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 (명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원(上元)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명절을 가리킨다. 한국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상원이라고 부르며, 달을 숭배하고 풍요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마을 제사, 오곡밥, 귀밝이술, 달집태우기 등의 세시 풍속이 행해진다. 중국에서는 콩죽을 끓여 문에 제사하고, 등불을 밝히며, 원소와 탕위안을 먹는 풍습이 있다. 일본에서는 '고쇼가츠'라고 불리며 팥죽을 먹고, 풍년을 기원하는 농업 관련 행사와 가정을 위한 행사가 중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원 (명절) - 정월 대보름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달을 보며 풍요를 기원하고 부럼 깨기, 오곡밥 먹기 등 다양한 풍속과 놀이를 즐기는 한국의 명절이다. - 상원 (명절) - 원소절
원소절은 중국의 정월대보름에 지내는 중요한 명절로, 등불을 밝히는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며, 가족의 화목과 행운을 기원하며 등불 감상, 탕원/원소 섭취, 민속놀이 등의 풍습이 현대까지 이어져 공동체 의식 강화와 전통문화 계승의 의미를 가진다. - 중국의 명절 - 춘절
춘절은 중국의 가장 중요한 명절이자 한국의 설날에 해당하며, 4,0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다양한 풍습과 함께 발전해 왔고,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도 기념되며, 가족들이 모여 새해의 행복을 기원하는 시기이다. - 중국의 명절 - 청명절 (중국)
청명절은 중국의 전통 명절로, 춘분 이후 4월 5일경에 조상 숭배와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하며, 성묘 제도화 이후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현대에는 다양한 추모 방식이 나타나며 여러 화교 공동체에서도 기념한다. - 일본의 명절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일본의 명절 - 히나마쓰리
히나마쓰리는 매년 3월 3일에 일본에서 여자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 히나 인형을 장식하고 특별한 음식을 먹는 축제로, 모모노세쿠라고도 불리며 히나카자리가 중심이 되고 나가시비나, 쓰루시비나 등 지역적 풍습도 존재하며 현대 일본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상원 (명절) | |
---|---|
상원 (정월 대보름) | |
공식 이름 | 상원 (上元) |
다른 이름 | 원소 (元宵) 원월 (元月) 원석 (元夕) 원야 (元夜) 원절 (元節) 정월 대보름 |
기념 장소 | 한국 중국 베트남 일본 |
상징색 | 해당 없음 |
형태 | 전통 문화 행사 |
중요도 | 농사 시작일 |
날짜 | 음력 1월 15일 |
축제 | 다리밟기 |
행사 | 해당 없음 |
관련 | 해당 없음 |
![]() | |
개요 | |
설명 | 한국, 중국, 베트남, 일본 등에서 음력 1월 15일에 기념하는 전통 문화 행사.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님. |
풍속 | |
한국 | 다리밟기 등의 풍속이 전해 내려옴. |
관련 서적 | |
참고 문헌 | 이명련, "한·중 세시풍속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6.8 김지영, "韓·中名節文化比較硏究", 경기대학교, 2007 |
기타 | |
비고 | 정보가 부족하여 더 많은 내용을 추가할 수 없음. |
2. 한국의 풍습
한국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상원이라고도 부르며, 설과 같이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겨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1]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으며, 농업, 어업, 산림 등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유한 음력 설을 기념하는 풍습이 남아있는 지역도 있다.[1]
음력 1월 15일에는 오곡밥이나 약식과 같은 특별한 음식과 귀밝이술과 같은 특별한 술을 마시기도 하며, 달집태우기와 비슷한 "달집 태우기" 풍습이 있다.[1]
2. 1. 세시 풍속
한국에서는 달을 음(陰)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보았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다.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한국에서는 대보름을 설과 같은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다. 전남 해남의 도둑잡이굿, 전남 완도 장보고당제, 전남 보성 벌교갯제, 충남 연기 전의장승제, 전북 고창 오거리당산제, 경북 안동 도산부인당제, 경북 안동 마령동별신제, 강원도 삼천 억던 남근제, 전북 김제 마현당제가 있다.[1]정월 대보름에는 한국에서 동제(마을 제사)가 치러지며, 농업, 어업, 산림 각각 고유의 음력 설을 기념하는 풍습이 남아있는 지역이 있다.[1]
음력 1월 15일은 "대보름" 또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표현된다. "오곡밥(다섯 가지 잡곡밥)"이나 약식과 같은 특별한 음식과 "귀밝이술"과 같은 작은 설날만의 특별한 술을 마시기도 하며, 달집태우기와 비슷한 "달집 태우기" 풍습이 있다.[1]
2. 2. 마을 공동체 의례
한국에서는 달을 음(陰)으로 보아 여성으로 여겼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믿었다.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한국에서는 대보름을 설과 같은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다. 이를 동제(洞祭)라고 한다.정월 대보름에는 농업, 어업, 산림 등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유한 음력 설을 기념하는 풍습이 남아있는 지역이 있다.
