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경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경식은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 한국인으로, 작가, 평론가, 그리고 도쿄경제대학 명예교수였다. 그는 1971년, 형들의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으로 구명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재일 한국인, 디아스포라, 난민, 역사 인식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주요 저서로는 『어린이의 눈물』, 『프리모 레비에게의 여행』 등이 있으며, 2012년에는 김대중 학술상을 수상했다. 2023년 12월 18일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경제대학 교수 - 오시이 마모루
    오시이 마모루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및 실사 영화 감독, 각본가, 만화가, 소설가이며, 《우르세이 야츠라 2: 뷰티풀 드리머》, 《공각기동대》 등 독특한 연출 스타일과 철학적 주제를 담은 작품으로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 조선적자 - 아라이 히로후미
    아라이 히로후미는 한국명 박경배로, 2001년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나, 2019년 성폭행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재일 한국인 3세 일본 배우이다.
  • 조선적자 - 가네시로 가즈키
    가네시로 가즈키는 조선학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일본의 소설가이자 각본가이며, 자전적 소설 《GO》로 나오키상을 수상하고 영화화된 작품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 교토시 출신 - 유키노 사츠키
    1992년 데뷔한 일본의 성우 유키노 사츠키는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CD, 내레이션,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0년부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여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교토시 출신 - 서준식
    서준식은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회안전법 폐지 운동을 전개했으며, 《서준식 옥중 서한》을 출간하고 사회주의자임을 선언한 인물이다.
서경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서경식
출생일1951년 2월 18일
사망일2023년 12월 18일
직업저술가 겸 대학 교수
출생지일본 교토부 교토
장르저술
원어 이름徐京植
소속일본 와세다 대학교 전임강사
언어일본어
한국어
친척서승(형)
서준식(형)
활동 기간1974년~2023년
학력일본 와세다 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국적조선
대한민국
작가 정보
사망 장소일본 나가노현 치노시
국적대한민국
모교와세다대학 제1문학부
활동 시기1988년 - 2023년

2. 생애

교토시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1년, 대한민국에서 공부하던 두 형이 서울특별시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다.[11] 당시 서승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과정에, 서준식은 같은 학교 법학과에 다니고 있었다.[11] 그러나 서승은 한 차례 방북 사실 때문에 중앙정보부에 연행되어 1심에서 사형, 2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서준식은 7년형을 선고받았다.[11] 곧바로 체포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어머니와 그들을 돕는 사람들과 함께 구호 활동을 폈다. 1974년 와세다 대학 프랑스 문학과를 나왔지만 형들이 구속상태라 진학을 포기하고 형들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계속한다. 그 사이 어머니는 1980년에 사망했다. 투옥 17년째인 1988년에 서준식이 석방되고 1990년에는 서승도 석방되었다. 장기적인 구호 활동의 경험은 이후의 사색과 문필 활동으로 연결되었다. 인권과 소수 민족을 주제로 한 강연 활동을 많이 펼쳐 왔다. 2000년에 도쿄경제대학 부교수가 되었다.

작가 활동은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그 근원은 형 2명의 구출 활동 경험과 함께,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부터 2년간 대한민국에 머물렀다.

일본인 아버지와 재일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교토시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교 재학 중이던 1971년, 두 형이 유학 중이던 서울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학원 침투 간첩단 사건). 즉시 체포의 부당성을 호소하며 어머니와 지지자들과 함께 구명 활동을 전개했다. 1974년 와세다 대학교 제1문학부 불문학과를 졸업했지만, 여전히 형제가 수감 중이었기에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고 형제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해 활동을 계속했다. 이 활동 중에 어머니를 여의었다.

