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람은 온도 차이로 인한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수평 이동 현상이다. 전향력, 마찰력, 원심력 등 다양한 힘의 영향을 받으며, 대기 대순환, 국지풍, 계절풍 등 다양한 규모로 발생한다. 바람은 기압의 불균일을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지형과 위치에 따라 해륙풍, 산곡풍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바람은 풍향풍속계 등 다양한 장비로 측정되며, 풍화 작용을 일으키는 등 자연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돛을 이용한 항해, 풍차를 이용한 동력 활용, 풍력 발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항공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기역학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 대기역학 - 저기압
저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기상 현상으로, 발생 원인과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바람을 끌어들이고 회전하며 구름과 강수, 상층 대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 기상 현상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기상 현상 - 홍수
홍수는 과도한 강수량, 눈 녹음, 폭풍 해일, 쓰나미 등으로 발생하는 범람 현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제방 건설,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 예방 대책과 취약 계층 지원이 필요하지만, 토양 비옥도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 바람 - 탁월풍
탁월풍은 특정 지역에서 특정 기간 동안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풍향의 바람으로, 지구 규모 대기 순환이나 국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자연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풍향 장미로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 바람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 | |
---|---|
바람 개요 | |
정의 | 행성 표면에 상대적인 기체의 상당한 움직임 |
물리적 특성 | |
원인 | 기압 경도력 |
영향 요인 | 코리올리 효과 지형 |
규모 | 풍속과 방향으로 측정 |
측정 및 예측 | |
측정 도구 | 풍향계 풍속계 |
예측 방법 | 기상 모델 |
바람의 종류 | |
행성 규모 바람 |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 |
지역 규모 바람 | 푄 현상 해륙풍 산곡풍 높새바람 |
바람의 영향 | |
기상 | 구름 형성 강수 기온 변화 |
생태계 | 씨앗 및 꽃가루 운반 토양 침식 |
인간 활동 | 돛단배 항해 풍력 발전 서핑 패러글라이딩 |
문화적 의미 | |
상징 | 변화 힘 자유 |
관련 문화 | 신화 예술 음악 문학 |
기타 정보 | |
어원 | '불다'의 명사형 |
2. 대기를 움직이는 힘
바람은 주로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압 차이 때문에 생긴다. 기압 경도력 차이가 있으면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속도의 바람이 만들어진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적도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전향력의 영향을 받는다. 열대 지역 바깥과 지표면 마찰의 영향이 없는 곳에서는 대규모 바람이 지균풍 평형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지구 표면 근처에서는 마찰 때문에 바람이 느려지고, 바람이 저기압 영역 안쪽으로 불어 들어오게 된다.[2][3]
물리적인 힘의 평형으로 정의되는 바람은 풍속 프로필을 분석하고 분해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대기 운동 방정식을 간단하게 만들고, 수평 바람의 수평 및 수직 분포에 대해 질적인 설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지균풍 성분은 전향력과 기압 경도력이 평형을 이룬 결과이다. 지균풍은 등압선과 평행하게 불며, 중위도 지역의 대기 경계층 위에서 바람의 흐름을 근사한다.[4] 온도풍은 대기 중 두 고도 사이의 지균풍 ''차이''를 말하며, 수평 온도 경도가 있는 대기에서만 나타난다.[5] 비지균풍 성분은 실제 바람과 지균풍의 차이를 나타내며, 시간이 지나면서 사이클론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6] 경도풍은 지균풍과 비슷하지만 원심력(또는 구심 가속도)도 포함한다.[7]
대규모 바람 패턴(대기 대순환)은 적도와 극 사이의 온도 차이(태양 에너지 흡수 차이로 인한 부력)와 전향력 때문에 발생한다.
2. 1. 중력

중력은 지구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이다. 만유인력과 원심력을 벡터로 합한 힘으로, 대기과학에서는 단위질량당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계산한다. 원심력은 만유인력에 비해 너무 작기 때문에 만유인력을 중력으로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2. 2. 기압경도력
바람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은 기압의 차이이다. 거리에 대한 기압의 차이를 기압 경도라고 하며, 기압경도력은 기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향한다.[2][3]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압력의 차이에 따라 바람의 세기가 결정된다.물리학적으로는, 장소에 따른 기압의 불균일을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기상학에서는 "바람은 '''기압 경도력'''에 의해 발생한다"고 표현한다.
날씨 그림에서 등압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바람이 강하게 분다. 1888년 대폭설 당시 지상 분석도(surface analysis)를 보면 등압선이 촘촘한 지역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었음을 알 수 있다.

수평 방향의 기압 경도는 연직 방향의 기압 경도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대개 무시한다. 만약 연직 방향의 기압 경도가 1km당 91hpa이라면, 수평 방향의 기압 경도는 100km당 약 1hpa의 변화를 보인다.
2. 3. 전향력
전향력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가상의 힘으로, 물체의 운동 방향을 기준으로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휘게 하는 힘이다. 대한민국은 북반구에 위치하므로 바람은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오른쪽으로 휘어진다.[2][3] 전향력은 물체의 운동 방향에 수직으로만 작용하여 속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방향만 바꾼다.
전향력은 운동하는 모든 물체에 작용하며, 북반구에서는 물체의 이동 방향 오른쪽 직각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 직각 방향으로 작용한다. 적도에서는 전향력이 없고, 위도가 높아질수록 전향력이 커져 극지방에서 최대가 된다. 또한, 전향력은 운동하는 물체의 속력에 비례하며, 운동 방향만 바꿀 뿐 속력은 변화시키지 못한다.[2][3]
바람은 기압 경도력과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지균풍 평형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지균풍은 전향력과 기압 경도력이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부는 바람으로, 등압선과 평행하게 분다.[4]
2. 4. 원심력
원심력은 물체가 곡선 운동을 할 때 물체의 속력이 변하지 않더라도 그 물체가 가속을 받게 되는 힘이다. 구심력의 관성력이 원심력이다. 구심력은 항상 곡선 운동의 중심을 향하므로 원심력은 그 반대 방향인 바깥쪽을 향한다.
2. 5. 마찰력
마찰력은 운동 상태를 방해하는 힘으로, 대기 운동에서는 지표의 거칠기 때문에 발생한다. 육지에서는 산, 건물, 수목 등 복잡한 지형이, 바다에서는 파도에 의해 해면이 평형을 이루지 못해 마찰력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약 1km 고도까지 마찰력이 작용하며, 이 경계층을 대기 경계층이라고 한다. 마찰력은 풍속에 비례한다.[2]지표면 근처에서는 마찰로 인해 바람이 느려진다. 지표 마찰은 또한 바람이 저기압 영역으로 더 안쪽으로 불어오게 한다.[3] 마찰력은 지표면 부근의 대기 경계층을 흐르는 바람에 작용하며, 상공으로 갈수록 작아져 고도 약 1km 이상에서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이를 자유 대기층이라 한다.) 이 때문에 지표면 부근의 바람은 약하고, 상공으로 올라갈수록 풍속은 빨라진다. 지표면에서도 조도가 작은 해상에서는 영향이 약하고, 육상에서는 약간 영향이 강해지며, 울창한 숲 속이나 건물이 밀집한 곳에서는 강하게 작용하여 바람의 상태를 크게 바꾼다.
3. 힘의 균형과 바람
대기 중에서는 여러 힘이 평형을 이루어 다양한 종류의 바람이 발생한다.
바람은 주로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압 차이, 즉 기압 경도력에 의해 발생한다.[2] 기압 경도력이 존재하면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속도의 바람이 생성된다. 회전하는 행성에서는 적도를 제외하고 전향력의 영향을 받는다.
지구 규모의 대규모 바람 패턴(대기 순환)은 적도와 극 사이의 온도 차이(태양 에너지 흡수 차이로 인한 부력)와 전향력에 의해 발생한다. 열대 지역 밖, 그리고 지표면 마찰의 영향이 적은 곳에서는 대규모 바람이 지균풍 평형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물리적 힘의 평형으로 정의되는 바람은 풍속 프로필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대기 운동 방정식을 단순화하고, 수평 및 수직 바람 분포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지균풍은 전향력과 기압 경도력 사이의 평형으로, 등압선과 평행하게 분다.[4] 온도풍은 대기 중 두 층 사이의 지균풍 차이로, 수평 온도 경도가 있을 때만 존재한다.[5] 비지균풍은 실제 바람과 지균풍의 차이를 나타내며, 시간이 지나면서 사이클론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6] 경도풍은 지균풍과 유사하지만 원심력 (또는 구심 가속도)도 고려한다.[7]
기압 경도력 외에 바람에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다.
