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갑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갑호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출신으로, 일본에서 섬유 산업에 종사하며 부를 축적한 사업가이다. 일본에서 사카모토방직을 설립하고,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 부지를 기증했으며, 한국으로 돌아와 방림방직을 설립하여 한국 방직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부정 축재 의혹을 받기도 했으며,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산업 발전 및 해외 시장 개척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주일 한국 대사관 신축 부지 무상 기증 공적을 기려 대사관에 그의 이름을 딴 동명실이 개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탑산업훈장 수훈자 - 정병휴
    정병휴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교육자, 행정가로서, 미시경제학을 국내에 처음 도입하여 이 분야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고, KDI 이사장, 한국경제학회 회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조선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과 사회 공헌에 기여했다.
  •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자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자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서갑호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인 정보
한글 이름서갑호
한자 이름徐甲虎
가타카나 이름ソ・ガポ
로마자 표기Seo Gap-ho
기본 정보
출생일1915년 3월 21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울산군
사망일1976년 11월 22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삼청동
국적대한민국
본관달성
성별남성
직업 및 활동
가족 정보
기타 정보
상훈
상훈 내역동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모란장
국민훈장 동백장

2. 생애

서갑호는 1914년 3월 21일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삼남면(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에서 태어났다.[3] 언양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29년 일본으로 건너가 여러 직업을 거치며 섬유 산업 경험을 쌓았다.[3]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군수 물자 거래로 부를 축적하여 섬유 공업에 진출했고, 1948년 오사카부에서 사카모토방직(阪本紡績일본어)을 설립하여 한국 특수를 통해 사업을 성장시켰다.[3]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발효 이후, 김용식 당시 주일대표부 공사의 요청으로 도쿄 미나토구 아자부주반에 있던 주일 덴마크 공사의 저택(과거 마쓰가타 마사요시의 저택)을 매입하여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 청사로 임대했다.[4] 1962년에는 이 부지와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했으며,[3]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 내 투자를 본격화했다. 1963년 한국산업은행이 관리하던 태창방직주식회사를 인수하여 판본방직주식회사(阪本紡績株式会社일본어)를 설립했고, 1967년 회사 이름을 방림방적 주식회사(현 방림)로 변경하며 한국 방직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1] 그러나 1971년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신민당 의원으로부터 부정 축재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3]

삼청동 자택에서 6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5] 묘소는 두 차례 이장을 거쳐 현재 경상북도 영천시 만불사에 있다.[6]

2. 1. 초기 생애 및 일본에서의 성공

1914년 3월 21일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삼남면(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에서 태어났다.[3] 언양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29년에 혼자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는 상점의 점원, 엿장수, 폐품 수집상, 수건 공장의 직원 등 다양한 일을 경험하며 섬유 산업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았다.[3]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군수 물자 거래를 통해 부를 축적했고, 이를 바탕으로 섬유 공업 분야에 진출했다. 전쟁이 끝난 후, 당시 대한민국 정부가 일본에서 귀국하는 한국인들의 재산 반출을 제한했기 때문에, 서갑호는 모은 재산을 한국으로 가져올 수 없어 일본에 남게 되었다. 1948년 오사카부에서 阪本紡績|사카모토 보세키일본어(사카모토방직)을 설립했으며, 한국 전쟁 발발에 따른 경제적 특수를 기회로 삼아 자본을 크게 늘렸다.[3]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된 이후, 당시 주일대표부 공사였던 김용식의 요청을 받았다. 그는 한국은행 도쿄지점에서 필요한 자금을 빌려, 도쿄 아자부주반에 있던 주일 덴마크 공사의 저택(과거 마쓰가타 마사요시의 저택)을 매입했다. 이 건물을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 청사로 임대해주었으며,[4] 1962년에는 이 부지와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무상으로 기증했다.[3][4]

이 기증을 계기로 서갑호는 본격적으로 대한민국 내 투자를 시작했다. 1963년 1월, 한국산업은행이 관리하고 있던 태창방직주식회사를 인수하여 阪本紡績株式会社|사카모토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일본어(판본방직주식회사)를 설립했다. 이후 1967년에는 회사 이름을 邦林紡績株式會社|호린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일본어(방림방적 주식회사, 현 방림)로 변경하며 한국 방직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2. 2. 대한민국 대사관 부지 기증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발효 이후, 김용식의 연락을 받은 서갑호는 한국은행 도쿄지점에서 자금을 빌려 도쿄 미나토구 아자부주반에 위치한 주일 덴마크 공사의 저택(과거 마쓰가타 마사요시의 저택)을 매입했다.[4] 이 부지를 매입한 배경에는 1947년 일본 국적을 박탈당하고 왕족 명부에서도 제외되어 거처가 불안정했던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李垠)에게 거처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었다고 전해진다.[10][7] 서갑호는 매입한 건물을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에 임대했으며,[4] 1962년에는 이 대표부의 부지와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했다.[3] 이 기증은 이후 서갑호가 한국 내 투자를 본격화하는 계기가 되었다.[3]