투옥 17년 만인 1988년에 서준식이 석방되었고, 1990년에는 서승도 석방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구명 활동 경험은 그 이후의 사상과 문필 활동으로 이어졌다. 이 무렵부터 도쿄의 대학 등에서 “인권”이나 “소수자”를 주제로 강의를 했다. 2000년, 도쿄경제대학 현대법학부 조교수에 취임했다. 2009년에 정교수가 되었다. 이후에는 전학 공통교육센터장, 도서관장 등을 역임하고, 2021년에 정년퇴직하여 명예교수가 되었다.[3]

작가로서의 활동은 다양하지만, 그 원점은 두 형의 구출 활동 경험과 함께 재일 한국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있다고 여겨진다. 자서전 『어린이의 눈물 - 어떤 재일 한국인의 독서 편력』(1995년)은 일본 에세이스트 클럽상을 수상했다. 이후, 디아스포라(이산자·난민)를 둘러싼 여러 문제에 대해 다각적인 고찰을 시도하는 저술 활동을 전개했다. 『프리모 레비에게의 여행』(1999년)으로 마르코 폴로상을 수상했다. 이순애는 “서경식의 사상에 결정적으로 결여되어 있는 것은 냉전 붕괴라는 불가역적인 전환점에 대한 인식이다.”라고 하며, 서의 재일 한국인론은 “60년대식 운동론을 형식대로 따라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5]

2004년에는 다카하시 테쓰야 등과 함께 계간 사상 잡지 『전야』(前夜)를 간행하고, 발기인, 편집 위원을 맡았다. 2006년부터 2년간 한국 유학을 다녀왔다. 2011년부터 한국의 신문 한겨레에 “몰락하는 일본의 모습을 보고”하는 연재 ‘일본 통신’을 시작했다.[6]

대한민국에서도 저서 다수가 간행되었다. 대한민국 전남대학교가 수여하는 2012년도 제6회 후광(후광) 김대중 학술상을 수상했다.

2023년 12월 18일, 나가노현 치노시 자택에서 사망했다.[2][7][8] 향년 72세.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서경식은 교토시에서 태어났다.[11]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1년, 대한민국에서 공부하던 두 형이 국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서울특별시에서 구속되었다.[11] 당시 서승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과정에, 서준식은 같은 학교 법학과에 재학 중이었다.[11] 서승은 한 차례 방북 사실 때문에 중앙정보부에 연행되어 1심에서 사형, 2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서준식은 7년형을 선고받았다.[11] 서경식은 즉시 체포의 부당성을 호소하며 어머니와 지지자들과 함께 구명 활동을 전개했다.[11] 1974년, 와세다 대학 제1문학부 불문학과를 졸업했지만, 형제들이 수감 중이었기에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고 형제들의 석방과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11] 이 활동 중에 어머니를 여의었다. 투옥 17년 만인 1988년에 서준식이 석방되었고, 1990년에는 서승도 석방되었다.[11] 장기간에 걸친 구명 활동 경험은 그 이후의 사상과 문필 활동으로 이어졌다.[3]

2. 2. 학창 시절과 형제들의 구속

서경식은 교토시에서 태어났다.[11]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1년, 대한민국에서 유학 중이던 두 형 서승과 서준식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학원 침투 간첩단 사건)[3] 서승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과정에, 서준식은 같은 학교 법학과에 재학 중이었으나, 서승은 한 차례 방북 사실 때문에 중앙정보부에 연행되어 1심에서 사형, 2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서준식은 7년형을 선고받았다.[11]

서경식은 즉시 체포의 부당성을 호소하며 어머니 및 지지자들과 함께 구명 활동을 전개했다.[3] 1974년 와세다 대학 제1문학부 불문학과를 졸업했지만, 형제들이 수감 중이었기 때문에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고 형제들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3] 이 과정에서 1980년 어머니가 사망했다.[11]

투옥 17년 만인 1988년에 서준식이 석방되었고, 1990년에는 서승도 석방되었다.[11][3] 장기간에 걸친 구명 활동 경험은 이후 서경식의 사상과 문필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3]

2. 3. 구명 운동과 민주화 운동

서경식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1년, 대한민국에서 유학 중이던 두 형 서승과 서준식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자, 어머니 및 지지자들과 함께 구명 운동을 전개했다.[11] 1974년 와세다 대학 불문학과를 졸업했지만, 형들의 구속으로 인해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고 형들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 1980년 어머니가 사망하고, 1988년에는 서준식이, 1990년에는 서승이 석방되었다.[11] 장기간의 구명 활동 경험은 이후 서경식의 사색과 문필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인권과 소수 민족을 주제로 한 강연 활동을 많이 펼쳐 왔다.[3]

