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 701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로 7017은 서울역 고가도로를 보행길로 재조성한 공원이다. 1970년 건설된 서울역 고가도로는 2015년 안전 문제로 인해 폐쇄되었고, 박원순 시장의 계획 하에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를 벤치마킹하여 보행자 전용 공원으로 탈바꿈했다. 2017년 5월 20일에 개장했으며, 만리동에서 서울역을 거쳐 회현역 근처 남대문까지 이어진다. 교통 체증 및 상권 침체에 대한 우려와 슈즈트리 논란, 안전 문제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형공원 - 청계천
청계천은 조선시대부터 서울 도심을 흐르는 하천으로, 홍수 예방을 위한 치수 사업이 이루어졌으나 한국전쟁 후 환경 악화로 복개되었다가 2005년 복원되어 시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선형공원 - 경의선숲길
경의선숲길은 경의선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지하화로 인해 지상 구간에 조성된 공원으로, 구간별 특징과 함께 주변 상권 활성화와 젠트리피케이션 같은 사회적 영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 서울 중구의 지리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 중구의 지리 - 청계천
청계천은 조선시대부터 서울 도심을 흐르는 하천으로, 홍수 예방을 위한 치수 사업이 이루어졌으나 한국전쟁 후 환경 악화로 복개되었다가 2005년 복원되어 시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서울로 7017 - [공원]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서울특별시 |
교통 |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AREX 서울역, 7번 출구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Seoullo 7017 |
한글 표기 | 서울로 7017 |
한자 표기 | 서울路 7017 |
유형 | 공원 |
상태 | 완공 |
길이 | 1,024 m |
착공일 | 2016년 |
완공일 | 2017년 |
개원일 | 2017년 5월 20일 |
운영 주체 | 서울특별시 |
총 방문객 | 870만명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서울로 7017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서울역고가도로는 2012년 정밀안전진단에서 2015년 말 수명이 다해 붕괴 위험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8] 이에 따라 2015년 12월 이후 사륜자동차 통행이 금지될 예정이었다.[8] 박원순 시장은 도로 철거 대신 보행자 전용길로 바꾸는 공원화 계획을 추진했는데, 이는 미국 뉴욕의 하이 라인을 벤치마킹한 것이다.[8]
2015년 12월 13일 고가도로 폐쇄 후 공사가 시작되어 2017년 5월 20일 개장하기까지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2006년 ~ 2009년 | 서울역 고가도로 철거 결정 |
2014년 1월 ~ 2월 | 교량 안전성 문제 제기 |
2014년 3월 ~ 12월 | 고가차도 활용 방안 검토 |
2014년 5월 ~ 2015년 8월 | 시민 참여 타당성 검토 |
2015년 1월 ~ 5월 | <서울역 7017 프로젝트> 발표 |
2015년 12월 13일 ~ 2016년 6월 | 건축 공사 착수 |
2017년 5월 20일 | 시민 개방[11] |
2. 1. 서울역 고가도로의 건설 (1970년)
1960년대 한국 전쟁 이후 10년 동안 서울의 계획자들은 "수도[서울]의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고가도로 건설을 명령"했다.[6] 1970년 산업 근대화의 상징물로써 서울역 고가도로가 지어지기 시작하여, 1970년 3월 퇴계로에서 동자동 구간의 서울역 고가도로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후 서울역 고가도로는 서울역에서 처음 대면하는 서울역의 얼굴이자, 상징적 구조물로 자리 잡게 되었다.[10]2. 2. 서울역 고가도로의 노후화와 안전 문제
서울역고가도로는 시간이 흐르면서 노후화되었고, 2012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2015년 말에 붕괴 위험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8] 이에 따라 2015년 12월 이후에는 사륜자동차의 통행을 금지해야 하는 상태에 놓였다.[8] 1960년대, 한국 전쟁 이후 10년 동안 서울의 계획자들은 "수도[서울]의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고가도로 건설을 명령했다. 수십 년이 흐른 지금, 이 거대한 고가도로들은 풍경을 훼손했을 뿐만 아니라 안전 위험 요소가 되었다."[6]2. 3. 서울로 7017 프로젝트 추진 (2014~2017)
박원순 시장은 서울역고가도로를 철거하지 않고, 오직 보행자만이 다닐 수 있는 보행 전용길로 개조하는 공원화 계획을 내놓았다. 이는 고가 화물 노선을 공원으로 재탄생시킨 미국 뉴욕의 하이 라인을 벤치마킹한 것이다.[8]2015년 12월 13일에 고가도로가 폐쇄된 후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16년에 착공하여 2017년에 완공, 같은 해 5월 20일에 개장하였다.