2. 3. 방림방적 설립과 대한민국 방직 산업 기여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군수 물자 거래로 부를 축적하여 섬유 산업에 진출했다. 전후 대한민국으로의 재산 반출이 제한되자 일본에 남아 1948년 오사카부에서 사카모토 방직(阪本紡績일본어)을 설립하고, 한국 전쟁 중 한국 특수를 통해 자본을 늘렸다.[3]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발효 이후, 김용식의 요청과 한국은행 도쿄지점의 자금 지원을 받아 주일 덴마크 공사의 저택(과거 마쓰가타 마사요시의 저택)을 매입했다. 이 건물을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에 임대했으며,[4] 1962년에는 해당 부지와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하며 본격적인 대한민국 투자를 시작했다.[3]

1963년 1월, 한국산업은행이 관리하던 태창방직주식회사를 인수하여 판본방직주식회사(阪本紡績株式会社일본어)를 설립했다. 이후 1967년에 회사 이름을 방림방적 주식회사로 변경하며 대한민국 방직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 그러나 1971년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신민당 의원으로부터 부정 축재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3]

2. 4. 부정 축재 의혹 및 사망

한국 내에서는 평가가 좋지 않았으며,[3] 1971년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신민당 소속 의원으로부터 부정 축재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3]

이후 삼청동 자택에서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그의 묘소는 두 차례 이장된 끝에 현재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만불사에 안치되어 있다.[6]

3. 수상 경력

날짜내용
1956년 3월 28일산업발전 유공
1960년 8월 25일산업발전 유공
1964년 8월 17일해외시장 개척 공로
1964년 12월 5일척산공로
1967년 11월 30일동탑산업훈장
1967년 12월 30일수출유공
1969년 12월 1일산업발전 유공
1970년 8월 13일한국보건 유공
1971년 4월 19일재일한국인 영주권 획득 유공
1972년 11월 30일외화획득 유공
1973년 5월 18일국민훈장 모란장
1978년 5월 16일국민훈장 무궁화장
2013년 7월 13일주일 한국대사관 신축 부지 무상 기증 공적으로 대사관 1층에 동명실 개관


4. 가족 관계

1914년 현재의 울산광역시에서 서주로(徐珠魯)와 박필원(朴畢願)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밀양 박씨 박외득(朴外得)과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에서 결혼하여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 장녀: 서복남(徐福南)/문자(文子)
  • * 가수 소하타 미쓰루(小畑実)/강영철(康永喆)과 결혼했다.
  • 차녀: 서정남(徐丁南)/정자(貞子)
  • * 이토추 인터내셔널 이사회 의장 겸 최고경영책임자를 역임한 JAY W. CHAI와 결혼했다.
  • 장남: 서상근(徐相根)/사카모토 미노루(阪本実), 후에 사카토시(坂厚整)로 개명했다.
  • 차남: 서상욱(徐相旭)/사카모토 마사루(阪本勝)
  • * 가토화학주식회사 가토 마사오(加藤正男)의 장녀 가토 아키코(加藤秋子)와 결혼했다.
  • 삼녀: 서경남(徐景南)/슈코(秀子)
  • * 간사이흥은(関西興銀)/신한은행의 이희건(李熙健)의 장남 이승재(李勝載)와 결혼했다.
  • 삼남: 서상운(徐相雲)/사카모토 노보루(阪本昇)

5. 기타


  • 아자부주반의 주일 대사관 부지를 구입한 이유는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에게 거처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고 전해진다.[10][7] 영친왕은 1947년 일본 국적을 박탈당하고 왕족 명단에서도 제외되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 한때 일본에서 소득세 납부액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서갑호(徐甲虎) http://encykorea.aks[...] 2022-08-31
[2] 웹사이트 달성 서씨 https://www.joongang[...] 1983-04-23
[3] 논문 日本におけるマイノリティの起業者活動 : 在日一世朝鮮人の事例分析 https://doi.org/10.5[...] 経営史学会 1995
[4] 논문 戦後日韓関係の形成とその経済的側面 : 担い手たちの行動を中心に https://doi.org/10.1[...] 九州大学経済学会 2004-11
[5] 뉴스 22일아침 邦林紡績(방림방적)사장 徐甲虎(서갑호)씨別世(별세) https://newslibrary.[...] 1976-11-23
[6] 웹사이트 만불산 만불사 http://manbulsa.org/[...] 2023-01-09
[7] 뉴스 마지막 황태자 위해 산 땅에 새 한국대사관이…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8] 웹인용 22일아침 邦林紡績(방림방적)사장 徐甲虎(서갑호)씨別世(별세) https://newslibrary.[...] 1976-11-23
[9] 웹인용 달성 서씨 https://www.joongang[...] 1983-04-23
[10] 뉴스 마지막 황태자 위해 산 땅에 새 한국대사관이…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11] 뉴스 도쿄 금싸라기 땅에 駐日 대사관 신축·개관 http://news.naver.co[...] 조선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