2. 4. 학문 및 저술 활동

서경식은 교토시에서 태어났다.[11]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1년, 대한민국에서 유학 중이던 두 형 서승과 서준식이 국가 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1] 서경식은 즉시 체포의 부당성을 호소하며 어머니와 지지자들과 함께 구명 활동을 전개했다.[11] 1974년 와세다 대학 프랑스 문학과를 졸업했지만, 형들의 구속으로 인해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고 형들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11]

1988년과 1990년에 각각 형들이 석방된 이후, 서경식은 장기간에 걸친 구명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사색과 문필 활동을 이어갔다.[3] 인권과 소수 민족을 주제로 한 강연 활동을 많이 펼쳐 왔으며, 2000년에는 도쿄경제대학 현대법학부 조교수에 취임했다.[3] 2009년에는 정교수가 되었고, 2021년에 정년퇴직하여 명예교수가 되었다.[3]

작가로서의 활동은 다양하지만, 그 원점은 두 형의 구출 활동 경험과 함께 재일 한국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있다고 여겨진다.[3] 자서전 『어린이의 눈물 - 어떤 재일 한국인의 독서 편력』(1995년)은 일본 에세이스트 클럽상을 수상했다.[3] 이후, 디아스포라(이산자·난민)를 둘러싼 여러 문제에 대해 다각적인 고찰을 시도하는 저술 활동을 전개했다.[3] 『프리모 레비에게의 여행』(1999년)으로 마르코 폴로상을 수상했다.[3] 2004년에는 다카하시 테쓰야 등과 함께 계간 사상 잡지 『전야』(前夜)를 간행하고, 발기인, 편집 위원을 맡았다.

2006년부터 2년간 한국 유학을 다녀왔으며,[6] 2011년부터 한국의 신문 한겨레에 “몰락하는 일본의 모습을 보고”하는 연재 ‘일본 통신’을 시작했다.[6] 한국 전남대학교가 수여하는 2012년도 제6회 후광 김대중 학술상을 수상했다.

2. 5. 한국과의 관계

교토시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1년, 대한민국에서 공부하던 두 형이 서울에서 국가 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다.[11] 당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과정에 있던 형 서승은 1심에서 사형, 2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다니고 있던 또 다른 형 서준식은 7년형을 선고받았다.[11] 곧바로 체포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어머니와 그들을 돕는 사람들과 함께 구호 활동을 폈다. 1974년 와세다 대학 프랑스 문학과를 졸업했지만, 형들이 구속 상태라 진학을 포기하고 형들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계속한다. 투옥 17년째인 1988년에 서준식이 석방되고 1990년에는 서승도 석방되었다.[11] 장기적인 구호 활동의 경험은 이후의 사색과 문필 활동으로 연결되었다. 인권과 소수 민족을 주제로 한 강연 활동을 많이 펼쳐 왔다. 작가 활동은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그 근원은 형 2명의 구출 활동 경험과 함께,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부터 2년간 대한민국에 머물렀다.

2. 6. 사망

2023년 12월 18일, 나가노현 치노시 자택에서 사망했다.[2][7][8] 향년 72세.

3. 주요 저작 및 활동

=== 재일 한국인 문제 ===

서경식은 재일 한국인으로서 겪는 차별과 정체성 문제, 그리고 한국과 일본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담은 글을 발표해 왔다. 그는 저서 『황민화 정책에서 지문날인까지: 재일조선인의 “쇼와 시대사”』, 『분단을 살아가다: “재일”을 넘어서』,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 등을 통해 재일 한국인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특히, 그는 지문날인거부운동을 통해 일본 사회의 차별에 저항하는 재일 한국인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저울에 달아서는 안 된다: 일조 문제를 생각하는 좌표축』에서는 일본과 조선(북한)의 관계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며, 양국 간의 역사적, 정치적 갈등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그는 재일 한국인 문제를 넘어,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된 자의 시선』,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난민의 세기의 묘비명』 등을 통해 난민 문제와 같이 보편적인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소수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012년에는 『재일 조선인이란 어떤 사람인가?』라는 책을 통해 재일 조선인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기도 했다.