- 코리올리 힘 (전향력): 수평 규모가 큰 바람(수백~수천 km)에 작용하며, 바람 방향을 바꾸지만 풍속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17]
- 지표면과의 마찰력: 지표면 부근의 바람에 작용하여 풍속을 감소시킨다. 지표면의 조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진다. (예: 해상에서는 약하고, 숲이나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강함)
- 바람 자체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토네이도나 태풍 중심 부근에서 강하게 작용한다.
- 지구의 인력 (중력):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공기에 크게 작용하며, 중력파의 바람에도 영향을 준다.
지구 표면 근처에서는 마찰로 인해 바람이 느려지고, 저기압 영역으로 더 안쪽으로 불어 들어간다.[2][3]
3. 1. 정역학 평형


지면 근처에서 고도별 기압을 측정하면 10m당 1hPa 감소한다. 이는 태풍 중심에서 나타나는 수평 기압경도보다 훨씬 더 큰 수치이다. 그러나 강한 기압경도에도 강한 바람은 관측되지 않는다. 평균적으로 1cm/s의 크기의 일정한 움직임이 관측된다. 강한 뇌우의 경우 수십cm/s에서 수m/s이다.
3. 2. 지균풍

지균풍은 직선 운동을 하는 바람으로,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의 평형으로 만들어진다. 북반구에서 전향력은 공기덩이의 운동 방향 오른쪽 직각으로 작용한다. 기압경도력만큼 공기덩이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향력도 같이 커지기 때문에 평형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북반구에서 바람은 항상 저기압을 왼쪽에 놓고 불게 된다.(남반구 기준 반대) 기압 경도가 같을 때, 밀도가 작고(상층 대기), 저위도로 갈수록 지균풍은 강해진다. 위도가 0인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있을 수 없다.

지균풍은 주로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압 차이로 발생하며, 회전하는 행성에서는 적도를 제외하고 전향력의 영향을 받는다. 열대 지역 밖과 지표면의 마찰 효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는 대규모 바람이 지균풍 평형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물리적 힘의 평형에 의해 정의된 바람은 풍속 프로필의 분해 및 분석에 사용된다. 이는 대기 운동 방정식을 단순화하고 수평 바람의 수평 및 수직 분포에 대한 질적 주장을 하는 데 유용하다. 지균풍 성분은 전향력과 기압 경도력 사이의 평형의 결과이다. 이는 등압선과 평행하게 흐르며 중위도 지역의 대기 경계층 위에서 흐름을 근사한다.[4]
3. 3. 경도풍
경도풍은 기압경도력, 전향력,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어 발생하는 바람으로, 등압선을 따라 곡선 형태로 분다. 고기압과 저기압에서 기압경도력이 같아 등압선 간격이 동일하면, 등압선이 직선일 때 지균풍 속도는 같다. 그러나 등압선이 곡선일 때 경도풍 속도는 고기압에서 더 강하다. 이는 실제 대기에서 저기압 중심의 등압선 간격이 더 좁아 저기압에서 바람이 더 강하게 부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7]3. 4. 선형풍

수평 운동 규모가 충분히 작으면 전향력은 기압 경도력이나 원심력에 비해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어 바람이 부는데, 이를 선형풍이라고 한다.
3. 5. 관성풍

기압이 수평적으로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거대한 고기압의 경우나, 바람에 의해 기압분포가 균일해졌음에도 관성에 의해 바람이 계속해서 불 경우, 이 바람은 전향력과 원심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불게 된다. 이때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관성풍이 분다.
3. 6. 마찰풍
지구 표면 근처에서는 마찰 때문에 바람이 느리게 분다. 지표 마찰은 바람이 저기압 영역으로 더 안쪽으로 불어오게 한다.[2][3]대기 경계층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한다. 기압경도력은 전향력과 마찰력의 벡터 합이므로, 마찰력이 강할수록 풍속이 감소하고 풍향이 전환된다.
3. 7. 연속 방정식
연속 방정식은 공기의 질량이 보존됨을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바람의 수렴과 발산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만약 이면 수평 발산하며, 이면 수평 수렴한다.
4. 열적 순환과 바람
바람은 주로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기압 차이, 즉 기압 경도력 때문에 발생한다.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속도의 바람이 생성된다. 회전하는 행성에서는 전향력이 작용하여 바람의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지구 규모에서 바람의 패턴은 적도와 극 사이의 온도 차이(태양 에너지 흡수 차이로 인한 부력)와 전향력에 의해 결정된다.
지구 표면 근처에서는 마찰 때문에 바람이 느려지고, 저기압 영역으로 더 안쪽으로 불게 된다.[2][3]
물리적인 힘의 평형으로 정의되는 바람은 풍속 프로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지균풍은 전향력과 기압 경도력 사이의 평형으로, 등압선과 평행하게 분다.[4] 온도풍은 두 고도 사이의 지균풍 차이로, 수평 온도 경도가 있을 때만 존재한다.[5] 비지균풍은 실제 바람과 지균풍의 차이를 나타내며, 경도풍은 지균풍에 원심력을 포함한다.[7]
역사적으로 보퍼트 풍력 계급은 해상 상태를 기반으로 풍속을 경험적으로 묘사했다. 원래 13단계였으나 1940년대에 18단계로 확장되었다.[21] 바람의 세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로는 미풍, 강풍, 폭풍, 허리케인 등이 있다.
다음은 전 세계 지역 전문 기상 센터에서 사용되는 열대 저기압 분류를 요약한 표이다.
일반적인 풍속 분류 | 열대 저기압 분류 (모든 풍속은 10분 평균) | ||||||||
---|---|---|---|---|---|---|---|---|---|
보퍼트 풍력 계급[21] | 10분 지속 풍속 | 일반 용어[24] | 북 인도양 IMD | 남서 인도양 MF | 호주 지역 남태평양 BoM, BMKG, FMS, MSNZ | 북서 태평양 JMA | 북서 태평양 JTWC | 북동 태평양 & 북 대서양 NHC & CPHC | |
(노트) | (km/h) | ||||||||
0 | <1 | <2 | 잔잔함 | 저기압 구역 | 열대성 교란 | 열대성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1 | 1–3 | 2–6 | 약한 바람 | ||||||
2 | 4–6 | 7–11 | 산들바람 | ||||||
3 | 7–10 | 13–19 | 부드러운 바람 | ||||||
4 | 11–16 | 20–30 | 적당한 바람 | ||||||
5 | 17–21 | 31–39 | 신선한 바람 | 저기압 | |||||
6 | 22–27 | 41–50 | 강한 바람 | ||||||
7 | 28–29 | 52–54 | 적당한 강풍 | 딥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
30–33 | 56–61 | ||||||||
8 | 34–40 | 63–74 | 신선한 강풍 | 사이클론성 폭풍 | 적당한 열대성 폭풍 | 열대성 저기압 (1) | 열대성 폭풍 | 열대성 폭풍 | 열대성 폭풍 |
9 | 41–47 | 76–87 | 강한 강풍 | ||||||
10 | 48–55 | 89–102 | 완강풍 | 심각한 사이클론성 폭풍 | 심각한 열대성 폭풍 | 열대성 저기압 (2) | 심각한 열대성 폭풍 | ||
11 | 56–63 | 104–117 | 폭풍 | ||||||
12 | 64–72 | 119–133 | 허리케인 | 매우 심각한 사이클론성 폭풍 | 열대성 저기압 |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 (3) | 태풍 | 태풍 | 허리케인 (1) |
13 | 73–85 | 135–157 | 허리케인 (2) | ||||||
14 | 86–89 | 159–165 |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 (4) | 메이저 허리케인 (3) | |||||
15 | 90–99 | 167–183 | 강렬한 열대성 저기압 | ||||||
16 | 100–106 | 185–196 | 메이저 허리케인 (4) | ||||||
17 | 107–114 | 198–211 |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 (5) | ||||||
115–119 | 213–220 | 매우 강렬한 열대성 저기압 | 슈퍼 태풍 | ||||||
>120 | >222 | 슈퍼 사이클론성 폭풍 | 메이저 허리케인 (5) |
기상학에서는 "바람은 기압 경도력에 의해 발생한다"고 표현한다. 기압의 불균일이나 기압 경도력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지구상에서 장소에 따라 태양 에너지 분포(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햇빛이 닿는 정도나 지표면의 따뜻해지는 정도의 차이가 섬이나 대륙과 같은 거대한 규모에서 존재하면, 기압이 불균일해져 수천 km 규모의 고기압·저기압이 발생한다. 고기압에서는 바람이 불어 나가고, 저기압에는 바람이 불어 들어온다.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는 공기가 "바람"의 주된 원인이 된다.
