2019-03-05
[9]
웹사이트
眼瞼下垂について 眼瞼下垂ってなに?どんな症状が起こる?自己診断
https://www.matsuyam[...]
2019-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