=== 디아스포라와 난민 문제 ===

서경식은 디아스포라난민 문제에 대해 깊이 천착해 온 작가이다. 그는 2001년 저서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난민의 세기의 묘비명』에서 난민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었다. 2005년에는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된 자의 시선』을 통해 추방된 자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2002년 저서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 문제를 다루며, 난민 문제와 연관된 복잡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탐구했다.

=== 역사 인식 문제 ===

서경식은 재일 한국인으로서, 황민화 정책부터 지문날인에 이르기까지 재일 조선인의 쇼와 시대사를 다룬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 『저울에 달아서는 안 된다: 일조 문제를 생각하는 좌표축』 등에서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었다.

=== 기타 ===

서경식은 다양한 저서와 공저, 번역서를 통해 재일 조선인의 정체성과 역사, 디아스포라, 식민지주의, 예술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 주요 저서로는 『길고 혹독한 여정』(1988, 2001), 『황민화 정책에서 지문날인까지: 재일조선인의 “쇼와 시대사”』(1989), 『나의 서양 미술 순례』(1991), 『“민족”을 읽다: 20세기의 아포리아』(1994), 『어린이의 눈물: 어느 재일 조선인의 독서 편력』(1995, 1998, 2019), 『분단을 살아가다: “재일”을 넘어서』(1997), 『새로운 보편성을 향하여: 대화집』(1999), 『프리모 레비 여행』(1999, 2014),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난민의 세기의 묘비명』(2001), 『청춘의 사신: 기억 속의 20세기 회화』(2001),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2002), 『저울에 달아서는 안 된다: 일조 문제를 생각하는 좌표축』(2003),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된 자의 시선』(2005), 『밤의 시대에 말해야 할 것: 서울발 “심야 통신”』(2007), 『네 눈을 믿어라!: 통일 독일 미술 기행』(2010), 『식민지주의의 폭력: “말의 우리”에서: 평론집 1』(2010), 『재일 조선인이란 어떤 사람인가?』(2012), 『나의 서양 음악 순례』(2012), 『후쿠시마를 걸으며: 디아스포라의 눈으로』(2012), 『시의 힘: “동아시아” 근대사 속에서: 평론집 2』(2014), 『국경을 넘는 화랑: 나의 조선 미술 순례』(2015), 『저항하는 지성을 위한 19강: 나를 지탱해 준 고전』(2016), 『일본 리버럴파의 몰락: 평론집 3』(2017), 『메두사의 머리: 나의 이탈리아 인문 기행』(2020), 『우즈 강변까지: 나의 영국 인문 기행』(2021), 『서경식: 회상과 대화』(2022) 등이 있다.

타와다 요코(多和田葉子), 한홍구(韓洪九) 등과의 공저, 그리고 서승·서준식의 『서 형제 옥중에서 온 편지』(1981) 번역 등도 그의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또한, 『「위안부」 문제의 현재:「박유하(朴裕河) 현상」과 지식인』(2016)에 참여하여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3. 1. 재일 한국인 문제

서경식은 재일 한국인으로서 겪는 차별과 정체성 문제, 그리고 한국과 일본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담은 글을 발표해 왔다. 그는 저서 『황민화 정책에서 지문날인까지: 재일조선인의 “쇼와 시대사”』, 『분단을 살아가다: “재일”을 넘어서』,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 등을 통해 재일 한국인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특히, 그는 지문날인거부운동을 통해 일본 사회의 차별에 저항하는 재일 한국인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저울에 달아서는 안 된다: 일조 문제를 생각하는 좌표축』에서는 일본과 조선(북한)의 관계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며, 양국 간의 역사적, 정치적 갈등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그는 재일 한국인 문제를 넘어,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된 자의 시선』,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난민의 세기의 묘비명』 등을 통해 난민 문제와 같이 보편적인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소수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012년에는 『재일 조선인이란 어떤 사람인가?』라는 책을 통해 재일 조선인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기도 했다.

3. 2. 디아스포라와 난민 문제

서경식은 디아스포라난민 문제에 대해 깊이 천착해 온 작가이다. 그는 2001년 저서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난민의 세기의 묘비명』에서 난민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었다. 2005년에는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된 자의 시선』을 통해 추방된 자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2002년 저서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 문제를 다루며, 난민 문제와 연관된 복잡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탐구했다.