날씨 그림에서 등압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바람이 강하다. 다만, 고기압·저기압의 바람은 먼 거리를 흐르기 때문에 전향력과 원심력을 받아 회전을 동반하며, 이를 지균풍, 경도풍이라고 한다.
4. 1. 열순환
Thermal circulation영어은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순환 현상이다. 이러한 열순환으로 인해 곡풍과 산풍 같은 국지적인 바람이 발생한다.[47][48][49]곡풍은 낮에 돌출된 산등성이가 골짜기보다 빨리 가열되어 상승 기류가 형성되면서 발생한다. 이때,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골짜기에서 산등성이로 바람이 불게 된다. 반대로 산풍은 밤에 산등성이가 빠르게 냉각되면서 차가워진 공기가 산 사면을 타고 골짜기 쪽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바람이다.
해안 지역에서는 해풍과 육풍이 해당 지역의 주 풍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물은 땅보다 비열이 크기 때문에 태양에 의해 더 느리게 데워진다. 땅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땅은 전도를 통해 그 위의 공기를 가열하고, 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낮아 상승한다. 이때 해수면 기압이 더 높은 바다 위의 차가운 공기는 기압이 낮은 내륙으로 흘러 들어가 해안 근처에 더 시원한 바람을 생성한다. 해안을 따라 부는 배경풍은 코리올리 힘에 대한 방향에 따라 해풍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킨다.[52][53]
밤에는 비열 값의 차이로 인해 육지가 바다보다 더 빨리 식는다. 이러한 온도 변화로 인해 낮 동안의 해풍이 약해진다. 육상 온도가 해상 온도보다 낮아지면, 육풍을 막을 만큼 해안풍이 강하지 않은 한, 물 위의 기압이 육지의 기압보다 낮아져 육풍이 형성된다.[54]
고도가 높은 지표면에서는 지면의 가열이 해수면 위 같은 고도에서 주변 공기의 가열을 초과하여 지형 위에 관련된 열적 저기압을 생성하고, 그렇지 않았을 열적 저기압을 강화하며, 해당 지역의 풍향 순환을 변화시킨다. 환경 풍향을 상당히 방해하는 험준한 지형이 있는 지역에서는 산과 계곡 사이의 풍향 순환이 탁월한 바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언덕과 계곡은 대기와 육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흐름을 물리적으로 막아 풍향을 지형의 상류에서 산맥과 평행하게 전환시켜 기류를 실질적으로 왜곡시킨다. 이것은 장벽 제트로 알려져 있다. 이 장벽 제트는 저고도 바람을 45%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 방향 또한 지형의 윤곽 때문에 변화한다.[55][56]
산맥에 고개가 있으면, 바람은 베르누이 원리 때문에 상당한 속도로 고개를 통과하여 돌진한다. 기류는 평평한 시골로 내려가는 어느 정도 거리에서도 난류적이고 불규칙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상승 및 하강하는 비행기에 위험하다.[57] 산의 틈새를 통해 가속하는 차가운 바람에는 지역 이름이 붙여졌다. 중앙아메리카의 예로는 파파가요 풍, 파나마 풍, 테후아노 풍이 있다. 유럽에서는 유사한 바람을 보라, 트라몽탄, 미스트랄이라고 한다. 이러한 바람이 탁 트인 해역으로 불어오면 해양 상층부의 혼합을 증가시켜 차갑고 영양분이 풍부한 물을 표면으로 끌어올려 해양 생물의 증가로 이어진다.[58]
산악 지역에서는 기류의 국지적인 왜곡이 심각해진다. 울퉁불퉁한 지형이 결합하여 로터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흐름 패턴과 난류를 생성하며, 이는 렌즈 구름으로 덮일 수 있다. 강한 상승 기류, 하강 기류, 그리고 소용돌이가 공기가 언덕 위로 흐르고 계곡 아래로 내려갈 때 발생한다. 산악 강수는 산의 바람받이 쪽에 발생하며, 산등성이를 가로지르는 대규모의 습한 공기 흐름의 상승 기류 운동(상승류라고도 함)에 의해 발생하여 단열 감률 냉각과 응결을 초래한다. 상대적으로 일관된 바람이 부는 세계의 산악 지역(예: 무역풍)에서는 산의 바람받이 쪽이 바람그늘 또는 하강 쪽보다 더 습한 기후가 일반적으로 우세하다. 습기는 산악 상승으로 제거되어 하강하고 일반적으로 따뜻해지는 바람그늘 쪽에 건조한 공기를 남기며, 여기에서 강수량 감소 지역이 관찰된다.[59]
산을 넘어 낮은 고도로 흐르는 바람을 하강풍이라고 한다. 이 바람은 따뜻하고 건조하다. 유럽에서는 알프스산맥의 바람 아래쪽에서 푄으로 알려져 있다. 폴란드에서는 할니 바람이 그 예이다. 아르헨티나에서는 하강풍의 지역 이름이 존다이다. 자바에서는 그러한 바람의 지역 이름이 꼬엠방이다. 뉴질랜드에서는 노르웨스트 아치로 알려져 있으며, 수년에 걸쳐 예술 작품에 영감을 준 구름 형성과 함께 나타난다. 미국 대평원에서는 이 바람을 치누크라고 한다. 하강풍은 또한 미국의 애팔래치아 산맥의 산기슭에서도 발생하며, 다른 하강풍만큼 강할 수 있고 근원 기단의 수분 증가로 인해 상대 습도가 일반적으로 거의 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푄 풍과 비교하여 특이하다. 캘리포니아에서는 하강풍이 산길을 통해 유입되어 그 영향을 강화하며, 예로는 산타 아나와 선다운 바람이 있다.
4. 2. 대기 대순환

대기 대순환은 지구 규모의 열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발생하는 대규모 순환으로,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과 같은 바람을 발생시킨다.
지구상의 풍계는 남북반구 모두 3개의 구분으로 나뉘며, 대기 대순환에 의해 저위도의 열을 고위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적도에서 위도 30도 부근까지의 순환은 해들리 순환이라고 불리며, 적도 부근의 열대 수렴대에서 공기가 데워져 상승하고, 고위도로 이동한 후 위도 20도에서 30도 부근의 아열대 고압대에서 냉각되어 하강하여 적도 부근으로 이동한다. 이 지상 부근에서의 바람은 항상 동쪽에서 부는 무역풍이다.[174] 이 순환에 의해, 항상 상승 기류가 발생하는 적도 지방은 일년 내내 많은 강우량이 있는 열대 우림 기후가 되며, 반면에 항상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아열대 고압대의 지역은 연간 강우량이 거의 없는 사막 기후가 된다. 열대 수렴대와 아열대 고압대는 모두 태양의 이동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위의 두 지역의 중간 지역에 계절에 따라 강우를 가져오며, 이 지역에 사바나 기후 및 스텝 기후를 형성한다.
위도 30도에서 60도에 걸쳐 있는 중위도 지방에서는 아열대 고압대에서 하강한 공기가 북상하고, 북위 60도 부근의 아한대 저압대에서 상승하여 저위도로 향한다. 이 순환은 페렐 순환이라고 불리며, 지상 부근에서 고위도로 향하는 바람은 항상 서쪽에서 불기 때문에 편서풍이라고 불린다. 중위도 지대의 대류권 상층에는 매우 빠른 편서풍의 기류가 존재하며, 이것을 제트 기류라고 부른다. 제트 기류는 북위 30도 부근을 중심으로 부는 아열대 제트 기류와 북위 40도 부근에 부는 한대 제트 기류의 두 개가 존재하며, 각각 전자가 해들리 순환과 페렐 순환, 후자가 페렐 순환과 극 순환의 경계에서 분다. 특히 한대 제트 기류는 사행하기 쉽고, 겨울의 일본 상공이나 북아메리카 대륙 동부 상공에서는 양자가 합류하여 불기 때문에, 특히 강한 기류가 된다. 일본 상공에는 거의 항상 편서풍이 불고 있기 때문에, 기단도 이 흐름을 타고 이동하며, 일본의 날씨는 거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위도 60도에서 극점까지는, 극점 부근의 극 고압대에서 냉각되어 하강한 공기가 저위도로 향하고, 아한대 저압대에서 상승하여 극점으로 향한다. 이 순환은 극 순환이라고 불리며, 지상에서는 동쪽에서 극 편동풍이 분다. 남극에서는 남극 대륙의 거대한 빙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기가 강하고, 남극해에는 북반구와 달리 거대한 육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약해지지 않아, 남극해 북부는 격노하는 60도라고 불릴 정도의 맹렬한 폭풍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 한기는 남극해 이북에도 영향을 미쳐, 광포한 50도나 포효하는 40도라고 불리는 폭풍권을 만들어낸다.
