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왕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왕모는 "서쪽의 여왕 어머니"라는 뜻으로,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이다. 상나라 갑골문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곤륜산에 살면서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반인반수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불로불사의 힘을 주관하는 존재로 숭배받았으며, 도교 신앙에 흡수되어 불로불사와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갖게 되었다. 전설과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여신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중국의 여신 - 직녀
옥황상제의 딸 직녀는 견우와 사랑에 빠져 결혼했지만 옥황상제의 명령으로 헤어져 별이 되었고, 칠석날 까치들이 놓은 다리에서 일 년에 한 번 견우와 만나는 동아시아 설화의 주인공으로, 사랑하는 부부를 상징한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도교의 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도교의 신 - 옥황상제
옥황상제는 도교의 최고신으로 하늘을 다스리고 천상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며, 인간으로서 선행을 쌓아 신이 된 존재로 숭배받고, 음력 1월 9일에 탄생을 기념하는 제사가 지내진다.
서왕모 | |
---|---|
기본 정보 | |
![]() | |
거주지 | 곤륜산, 또는 거북산 |
배우자 | 동왕공 |
개요 | |
명칭 | |
신화적 역할 | |
도교에서의 위상 | |
역사적 발전 | |
관련 신화 및 전설 | |
문화적 영향 | |
기타 | |
2. 기원 및 초기 형태
서왕모(西王母)는 "서쪽의 여왕 어머니"라는 뜻으로, 중국에서는 시왕무(Xiwangmu), 일본에서는 세이오보(Seiōbo), 한국에서는 서왕모(Seowangmo), 베트남에서는 떠이 브엉 머우(Tây Vương Mẫu)와 같이 한자로는 동일하게 쓰지만 발음은 다르게 불린다. '요지(瑤池)의 금모(金母)'라는 뜻의 '요지금모(瑤池金母)'라는 호칭이 자주 쓰인다.[1] 그 외에 '왕모(王母)', '신모(神母)', '아마(阿母, 유모)' 등으로도 불렸다.
춘추시대에 형성되고 전국시대에 유포된 『목천자전』에 따르면, 주나라의 목왕이 서쪽으로 순행하여 "서왕모의 나라"에서 최고의 예를 다해 그녀를 만나고 3년간 머물다 귀국했다. 이 이야기에서 서왕모는 완전히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서왕모의 나라는 낙양에서 서쪽으로 1000킬로미터 지점에 있었다고 한다.
역사가 천몽가에 따르면,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자의 복사에 "서모(西母)"라는 신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서왕모의 전신이라는 설이 있다.[1]
동주 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산해경』의 대황서경에 따르면, 서왕모는 "서왕모의 산" 또는 "옥산(玉山)"이라고 불리는 산을 거느린 곤륜산의 언덕에 살고 있으며, 서산경에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 "사람의 모습에 표범의 꼬리, 호랑이의 몸(하반신이 호랑이 형상), 잘 으르렁거린다. 높이 쌓은 머리에 긴 머리카락을 하고 옥관(보옥으로 된 머리 장식)을 쓰고 있다. 그녀는 하늘의 재앙과 오잔(五殘, 5가지 형벌)을 관장한다."
이는 반인반신의 모습으로 묘사된 것이다.[2] 또한, 해내북경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 "서왕모는 궤(几, 낮은 상)에 기대어 앉아, 옥관을 쓰고, 지팡이를 짚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인간에 가까운 존재로 묘사한 것이다.[1]
또한, 세 마리의 새가 서왕모를 위해 음식을 날라다 준다고도 한다(『해내북경』). 이 새들의 이름은 대목(大鶩), 소목(小鶩), 청조(青鳥)라고 한다(『대황서경』).
3. 이름 및 호칭
4. 모습의 변화와 도교에서의 위상
한나라 시대가 되면서 서왕모는 선계 사상과 결합하여 변화해 갔다. 양성구유에서 남성적인 요소가 동왕부라는 남신으로 분리되면서, 둘 다 불로불사의 지배자라는 성격을 부여받았다. 삼청조를 비롯하여 구미호, 옥토, 두꺼비 등과 함께 당시 부조에 새겨져 있다.