한국 전쟁 이후 10년 동안 서울의 계획자들은 "수도[서울]의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고가도로 건설을 명령했다." 그러나 수십 년이 흐른 지금, "이 거대한 고가도로들은 풍경을 훼손했을 뿐만 아니라 안전 위험 요소가 되었다."[6] 이에 고가도로가 점차 철거되면서, 도시 계획가들은 혼잡한 도시 지역에서 일부 공간을 보행자 녹지 공간으로 재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전 시장 이명박 시장 아래에서 조직된 서울의 청계천 복원 사업을 보완하기 위해 5200만달러 규모의 서울로 7017 완성을 추진했다.[3]
이 공원 계획은 초기에는 교통 체증에 대한 우려와 인근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반대로 인해 논란에 직면했다.[3]
3. 명칭 및 로고
'서울로 7017'에서 '서울로'는 '서울을 대표하는 사람길'과 '서울로 향하는 길'이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7017'은 서울역 고가가 처음 만들어진 1970년과 보행길로 다시 태어난 2017년을 함께 나타낸다.[9]
로고는 웃는 얼굴을 떠올리게 하는 곡선 형태로 만들어 친근감을 높였다. 길을 나타내는 '로'의 영어 표기를 'r' 대신 'l'로 사용해, 두 개의 소문자 'l'을 걷는 모습으로 표현했다. 서울시는 "차량길이 사람길로 변하는 모습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며 "'seoullo' 아래에는 'since 7017'을 넣어 1970년과 2017년 '두 번의 의미 있는 탄생'을 표시했다"고 설명했다. 로고의 색상은 초록색으로, 식재 화분 645개가 채울 보행길을 상징하도록 했다.[9]
4. 위치 및 접근성
서울로 7017은 만리동에서 시작하여 서울역을 지나 북동쪽으로 1024m 떨어진 회현역 근처 남대문에서 끝나는 보행길이다.[6] 가장 가까운 계단은 서울역 정문 건너편이나 서울 지하철 1번 출구에 있다.[6]
5. 논란
서울로 7017 프로젝트는 초기부터 다양한 논란에 직면했다. 1960년대 한국 전쟁 이후 서울의 도시 계획자들은 교통 흐름을 위해 고가도로 건설을 추진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고가도로는 도시 경관을 해치고 안전 문제가 제기되었다.[6] 이에 따라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보행자 녹지 공간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되었고, 박원순 서울시장은 청계천 복원 사업을 보완하기 위해 5200만달러 규모의 서울로 7017 프로젝트를 추진했다.[3]
이 공원 계획은 교통 체증에 대한 우려와 인근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반대로 인해 초기에 논란에 직면했다.[3]
5. 1. 교통 체증 및 상권 침체 우려
남대문시장과 만리동 봉제공장 상공인들은 고가도로 폐쇄와 대체도로 신설이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이므로 '서울역고가도로의 대체도로 건설이 먼저 확실히 정해진 후에 공원화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12] 박원순 시장은 임기 말(2018년 6월)까지 대체도로를 완공하겠다고 말했으나,[13] 한국철도공사는 서울역의 경관과 가치를 해치고 부지 단절로 북부 역세권 개발계획의 공간 활용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반대하였다.[12]교통 전문가들은 대체교량이 기존 고가도로 위치에 설치되어야 차량 통행의 흐름과 진출입 시설 설치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지적하며, 기존 고가를 유지하면서 그 북쪽에 대체교량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14] 이들은 퇴계로부터 서울역사거리까지의 기존 고가를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서 서울역 앞 교차로와 만리재로 사이에 대체교량을 설치하는 것은 심각한 교통 정체를 불러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공원 계획은 교통 체증에 대한 우려와 인근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반대로 인해 초기에 논란에 직면했다.[3]
5. 2. 슈즈트리 논란
