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갱은 팥, 설탕, 한천 등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일본의 전통 과자이다. 가마쿠라 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딤섬의 일종이었으나, 육류 섭취를 금하는 불교 문화의 영향으로 팥을 사용한 형태로 변화했다. 17세기에 한천이 개발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양갱이 만들어졌으며, 팥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양갱이 존재한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들어왔으며, 해태제과에서 대중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찰음식 - 단무지
단무지는 동아시아에서 즐겨 먹는 무 절임 반찬으로, 일본에서 유래되어 '다쿠앙'이라고도 불리며 한국에서는 짜장면이나 김밥과 함께 먹는 대중적인 반찬으로, 다양한 맛과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 사찰음식 - 만쥬
만쥬는 가마쿠라 시대에 중국에서 유래되어 일본에 전해진 밀가루 기반의 전통 과자로, 불교 승려에 의해 차 문화와 함께 소개되었으며, 팥 앙금을 기본으로 지역 특산물이나 행사용으로 활용되는 등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발전해 왔다. - 선불교 - 선 (불교)
선은 참선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불교 종파로, 달마 대사에 의해 중국에서 시작되어 이심전심을 중시하며 동아시아 국가로 전파되어 발전했다. - 선불교 - 선종
선종은 견성성불을 핵심 교리로 좌선과 참선을 통해 불성을 발견하여 열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승 불교의 한 종파이다. - 팥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팥 요리 - 젠자이
젠자이는 일본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팥 요리로, 관동, 관서, 큐슈 등 지역에 따라 팥앙금의 종류나 즙의 유무에 따라 구별되며, 불교 용어 또는 신사 의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오키나와에서는 빙수 형태로, 고치현에서는 도미를 넣은 형태로도 존재한다.
양갱 | |
---|---|
요칸 (羊羹) | |
![]() | |
종류 | 와가시 |
국가 | 일본 |
주요 재료 | 한천 설탕 팥소 또는 흰 강낭콩 소 |
영양 정보 | |
종류 | 수양갱 |
에너지 (kJ) | 715 |
수분 (g) | 57.0 |
단백질 (g) | 2.6 |
지방 (g) | 0.1 |
탄수화물 (g) | 40.0 |
나트륨 (mg) | 57 |
칼륨 (mg) | 17 |
칼슘 (mg) | 10 |
마그네슘 (mg) | 8 |
인 (mg) | 23 |
철 (mg) | 0.8 |
아연 (mg) | 0.3 |
구리 (mg) | 0.06 |
망간 (mg) | 0 |
베타카로틴 (ug) | 0 |
비타민 A (ug) | 0 |
비타민 D (ug) | 0 |
비타민 K (ug) | 2 |
티아민 (mg) | 0 |
리보플라빈 (mg) | 0.01 |
니아신 (mg) | 0 |
비타민 B6 (mg) | 0 |
비타민 B12 (ug) | 0 |
엽산 (ug) | 1 |
판토텐산 (mg) | 0.02 |
비타민 C (mg) | 0 |
포화지방 (g) | 0.01 |
단일불포화지방 (g) | 0 |
다중불포화지방 (g) | 0.03 |
섬유질 (g) | 2.2 |
비타민 E (mg) | 1.4 |
기타 정보 | |
설탕도 | 약 70도 |
보관 기간 | 과거에는 2년으로 표시되기도 했으나, 방부제 오해를 우려하여 업계에서는 짧게 표시하는 경향이 있음 |
비상식량 | 비상식량으로 추천 |
2. 역사
양갱은 원래 중국에서 양고기로 끓인 국을 의미했다.[3]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이 금지되면서,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 일본으로 전래될 때 팥이나 보리 가루를 사용한 형태로 바뀌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죽순이 들어간 "쟁(순)/箏(笋)양갱"과 설탕이 들어간 "설탕 양갱"이 기록에 등장하기도 했다.[37]
17세기에 한천이 발명되면서 현대 양갱의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 18세기 후반에는 한천을 사용한 연양갱이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고,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양갱이 개발되었다.[37]
대한민국에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의 연양갱이 전래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해태제과가 양갱을 자체 생산하면서 대중화되었다.