인간의 비업의 영생을 다스리는 여신이었던 서왕모는, "죽음과 생명을 다스리는 존재를 숭배하고 제사하면 비업의 죽음을 면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비롯된 신앙에 의해 점차 "불로불사의 힘을 주는 신녀"라는 이미지로 변화해 갔다.
동왕부와 서왕모는 원시천왕과 太元玉女|태원옥녀중국어(태원성모라고도 불린다)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신이며, 양의 기운과 음의 기운의 신격화로 생각된다.
도홍경의 『동현령보진령위업도』에서는 원시천왕을 "서왕모의 스승"이라고 언급한다.[35] 도교의 상청파는 서왕모 신앙을 흡수하여 원시천왕의 제자로 여겼다.
당나라 시대의 문인들은 그녀를 "최초의 지배자 금모", "구룡산의 금모", "구령과 위대한 경이로움의 그녀", "서방의 번영의 완벽한 경이로움과 동굴 어둠의 궁극적인 존엄"이라고 불렀다. 당시의 서민과 시인들은 그녀를 더 간단하게 "왕모", "신모", 또는 단순히 "아마(Amah, 유모)"라고 불렀다.
서왕모는 과거 ‘인두수신(人頭獸身)의 여신’에서 ‘천계(天界)의 아름다운 최고의 선녀’로 완전히 변화하여, 불로불사의 선도(蟠桃)를 관리하는 요염하고 아름다운 천상의 여주인으로서 절대적인 신앙을 받게 되었다. 서왕모에게 제물을 바치는 역할이었던 청조(青鳥)도 ‘서왕모가 연회를 열 때 내보내는 사자새’라는 역할로 바뀌었고, 결국 ‘청조’는 ‘소식, 편지’라는 의미로 사용될 정도가 되었다. 중국 민간에서는 음력 3월 3일 상사절이 서왕모의 탄신일로, 이날 신들이 그녀의 요지(瑤池)에 모여 반도회(蟠桃會)를 연다고 전해진다.[38][39][40]
4. 1. 도교 경전에서의 묘사
장자는 자신의 저술에서 서왕모(西王母)를 도(道)를 깨달은 진인(眞人)으로 묘사하며, 서왕모가 불멸과 천상의 능력을 얻었고 영적인 서쪽 산맥에 자리 잡고 있다고 기록했다.
상청파 도교 경전에서는 서왕모가 노자보다 우월한 존재로 묘사되며, 道德經|도덕경중국어의 궁극적인 저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두광정의 저술에는 서왕모가 노자와 만나 上淸經|상청경중국어을 설명해 주는 이야기가 나온다.
5. 전설과 문학 속의 서왕모
서왕모는 신화 속 곤륜산의 궁전에서 조정을 여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 곤륜산은 보통 중국 서부에 있다고 여겨진다. 그녀의 궁전은 완벽하고 풍요로운 낙원으로, 신들이 만나는 장소이자 신과 인간 사이의 소통이 가능한 우주의 기둥으로 여겨졌다.[1] 그녀의 궁전에는 여신들과 시녀들이 있었으며, 북두칠성이 그녀의 상징 중 하나였다.[1][2]
그녀의 정원에는 3000년에 한 번씩 열리는 장수 복숭아 과수원이 있다는 믿음이 많다.[1] 서왕모는 손님들에게 이 복숭아를 대접하여 불멸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녀는 보통 불로장생의 복숭아가 매달린 독특한 머리 장식을 착용한다.