서울로 7017 개장을 기념하여 설치된 예술 작품인 '슈즈트리(Shoes Tree)'는 헌 신발 3만여 켤레로 만들어졌는데, 이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15] 슈즈트리는 헌 신발 3만여 켤레를 길이 100m, 높이 17m로 이어붙인 작품으로, 2017년 5월 20일 전면 개방된 서울역 고가도로 위쪽에서부터 구 서울역사 앞까지 흘러나오는 모습으로 설치되었다.[15]그러나 고가 위·아래에서 슈즈트리를 바라보던 시민 상당수는 헌 신발을 소재로 한 슈즈트리가 흉물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수의 시민들은 인터뷰에서 흉측하다, 을씨년스럽다, 우중충하다, 냄새가 난다 등의 부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비가 올 경우 신발에 물이 고이는 것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반면 "중간중간 심어진 꽃과 어우러져 아름답더라", "얘기 듣던 것과 달리 실제로 보니 너무 예쁘게 돼 있다"는 등 예쁘다는 반응도 있었다.[15] 슈즈트리를 만든 황지해 작가는 "차도였던 서울역고가는 이제 사람이 발로 걷는 곳이 됐다"면서 "'걷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신발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극대화하고 싶었다"고 밝혔다.[15]
슈즈트리 제작에 들어간 예산 문제에 대한 지적도 있다. 제작에는 총 1.3억원이 소모되었다. 이 중 뼈대를 만드는데 5100만원으로 가장 많이 들어갔으며 작업 안전펜스 설치에 2700만원이 투입됐다.[16]
6. 사건 및 사고
2017년 5월 30일, 서울로 7017 개장 열흘 만에 투신 사고가 발생했다.[17] 2017년 6월 12일에는 난간 유리가 깨지는 사고가 발생했고,[18] 2017년 7월 31일에는 바닥 80여 곳에 균열이 생겼다.[19] 이러한 사건들은 서울로 7017의 안전 관리 문제점을 드러냈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eoul's Garden In the Sky
https://time.com/480[...]
2017-06-01
[2]
뉴스
Seoul Skygarden set to rival New York's High Line
http://www.smh.com.a[...]
2015-05-14
[3]
뉴스
Say hello to Seoul's new sky park
http://www.straitsti[...]
2017-05-20
[4]
뉴스
[Provincial News] Seoullo 7017, overpass-turned-park, to open in May
https://www.koreatim[...]
2017-04-26
[5]
뉴스
Seoul unveils city's first highway-turned-park
http://www.koreahera[...]
2017-04-25
[6]
웹사이트
Seoul, a city 'with no soul,' builds its own High Line on an old overpass
https://www.washingt[...]
[7]
뉴스
박원순 시장 "서울로7017 개장, 자동차 중심→사람 중심 도시로"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7-05-20
[8]
웹인용
서울로 7017 공식 개장, 뉴욕 '하이라인 파크' 벤치마킹
https://www.hankyung[...]
2017-05-20
[9]
뉴스
서울역 고가 보행길 새 이름은 '서울로 7017'
http://www.yonhapnew[...]
2016-10-18
[10]
웹인용
i seoul u 공식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11]
웹인용
i seoul u 공식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12]
뉴스
서울시는 대체 고가 약속 … 코레일은 "우리땅만 망가져"
https://news.naver.c[...]
중앙선데이
2015-05-10
[13]
뉴스
박원순 "2018년 6월이내 서울역 고가 대체도로 완공"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5-05-10
[14]
뉴스
서울시 추진 서울역 고가공원화 문제 제기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5-11-20
[15]
뉴스
'흉물논란' 서울역고가 슈즈트리 "냄새난다" vs "미적가치"
http://www.nocutnews[...]
[16]
뉴스
‘흉물 논란’ 서울로 슈즈트리 철거…설치비 1억 3000만 원
https://web.archive.[...]
2018-07-04
[17]
뉴스
서울역 고가 공원서 외국인 투신…개장 열흘만에 사고(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5-30
[18]
뉴스
투신 사고 났던 서울로, 이번엔 난간 유리 '와장창'
http://news.tvchosun[...]
2017-06-12
[19]
뉴스
2m마다 '쩍쩍'…서울로, 두달 만에 땜질 공사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
2017-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