2. 1. 중국의 양갱
원래 양갱(羊羹)에서 양(羊)은 동물 양을, 갱(羹)은 국물을 의미하며, 양고기를 끓인 국을 뜻하는 중국 요리였다.[33] 중국 후이족이 양의 피를 굳힌 선지로 국을 끓였다는 이야기도 있다.[34] 남북조시대 북위의 포로였던 모수지가 '양갱'을 만들어 태무제가 기뻐했다는 기록이 송서에 있으나, 이는 본래 의미인 양고기 국으로 추정된다.[35]2. 2. 일본의 양갱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 중국 송나라에서 유학한 일본 불교 승려들이 차 문화를 일본에 전파하면서 다과를 함께 즐기는 풍습이 시작되었다. 승려들은 딤섬|点心|텐신일본어이라 불리는 간단한 식사도 전래했는데, 庭訓往来|정훈왕래일본어라는 역사책에는 饂飩|우동일본어, 饅頭|만주일본어, 羊羹|양갱일본어이 点心|텐신일본어으로 언급되어 있다.[3] 그러나 당시 일본에 전래된 만주와 양갱은 오늘날의 과자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졌다.일본 문헌에서 ‘양갱’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무로마치 시대 전기(1300년대 후반)에 쓰여진 『정원 왕래』의 “점심” 항목이다. 여기에는 죽순이 들어간 “쟁(순)/箏(笋)양갱”과 설탕이 들어간 “설탕 양갱”이 기록되어 있다.[37] 당시 양갱은 국물과 함께 먹는 음식이었다.[37] 1504년경 무가의 예법서 『식물복용지권(食物服用之巻)』에는 양갱의 솥에서 국물과 건더기가 따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이후 연회 요리와 과자로 변화하면서 국물이 사라진 것으로 추측된다.[37]
오나리(고위신분의 사람들이 외출하는 것) 식단에도 양갱이 등장한다. 에도 시대에 기록된 오나리 식단 기록인 「선부방기록(膳部方記録)」에는 풋콩(팥으로 추측) 가루, 밀가루, 칡가루를 반죽하고 참마나 호두 등을 넣어 찐 양갱이 기록되어 있다. 설탕이나 국물 유무는 기록되지 않았다.[37]
1500년대 중반 다도가 성행하면서 양갱은 '과자'로서 다회에서 제공되었다. 그러나 당시 다과회에서는 단 음식 외에 술안주도 나왔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단 양갱이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37] 1589년(덴쇼 17년)에 야마시로국 후시미 쿠고(九郷)의 쓰루야 5대째 오카모토 젠우에몬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양갱을 헌상했다는 설[37]도 있지만, 명확한 사료는 없다.
에도 시대 초기에 발행된 『일포사서(日葡辭書)』에는 ‘갱(羹, カン)’, ‘양갱(羊羹)’, ‘설탕 양갱(砂糖羊羹)’이 기록되어 있다. “갱”은 “콩이나 밀과 조당(흑설탕) 또는 설탕 과로 만드는, 일본의 단 과자의 일종”, “양갱”은 “콩에 흑설탕 또는 설탕을 섞어, 반죽으로 만든 음식”, “설탕 양갱”은 “콩과 설탕으로 만든, 달콤한 판과자(양갱)의 일종”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 보아 양갱과 설탕 양갱은 모두 밀가루를 사용한 찐 과자였으며, 양갱은 흑설탕, 설탕 양갱은 상등한 백설탕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37]
에도 시대에는 찐 반죽을 절구로 쳐서 성형하거나 틀에 넣어 찌는 두 가지 제법이 있었다. 도라야 문고(虎屋文庫) 『요칸(ようかん)』에서는 무로마치 중기의 무가 고실서 삼의일통대쌍지(三議一統大双紙)』에 그려진 쓰하마(州浜)형의 것이 양갱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며, 전자가 오래된 제법이고 후자가 나중에 고안된 간이 제법으로 추정한다. 현재 양갱의 이미지에 가까운 직육면체 양갱이 그려진 가장 오래된 사료는 1688년의 『정훈왕래도찬(庭訓往来図讃)』이다.[37]
18세기 후반, 한천을 사용한 연양갱(煉羊羹)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찐 양갱이 주류였다. 연양갱은 관정(1789년-1801년) 초기에 에도혼초(江戸本町)의 「베니코야시즈미가쿠(紅谷志津磨)」라는 가게나 키타로(喜太郎)라는 인물이 니혼바시에서 판매했다는 설이 유명하지만,[37] 마에다 하루나가의 『대양공일기(大梁公日記)』 1773년 10월 12일 조에 「네리야우칸(ねりやうかん)」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어, 연양갱의 탄생은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7]
식감이 좋고 보존성이 뛰어난 연양갱은 에도에서 인기를 얻어 수십 년 안에 지방 과자점에도 제법이 퍼졌다. 1841년의 과자제법서 『과자 이야기 후나바시(菓子話船橋)』나 1849년의 『국가명물목록(諸国名物一覧)』의 기록을 통해 1800년대 중반에는 찐 양갱 대신 연양갱이 주류가 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38] 유자, 귤, 참깨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양갱도 등장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국내 산업 발전 촉진과 교통망 발달로 각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양갱이 개발되었다.[37]
1937년에는 고무 풍선 안에 채운 옥양갱(玉羊羹)이 등장했다. 이는 일본 육군의 지시로 후쿠시마현 니혼마츠시(二本松市)의 화과자점 「타마시마야(玉嶋屋)」가 전장의 병사에게 보내는 위문용 과자로 개발한 것이다.[37] 그 외에도 청죽(푸른 대나무)을 사용한 제품, 플라스틱제 통형 용기(압출 용기), 간편 개봉 가능한 작은 종이상자, 자른 양갱에 설탕을 묻힌 사탕형 패키지 등 다양한 포장·용기가 사용되었다.
