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환경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환경영화제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이다. 2004년 처음 개최되어, '그린 필름 페스티벌 인 서울'로 시작하여 '서울 에코 필름 페스티벌', '서울국제환경영화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명세 감독이 집행위원장을 맡았으며, 그린 토크, 시네마 그린틴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채식영화제와 고양이영화제와 같은 테마 영화제도 개최했다. 역대 수상작으로는 《우리 산이야》, 《북회귀선》, 《울타리 밖의 사람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환경 - 홍릉수목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홍릉수목원은 과거 식물 표본 수집지였으나 6.25 전쟁 이후 침엽수, 활엽수, 관목 등 다양한 식물로 재구성되었고, 국가 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되어 식물 유전자원 보유 및 연구에 기여하며 주말 무료 개방과 숲해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서울특별시의 환경 - 서울 승용차 없는 날
    서울 승용차 없는 날은 서울시가 자가용 이용 자제 및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2008년부터 특정일에 서울시 전역에서 자가용 이용을 자제하고 주요 도로에서 승용차 통행을 금지하며 대중교통 무료 운행, 문화 행사 등을 진행하는 행사이다.
  • 2004년 시작된 영화제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영화, 음악, 특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음악 영화제이다.
  • 2004년 시작된 영화제 -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대한민국 대학영화제는 2004년부터 매년 제작자상, 감독상 등을 시상하는 영화 시상식이다.
서울환경영화제
기본 정보
공식 포스터
행사 횟수57개국 57편의 영화 상영
이전 명칭서울환경영화제
창립2004년
개최한국녹색재단
서울환경영화제 조직위원회
후원:
환경부
서울특별시
산림청
영화진흥위원회
개최 기간개막: 2022년 6월 2일
폐막: 2022년 6월 8일
개최 장소MEGABOX 성수 1, 2관, 서울특별시
사용 언어국제
웹사이트서울국제환경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연혁현재: 제19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
이전: 제18회
다음: 제20회

2. 역사

서울환경영화제는 2004년 첫 회를 시작으로, 환경재단이 주최하고 서울특별시가 후원하는 영화제이다. 환경을 주제로 한 다양한 영화들을 상영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대안을 모색하는 장을 마련해왔다.

2018년 '그린 필름 페스티벌 인 서울'(Green Film Festival In Seoul, GFFIS)이라는 영문 명칭을 '서울 에코 필름 페스티벌'(Seoul Eco Film Festival, SEFF)로 변경했고, 2022년 서울국제환경영화제(Seoul International ECO Film Festival, SIEFF)로 명칭을 변경하여 국제 환경영화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1] 이명세 감독은 2018년부터 서울환경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1]

2. 1. 명칭 변경

2018년, '그린 필름 페스티벌 인 서울'(Green Film Festival In Seoul, GFFIS)이라는 영문 명칭을 '서울 에코 필름 페스티벌'(Seoul Eco Film Festival, SEFF)로 변경했다. 이는 녹색이나 자연이라는 한정된 이미지에서 벗어나, 삶과 밀접한 환경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였다.[1]

2022년에는 서울국제환경영화제(Seoul International ECO Film Festival, SIEFF)로 명칭을 변경하여 국제 환경영화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1]

2. 2. 집행위원장

이명세 감독은 1989년 영화 개그맨으로 데뷔해 인정사정 볼 것 없다, 형사 Duelist, M 등에서 독창적인 스타일을 보여줬으며, 평소 환경친화적인 생활을 실천하고 있다.[1] 2018년 서울환경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위촉되었으며, "환경은 오늘의 문제다.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되도록 영화제를 만들겠다"는 소감을 밝혔다.[1]

3. 주요 프로그램

서울환경영화제는 '그린 토크', '시네마 그린틴' 등의 주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린 토크'는 기후 변화 문제를 진단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프로그램이다.[1] '시네마 그린틴'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으로, 영화 관람, 체험 및 전시 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1]

3. 1. 그린 토크

기후 변화 문제를 진단하고, 미래 세대를 생각하는 장기적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토크 프로그램이다.[1]

3. 2. 시네마 그린틴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환경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교육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 프로그램으로, 서울환경영화제 영화 관람 및 체험, 전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 전국 소재 초, 중, 고, 대안학교 재학생 및 모든 청소년이 신청 가능하다.[1]

외부 링크

4. 역대 수상

역대 서울환경영화제에서는 다양한 환경 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수상하며,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4. 1. 제1회 (2004)