5. 규모에 따른 분류
바람은 발생 규모에 따라 크게 대규모 바람, 종관규모 바람, 중간규모 바람, 미소규모 바람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대규모 바람: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 등 지구 규모의 대기 순환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이다.
- 종관규모 바람: 지균풍, 경도풍 등 매일의 날씨 변화와 관련된 바람이다.
- 중간규모 바람: 해륙풍, 산곡풍과 같이 국지적인 지형이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이다.
- 미소규모 바람: 난기류, 돌개바람 등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바람이다.

바람은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변화 주기에는 경향이 있다. 지역 차이도 크지만, 일반적으로는 저기압·고기압의 통과와 같은 종관 규모 기상에 의한 변화(약 4일 주기)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계절 변화에 의한 것(1년 주기)이 크다. 해륙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약 12시간 주기의 변화도 두드러진다. 또한, "바람의 숨결"이라고 불리는 잘게 나뉜 풍향 풍속의 변화(약 1초 단위)도 두드러진다.[173]
"강풍"은 수십 분에서 수 일 동안 지속되는 풍속이 큰 바람을, "돌풍"은 수 초에서 수 분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부는 풍속이 큰 바람을 의미한다. 돌풍은 강풍 기간 동안 기류의 혼란에 의해 발생하거나, 토네이도나 다운버스트와 같은 메조 규모 기상 현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풍향 시어(Wind shear)는 풍속 경사라고도 불리며, 지구 대기에서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서 풍속과 풍향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는 매우 짧은 거리에서 발생하는 미기상학적 현상이지만, 중규모 또는 전국 규모의 기상 현상과 관련될 수 있다.
5. 1. 대규모 바람 - 대기 대순환
대규모 바람은 지구 규모의 대기 순환에 의해 발생하며,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 제트류 등이 있다.

저위도 환류의 지표 성분인 무역풍은 대항해 시대에 유럽과 신대륙을 잇는 항로의 배들이 이용했던 바람이라는 의미에서 이름 붙여졌다. 저위도 환류는 적도 지역에서 가열되어 상승한 공기 덩어리가 대기의 상층에서 남, 북으로 이동하다 남,북위 30°의 중위도에서 냉각되어 침강하여 다시 적도 지역으로 돌아가면서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코리올리 힘이 작용하여 서편향되어 지표에서는 무역풍으로 작용한다.[30][31]
편서풍은 중위도 환류의 지표 성분으로 중위도에서 하강하는 저위도 환류의 순환의 영향을 받아 지표에서 북쪽으로 부는 바람이다. 북쪽으로 불어가는 과정에서 코리올리의 힘을 받아 동편향 되어 서풍이 되지만, 저위도 환류나 고위도 환류와 달리 열로 직접 구동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대적으로 뚜렷하지 않다. 대한민국은 편서풍대에 위치하여 서풍 계열의 바람이 우세하다.
극동풍은 극 지역에서 침강하여 적도지역으로 이동하는 공기 덩어리에 의해 나타나며 고위도 환류의 지표 성분이다. 저위도 환류와 같이 열의 직접적인 출입에 의해 구동되는 고위도 환류에 의해 나타나므로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며 남쪽에서 올라오는 편서풍과 결합하여 북위 60°지역에서는 폭우와 토네이도를 동반하는 극전선을 형성한다.
제트류는 대기의 상층에서 빠르게 동쪽으로 움직이는 공기의 흐름으로 수직 환류 사이의 열 교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중위도 환류와 고위도 환류 사이의 극전선 상층에는 상시적으로 관찰되나 저위도 환류와 중위도 환류 사이에서는 겨울에 주로 나타난다. 기류 흐름의 방향은 대체적으로 동쪽을 나타내지만 극파동의 영향으로 남풍, 혹은 북풍이 되기도 한다.
5. 2. 종관규모 바람
지균풍(geostrophic wind), 경도풍(gradient wind), 선형풍(cyclostrophic wind)을 포함하는 종관규모 바람은 온난전선이나 한랭전선과 같은 규모의 기상현상과 동반하며 매일 매일의 날씨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1]전향력의 영향으로 북반구에서 고기압은 시계방향으로, 저기압은 반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분다. 이러한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며 코리올리 힘의 영향을 받아 등압선(isobars)에 평행하게 되는데, 이를 지균풍이라고 한다. 지균풍은 마찰이 없고 코리올리 힘의 영향을 받는 큰 규모의 흐름에서만 나타난다.
원심력이 코리올리 힘보다 압도적으로 큰 경우 발생하는 선형풍은 허리케인(hurricanes), 토네이도(tornadoes), 태풍(typhoons)과 같이 좁은 지역에서 급격한 공기 회전으로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보퍼트 풍력 계급(보퍼트 제작)은 해상 상태를 기반으로 풍속을 나타낸다. 13단계(0–12)에서 1940년대에 18단계(0–17)로 확장되었다.[21]
다음은 전 세계 지역 전문 기상 센터에서 사용되는 열대 저기압 분류를 요약한 표이다.
일반적인 풍속 분류 | 열대 저기압 분류 (모든 풍속은 10분 평균) | ||||||||
---|---|---|---|---|---|---|---|---|---|
보퍼트 풍력 계급[21] | 10분 지속 풍속 | 일반 용어[24] | 북 인도양 IMD | 남서 인도양 MF | 호주 지역 남태평양 BoM, BMKG, FMS, MSNZ | 북서 태평양 JMA | 북서 태평양 JTWC | 북동 태평양 & 북 대서양 NHC & CPHC | |
(노트) | (km/h) | ||||||||
0 | <1 | <2 | 잔잔함 | 저기압 구역 | 열대성 교란 | 열대성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1 | 1–3 | 2–6 | 약한 바람 | ||||||
2 | 4–6 | 7–11 | 산들바람 | ||||||
3 | 7–10 | 13–19 | 부드러운 바람 | ||||||
4 | 11–16 | 20–30 | 적당한 바람 | ||||||
5 | 17–21 | 31–39 | 신선한 바람 | 저기압 | |||||
6 | 22–27 | 41–50 | 강한 바람 | ||||||
7 | 28–29 | 52–54 | 적당한 강풍 | 딥 저기압 | 열대성 저기압 | ||||
30–33 | 56–61 | ||||||||
8 | 34–40 | 63–74 | 신선한 강풍 | 사이클론성 폭풍 | 적당한 열대성 폭풍 | 열대성 저기압 (1) | 열대성 폭풍 | 열대성 폭풍 | 열대성 폭풍 |
9 | 41–47 | 76–87 | 강한 강풍 | ||||||
10 | 48–55 | 89–102 | 완강풍 | 심각한 사이클론성 폭풍 | 심각한 열대성 폭풍 | 열대성 저기압 (2) | 심각한 열대성 폭풍 | ||
11 | 56–63 | 104–117 | 폭풍 | ||||||
12 | 64–72 | 119–133 | 허리케인 | 매우 심각한 사이클론성 폭풍 | 열대성 저기압 |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 (3) | 태풍 | 태풍 | 허리케인 (1) |
13 | 73–85 | 135–157 | 허리케인 (2) | ||||||
14 | 86–89 | 159–165 |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 (4) | 메이저 허리케인 (3) | |||||
15 | 90–99 | 167–183 | 강렬한 열대성 저기압 | ||||||
16 | 100–106 | 185–196 | 메이저 허리케인 (4) | ||||||
17 | 107–114 | 198–211 |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 (5) | ||||||
115–119 | 213–220 | 매우 강렬한 열대성 저기압 | 슈퍼 태풍 | ||||||
>120 | >222 | 슈퍼 사이클론성 폭풍 | 메이저 허리케인 (5) |
5. 3. 중간규모 바람
중간규모 바람은 국지적인 지형이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으로, 해륙풍, 산곡풍 등이 있다. 종관규모 바람은 예측 가능한 바람의 영역이지만, 그보다 규모가 작은 바람은 지리적으로 매우 좁은 영역에서 발생하거나 짧은 시간에만 존재하므로 의미 있는 예측이 쉽지 않다. 중간규모 바람에는 지역적으로 특이한 바람들이 대부분 포함된다.[21]5. 4. 미소규모 바람
미소규모 바람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바람으로, 수백에서 수천 미터 정도의 규모에 그친다. 이러한 바람에는 난기류와 돌개바람 등이 있다.[21]미소규모 바람은 그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1985년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록히드 L-1011기 추락 사고는 "micro burst"라는 미소규모 바람 때문에 발생했다. 이 사고로 133명이 희생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전 세계 공항과 기상 관측소에 도플러 레이다가 설치되었다.[21]
풍향 시어(Wind shear)는 풍속 경사라고도 불리며, 지구 대기에서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서 풍속과 풍향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는 매우 짧은 거리에서 발생하는 미기상학적 현상이지만, 중규모 또는 전국 규모의 기상 현상과 관련될 수 있다.