3. 3. 역사 인식 문제

서경식은 재일 한국인으로서, 황민화 정책부터 지문날인에 이르기까지 재일 조선인의 쇼와 시대사를 다룬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 『저울에 달아서는 안 된다: 일조 문제를 생각하는 좌표축』 등에서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었다.

3. 4. 기타

서경식은 다양한 저서와 공저, 번역서를 통해 재일 조선인의 정체성과 역사, 디아스포라, 식민지주의, 예술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9] 주요 저서로는 『길고 혹독한 여정』(1988, 2001), 『황민화 정책에서 지문날인까지: 재일조선인의 “쇼와 시대사”』(1989), 『나의 서양 미술 순례』(1991), 『“민족”을 읽다: 20세기의 아포리아』(1994), 『어린이의 눈물: 어느 재일 조선인의 독서 편력』(1995, 1998, 2019), 『분단을 살아가다: “재일”을 넘어서』(1997), 『새로운 보편성을 향하여: 대화집』(1999), 『프리모 레비 여행』(1999, 2014),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난민의 세기의 묘비명』(2001), 『청춘의 사신: 기억 속의 20세기 회화』(2001), 『반난민의 위치에서: 전후 책임 논쟁과 재일 조선인』(2002), 『저울에 달아서는 안 된다: 일조 문제를 생각하는 좌표축』(2003),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된 자의 시선』(2005), 『밤의 시대에 말해야 할 것: 서울발 “심야 통신”』(2007), 『네 눈을 믿어라!: 통일 독일 미술 기행』(2010), 『식민지주의의 폭력: “말의 우리”에서: 평론집 1』(2010), 『재일 조선인이란 어떤 사람인가?』(2012), 『나의 서양 음악 순례』(2012), 『후쿠시마를 걸으며: 디아스포라의 눈으로』(2012), 『시의 힘: “동아시아” 근대사 속에서: 평론집 2』(2014), 『국경을 넘는 화랑: 나의 조선 미술 순례』(2015), 『저항하는 지성을 위한 19강: 나를 지탱해 준 고전』(2016), 『일본 리버럴파의 몰락: 평론집 3』(2017), 『메두사의 머리: 나의 이탈리아 인문 기행』(2020), 『우즈 강변까지: 나의 영국 인문 기행』(2021), 『서경식: 회상과 대화』(2022) 등이 있다.

타와다 요코(多和田葉子), 한홍구(韓洪九) 등과의 공저, 그리고 서승·서준식의 『서 형제 옥중에서 온 편지』(1981) 번역 등도 그의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또한, 『「위안부」 문제의 현재:「박유하(朴裕河) 현상」과 지식인』(2016)에 참여하여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4. 비판 및 논란

5. 수상 경력

참조

[1] 서적 現代物故者事典 2021〜2023 日外アソシエーツ 2024
[2] 웹사이트 在日朝鮮人作家の徐京植氏が死去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名誉教授の称号授与式、2021年度4名に名称を贈呈 https://www.tku.ac.j[...] 東京経済大学 2021-12-04
[4] 뉴스 徐京植氏が死去 作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12-20
[5] 웹사이트 [寄稿]徐京植氏と和田春樹氏の文章を読んで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16-05-13
[6] 뉴스 「国民主義」に閉じ込められずに日本を眺める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1-09-23
[7] 웹사이트 作家の徐京植さん死去 在日朝鮮人2世 https://www.sanspo.c[...] 2023-12-19
[8] 웹사이트 【訃報】徐京植名誉教授逝去 https://www.tku.ac.j[...] 東京経済大学 2023-12-19
[9] 웹사이트 影書房公式サイト「既刊書案内>写真集」に記載あり http://www.kageshobo[...] 2024-01-06
[10] 뉴스 서경식 교수 별세…전세계 ‘작은 사람들’ 편에 최후까지 서려 했던 디아스포라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3-12-19
[11] 뉴스 [한국인터뷰] 서경식 도쿄경제大 교수 https://archive.toda[...] 한국일보 2006-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