시상 구분수상작감독
국제경선 대상우리 산이야김성환
다큐멘터리 부문상솔개 그 마지막 날개짓박환성
다큐멘터리 부문가작바람민제휘
단편 부문상우리 집이 여기야!서석준
단편 부문가작에스쎄티카 002송주명


4. 2. 제2회 (2005)

시상 구분수상작감독
국제경선 대상북회귀선에후니오 뽈고브스키
국제경선 우수상쉿, 아이들이 있어!디나즈 스태포드
씬 엠바고주디스 그레이
위기의 원숭이커 친유안
국제환경영화경선 - 관객상씬 엠바고주디스 그레이
단편 부문상똥의 힘최민근


4. 3. 제15회 (2018)

시상 구분수상작감독
국제환경영화경선 - 장편대상《울타리 밖의 사람들》플라비오 마르체티
《창세기 2.0》크리스챤 프레이, 맥심 아부개브
국제환경영화경선 - 관객상《산호초를 따라서》제프 올롭스키
한국환경영화경선 - 장편대상《카운터스》이일하
한국환경영화경선 - 우수상《소성리》박배일
한국환경영화경선 - 관객심사단상《카운터스》이일하


4. 4. 2019년

시상 구분수상작감독
국제환경영화경선 - 장편대상진흙신시아 웨이드 외
국제환경영화경선 - 심사위원 특별상《더 히든 시티》빅터 모레노
한국환경영화경선 - 관객상진흙신시아 웨이드 외
한국환경영화경선 - 특별언급《알바트로스》크리스 조던
한국환경영화상 - 대상동물, 원왕민철
한국환경영화상 - 우수상《펀치볼》김영조
한국환경영화상 - 관객상《펀치볼》김영조


5. 테마 영화제

서울환경영화제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테마 영화제를 개최해 왔다. 2018년에는 채식영화제와 고양이영화제를 개최했다. 채식영화제에서는 채식 문화를 알리고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며, 고양이영화제에서는 '생명'과 '공존'을 주제로 길고양이 문제를 다루었다.

5. 1. 채식영화제 (2018)

2018년, 환경재단 서울환경영화제 사무국은 영화를 통해 채식 문화를 알리고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자는 취지로 국내 최초 '채식영화제'를 개최했다. 채식이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기후 변화 및 환경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다. 특히 영화 상영 직후 부대 프로그램인 <맛있는 영화관>을 통해 비건(Vegan)식을 맛보며 https://www.instagram.com/yonayonakoh/ <재료의 산책> 팝업식당 요리사 요나와 함께 채식에 관한 토크가 진행됐다.

2018 채식영화제 상영작
상영작감독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7668#story 100억의 식탁발렌틴 투른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1065 해피 해피 브레드미시마 유키코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9985 고기를 원한다면마리즌 프랑크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0285 나의 언덕이 푸르러질 때올리버 디킨슨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3389 잡식가족의 딜레마황윤
https://movie.naver.com/movie/search/result.nhn?query=%ED%8A%B8%EB%A3%A8%EB%A7%9B%EC%87%BC§ion=all&ie=utf8 트루맛쇼박나림

[1]

5. 2. 고양이영화제 (2018)

2018년, 서울환경영화제는 '생명'과 '공존'을 주제로 고양이영화제를 개최했다.[5] 이는 우리 사회의 배려심과 생명 존중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취지였다. 특히 도시 생태계의 일원이자 야생동물인 고양이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열악한 환경과 사회적 편견에 놓인 길고양이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 영화제 사무국은 온라인에서 '도둑고양이' 대신 '길고양이'로 명칭을 변경하는 서명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2018 고양이영화제 상영작
상영작감독
고양이 케디제다 토룬
파리의 도둑고양이장 루프 펠리시올리, 알랑 가그놀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조은성
고양이를 빌려드립니다오기가미 나오코
오늘도 위위박범준
루돌프와 많이있어유야마 쿠니히코, 사카키바라 모토노리


참조

[1] 웹사이트 Seoul, the venue for coexistence of man with nature http://kormore.com/2[...] Kormore 2014-06-05
[2] 웹사이트 SEFF http://www.seff.kr/b[...] 2018-04-24
[3] 뉴스 The 18th Seoul International Eco Film Festival on Jun. 3–9 https://english.seou[...]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2-04-15
[4] 뉴스 '제19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 올해 포스터 & 슬로건 공개 https://n.news.naver[...] Naver 2022-04-15
[5] 웹인용 '[2018 고양이영화제 - 2018 고양이영화제] 동물과 인간의 행복한 공존, 그 작은 시작' http://2018catfilmfe[...] 2019-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