다음은 각 지역의 마을 공동체 의례(동제) 목록이다.
지역 | 마을 공동체 의례(동제) |
---|---|
전남 해남 | 도둑잡이굿 |
전남 완도 | 장보고당제 |
전남 보성 | 벌교갯제 |
충남 연기 | 전의장승제 |
전북 고창 | 오거리당산제 |
경북 안동 | 도산부인당제, 마령동별신제 |
강원도 삼척 | 억던 남근제 |
전북 김제 | 마현당제 |
중국에서는 상원에 콩죽을 만들어 문에 제사지내고, 아이들은 폭죽을 터뜨린다. 정월 대보름을 전후한 밤에는 화려하게 그림이 그려진 등불을 밝힌다. 중화권에서는 음력 1월 15일(원소절)에 원소・탕위안을 먹는다.[1]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이나 "약식"과 같은 특별한 음식과 "귀밝이술"과 같은 설날의 특별한 술을 마시기도 하며, 달집태우기와 비슷한 "달집 태우기" 풍습이 있다.[1]
3. 중국의 풍습
3. 1. 세시 풍속
4. 일본의 풍습
일본에서는 설날(또는 설날부터 1월 7일까지)을 큰 설이라고 부르는 것에 반해, 1월 15일의 작은 설은 '고쇼가츠(小正月)'라고도 불리며,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있다. 원래는 음력으로 지냈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양력으로 지내는 경우가 많다. '작은 설', '두 번째 설', '젊은 설', '여성 설', '꽃 설', '되돌아온 설', '돌아온 설' 등으로도 불린다.
2023년 2월 20일, 자민당의 "보수 단결의 회"는 전국 각지의 축제나 연중 행사를 보존·계승하기 위해 작은 정월인 1월 15일을 휴일로 지정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이 결의는 아카이케 노리아키 정조 부회장 등이 야마모토 사콘 문부과학 정무관에게 전달했다.[12]
4. 1. 세시 풍속
고쇼가츠(小正月)라고도 불리며, 팥죽을 쑤어 먹는다. 원래는 음력으로 지냈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양력 1월 15일에 지내는 경우가 많다.[4] '작은 설', '두 번째 설', '젊은 설', '여성 설', '꽃 설'[2], '되돌아온 설', '돌아온 설'[2]이라고도 불린다.과거에는 이 작은 정월까지가 마츠노우치였는데,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의 명령으로 1월 7일의 오쇼가츠까지로 정해졌지만, 간토 지방 이외에는 널리 퍼지지 않았다.
이 날 아침에는 팥죽을 먹는 습관이 있었다. 이른 아침에 먹는 데서 "아카츠키 죽", 팥의 색깔에서 "홍조(운조) 죽", "벚꽃 죽"이라고도 불렸다.[7] 과거에는 『토사일기』나 『베개책』 등에도 작은 정월에 팥죽을 먹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토호쿠 지방의 농촌 등에는 사기초 전에 팥죽을 먹는 습관이 남아 있는 지역이 있다.[7] 이러한 지역에서는 정월 초하루부터 작은 정월 기간 중에 팥(또는 짐승 고기를 포함한 붉은색을 띤 식품 전반)을 먹는 것이 금기시되는 경우가 많다.
