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는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옥균, 서재필 등의 집터에 1900년 관립중학교로 개교했다. 이후 관립한성고등학교, 경성고등보통학교,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경기공립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51년 경기중·고등학교로 분리되었고, 한국 전쟁 중 미군 통신부대로 사용되다가 1956년 반환되었다. 1971년 중학교가 폐쇄되었고, 1976년 경기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하면서 1977년부터 정독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1938년 건립된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 벽돌벽 구조의 3층 건물로, 현재까지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7년 작품 - 푸투라
푸투라는 파울 레너가 디자인하고 1927년 발표된 산세리프 서체로, "우리 시대의 서체"라는 슬로건과 함께 모더니즘을 대표하며 다양한 기업의 로고와 광고, 영화, TV 등 문화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었다. - 1938년 작품 - 경교장
경교장은 일제강점기 친일파 최창학이 지은 별장이었으나 김구에게 넘겨져 거처 및 대한민국 임시 정부 청사로 사용되었고, 김구 암살 이후 문화재로 지정되어 복원 및 재개관하여 역사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1938년 작품 - 버지니아 주하원 직장
버지니아 주하원 직장은 버지니아 주 하원의 회의에서 주 정부의 권위를 상징하며, 1792년 폐기되었다가 1974년 24캐럿 금 도금된 새로운 직장이 헌정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 경기고등학교 - 이달용
이달용은 대한제국 시기 관료를 지내고 한일 병합 후 조선총독부 관료로 근무하며 남작 작위를 받았고, 조선생명보험 부사장, 한성은행 대주주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된 인물이다. - 경기고등학교 -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1922년 제3회 전조선 정구대회 중학부 남자 단체전에 참가한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은 2회전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에 패해 8강에서 탈락했다.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
영문 이름 | Former Kyunggi High School, Seoul |
유형 | 국가등록문화재 |
지정 번호 | 2 |
지정일 | 2002년 2월 28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길 48 |
소유자 | 서울특별시교육청 |
시대 | 1927년(사료관동) 1938년(도서관 1·2동, 휴게실동) |
관련 장소 | 정독도서관 |
문화재청 ID | 79,00020000,11 |
2. 역사
본래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옥균과 서재필 등의 집터였다.[3] 1899년에 칙령 제11호에 의해 신학제가 공포되었고 이에 따라 1900년에 관립중학교가 설립되어 조선 정부에 몰수된 개화파 관료들의 집터에 개교하였다. 이후 교명이 관립한성고등학교(1906년), 경성고등보통학교(1911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1921년),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1922년), 경기공립중학교(1938년)로 변경되었다.[4] 해방 이후 1951년에 경기중·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가, 1971년에 중학교는 폐쇄되었다.[5] 한국 전쟁시 미군 통신부대로 사용되다가 1956년에 반환되었다. 1976년에 경기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하면서 1977년부터 정독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6]
2. 1. 조선 시대
본래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옥균과 서재필 등의 집터였다.[3]2. 2. 대한제국 시기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옥균과 서재필 등의 집터였던 곳으로, 1899년 칙령 제11호에 의해 신학제가 공포되었다.[3] 1900년 관립중학교가 설립되어 조선 정부에 몰수된 개화파 관료들의 집터에 개교하였다. 이후 관립한성고등학교(1906년), 경성고등보통학교(1911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1921년),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1922년), 경기공립중학교(1938년)로 교명이 변경되었다.[4]2. 3. 일제강점기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옥균과 서재필 등의 집터에 1899년 칙령 제11호에 의해 신학제가 공포되었고, 1900년 관립중학교가 설립되면서 개교하였다.[3] 이후 관립한성고등학교(1906년), 경성고등보통학교(1911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1921년),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1922년), 경기공립중학교(1938년)로 교명이 변경되었다.[4]2. 4. 해방 이후
1951년 경기중·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5] 한국 전쟁 시 미군 통신부대로 사용되다가 1956년에 반환되었다.[6] 이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미군 주둔으로 인한 민족 자존심 훼손을 비판하며, 조속한 반환을 촉구한 바 있다. 1971년 경기중학교가 폐쇄되었다.[5] 1976년 경기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하였다.[6] 1977년부터 정독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6]3. 건축적 특징
1938년 건립 당시 철근 콘크리트, 벽돌벽 구조, 스팀 난방 시설을 갖춘 최고급 건축물이었다.[6][3] 철근 콘크리트 3층 건물로, 좌우대칭 구조를 갖추고 있다.[5] 중앙 현관의 포치(Porch)가 돌출되어 있고 상부를 높이 쌓아 올려 건물의 웅장함을 더했다.[5] 좁고 긴 형태의 창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독특한 외관을 형성했다.[5]
1938년 당시 학교 건물로서는 철근 콘크리트, 벽돌벽 구조, 스팀 난방 시설을 갖춘 최고급 건축물로 가치가 있으며, 신학제로 설립된 학교의 역사와 인재 양성의 산실로 명성이 높다. 현재 내부 벽 구조는 변화가 있으나 보존 상태가 좋다.
3. 1. 구조 및 시설
1938년 건립 당시 철근 콘크리트, 벽돌벽 구조, 스팀 난방 시설을 갖춘 최고급 건축물이었다.[6][3] 철근 콘크리트 3층 건물로, 좌우대칭 구조를 갖추고 있다.[5] 중앙 현관의 포치(Porch)가 돌출되어 있고 상부를 높이 쌓아 올려 건물의 웅장함을 더했다.[5] 좁고 긴 형태의 창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독특한 외관을 형성했다.[5]3. 2. 보존 상태
1938년 당시 학교 건물로서는 철근 콘크리트, 벽돌벽 구조, 스팀 난방 시설을 갖춘 최고급 건축물로 가치가 있으며, 신학제로 설립된 학교의 역사와 인재 양성의 산실로 명성이 높다. 현재 내부 벽 구조는 변화가 있으나 보존 상태가 좋다.4.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문화재등록
문화재청장
2002-02-28
[2]
간행물
등록문화재 명칭변경 고시
문화재청장
2013-10-30
[3]
뉴스
정독도서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10-09
[4]
웹사이트
경기고등학교 100년 연혁
http://kyunggi.hs.kr[...]
[5]
웹사이트
경성고등보통학교,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http://theme.archive[...]
국가기록원
[6]
뉴스
테마 스토리 서울(25) 북촌길 정독도서관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9-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