두광팅(Tu Kuang-ting)의 저술에는 서왕모가 노자(老子)를 만나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이야기에서 서왕모는 노자보다 우월한 존재로 묘사되며, 『도덕경(道德經)』의 궁극적인 저자로 여겨진다. 그러나 당나라 시가에는 서왕모가 노자에게 경의를 표하는 내용도 있다.[4]
한나라 시대가 되면서 서왕모는 선계 사상과 결합하여 변화해 갔다. 양성구유에서 남성적인 요소가 동왕부라는 남신으로 분리되면서[5], 둘 다 불로불사의 지배자라는 성격을 부여받았다. 삼청조를 비롯하여 구미호, 옥토, 두꺼비 등과 함께 당시 부조에 새겨져 있다.
『장자』에 따르면 서왕모를 도를 깨달은 진인으로 여기고 있으며, 『회남자』에는 서왕모가 가지고 있던 불로불사의 약을 항아(항아)가 훔쳐 달로 도망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인간의 비업의 영생을 다스리는 여신이었던 서왕모는 "죽음과 생명을 다스리는 존재를 숭배하고 제사하면 비업의 죽음을 면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발생하는 신앙에 의해 점차 "불로불사의 힘을 주는 신녀"라는 이미지로 변화해 갔다.
동왕부와 서왕모는 원시천왕과 太元玉女중국어(태원성모라고도 불린다)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신이며, 양의 기운과 음의 기운의 신격화로 생각된다.
도홍경의 『동현령보진령위업도』에서는 원시천왕을 "서왕모의 스승"이라고 언급한다.[35] 도교의 상청경파가 서왕모 신앙을 흡수하여 원시천왕의 제자로 여기고 있다.
장군방의 『운급칠첨』에 따르면, 서왕모는 자신의 부하인 전쟁의 여신인 구천현녀를 파견하여 황제가 치우를 이기기 위한 병법과 신표를 주었다고 한다.[36]
단파강뢰의 『의심방』에서는 『옥방비결』에 따르면, 서왕모는 음을 기르고 도를 깨달은 자이며, 남편이 없고, 사내아이(소년)와 성교하는 것을 좋아했지만, 서왕모와 관계를 가진 남자는 곧 병에 걸렸다고 한다.[37]
서왕모(西王母)는 과거 ‘인두수신(人頭獸身)의 여신’에서 ‘천계(天界)의 아름다운 최고의 선녀’로 완전히 변화하여, 불로불사의 선도(仙桃, 蟠桃)를 관리하는 요염하고 아름다운 천상의 여주인으로서 절대적인 신앙을 받게 되었다. 서왕모에게 제물을 바치는 역할이었던 청조(青鳥)도 ‘서왕모가 연회를 열 때 내보내는 사자새’라는 역할로 모습을 바꾸었고, 결국 ‘청조’ 하면 ‘소식, 편지’라는 의미로 사용될 정도가 되었다. 중국 민간에서는 음력 3월 3일의 ‘상사절(上巳, 桃の節句)’이 서왕모의 탄신으로, 이날 신들이 그녀의 요지(瑤池)에 모여 반도회(蟠桃會)를 연다고 전해진다.[38][39][40]
5. 1. 산해경
산해경에는 서왕모가 옥산(玉山)이라는 곳에 살며, 세 마리의 파랑새가 서왕모를 위해 음식을 나른다고 기록되어 있다.산해경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서차삼경: 다시 서쪽으로 350리를 가면 옥산이라는 곳인데 이곳은 서왕모가 살고 있는 곳이다. 서왕모는 그 형상이 사람 같지만 표범의 꼬리에 호랑이 이빨을 하고 휘파람을 잘 불며 더부룩한 머리에 머리꾸미개를 꽂고 있다. 그녀는 하늘의 재앙과 오형을 주관하고 있다.
- 해내북경: 서왕모가 책상에 기대어 있는데 머리꾸미개를 꽂고 있다. 그 남쪽에 세 마리의 파랑새가 있어 서왕모를 위해 음식을 나른다. 곤륜허의 북쪽에 있다.