현재는 여러 식품이 첨가된 양갱이 각지 특산품이나 차에 곁들여 내는 과자로서 사랑받고 있으며, 고칼로리 특성을 살려 스포츠용 영양 보급 식품 등으로도 활용된다.


2. 3. 한국의 양갱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걸쳐 일본에서 연양갱이 들어왔고, 이것이 한국에 그대로 정착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일본인이 운영하다 버려진 양갱 공장을 인수하여 창업한 해태제과에서 연양갱을 자체 제조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4년 2월에는 가수 비비가 밤양갱이라는 제목의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3. 종류
일본에서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양갱을 여러 종류로 나눈다. 크게 무시요칸, 네리요칸, 미즈요칸으로 나뉘는데, 무시요칸은 팥과 녹말을 섞어 쪄서 만들고, 네리요칸은 설탕, 한천, 팥을 섞어 졸여 만든다. 미즈요칸은 네리요칸과 비슷하나 수분과 염분이 많고 설탕이 적다.[24]
팥소 외에 흰 팥소를 사용한 양갱도 있으며, 녹차 가루를 넣어 맛과 색을 내기도 한다. 다진 밤, 감, 통단팥, 무화과, 고구마 등을 넣거나, 설탕 대신 꿀, 흑설탕, 당밀을 사용하기도 하고, 소량의 소금을 넣은 시오 양갱도 있다.[24]
3. 1. 일본의 양갱 분류
일본에서 양갱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무시요칸, 네리요칸, 미즈요칸 등으로 나뉜다.- 무시요칸(蒸し羊羹|무시요칸일본어, 증양갱): 팥과 녹말(밀가루 또는 쌀가루)을 섞어 쪄서 만든다. 수분이 많고 당분이 적어 유통기한이 짧다.[24]
- 네리요칸(練り羊羹|네리요칸일본어, 연양갱): 설탕, 한천, 팥을 섞어 졸인 후 굳혀 만든다. 수분이 적고 당도가 높아 유통기한이 길다. 오늘날 대부분의 양갱은 연양갱이며, 한국에서 판매되는 양갱도 거의 이 종류이다.[24]
- 미즈요칸(水羊羹|미즈요칸일본어, 물양갱): 연양갱과 만드는 방법은 같지만, 수분과 염분이 많고 설탕량이 적다. 물에 한천을 녹인 후 설탕과 팥을 섞어 굳혀 만든다. 차갑게 식혀서 먹는다.[24]
팥를 사용한 양갱 외에도 흰 팥소(しろあん|시로안일본어, 白餡)를 사용한 양갱도 있다. 이 양갱은 우유빛이 돌고 반투명하며, 녹차 가루를 넣어 맛과 색을 내기도 한다. 다진 밤, 감, 통단팥, 무화과, 고구마 등을 넣거나, 설탕 대신 꿀, 흑설탕, 당밀을 사용하기도 하고, 소량의 소금을 넣은 시오 양갱도 있다.
1937년에는 고무 풍선 속에 넣은 구형 양갱(玉羊羹)이 등장했는데, 이는 전쟁터 병사들에게 보내는 위문용 과자로 개발된 것이다.[25] 그 외에도 쪼갠 왕대를 사용하거나 플라스틱, 종이 원통형 용기, 간편 개봉 종이 상자, 자른 양갱에 설탕을 묻힌 캔디 형태 등 다양한 포장 방식이 개발되었다. 재해용 비상식량으로 사용되는 제품도 있다.