6. 바람의 영향 - 풍화작용
바람은 지표면의 물질을 이동시키고 침식시키는 풍화작용을 일으킨다. 건조한 기후에서 침식의 주요 원인은 바람이다.[103] 바람은 작은 입자를 들어 올려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를 감압(deflation)이라고 한다. 부유 입자는 고체 물체에 충격을 가하여 마모(생태적 천이)를 통해 침식을 유발할 수 있다. 바람 침식은 식물이 거의 없거나, 강수량이 부족한 지역(예: 해변, 사막의 사구)에서 주로 발생한다.[105]
뢰스(Loess)는 바람에 날린 퇴적물로, 균질하고 층이 없으며 다공성이고 부서지기 쉽고 옅은 노란색을 띤다.[106] 뢰스는 넓은 지역에 걸쳐 두껍게 퇴적되며, 비옥한 토양을 형성하여 농업 생산성이 높은 지역이 된다.[108] 그러나 뢰스 퇴적물은 지질학적으로 불안정하고 쉽게 침식되므로, 방풍림을 심어 바람 침식을 줄이기도 한다.[103]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사진(沙塵)의 양은 방대하다.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에서는 연간 20억~30억 톤의 사진이 발생하여 카리브해와 남아메리카 대륙, 플로리다주 등에 영향을 미친다.[177] 동아시아에서는 봄에 고비 사막이나 황토 지대에서 발생한 황사가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와 일본에 영향을 준다.
7. 지형 특징과 위치에 따른 분류
바람은 지형적인 특징과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특정 지역에서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지풍에는 해륙풍, 산곡풍, 푄 현상(푄), 보라 등이 있다.
지표면 근처에서 부는 지상풍은 지구 표면과의 마찰력 때문에 등압선과 비스듬하게 분다. 마찰력이 작은 바다 위에서는 등압선과 10~20° 정도의 각도를 이루지만, 마찰력이 큰 산악 지방에서는 20~45°까지 각도가 커진다.
7. 1. 국지풍
국지풍은 특정 지역에서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해륙풍, 산곡풍 등이 있다.해안 지역에서는 낮과 밤에 따라 풍향이 바뀌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륙풍이라고 한다. 낮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가열되어 육지에서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시원한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해풍이 분다. 반대로 밤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육풍이 분다.[49]
산과 계곡 사이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풍향이 바뀌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산곡풍이라고 한다. 낮에는 햇빛을 받은 계곡 경사면이 가열되어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계곡에서 산 정상을 향해 바람이 불어 올라간다. 밤에는 산 정상 부근의 차가운 공기가 계곡 아래로 내려오면서 바람이 분다.
이 외에도 산을 넘어 불어오는 건조하고 따뜻한 바람인 푄 현상(푄)과, 차갑고 건조한 강풍인 보라 등이 국지풍에 해당한다.
7. 2. 산곡풍
산곡풍은 지형과 온도 변화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 낮에는 햇빛을 받아 산 정상과 능선 부분이 골짜기보다 먼저 따뜻해진다. 따뜻해진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골짜기의 공기가 산 정상과 능선 쪽으로 이동하여 골짜기풍이 분다. 오후에는 반대로 산 정상 부분이 먼저 식으면서 정상에서 골짜기 방향으로 산풍이 분다.7. 3. 지상풍
지상풍은 지표면 근처에서 부는 바람으로, 지구 표면과의 마찰력 때문에 등압선과 비스듬하게 분다. 마찰력이 작은 바다 위에서는 등압선과 10~20° 정도의 각도를 이루지만, 마찰력이 큰 산악 지방에서는 20~45°까지 각도가 커진다. 북반구에서 고기압일 때는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나가고, 저기압일 때는 반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온다. 지상풍의 풍속은 비교적 약한 편이다.역사적으로 보퍼트가 제작한 보퍼트 풍력 계급은 해상 상태를 관측하여 풍속을 나타낸 것이다. 원래 13단계(0-12)였으나 1940년대에 18단계(0-17)로 확장되었다.[21]
8. 특정 지역에 부는 바람
세계 각 지역에는 독특한 이름을 가진 바람들이 있다. 쿠바 남부 해안의 Bayamo, 북부 이탈리아와 알프스 북사면의 푄(Föhn), 남부 캘리포니아의 Santa Ana wind, 아르헨티나 안데스 산맥 동사면의 Zonda wind, 로키산맥 동사면의 치누크(Chinook), 사하라 사막에서 지중해로 부는 Sirocco, 사하라 사막에서 기니만 연안으로 부는 Harmattan,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건조 지역에서 남부 해안으로 부는 Brickfielder, 중앙 아시아 사막에서 우크라이나로 부는 Sukhovei, 디나르 알프스 산지에서 아드리아해로 부는 Bora, 프랑스 오베르뉴 고원에서 지중해로 부는 미스트랄(Mistral), 파타고니아 대지에서 팜파스 저지로 부는 팜페로(Pampere), 북아메리카에서 미 중앙 대 평원으로 부는 블리자드(Blizzard), 북극해 연안에서 시베리아 중앙 대평원으로 부는 부란(Buran) 등이 있다.
8. 1. 한국의 바람
높새바람은 늦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태백산맥을 넘어 영서 지방으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다. 푄 현상의 일종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8. 2. 세계의 바람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는 방위에 따른 네 바람이 아네모이(anemoi)라 불리는 신으로 의인화되었다. 각 방향에 따라 보레아스(Boreas), 노토스(Notos), 에우로스(Eurus), 제피로스(Zephyros)로 불리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바람의 계절에 따른 변화를 관측하였으며, 아테네에는 바람의 타워가 남아있다. 각 지역에는 각 지역의 특징적인 바람에 이름이 붙어 있다.바람 이름 | 설명 |
---|---|
높새바람 | 한국의 영동 지방에서 태백산맥을 넘어 영서 지방으로 부는 북동 계열의 바람 |
Bayamo | 쿠바의 남부해안에서 부는 격렬한 바람 |
푄(Föhn) | 북부 이탈리아 지역과 알프스산맥의 북사면에 부는 온난건조한 남풍 |
Santa Ana wind |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부는 바람 |
Zonda wind | 아르헨티나 안데스산맥의 동사면에 부는 바람 |
치누크(Chinook) | 로키산맥 동사면에 부는 온난 건조한 바람 |
Sirocco | 사하라 사막에서 지중해로 부는 열사풍 |
Harmattan | 사하라 사막에서 기니만 연안으로 부는 열사풍 |
Brickfielder |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건조 지역에서 남부 해안으로 부는 건조풍 |
Sukhovei | 중앙 아시아 사막에서 우크라이나로 부는 바람 |
Bora | 디나르 알프스 산지에서 아드리아해로 부는 한랭풍 |
미스트랄(Mistral) | 프랑스 오베르뉴 고원에서 지중해로 부는 한랭풍 |
팜페로(Pampere) | 파타고니아 대지에서 팜파스 저지로 부는 한랭풍 |
블리자드(Blizzard) | 북아메리카에서 미 중앙 대 평원으로 부는 한랭풍 |
부란(Buran) | 북극해 연안에서 시베리아 중앙 대평원으로 부는 한랭풍 |
9. 바람을 측정하기 위한 기상학 장비
바람은 다음과 같은 기상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풍속풍향계: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재는 기구이다. 과거에는 바람개비와 같이 돌아가는 컵이나 날개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초음파 측정기를 사용한다.
- 자동기상관측장비: 기상학 분야에서 바람, 강수, 온도 등을 재는 기구이다. 바람 측정에는 초음파 측정기를 이용한다.
- SODAR
- Doppler LIDARs: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대기 중에 포함된 에어로졸이나 작은 입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이를 바람의 움직임으로 환산한다.
- Radiomete Radar: 해수의 거칠기를 우주나 공중에서 측정하여 바람의 강도로 환산한다.