- 서해의 남쪽, 유사의 언저리, 적수의 뒷편, 흑수의 앞쪽에 큰 산이 있는데 이름을 곤륜구라고 한다. 사람의 얼굴에 호랑이의 몸인데 꼬리에 무늬가 있으며 모두 흰 신이 있어 여기에 산다. 산 아래에는 약수연이 둘러싸고 있으며 그 바깥에는 염화산이 있어 물건을 던지면 곧 타버린다. 어떤 사람이 머리꾸미개를 꽂고 호랑이 이빨에 표범의 꼬리를 하고 동굴에 사는데 이름을 서왕모라고 한다. 이 산에는 온갖 것이 다 있다.
동주 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산해경』의 대황서경에 따르면, 서왕모는 "서왕모의 산" 또는 "옥산(玉山)"이라고 불리는 산을 거느린 곤륜산의 언덕에 살고 있으며, 서산경에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3]
:「사람의 모습에 표범의 꼬리, 호랑이의 몸(하반신이 호랑이 형상), 잘 으르렁거린다. 높이 쌓은 머리에 긴 머리카락을 하고 옥관(보옥으로 된 머리 장식)을 쓰고 있다. 그녀는 하늘의 재앙과 오잔(五殘, 5가지 형벌)을 관장한다.」[3]
이는 반인반신의 모습으로 묘사된 것이다. 해내북경에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3]
:「서왕모는 궤(几, 낮은 상)에 기대어 앉아, 옥관을 쓰고, 지팡이를 짚고 있다.」[3]
또한, 세 마리의 새가 서왕모를 위해 음식을 날라다 준다고도 한다(『해내북경』). 이 새들의 이름은 대목(大鶩), 소목(小鶩), 청조(青鳥)라고 한다(『대황서경』).[3]
5. 2. 목천자전
춘추시대에 형성되고 전국시대에 유포된 『무천자전』에는 주의 무왕이 서쪽으로 순행하여 "서왕모의 나라"에서 최고의 예를 다해 그녀를 만나고 3년간 머물다 귀국했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1] 이 이야기에서 서왕모는 완전히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서왕모의 나라는 낙양에서 서쪽으로 1000킬로미터 지점에 있었다고 한다.[1]
주나라 무왕과 서왕모의 이야기는 여러 가지 다른 기록이 있지만, 주나라의 가장 위대한 통치자 중 한 명인 무왕이 그의 여덟 마리의 준마와 함께 제국의 서쪽 먼 지역으로 여행을 떠났다는 점에는 모두 동의한다.[1] 무왕은 여덟 마리의 준마를 얻고 영토를 순회함으로써 천명(Mandate of Heaven)을 얻었다는 것을 증명했다.[1] 그는 여정 중 신화 속 곤륜산에서 서왕모를 만났고,[1] 그들은 사랑에 빠졌다.[1] 무왕은 불멸을 얻기를 바라며 서왕모에게 중요한 국가 보물을 바쳤지만,[1] 결국 인간 세계로 돌아와 불멸을 얻지 못했다.[1] 서왕모와 무왕의 관계는 도가(Taoist)의 스승과 제자의 관계와 비교되어 왔는데,[1] 그녀는 무왕의 요청에 따라 비밀 가르침을 전수했지만, 제자인 무왕은 그 혜택을 보지 못하고 다른 속인들처럼 죽었다.[1]
5. 3. 한무제내전
한 무제가 서왕모를 보고자 빌었더니 칠월 칠석에 서왕모가 아홉 빛깔 용이 끄는 수레를 타고 내려왔는데 그 모습이 아름다웠다고 한다.[34] 서왕모는 불사약을 가지고 있었는데, 불사수 또는 천도복숭아라고도 불렸다. 한무제가 불사약을 구하자 서왕모는 동방삭이 자신의 궁궐에서 복숭아를 훔쳐갔다고 답했다.[34]반고의 『한무내전』에 따르면, 전한 무제가 장생을 원했을 때, 서왕모는 용궁옥녀(서왕모의 시녀)들과 함께 천상에서 내려와 3천 년에 한 번 핀다는 선도 일곱 개를 주었다고 한다.[34]
『한무내전』에 등장하는 서왕모의 시녀는 다음과 같다.[34]
시녀 이름 |
---|
왕자등 |
