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술어는 문장 성분으로, 동사나 형용사 등 품사와는 구분되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구나 절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서술어는 본동사, 본형용사, 보조동사, 보조 형용사로 나뉘며, 문장의 핵심적인 뜻을 지니는 본동사, 본형용사와 시제나 태를 나타내는 보조동사, 보조 형용사로 구분된다. 한국어에서 서술어는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서술하며, 동사나 형용사, 또는 '서술부' 형태로 나타난다. 영어에서는 서술어가 주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동사를 포함하고, 구 구조 문법에서는 동사구(VP)를 서술어로, 의존 문법에서는 유한 동사를 문장의 핵으로 본다. 의미론에서 서술어는 속성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단계-수준, 개체-수준, 종류-수준 술어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장 성분 - 목적어
    목적어는 문법에서 동사의 행위나 작용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으로, 한국어에서는 '을/를'과 같은 조사가 붙어 형성되며, 영어에서는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전치사 목적어 등으로 나뉜다.
  • 문장 성분 - 부정사
    부정사는 동사의 한 형태로,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며,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고 시제, 상, 태를 표시하는 굴절 형태를 가지며, 영어, 독일어, 라틴어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
서술어
문법 정보
범주구문론
설명주어에 대해 진술하거나 질문하는 구문의 일부
언어별 정보
영어Predicate
일본어述語 (じゅつご) (Jutsugo)
한국어서술어 (敍述語)
특징
기능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 등을 설명
필수 구성 요소문장에서 생략 불가능
예시 (한국어)
문장나는 학교에 간다.
서술어간다
예시 (영어)
문장The cat sat on the mat.
서술어sat

2. 동사, 형용사 등과의 차이점

서술어는 동사, 형용사와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 동사, 형용사 등은 '''품사'''이고, 서술어는 '''문장 성분'''이다.
  • 품사는 '''각 단어마다''' 따로따로 있지만, 문장 성분은 '''단어 1개'''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다.


전통 문법에서 서술어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

3. 본동사, 본형용사, (보)조동사, 보조 형용사

서술어는 본동사, 본형용사, 보조동사(조동사), 보조 형용사로 구성될 수 있다. 본동사와 본형용사는 문장의 핵심 의미를 나타내며,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변하거나 부자연스러워진다.[1] 반면 보조동사와 보조 형용사는 시제, 상, 피동/사동 등의 문법적 의미를 더하며, 생략해도 문장의 মূল 의미는 유지된다.[2]

3. 1. 예시


  • 철수는 집에 '''있다''' (단어: 본형용사).[1]
  • 철수는 집에 '''가고 있다''' (구: 본동사 + 보조동사).[2]

4. 한국어 문법

한국어 문장에서 서술어는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 등을 나타내는 말로, 보통 동사형용사를 가리킨다. 기본형은 사전이나 기사문 제목 또는 관형어에서 사용되며, '-다'를 '-ㄴ다'로, 조동사는 '-ㄹ'로 표기한다. '-하다', '-이다'와 같은 접미사는 동사를 만드는 데 관여하기도 한다.[2]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그녀는 '''춤춘다'''. — 동사만 있는 서술어.
  • 벤은 '''그 책을 읽는다'''. — 동사 + 직접 목적어 서술어.
  • 벤의 어머니 펠리시티는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 동사 +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 서술어.
  • 그녀는 '''라디오를 들었다'''. — 동사 + 전치사 목적어 서술어.
  • 그녀는 '''공원에 있다'''. — 동사 + 서술적 전치사구 서술어.
  • 그녀는 '''공원에서 그를 만났다'''. — 동사 + 직접 목적어 + 부사어 서술어.


한국어는 SOV 어순을 기본으로 하며, 서술어는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한다.

4. 1. 한국어의 서술부

일본어의 영향으로, 한국어에서도 두 개 이상의 문절로 이루어진 서술어를 '서술부'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술부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동사(또는 동사+부속어)의 연용형 + 접속 조동사 "て・で" + 보조 동사: "서 있다", "정리해 두다" 등
  • 용언의 연용형 + 접속 조동사 "て・で" + 용언의 서술어: "이어져 늘어서다", "하얗고 아름답다", "조용하고 편안하다" 등
  • 연체 수식어와 체언의 서술어로 구성된 연문절: "예쁜 꽃이다", "상냥한 선생님이다" 등


다음의 경우는 서술부가 되지 않는다.

  • 연용 수식부와 용언의 서술어 (연문절이 되지 않으므로)
  • 복합 동사 (그것 1단어로 1문절이 되므로)

5. 영어 문법

영어 문법에서 서술어는 문장의 두 주요 부분 중 하나로(다른 하나는 주어이다), 동사를 포함해야 하며, 동사는 서술어를 완성하기 위해 다른 요소를 필요로 하거나 허용하거나, 또는 다른 요소가 그렇게 하는 것을 배제한다.[2] 이러한 요소는 목적어(직접, 간접, 전치사구), 서술어 표현, 부사어이다. 서술어는 주어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주어가 무엇인지, 주어가 무엇을 하는지, 또는 주어가 어떤지 등을 제공한다.