누에고치를 만들어 양잠의 풍년을 예측하거나, "도구의 연말"이라 하여 농기구의 미니어처를 만들어 풍년을 기원하는 습관이 남아 있는 지역도 있다. 군마현 미도리시 히가시마치 사야토 지구에서는, 작은 정월을 축하하는 오오보쿠(大朴), 가유카키보(粥掻棒), 하라미바시(孕箸), 어도 대소 2자루, 채배, 타이코노코즈치, 카키바나(掻花), 쥬로쿠텐진(十六殿神), 카키바나 십이신장 등의 장식으로 풍년과 가내의 발전을 기원한다.[8]
토시가미나 조령을 맞이하는 행사가 많은 오쇼가츠에 비해, 작은 정월은 풍작 기원 등의 농업과 관련된 행사나 가정적인 행사가 중심이 된다. 원래는 인일까지 부뚜막을 쉬게 해야 하는 마츠노우치에, 바쁘게 일한 주부를 위로하는 의미로, 여자 정월이라고 하는 지방도 있다.[9] 장소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 대신 요리 등의 가사를 하는 날로 여겨진다.
과거에 원복 의식을 작은 정월에 행했다는 것에서, 1월 15일은 성인의 날이라는 국민의 공휴일이 되었다.[10] 그러나, 그 이름으로부터 작은 정월과의 관련성을 알기 어렵고, 또한, 고도 경제 성장기 이후의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작은 정월 자체가 친숙함이 옅어진 것도 있어, 2000년부터 성인의 날은 1월 제2 월요일[11]로 변경되었다.
작은 정월의 행사로, "사기초"(돈도야키), "줄다리기"[13], "죽점"[14] 등이 행해지는 지역이 있다.[10]
4. 2. 여성 정월
한국에서는 달을 음(陰)으로 보아 여성으로 여긴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다.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한국에서는 대보름을 설과 같은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다. 전남 해남의 도둑잡이굿, 전남 완도 장보고당제, 전남 보성 벌교갯제, 충남 연기 전의장승제, 전북 고창 오거리당산제, 경북 안동 도산부인당제, 경북 안동 마령동별신제, 강원도 삼천 억던 남근제, 전북 김제 마현당제가 있다.[7]4. 3. 성인의 날
과거에 원복 의식을 작은 정월에 행했다는 것에서, 1월 15일은 성인의 날이라는 국민의 공휴일이 되었다[10]。그러나 그 이름으로부터 작은 정월과의 관련성을 알기 어렵고, 또한 고도 경제 성장기 이후의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작은 정월 자체가 친숙함이 옅어진 것도 있어, 2000년부터 성인의 날은 1월 제2 월요일[11]로 변경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小正月」 -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小学館
[2]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3]
웹사이트
小正月
http://100.yahoo.co.[...]
小学館
2013-05-01
[4]
웹사이트
小正月とは?
http://www.bunka.pre[...]
岩手県
[5]
간행물
年中行事事典
東京堂出版
1958-05-23
[6]
서적
荊楚歳時記
平凡社
[7]
웹사이트
1月の行事食レシピ
http://recipe.biowea[...]
バイオウェザー
2019-01-16
[8]
웹사이트
小夜戸小正月飾り
https://www.city.mid[...]
群馬県みどり市
2018-08-07
[9]
웹사이트
いわての正月・小正月
http://www.bunka.pre[...]
岩手県
2019-01-15
[10]
웹사이트
小正月
http://www.jinjacho-[...]
大阪府神社庁
2019-01-16
[11]
문서
1月15日になる可能性がある第3月曜日ではなく可能性のない第2月曜日が新しい成人の日となったのは、阪神・淡路大震災の1月17日を祝日にするのを避けたためである。
[12]
웹사이트
1月15日を休日に 保守派「伝統継承の日」提唱―自民
https://www.jiji.com[...]
JIJI.com
2023-02-20
[13]
웹사이트
綱引神事
http://www.jinjacho-[...]
大阪府神社庁
2019-01-16
[14]
웹사이트
粥占神事
http://www.jinjacho-[...]
大阪府神社庁
2019-01-16
[15]
웹사이트
韓国のテボルム(Konest)
https://www.konest.c[...]
[16]
웹사이트
食べ物と風習でみる韓国の小正月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japanese.kore[...]
大韓民国文化体育観光部
2011-02-17
[17]
서적
한·중 세시풍속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6-08
[18]
서적
韓·中名節文化比較硏究
경기대학교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