동쌍성 |
석공자 |
허비경 |
완령화 |
판성군 |
단안향 |
안법영 |
곽밀향 |
전사비 |
이경손 |
송령빈 |
5. 4. 서유기
『서유기(西遊記)』에서 서왕모는 무수한 진귀한 보물을 가진 천계 제일의 귀부인으로 묘사된다. 현재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옥황상제(玉皇大帝)의 아내로 곁에 앉아 있으며, 슬하에 일곱 명의 딸(七仙女)을 두고 있다고 한다. 도교 문헌에는 서왕모의 딸들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넷째 딸은 남극왕부인(南極王夫人, 임, 林)[41], 열셋째 딸은 우영왕부인(右英王夫人, 매란, 媚蘭)[41], 스무째 딸은 자미왕부인(紫微王夫人, 청아, 清娥)[41], 스물셋째 딸은 운화부인(雲華夫人, 요희, 瑤姬)[42][43], 그리고 막내딸은 태진왕부인(太眞王夫人, 완라, 婉羅[44] 또는 옥규, 玉巵[45])이다.[41]5. 5. 기타 문학 작품
서왕모는 민간 전설인 '견우직녀'와 '동영과 칠선녀'에도 등장한다.[46]6. 한국에서의 서왕모
한국에서 서왕모는 도교적 이상향을 상징하는 존재로 자주 등장한다. 신라 시대 최치원의 '헌강왕릉가'와 고려 시대 이규보의 시에 서왕모가 언급되었다. 조선 시대 회화 작품에도 서왕모가 종종 등장했으며, 특히 요지연도(瑤池宴圖)는 궁중 회화의 주요 주제 중 하나였다.
6. 1. 역사적 기록
『죽부인』에는 전설적인 성군 순임금 즉위 9년에 "서왕모(西王母)의 사신이 조공을 바치러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서왕모가 조정에 온 것은 흰 옥 반지와 화살촉 보호대를 바치기 위해서였다"고 적고 있다.[1] 순임금의 뒤를 이은 우임금은 순임금의 재상이었고 당시 이미 조정에 있었다.6. 2. 문학과 예술 속의 서왕모

한국 문학에서 서왕모는 도교적 이상향을 상징하는 존재로 자주 등장한다. 신라 시대 최치원의 '헌강왕릉가'와 고려 시대 이규보의 시에 서왕모가 언급된다. 조선 시대 회화 작품에도 서왕모가 종종 등장하며, 특히 요지연도(瑤池宴圖)는 궁중 회화의 주요 주제 중 하나였다.
7. 현대 대중문화 속의 서왕모
서왕모는 소설, 영화,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로 등장한다.
- 오슨 스콧 카드의 소설 《제노사이드》와 《마음의 아이들》에 등장한다.
- 캐리 본의 소설 《키티의 큰 문제》에 등장한다.
- 여러 《신 메가미 텐세이》 게임에 등장한다. 가장 최근에는 《신 메가미 텐세이 IV》에 등장했다.
- 댄 시몬스의 소설 《엔디미온의 부상》(Hyperion Cantos 시리즈 중 하나)에 나오는 톈산 행성의 도시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 도시는 동양 종교를 기반으로 한 행성에 있으며, 산악 지형이므로 톈산 산맥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 게임 《엠페러: 라이즈 오브 더 미들 킹덤》에서 영웅 중 한 명으로 등장하며, 기념비 건설을 돕고 지도에서 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
- 에이미 탄의 소설 《조이 럭 클럽》 4부의 제목은 "서쪽 하늘의 왕모"이다. 서문에서 할머니는 손녀에게 서왕모의 환생이라 놀리며 영원한 행복의 비밀을 공유하러 왔다고 말한다.
-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영화 《파운틴》에는 서왕모와 유사한 상징들이 포함되어 있다.