풍향은 보통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북풍'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분다.[8] 풍향계는 회전하여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다.[9] 공항에서는 윈드삭이 풍향을 나타내며, 매달린 각도를 통해 풍속을 추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10] 풍속은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컵이나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풍속계로 측정한다. 높은 측정 빈도가 필요한 경우(예: 연구 응용 분야)에는 초음파 신호의 전파 속도나 가열된 와이어의 저항에 대한 환기의 영향을 통해 바람을 측정할 수 있다.[11]
지속적인 풍속은 전 세계적으로 10m 높이에서 보고되며, 10분 동안 평균을 낸다. 미국은 열대 저기압에 대해 1분 평균 풍속을 보고하고,[13] 기상 관측에서는 2분 평균을 사용한다.[14] 인도는 일반적으로 3분 평균 풍속을 보고한다.[15]
상층 풍을 결정하기 위해, 라디오존데는 GPS, 무선 항법, 또는 프로브의 레이더 추적을 통해 풍속을 결정한다.[17] 또는, 기상 관측 기구의 위치 이동을 측량기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육안으로 추적할 수도 있다.[18] 풍속을 측정하는 원격 감지 기술로는 SODAR, 도플러 LIDAR 및 레이더가 있으며, 이는 부유하는 에어로졸 또는 분자에서 산란되거나 반사된 전자기파의 도플러 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방사계 및 레이더는 우주나 비행기에서 해양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0. 바람의 이용
바람은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왔다. 기원전 5000년에서 40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는 돛을 단 범선을 이용하여 항해를 시작했다.[85] 19세기 말에는 40개의 돛을 가진 4,000톤급 대형 범선이 등장하기도 했다. 오늘날 범선은 주로 요트와 같은 유람용으로 사용되며, 글라이더 역시 바람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조차도 경제적인 비행을 위해 상승기류를 활용한다.
범선은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는 로터선을 제외하고, 모두 선체, 장비, 바람을 받아 배를 움직이는 돛을 지탱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돛대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85] 범선을 이용한 항해는 몇 달씩 걸리기도 하는데, 바람이 없어 갇히거나,[87] 폭풍을 만나 항로를 이탈하거나,[88] 심하면 난파되어 선원 모두를 잃을 수도 있는 위험이 따랐다.[89] 또한, 범선은 선창에 실을 수 있는 물품의 양이 제한되어 있어, 긴 항해를 위해서는 신선한 물을 포함한 보급품을 꼼꼼히 준비해야 했다.[90]
공기역학 항공기의 경우, 바람은 지상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91]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는 바람에 의해 이동하거나 지상 궤적에 영향을 받는다.[92] 공항에서 비행 운항 방향은 주로 지표면 바람의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비행장 활주로는 해당 지역의 바람 방향을 고려하여 건설된다. 뒷바람을 받고 이륙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맞바람을 받으며 이륙하는 것이 유리하다. 뒷바람은 이륙 거리를 늘리고 상승 경사를 감소시킨다.[93]
풍차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곡식을 빻거나 물을 퍼 올리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 풍차는 1세기에 오르간을 구동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95] 7세기경 아프가니스탄의 시스탄에서는 갈대 매트나 천으로 덮인 풍차 돛을 가진 수직축 풍차가 만들어져 곡식을 빻거나 물을 끌어올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제분소 및 사탕수수 산업에도 활용되었다.[96],[97] 1180년대부터 서유럽 북서부에서는 수평축 풍차가 밀가루를 가는 데 널리 사용되었고, 네덜란드에는 많은 풍차가 남아있다.
풍차는 날개를 통해 바람의 에너지를 축이나 톱니바퀴의 회전력으로 바꾸어 제분 등에 사용해왔다. 950년경 이란 동부에서는 제분용 수직축 풍차가 등장했고,[180] 1150년경 유럽에서는 수평축 풍차가 나타났다.[181] 네덜란드에서는 1407년경부터 풍차를 저습지 배수에 활용하였고,[182] 이후 개량을 통해 간척지 간척에 큰 역할을 하였다.[183]
현대에 들어서는 풍력 발전이 재생 가능 에너지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바람의 운동 에너지는 풍속의 세제곱에 비례하며, 베츠의 법칙에 따르면 풍력 터빈은 이 에너지의 약 59%를 추출할 수 있다.[100] 풍력 발전은 지구 온난화 방지 관점에서 이용이 추진되고 있지만,[184] 출력 변동이 크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최근에는 혁신과 가격 하락으로 풍력 발전의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98] 해상 풍력 발전은 육상보다 바람이 강하고 일정하여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99]
바람은 해상에서 이동 수단으로도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돛을 이용해 바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범선은 고대부터 해상 교통의 중심이었으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인더스 문명 사이의 해상 무역에도 사용되었다.[185] 오세아니아에서는 기원전 13세기경부터 폴리네시아인들이 범선을 이용하여 이스터 섬을 포함한 여러 섬에 정착하였다.[186] 15세기 유럽에서는 원양 항해에 적합한 캐러벨이 개발되었고,[187] 항해술 발전과 함께 대항해 시대를 열었다. 19세기에는 증기선이 등장했지만, 클리퍼와 같은 빠른 범선은 한동안 증기선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이기도 했다.[188] 현재는 요트와 같은 소형 선박이나 스포츠용 선박에서 주로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nemology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4-11-23
[2]
웹사이트
Origin of Wind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Southern Region Headquarters
2009-02-16
[3]
논문
Where do winds come from? A new theory on how water vapor condensation influences atmospheric pressure and dynamics
http://www.atmos-che[...]
2013-02
[4]
웹사이트
Geostrophic wind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8
[5]
웹사이트
Thermal wind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8
[6]
웹사이트
Ageostrophic wind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8
[7]
웹사이트
Gradient wind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8
[8]
웹사이트
How to read weather maps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2009-05-16
[9]
웹사이트
Wind vane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10]
웹사이트
Wind sock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11]
웹사이트
Anemometer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12]
웹사이트
Pitot tube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13]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definitions
http://www.weather.g[...]
National Weather Service
2006-06-01
[14]
간행물
Federal Meteorological Handbook No. 1 – Surface Weather Observations and Reports September 2005
http://www.ofcm.gov/[...]
Office of the Federal Coordinator for Meteorology
2008-04-06
[15]
서적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of Ind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4-22
[16]
웹사이트
Section 2. Intensity Observation and Forecast Error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Navy
2008-07-04
[17]
웹사이트
Rawinsonde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18]
웹사이트
Pibal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19]
논문
Analysis methods for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http://dx.doi.org/10[...]
1986
[20]
논문
Using Machine Learning to Predict Wind Flow in Urban Areas
2023-06-07
[21]
서적
Principles of Meteorolog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9-01-09
[22]
웹사이트
G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8
[23]
웹사이트
Storm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8
[24]
웹사이트
The Beaufort Wind Scale
http://www.coastguar[...]
2009-03-18
[25]
웹사이트
Enhanced Fujita Scale
https://glossary.ame[...]
2013-11-07
[26]
웹사이트
Decoding the station model
http://www.wpc.ncep.[...]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2007-05-16
[27]
웹사이트
How to read weather maps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2009-06-27
[28]
서적
Aviation Weather Handbook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2008-01-22
[29]
서적
Encyclopedia of Dese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9-06-20
[30]
웹사이트
trade winds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8-09-08
[31]
서적
Advanced geography
https://archive.org/[...]
W.W. Shannon, State Printing
2009-04-15
[32]
웹사이트
3.3 JTWC Forecasting Philosophie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Navy
2007-02-11
[33]
웹사이트
African Dust Called A Major Factor Affecting Southeast U.S. Air Quality
https://www.scienced[...]
2007-06-10
[34]
웹사이트
Monsoon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8-03-14
[35]
웹사이트
Chapter-II Monsoon-2004: Onset, Advancement and Circulation Features
https://web.archive.[...]
National Centre for Medium Range Forecasting
2004-10-23
[36]
웹사이트
Monsoon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8-05-03
[37]
웹사이트
Lesson 4 – Seasonal-mean Wind Fields
http://snowball.mill[...]
Millersville Meteorology
2008-05-03
[38]
웹사이트
Westerlies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4-15
[39]
웹사이트
Climatology of the Interior Columbia River Basin
https://web.archive.[...]
Interior Columbia Basin Ecosystem Management Project
2009-09-12
[40]
웹사이트
Global circulation
https://web.archive.[...]