  • Bob '''laughed'''. (동사 단어 : 본동사)

: 밥이 웃었다.

  • Sam '''helped''' you. (동사 단어 : 본동사)

: 쌤이 너를 도왔다.

  • Jim '''gave''' Jill his dog. (동사 단어 : 본동사)

: 짐은 질에게 그의 개를 줬다.

  • Bill '''will have laughed'''. (동사구 : 조동사 + 조동사 + 본동사)

: 빌은 웃었을 것이다.

  • The guests '''have been enjoying''' the music. (동사구 : 조동사 + 조동사 + 본동사)

: 손님들이 그 음악을 좋아하고 있다.

다음은 서술어의 예시이다.

  • 그녀는 '''춤춘다'''. — 동사만 있는 서술어.
  • 벤은 '''그 책을 읽는다'''. — 동사 + 직접 목적어 서술어.
  • 벤의 어머니 펠리시티는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 동사 +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 서술어.
  • 그녀는 '''라디오를 들었다'''. — 동사 + 전치사 목적어 서술어.
  • 그녀는 '''공원에 있다'''. — 동사 + 서술적 전치사구 서술어.
  • 그녀는 '''공원에서 그를 만났다'''. — 동사 + 직접 목적어 + 부사어 서술어.


명사구인 '서술적 명사'는 문장에서 연결 동사(결합 동사)로 주어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조지 3세는 잉글랜드의 왕이다"에서 "잉글랜드의 왕"은 서술적 명사이다. 형용사인 '서술적 형용사'도 마찬가지로 결합 동사로 주어와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바노는 매력적이다"에서 "매력적인"이 서술적 형용사이다.

6. 주어·주제와의 관계

전통 문법에서 서술어는 주어와 함께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주어의 속성을 나타낸다.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는 주어와 서술어가 일치하며, 주격 명사구가 문장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한국어교착어로서, 주격 조사 '-가/이'뿐만 아니라 주제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은'이 사용되어 주어와 주제를 구분한다. 이는 일본어와 유사한 특징이다. 미카미 아키라는 서양 언어학의 '주어' 개념을 한국어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인 주어 폐지론을 제시하기도 했다.[2]

7. 현대 구문론

구 구조 문법에서는 영어 평서문을 명사구(NP)와 동사구(VP)로 나누며, 이때 VP를 서술어로 본다.[3] 주어 NP는 녹색으로, 서술어 VP는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구 구조 문법에서의 서술어


반면에, 의존 문법은 주어-서술어 이진 구분을 채택하지 않고, 정동사를 문장의 핵으로 본다.[4] 주된 서술어는 파란색으로, 그 두 개의 논항은 녹색으로 표시된다. 서술어는 형식적인 의미에서 구성 성분으로 해석될 수 없지만, 사슬이다. 불연속성을 제외하면, 서술어와 그 논항은 의존 구조에서 항상 사슬이다.

의존 문법에서의 서술어

8. 의미론적 관점

의미론에서 서술어는 속성 또는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7]

Greg Carlson은 술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8]

종류설명예시
단계 수준 술어대상의 시간적 단계에 대해 참인 술어. 특정 시간 동안 지속.존이 "배고프다"
개체 수준 술어개체의 존재 전체에 걸쳐 참. 특정 시점과 관계없이 개체가 가진 속성.존이 "똑똑하다"
종류 수준 술어사물의 종류에 대해 참이지만, 해당 종류의 개별 구성원에게 적용될 수 없는 술어.고양이는 널리 퍼져 있다.


  • 단계 수준 술어는 광범위한 문법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다재다능한 종류의 술어이다.
  • 개체 수준 술어는 단계 수준 술어보다 더 제한적이다.
  • ''제시적'' "there" 구문에서 나타날 수 없다.
  • 양태 부사 및 기타 부사 수식어에 의해 수식 불가능.
  • 과거 시제로 나타날 때, 주어는 죽었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평생 효과'' 발생.


서술어는 집합적 또는 분배적일 수 있다.

  • 집합적 서술어: 주어가 어떤 방식으로든 복수여야 함.

예) 학생들이 '''줄을 섰다'''. (*학생은 '''줄을 섰다'''. (불가))

  • 다른 예시: "숲에서 만났다", "집을 둘러쌌다", "복도에 모였다"
  • 분배적 서술어: 주어가 복수일 필요 없음.


수량사는 집합적 서술어의 주어가 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

  • "모든"으로 구성된 수량사는 가능.
  • "각" 또는 "모든"으로 구성된 수량사는 불가능.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Grammar or the Oxford Concise Dictionary of Linguistics
[2] 기타
[3] 기타
[4] 기타
[5] 기타
[6] 서적 A student's introduction to English grammar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Semantics in Generative Grammar Wiley Blackwell 1998
[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