현재는 여러 식품을 섞은 양갱이 선물용이나 다과로 이용되며, 고급 양갱은 막대 모양으로 잘라 먹고, 한입 크기로 소포장된 제품도 있다. 고칼로리라는 점을 활용하여 스포츠용 영양 보충 식품으로도 활용된다.
뎃치요칸(丁稚羊羹|뎃치요칸일본어)은 주로 서일본의 간사이 지방에서 저렴한 양갱(주로 물양갱)을 부르는 명칭이다. 팥과 설탕을 줄여 만든, 묽은 형태의 물양갱을 가리킨다.[26] 뎃치요칸이라는 이름은 "丁稚"(근대 이전 상점 종업원)가 고향에 돌아갈 때 선물이나 간식으로 가져간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3. 2. 지역별 특색 양갱
후쿠이현을 비롯한 동북, 호쿠리쿠, 관동, 킨키 등 일본 전역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에 수양갱을 먹는 풍습이 있다.[22] 이들 지역에서는 한천을 사용해 수분이 많고, 煉羊羹(련양갱)에 비해 저렴하며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수양갱을 즐겨 먹었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는 수분이 많고 설탕이 적은 과자는 상하기 쉬웠기 때문에 겨울에 만드는 것이 합리적이었다.[22]도치기현을 비롯한 관동, 호쿠리쿠 일부 지역에는 수양갱을 오세치 요리(御節料理)로 먹는 풍습이 현재까지 남아있다.[22] 과거에는 도쿄도를 포함해 일본 전역에서 이러한 풍습이 일반적이었으나 (일부 지역 제외),[23] 현재는 정월 음식으로서의 풍습도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23]
간사이 지역에서는 틴치양갱(丁稚羊羹)이라 불리는 저렴한 양갱이 존재한다.[24] 틴치양갱은 팥과 설탕을 줄여 팥 국물처럼 부드러운 형태로 만든 수양갱의 일종이다.[24] 煉羊羹이 등장하면서 찐 양갱은 "하급품"으로 여겨졌고, 간사이 지방에서는 틴치양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25]
틴치양갱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팥과 설탕을 줄인 팥 국물에 '데치루(でっちる, 반죽하다)'라는 의미가 더해져, '데치(丁稚, 근대 이전 상점 종업원)'라는 미숙한 의미가 겹쳐졌다는 설이다.[26] 두 번째는 틴치가 고향에 돌아갈 때 선물이나 간식으로 가져갔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26]
4. 재료
양갱은 팥, 흰강낭콩, 밤, 고구마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녹차(말차), 홍차, 커피 등을 흰 앙금에 섞거나, 된장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긴토키마메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껍질에 색소가 있어 팥소의 연한 색으로 완성된다. 호두, 깨, 감자, 호박, 감, 무화과, 박하(향료), 소금(소금 양갱)을 사용하기도 하며, 머위를 사용한 양갱도 있다. 이 외에도 아스파라거스 등의 채소, 사과 등의 과일을 섞어 다양한 맛의 양갱을 만들 수 있다.
4. 1. 주요 재료
- '''팥''': 앙금으로 만들거나, 통팥을 넣어 식감을 살리기도 한다. 다이나곤 팥을 사용한 오구라 양갱(小倉羊羹)이 대표적이다.
- '''흰강낭콩''': 흰 앙금을 만들어 사용하며, 식용 색소를 넣어 홍백 양갱을 만들기도 한다.
- '''밤''': 찐 밤이나 조린 밤을 넣어 밤 양갱을 만든다.
- '''고구마''': 으깬 고구마를 앙금으로 사용한 고구마 양갱이 있다.
- '''기타''': 녹차, 홍차, 커피, 된장, 호두, 깨, 감, 무화과, 박하, 소금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5. 제법
(연양갱 기준) 한천 가루를 물에 불린 후, 설탕과 팥소를 넣고 끓인다. 물엿을 넣고 걸쭉해질 때까지 저어준 후 틀에 붓고 굳힌다.[3][4][5][6]