Veðurstofu Íslands
2008-06-15
[41]
웹사이트
Investigating the Gulf Stream
http://www.science-h[...]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09-05-06
[42]
서적
The sailor's wind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009-06-17
[43]
웹사이트
The North Atlantic Drift Current
http://oceancurrents[...]
The National Oceanographic Partnership Program
2008-09-10
[44]
서적
Polar Lo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Polar easterlies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4-15
[46]
웹사이트
The Physical Environment: Global scale circulation
http://www.uwsp.edu/[...]
University of Wisconsin–Stevens Point
2009-04-15
[47]
웹사이트
Sea and Land Breezes
http://cimss.ssec.wi[...]
University of Wisconsin
2006-10-24
[48]
간행물
Modelling sea-breeze climatologies and interactions on coasts in the southern North Sea: implications for offshore wind energy
2015
[49]
웹사이트
The Sea Breeze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2006-10-24
[50]
웹사이트
What is a monsoon?
http://www.w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Western Region Headquarters
2009-03-08
[51]
간행물
The Role of Mountains in the South Asian Monsoon Circulation
[52]
간행물
The influence of mesoscale orography on a coastal jet and rainband
http://cat.inist.fr/[...]
[53]
웹사이트
T-REX: Catching the Sierra's waves and rotors
https://web.archive.[...]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2006-10-21
[54]
웹사이트
The Papaguayo Wind
https://web.archive.[...]
NASA Goddard Earth Sciences Data and Information Services Center
2009-06-16
[55]
웹사이트
CHAPTER 8: Introduction to the Hydrosphere (e). Cloud Formation Processes
https://web.archive.[...]
Physical Geography
2009-01-01
[56]
서적
New Zealand Painting
https://books.google[...]
Auckland University Press
2009-06-21
[57]
간행물
Foehn Winds That Produced Large Temperature Differences near the Southern Appalachian Mountains
https://journals.ame[...]
2007
[58]
간행물
On High Winds and Foehn Warming Associated with Mountain-Wave Events in the Western Foothills of the Southern Appalachian Mountains
2009
[59]
간행물
Unexpected Warming Induced by Foehn Winds in the Lee of the Smoky Mountains
[60]
웹사이트
Boulder's downslope winds
https://web.archive.[...]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2009-06-16
[61]
웹사이트
FAA Advisory Circular Pilot Wind Shear Guide via the Internet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9-03-18
[62]
웹사이트
Unified Surface Analysis Manual
http://www.wpc.ncep.[...]
Hydrometeorological Prediction Center
2006-10-22
[63]
웹사이트
E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7-06-03
[64]
웹사이트
Jet Streams in the UK
http://bbc.co.uk/wea[...]
BBC
2009-06-20
[65]
웹사이트
Making the Skies Safer From Windshear
https://web.archive.[...]
NASA Langley Air Force Base
2006-10-22
[66]
웹사이트
T-REX: Catching the Sierra's waves and rotors
https://web.archive.[...]
2009-06-21
[67]
서적
Aviation Safety
https://books.google[...]
VSP
2009-06-21
[68]
서적
Large Wind Turbines
John Wiley & Sons
[69]
서적
The Symmetry of Sailing
https://archive.org/[...]
Sheridan House
[70]
웹사이트
Wind Shear
https://web.archive.[...]
National Aeronautic and Space Administration
2007-10-09
[71]
간행물
Ground Plane Wind Shear Interaction on Acoustic Transmission
http://www.wsdot.wa.[...]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7-05-30
[72]
웹사이트
Hurricanes
http://ww2010.atmos.[...]
2006-10-21
[73]
웹사이트
Vertical Wind Shear
http://ww2010.atmos.[...]
2006-10-21
[74]
웹사이트
Unit 6—Lesson 1: Low-Level Wind Shear
http://www.tpub.com/[...]
2009-06-21
[75]
웹사이트
Vayu
http://www.mythfolkl[...]
Encyclopedia for Epics of Ancient India
2009-04-09
[76]
서적
Encyclopedia of Gods: Over 2, 500 Deiti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77]
웹사이트
Anemi: Greek Gods of the Winds
http://www.theoi.com[...]
Aaron Atsma
2009-04-10
[78]
서적
The Diffusion of Classical Art in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9]
서적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Cassell
[80]
웹사이트
Feature – Kamikaze Attacks
https://www.pbs.org/[...]
PBS
2009-03-21
[81]
서적
The Spanish Armada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9-06-20
[82]
논문
Great Historical Events Tha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Weather: 7, "Protestant Wind"—"Popish Wind": The Revolusion of 1688 in England
[83]
서적
Mirage
https://archive.org/[...]
Harper
[84]
서적
Win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85]
서적
Britain's Sea Story, B.C. 55-A.D. 1805
https://archive.org/[...]
Hodder and Stoughton
2009-03-19
[86]
뉴스
Boat made of plastic bottles to make ocean voyage
http://www.cnn.com/2[...]
CNN
2009-03-19
[87]
서적
Sailing Big on a Small Sailboat
https://archive.org/[...]
Sheridan House, Inc
2009-03-19
[88]
서적
Nelson's navy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09-06-20
[89]
웹사이트
Shipwrecks, Shipwrecks Everywhere
http://www.wisconsin[...]
Wisconsin Historical Society
2009-03-19
[90]
서적
The Worlds of Christopher Columb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3-19
[91]
웹사이트
Relative Velocities: Aircraft Reference
http://www.grc.nasa.[...]
NASA Glenn Research Center
2009-03-19
[92]
웹사이트
The Dream of Flight
https://www.loc.gov/[...]
2009-06-20
[93]
웹사이트
Flight Paths
http://www.bristolai[...]
Bristol International Airport
2009-03-19
[94]
논문
An ancient wind powered iron smelting technology in Sri Lanka
[95]
논문
Heron's Windmill
[96]
서적
Islamic Technology: An illustrated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논문
Mechanical Engineering in the Medieval Near East
1991-05
[98]
웹사이트
Wind energy
https://www.irena.or[...]
2021-06-20
[99]
서적
Principles of Sustainable Energy Systems, Third Edition
https://www.worldcat[...]
Taylor & Francis Group
2019
[100]
문서
The Physics of Wind Turbines
http://apps.carleton[...]
[101]
서적
Glider Flying Handbook
http://www.faa.gov/l[...]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9-06-17
[102]
서적
Gliding: a Handbook on Soaring Flight
Knauff & Grove
[103]
웹사이트
Emergency Tillage to Control Wind Erosion
http://www.ag.ndsu.e[...]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2009-03-21
[104]
논문
Robotic Observations of Dust Storm Enhancement of Carbon Biomass in the North Pacific
http://flameglo.lbl.[...]
2009-06-20
[105]
웹사이트
Dunes – Getting Started
http://geomaps.wr.us[...]
2009-03-21
[106]
논문
On the mode of origin of the loess
https://zenodo.org/r[...]
[107]
서적
Glossary of Geology
Springer-Verlag, New York
[108]
서적
Introduction to Geography, Seventh Edition
https://archive.org/[...]
McGraw-Hill
[109]
웹사이트
African Dust Called A Major Factor Affecting Southeast U.S. Air Quality
https://www.scienced[...]
1999-07-14
[110]
웹사이트
Microbes And The Dust They Ride In On Pose Potential Health Risks
https://www.scienced[...]
2001-06-15
[111]
웹사이트
Study Says African Dust Affects Climate in U.S., Caribbean
http://www.gcrio.org[...]
2007-06-10
[112]
웹사이트
Coral Mortality and African Dust
http://coastal.er.us[...]
2007-06-10
[113]
웹사이트
Calima
http://www.weatheron[...]
2009-06-17
[114]
논문
Harmattan dust deposition and particle size in Ghana
[115]
웹사이트
Sirocco (Scirocco)
http://www.weatheron[...]
2009-06-17
[116]
웹사이트
The Khamsin
http://www.bbc.co.uk[...]
BBC
2009-06-17
[117]
웹사이트
Table of Contents: Wind Climatology of the Winter Shamal
http://www.nrlmry.na[...]
United States Navy
1979-08
[118]
서적
Plant Ecology, 2nd ed
Sinauer Associates, Inc., Massachusetts
[119]
논문
Short-term evolution of reduced dispersal in island plant populations
[120]
서적
Plant Breeding System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9-06-19
[121]
논문
Wind-Conditioned 20th Century Decline of Birch Treeline Vegetation in the Swedish Scandes
http://pubs.aina.uca[...]
2009-06-20
[122]
논문
Stand-replacing windthrow in the boreal forests of eastern Quebec
[123]
웹사이트
Coccoloba uvifera
http://aggie-horticu[...]
