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부최고지휘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최고지휘관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에서 서부 전선의 독일군을 통솔하는 지휘관 직책이다.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에르빈 폰 비츨레벤, 귄터 폰 클루게, 발터 모델, 알베르트 케셀링 등이 역임했으며, 룬트슈테트는 세 차례, 다른 지휘관들은 한 차례씩 이 직책을 수행했다. 1944년 6월부터 1945년 1월까지의 전투 서열을 통해 예하 부대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육군 (나치 독일) - 제6군 (독일 국방군)
    제6군은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서부 및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 전멸 후 재편성되었으나 종전 시 미국 육군에 항복, 전쟁 범죄에도 연루되었다.
  • 독일 육군 (나치 독일) - 육군최고사령부
    육군최고사령부는 나치 독일 시대 독일 육군의 최고 지휘 기관으로, 국방군 최고사령부의 하위 조직이었으나 독소 전쟁 이후 동부 전선 군대 지휘를 전담하며 주요 작전을 계획하고 지휘했으며, 베르너 폰 프리치, 발터 폰 브라우히치, 아돌프 히틀러, 페르디난트 쇠르너 등이 주요 지휘관을 역임했다.
  • 독일 국방군의 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공군최고사령부(OKL)는 1935년 독일 공군의 최고 사령부로 창설되어 육군 및 해군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으며, 헤르만 괴링이 최고 지휘관을 맡았다.
  • 독일 국방군의 사령부 - 남부최고지휘관
    남부최고지휘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공군의 제2항공군을 지휘한 지휘관으로 알베르트 케셀링, 하인리히 폰 비팅호프,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등이 주요 지휘관이었으며, 휘하에 참모장과 작전 장교 등의 주요 직책이 있었다.
  • 서유럽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베저위붕 작전
    1940년 4월 9일 나치 독일이 철광석 수송로 확보와 영국 해군 기지 건설 저지를 목표로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한 베저위붕 작전은, 주요 도시 기습 점령, 해상 및 육상 전투, 노르웨이 왕실 망명, 연합군 개입을 야기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전개에 영향을 미쳤고 뉘른베르크 재판의 쟁점이 되었다.
  • 서유럽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바다사자 작전
    바다사자 작전은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영국을 침공하기 위해 계획했으나, 독일 해군의 능력 부족과 영국 본토 항공전의 실패로 무기한 연기된 상륙 작전이다.
서부최고지휘관
개요
1944년 서부 전선의 지도.
1944년 서부 전선의 지도
명칭서부최고지휘관부
로마자 표기Oberbefehlshaber West
약칭OB West
국가나치 독일
군종육군
존속 기간1940년 ~ 1945년
해체일1945년
관할 지역서부 전선
본부프랑스 생제르맹앙레
지휘부
사령관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 (1940년 ~ 1941년)
에르빈 폰 비츠레벤 원수 (1942년)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 (1942년 ~ 1944년)
귄터 폰 클루게 원수 (1944년)
발터 모델 원수 (1944년)
알베르트 케셀링 원수 (1944년 ~ 1945년)
전투
주요 전투프랑스 공방전
마켓 가든 작전
벌지 대전투
하위 부대
예하 부대B 집단군
D 집단군
G 집단군
H 집단군
서부 방면군

2. 역대 지도부

서부최고지휘관은 주로 독일 국방군 육군의 야전원수들이 맡았다. 주요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2. 1. 역대 지휘관 목록

다음은 서부최고지휘관을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이다.

취임퇴임계급성명
1940년 10월 10일1941년 4월 1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1년 5월 1일1942년 3월 15일야전원수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2년 3월 15일1944년 7월 2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4년 7월 2일1944년 8월 16일야전원수귄터 폰 클루게
1944년 8월 16일1944년 9월 3일야전원수발터 모델
1944년 9월 3일1945년 3월 11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5년 3월 11일1945년 4월 22일야전원수알베르트 케셀링


2. 1. 1. 주요 지휘관

취임퇴임계급성명
1940년 10월 10일1941년 4월 1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1년 5월 1일1942년 3월 15일야전원수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2년 3월 15일1944년 7월 2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4년 7월 2일1944년 8월 16일야전원수귄터 폰 클루게
1944년 8월 16일1944년 9월 3일야전원수발터 모델
1944년 9월 3일1945년 3월 11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5년 3월 11일1945년 4월 22일야전원수알베르트 케셀링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세 차례 서부최고지휘관을 역임했다. 초기에는 프랑스 점령 임무를 맡았고, 이후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잦은 패배와 히틀러와의 갈등으로 해임과 복직을 반복했다.
  • 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1년 서부최고지휘관에 임명되었으나, 건강 문제와 히틀러와의 불화로 1년 만에 물러났다.
  • 귄터 폰 클루게: 1944년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베를린으로 소환된 후 자살하였다.
  • 발터 모델: 아르덴 대공세 당시 B 집단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였으며, 1945년 4월 루르 포위전에서 포위당하자 자살하였다.
  • 알베르트 케셀링: 이탈리아 전선에서 연합군과 맞서 싸웠으며, 서부전선으로 이동하여 최후의 방어전을 지휘했다.

2. 2. 역대 지휘관

취임퇴임계급성명
1940년 10월 10일1941년 4월 1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1년 5월 1일1942년 3월 15일야전원수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2년 3월 15일1944년 7월 2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4년 7월 2일1944년 8월 16일야전원수귄터 폰 클루게
1944년 8월 16일1944년 9월 3일야전원수발터 모델
1944년 9월 3일1945년 3월 11일야전원수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945년 3월 11일1945년 4월 22일야전원수알베르트 케셀링


3. 전투 서열

서부최고지휘관은 휘하에 여러 집단군을 두었으며, 이들은 다시 군단, 사단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집단군으로는 B 집단군, 서부 기갑집단, G 집단군, H 집단군, D 집단군이 있었다.

각 집단군 예하에는 복수의 군단이 배속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B 집단군에는 제7군, 제15군, 제6SS기갑군이, 서부 기갑집단에는 제5기갑군이, G 집단군에는 제1군과 제19군이, H 집단군에는 제1강하군, 제25군이 소속되어 있었다.

1944년 12월부터 1945년 1월까지 제6SS기갑군은 H 집단군에서 B 집단군으로 이동했다.

3. 1. 1944년 6월 ~ 1945년 1월 전투 서열

B 집단군서부 기갑집단G 집단군H 집단군서부최고지휘관 직할


3. 2. 참고 사항

위 전투 서열은 1944년 6월부터 1945년 1월까지 서부최고지휘관의 구조를 나타낸다. 시기 및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