# 한천가루를 물과 함께 냄비에 넣고 15분간 불린다.
# 중불에 가열해 한천가루가 녹으면 설탕을 넣는다.
# 팥소를 넣어 잘 풀어준다.
# 10분간 눌러붙지 않게 젓고 물엿을 푼다.
# 틀에 밤을 넣고 양갱액을 넣고 굳힌다.
# 다 굳으면 먹기 좋게 자른 후 먹는다.
6. 기타
양갱과 관련된 기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련 내용 |
---|
양갱색은 검정색 옷 등이 색이 바래 붉은 빛을 띠는 것을 말한다.[28] |
토라야의 대표 상품으로 "팥 양갱 밤의 매화(등록상표)"가 가장 유명하다. 팥알이 밤하늘에 핀 흰 매화꽃처럼 보인다고 하여 "밤의 매화"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에는 "구슬과 랍석의 잡종과 같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양갱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말이다. "어떻게 보아도 하나의 예술품이다"라는 묘사가 이어진다. |
양갱은 칼로리가 높아 스포츠용 영양 보충 식품으로도 활용된다. |
6. 1. 양갱과 관련된 문화
참조
[1]
웹사이트
Yokan—A Sweet that Evolved while Being Nurtured by Japan's Culture and Climate
https://shun-gate.co[...]
[2]
웹사이트
栗子羊羹
http://wenwen.soso.c[...]
[3]
웹사이트
https://www.ndl.go.j[...]
National Diet Library
2024-02-22
[4]
웹사이트
https://www.wagashi.[...]
Japan Wagashi Association
2024-02-22
[5]
웹사이트
https://www.kaiundo.[...]
Kaiundo
2024-02-22
[6]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Digitalio, Inc.
2024-02-22
[7]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8]
뉴스
ようかん変身新商品
http://mytown.asahi.[...]
朝日新聞社
2011-10-06
[9]
웹사이트
防災のプロが教える! オススメ非常食と“備え”の極意
https://myhomemarket[...]
日本ユニシス
2019-11-13
[10]
웹사이트
羊羹はランニング中のエネルギー補給に最適
https://hashirou.com[...]
2022-08-07
[11]
서적
国語の中に於ける漢語の研究
{{NDLDC|1219590/91}}
宝文館
[12]
서적
和菓子と日本茶の教科書
新星出版社
[13]
서적
宋書 毛脩之列伝
[14]
웹사이트
和菓子の羊羹にはなぜ「ひつじ」がいる?「とらや」に聞いてみました
https://precious.jp/[...]
2024-11-10
[15]
웹사이트
羊かん
https://kotobank.jp/[...]
[16]
서적
史料に見る煉羊羹・蒸羊羹の呼称について
虎屋文庫
[17]
웹사이트
美濃屋太郎左衛門(みのや・たろうざえも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1-11
[18]
논문
寒天の起源についての一考察
日本風俗史学会
1977-03
[19]
웹사이트
株式会社タニチ(寒天の由来・歴史)
http://www.tanichi.j[...]
2024-11-11
[20]
웹사이트
村岡総本舗 羊羹資料館
http://www.m-youkans[...]
[21]
웹사이트
「ういろう」や「羊羹(ようかん)」との違いは? 夏の和菓子「水羊羹」とは
https://weathernews.[...]
2024-11-10
[22]
웹사이트
ふるさとの味とちぎのあじ栃木県
http://www.pref.toch[...]
[23]
웹사이트
https://note.com/jkm[...]
[24]
웹사이트
https://note.com/jkm[...]
[25]
웹사이트
羊かん
https://kotobank.jp/[...]
2023-09-16
[26]
웹사이트
https://www.maff.go.[...]
[27]
웹사이트
棹菓子
https://kotobank.jp/[...]
2023-09-16
[28]
웹사이트
羊羹色
https://kotobank.jp/[...]
2023-09-16
[29]
뉴스
ようかん変身新商品
http://mytown.asahi.[...]
朝日新聞社
2011-10-06
[30]
웹인용
防災のプロが教える! オススメ非常食と“備え”の極意
https://myhomemarket[...]
日本ユニシス
2019-11-13
[31]
웹사이트
羊羹はランニング中のエネルギー補給に最適
https://hashirou.com[...]
2022-08-07
[32]
서적
国語の中に於ける漢語の研究
{{NDLDC|1219590/91}}
宝文館
[33]
서적
和菓子と日本茶の教科書
新星出版社
[34]
웹사이트
감각 디저트 3: 일본의 밤을 넣은 양갱
http://www.design.co[...]
[35]
서적
宋書 毛脩之列伝
[36]
웹인용
양갱 속엔 양이 없다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21-03-19
[37]
웹사이트
羊かん
https://kotobank.jp/[...]
[38]
간행물
史料に見る煉羊羹・蒸羊羹の呼称について
虎屋文庫
20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