Texas A&M University
2009-06-20
[124]
웹사이트
Plants
http://www.nps.gov/r[...]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06-09-01
[125]
뉴스
ARS Studies Effect of Wind Sandblasting on Cotton Plants / January 26, 2010 / News from the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http://www.ars.usda.[...]
Ars.usda.gov
2010-01-26
[126]
웹사이트
ARS Studies Effect of Wind Sandblasting on Cotton Plants
http://www.ars.usda.[...]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0-01-26
[127]
논문
Under pressure: investigating the biology of plant infection by ''Magnaporthe oryzae''
Nature Portfolio
[128]
논문
Progress in Biological Control of Weeds with Plant Pathogens
Annual Reviews (publisher)
2020-08-25
[129]
웹사이트
Gone with the wind: Revisiting stem rust dispersal between southern Africa and Australia
http://globalrust.or[...]
2022-01-03
[130]
논문
The population genetics of plant pathogens and breeding strategies for durable resistanc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31]
논문
Wind Chill Effect for Cattle and Sheep
[132]
웹사이트
Adapting to the Cold
http://www.aad.gov.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Water, Heritage, and the Arts Australian Antarctic Division
2008-12-08
[133]
웹사이트
Birds migrate together at night in dispersed flocks, new study indicates
http://news.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 Champaign
2009-04-26
[134]
웹사이트
BIO 554/754 Ornithology Lecture Notes 2 – Bird Flight I
http://people.eku.ed[...]
Eastern Kentucky University
2009-06-19
[135]
웹사이트
P5A.6 Fine-Scale Vertical Structure of a Cold Front As Revealed By Airborne 95 GHZ Radar
http://www-das.uwyo.[...]
University of Wyoming
2009-04-26
[136]
웹사이트
Contamination of WSR-88D VAD Winds Due to Bird Migration: A Case Study
http://www.erh.noaa.[...]
Eastern Region WSR-88D Operations Note No. 12
2009-04-26
[137]
서적
Feeding strateg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8]
서적
Neural mechanisms of startle behavio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6-19
[139]
서적
The Ultimate Guide to Elk Hunting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2009-06-19
[140]
논문
Wind and prey nest sites as foraging constraints on an avian predator, the glaucous gull
[141]
서적
The tornado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9-05-13
[142]
서적
Lightning: Principles, Instrument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5-13
[143]
웹사이트
How to Minimize Wind Damage in the South Florida Garden
http://edis.ifas.ufl[...]
University of Florida
2009-05-13
[144]
웹사이트
Saffir-Simpson Hurricane Scale Information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7-02-25
[145]
웹사이트
Enhanced F Scale for Tornado Damage
http://www.spc.noaa.[...]
Storm Prediction Center
2009-06-21
[146]
웹사이트
Info note No.58 — World Record Wind Gust: 408 km/h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Association
2010-01-22
[147]
논문
Mathematical model of a smoldering log
http://www.fs.fed.us[...]
2009-02-06
[148]
서적
NWCG Communicator's Guide for Wildland Fire Management: Fire Education, Prevention, and Mitigation Practices, Wildland Fire Overview
http://www.nifc.gov/[...]
2008-12-11
[149]
서적
Glossary of Wildland Fire Terminology
http://www.nwcg.gov/[...]
2008-12-18
[150]
웹사이트
Chandra Finds Fastest Winds from Stellar Black Hole
http://chandra.harva[...]
NASA
2012-09-27
[151]
웹사이트
Atmospheric Escape Hot Jupiters & Interactions Between Planetary and Stellar Winds
http://www.bu.edu/cs[...]
Boston University
2009-05-05
[152]
논문
Hydrodynamic escape of hydrogen from a hot water-rich atmosphere: The case of Venus
[153]
서적
Extrasolar Planets
https://books.google[...]
Wiley-VCH
2009-05-05
[154]
웹사이트
Solar Wind
https://www.swpc.noa[...]
2023-05-16
[155]
웹사이트
The Solar Wind
http://solarscience.[...]
National Aeronautic and Space Administration
2009-03-19
[156]
뉴스
A Glowing Discovery at the Forefront of Our Plunge Through Space
SPACE.com
2000-03-15
[157]
논문
Geomagnetic Storms Can Threaten Electric Power Grid
http://www.agu.org/s[...]
2009-03-19
[158]
웹사이트
Cause of the Aurora
http://www.gi.alaska[...]
Alaska Science Forum
2009-03-19
[159]
웹사이트
World Book at NASA: Comets
http://cmsdev.nasaw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9-06-20
[160]
논문
Cloud-tracked winds from Pioneer Venus OCPP images
[161]
뉴스
Mars Rovers Spot Water-Clue Mineral, Frost, Clouds
http://marsrovers.jp[...]
2006-03-17
[162]
뉴스
NASA – NASA Mars Rover Churns Up Questions With Sulfur-Rich Soil
http://www.nasa.gov/[...]
[163]
뉴스
Spirit Gets A Dust Devil Once-Over
http://www.space.com[...]
2006-12-01
[164]
서적
Dynamics of Jupiter's Atmosphere
http://www.lpl.arizo[...]
Lunar & Planetary Institute
2007-02-01
[165]
논문
Cassini Imaging Science: Initial Results on Saturn's Atmosphere
https://resolver.cal[...]
[166]
논문
Dynamics of cloud features on Uranus
[167]
논문
Uranus in 2003: Zonal winds, banded structure, and discrete features
http://www.llnl.gov/[...]
2009-06-15
[168]
논문
New Measurements of the Winds of Uranus
[169]
서적
Uranus, Neptune, Pluto, and the Outer Solar System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170]
논문
The Atmospheres of Uranus and Neptune
[171]
뉴스
Exoplanet Sees Extreme Heat Waves
http://www.space.com[...]
2017-09-02
[172]
문서
広辞苑
[173]
문서
地形等の影響とは、風の中に物体があるとカルマン渦という乱流が生じるが、不特定多数の障害物によって複雑な乱流が生じて、突発的に風速が増すことである。
[174]
서적
気候変動で読む地球史 限界地帯の自然と植生から
NHK出版
2016-08-25
[175]
서적
樹木学
築地書館
2001-07-30
[176]
웹사이트
これからの時期は特に注意!風と寒さの関係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ズ
2016-11-09
[177]
서적
キリマンジャロの雪が消えていく―アフリカ環境報告
岩波書店
[178]
서적
植物気候学
古今書院
2010-03-10
[179]
웹사이트
窓がポイント! 住まいのじょうずな換気方法
https://www.ykkap.co[...]
YKKAP
2020-08-11
[180]
서적
世界文明における技術の千年史 「生存の技術」との対話に向けて
新評論
2001-06
[181]
서적
[182]
서적
図説 オランダ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2-04-30
[183]
서적
[184]
서적
トコトンやさしいエネルギーの本
日刊工業新聞社
2016-04-25
[185]
서적
海を渡った人類の遙かな歴史 古代海洋民の航海
河出書房新社
2018-02-20
[186]
서적
南太平洋を知るための58章 メラネシア ポリネシア
明石書店
2010-09-25
[187]
서적
大帆船時代 快速帆船クリッパー物語
中央公論社
1979-06-25
[188]
서적
[189]
웹사이트
おしえて!バルーンQ&A
http://www.jballoon.[...]
一般社団法人日本気球連盟
2008
[190]
웹사이트
陸上競技ガイド
https://www.jaaf.or.[...]
2020-03-31
[191]
웹사이트
高波、津波、高潮はどう違う?
https://www.kodomono[...]
誠文堂新光社
2020-03-27
[192]
웹사이트
高潮は恐ろしいの?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0-03-23
[193]
웹사이트
特集 大雪への備え~雪害では、どのような災害が起こるのか (平成27年度 広報誌「ぼうさい」冬号(第81号))
https://www.bousai.g[...]
内閣府
2020-03-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겨레 손고운 기자
[날씨] 전국 곳곳 비…일요일 다시 맑은 하늘
전국 대부분 강한 바람…낮 최고 22도
전국 맑지만 강한 바람…기상청 “화재 예방 각별히 유의”
주말 ‘흐리고 비’ 월요일 ‘맑음’…천둥·번개·안개 유의하세요
[날씨] 큰 일교차 주의…낮 최고 서울 22℃ · 대구 26℃
[날씨] 서울 낮 22도 '큰 일교차'…토요일 오후 전국 '비'
사흘째 안 꺼지는 의성 산불…안개·연기에 헬기 투입 난항
서예지, 김수현과 바람 루머에 해명 "지겹고 숨 막힌다"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