- 2004년 홍콩 드라마 《뱀파이어와의 데이트 III》에서 요치 생무는 판구 일족의 적대자 중 한 명이다.
- 소설 《묘도꾼의 연대기》 6권에서 여왕의 무덤은 서왕모의 무덤을 가리킨다.
- 2022년 모바일 게임 ''Dislyte''에서 진유요는 서왕모의 능력을 가진 전설적인 에스퍼이다.
- 만화 《리그 오브 익스트라오디너리 젠틀맨: 블랙 도시에》에서 올란도는 그녀와 친분이 있었고, 후에 아이샤의 환생에 의해 폐위되었다.
참조
[1]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2]
서적
Discovering God: The Origins of the Great Religions and the Evolution of Belief
HarperOne
[3]
웹사이트
5.1: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https://human.libret[...]
2024-05-08
[4]
웹사이트
『酉陽雑俎』巻十四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5]
웹사이트
『有象列仙全伝』巻一
http://gmzm.org/bboo[...]
光明之門
2021-08-18
[6]
웹사이트
『太平広記』巻五十六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18
[7]
웹사이트
『太平御覧』巻六百七十七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8]
웹사이트
『正統道蔵』「上清七聖玄紀経」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9]
웹사이트
『雲笈七籤』巻八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10]
웹사이트
『洞玄霊宝真霊位業図』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0-26
[11]
웹사이트
『懺法大観』巻一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0-27
[12]
웹사이트
『道法会元』巻二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0-26
[13]
웹사이트
『道法会元』巻二十一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0-26
[14]
웹사이트
『清微仙譜』「上清啓図」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15]
웹사이트
『清微元降大法』巻二十五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16]
웹사이트
『太上洞玄霊宝無量度人上品経法』巻二
http://www.daorenjia[...]
道人家
2021-10-26
[17]
웹사이트
『無上黄籙大齋立成儀』巻六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0-26
[18]
웹사이트
道蔵輯要『金母懺』八十三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19]
웹사이트
道蔵輯要『金母懺』八十二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0]
웹사이트
『道法会元』巻一百三十三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1]
웹사이트
『道法会元』巻一百四十二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2]
웹사이트
『霊宝領教済度金書』巻三百十一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3]
웹사이트
道蔵輯要『后土統懺』五十二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4]
웹사이트
『霊宝領教済度金書』巻一百三十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5]
웹사이트
『霊宝无量度人上経大法』巻六十四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6]
웹사이트
『上清大洞真経玉訣音義』巻首第十一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3
[27]
웹사이트
『霊宝玉鑑』巻三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3-09-23
[28]
웹사이트
『瑶池金母普度収円定慧解脱真経』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4
[29]
웹사이트
『宝誥大全』「西王金母宝誥」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0]
웹사이트
『上清元始変化宝真上経九霊太妙亀山玄籙』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1]
웹사이트
『墉城集仙録』巻一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2]
웹사이트
『歴世真仙体道通鑑後集』巻一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3]
웹사이트
『淮南子』巻六 覧冥訓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4]
웹사이트
『漢武内伝』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5]
웹사이트
『洞玄霊宝真霊位業図』巻首第十一
https://cnkgraph.com[...]
知識図譜
2023-09-22
[36]
웹사이트
『雲笈七籤』巻一百一十四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37]
웹사이트
『医心方』巻二十八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9-09
[38]
서적
西王母と七夕伝承
[39]
서적
燕京歳時記—北京年中行事記
[40]
서적
アジア佛教史・中国編 Ⅲ 現代中国諸宗教—民衆宗教の系譜—
[41]
웹사이트
『歴世真仙体道通鑑後集』巻三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42]
웹사이트
『墉城集仙録』巻三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43]
웹사이트
『歴世真仙体道通鑑後集』巻二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44]
웹사이트
『墉城集仙録』巻四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0
[45]
웹사이트
『有象列仙全伝』巻一
http://gmzm.org/bboo[...]
光明之門
2021-08-20
[46]
웹사이트
『東遊記』第四十七回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